이형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형기는 1933년 경상남도 진주 출생으로,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이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기자, 논설위원, 편집국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문인협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49년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하며 등단하였으며, 시집 《적막강산》을 시작으로 삶의 고독과 허무, 죽음과 생명력, 현실에 대한 관조 등 시기별로 변화하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었다. 한국문학가협회상, 대한민국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문 - 한봄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인 한봄은 진주 남가람가요제를 통해 트로트 가수의 길을 시작하여 현인가요제 대상을 수상했고, 2010년 데뷔 후 2020년 '트롯신이 떴다2'에서 최종 3위를 기록하며 이름을 알렸으며, 2021년부터 진주시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다.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문 - 우정환
우정환은 K리그와 내셔널리그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다재다능한 축구 선수로, 청소년 대표팀 시절 FIFA U-17 월드컵과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했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 대비 U-23 대표팀에 소집되기도 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이형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형기 |
한글 이름 | 이형기 |
한자 이름 | 李炯基 |
로마자 표기 | I Hyeonggi |
출생일 | 1933년 1월 6일 |
출생지 | 경상남도진주시 |
사망일 | 2005년 2월 2일 |
직업 | 시인 |
언어 | 한국어 |
학력 |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학사 |
활동 | |
활동 기간 | 1950년 - |
장르 | 시 |
데뷔 작품 | (雨가 내리는 날) |
기타 | |
종교 | 불교 |
웹사이트 | 한국문학번역원 웹사이트 |
2. 생애
이형기는 1933년 1월 6일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났다.[2][4]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3] 연합신문, 서울신문, 대한일보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국제신문 논설위원과 편집국장을 역임했다.[3] 한국문인협회 상임이사, 한국시인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부산산업대학교와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3]
이형기의 시적 경력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49년 고등학교 재학 중 문예 월간지 『문예』에 「비오는 날」(雨が降る日)이 추천되어 등단했다. 그의 작품 세계는 3기로 구분된다. 첫 시집 『적막강산』(寂寞江山)으로 대표되는 제1기는 삶의 근원적인 고독과 허무를 담담하게 그려냈다. 제2기는 1970년대 이후의 시기로, 죽음과 절망, 강한 생명력 등 탐미성이 두드러진다. 1980년대 중반 이후의 제3기는 세계의 허무를 관조하며 현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1957년 한국문학가협회상을 시작으로, 문교부 문예상(1966년), 시인협회상(1976년), 한국문학작가상(1982년), 부산광역시 문화상(1983년), 윤동주 문학상(1985년), 대한민국문학상(1999년)을 수상했다. 2005년 2월 2일에 사망했다.[2]
3. 작품 세계
초기 (1960년대)이형기의 시적 경력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1960년대는 첫 번째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 그의 시집 『쓸쓸한 자연』은 삶의 근본적인 고독과 세상의 공허함을 깨달은 한 인간의 성숙한 사상을 반영한다.[1] 이 시기에 쓰인 시들은 삶의 무의미함에 대한 감정으로 가득 차 있지만, 단순한 비탄이나 분노의 표현이 아니라, 이러한 무의미함에 대한 대담한 직면으로 특징지어진다.[1] 시인은 또한 세속적인 고려와 관여를 벗어나 존재의 덧없는 파도로부터 자신을 정화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룬 초월의 측면을 드러낸다.[1]
시집 『적막강산』(寂寞江山)이 대표작인 제1기는 삶의 근원적인 고독과 세계의 공허를 일찍이 깨달은 인간의 정신 세계를 그린 시기이다. 이 시기의 시에는 삶의 허무가 깊이 느껴지지만, 그에 대한 담담한 태도가 특징이다. 또한, 세속적인 계산과 이해에서 벗어나, 존재의 무상한 흐름에 몸을 맡기고, 유유자적하게 사는 초탈의 모습을 보여준다.
중기 (1970년대)이형기의 1970년대 시는 이전 시의 투명하고 절제된 감정에서 벗어나 시인의 강렬한 심미주의를 더 잘 표현한다.[1] 이 시기의 중심적 특징은 죽음 앞에서 강한 남자조차 보이는 필사적인 저항과 그러한 저항으로 인해 증폭되는 인류의 본질적인 무의미함, 그리고 피상적인 활력의 부정적 영향을 통한 인간 삶의 극적인 표현이다.[1] 인간의 본질적인 허무를 상징하는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자의식이 강한 인간의 절망적인 저항의 모습, 또는 강한 생명력이 부정적으로 연소됨으로써 인간의 삶을 가장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제2기 작품의 특징이다.[1]
후기 (1980년대 이후)1980년대 중반 이후, 이형기의 시는 삶의 무의미함을 초연하게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자유로운 정신을 보여준다. 그는 현실의 변화와 세상의 공포를 차분한 태도로 냉정하게 관찰하며 이러한 관찰을 대담하게 받아들인다. 이는 세계의 허무를 제3자로서 관찰하는 심리적 여유를 보여주는 것으로, 현실의 변화와 공포를 다소 냉정하게 받아들이는 차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기와의 차이를 드러낸다.
3. 1. 초기 (1960년대)
이형기의 시적 경력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1960년대는 첫 번째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 그의 시집 『쓸쓸한 자연』한국어은 삶의 근본적인 고독과 세상의 공허함을 깨달은 한 인간의 성숙한 사상을 반영한다.[1] 이 시기에 쓰인 시들은 삶의 무의미함에 대한 감정으로 가득 차 있지만, 단순한 비탄이나 분노의 표현이 아니라, 이러한 무의미함에 대한 대담한 직면으로 특징지어진다.[1] 시인은 또한 세속적인 고려와 관여를 벗어나 존재의 덧없는 파도로부터 자신을 정화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룬 초월의 측면을 드러낸다.[1]
시집 『적막강산』한국어(寂寞江山)이 대표작인 제1기는 삶의 근원적인 고독과 세계의 공허를 일찍이 깨달은 인간의 정신 세계를 그린 시기이다. 이 시기의 시에는 삶의 허무가 깊이 느껴지지만, 그에 대한 담담한 태도가 특징이다. 또한, 세속적인 계산과 이해에서 벗어나, 존재의 무상한 흐름에 몸을 맡기고, 유유자적하게 사는 초탈의 모습을 보여준다.
3. 2. 중기 (1970년대)
이형기의 1970년대 시는 이전 시의 투명하고 절제된 감정에서 벗어나 시인의 강렬한 심미주의를 더 잘 표현한다.[1] 이 시기의 중심적 특징은 죽음 앞에서 강한 남자조차 보이는 필사적인 저항과 그러한 저항으로 인해 증폭되는 인류의 본질적인 무의미함, 그리고 피상적인 활력의 부정적 영향을 통한 인간 삶의 극적인 표현이다.[1] 인간의 본질적인 허무를 상징하는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자의식이 강한 인간의 절망적인 저항의 모습, 또는 강한 생명력이 부정적으로 연소됨으로써 인간의 삶을 가장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제2기 작품의 특징이다.[1]
3. 3. 후기 (1980년대 이후)
1980년대 중반 이후, 이형기의 시는 삶의 무의미함을 초연하게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자유로운 정신을 보여준다. 그는 현실의 변화와 세상의 공포를 차분한 태도로 냉정하게 관찰하며 이러한 관찰을 대담하게 받아들인다. 이는 세계의 허무를 제3자로서 관찰하는 심리적 여유를 보여주는 것으로, 현실의 변화와 공포를 다소 냉정하게 받아들이는 차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기와의 차이를 드러낸다.
4. 주요 작품
'''공동시집'''
- 이상로, 임광식 등의 시인들과 함께 공동시집 《해넘어가기 전의 기도》를 펴냈다.
'''시집'''
- 1963년, 적막강산
- 1971년, 돌베개의 시
- 1975년, 꿈꾸는 한발
- 1981년, 풍선심장
- 1986년, 서서 흐르는 강물, 바람으로 만든 조약돌
- 1995년, 알시몬의 배
- 1998년, 절벽
- 2000년, 존재하지 않는 나무
'''평론'''
- 1978년, 감성의 논리
- 1980년, 한국문학의 반성
4. 1. 시집
이형기는 여러 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1963년에는 적막강산(寂寞江山)을 출간하였고, 1971년에는 돌베개의 시(石枕の詩)를 출간하였다. 1975년에는 꿈꾸는 한발(夢見る旱魃)을 출간하였고, 1981년에는 풍선심장(風船心臓)을 출간하였다. 1986년에는 서서 흐르는 강물(立って流れる川)과 바람으로 만든 조약돌(風で作った小石)을 출간하였고, 1995년에는 알시몬의 배(アルシモンの船)를 출간하였다. 1998년에는 절벽(絶壁)을 출간하였으며, 2000년에는 존재하지 않는 나무(存在しない木)를 출간하였다. 또한, 이상로, 임광식 등의 시인들과 함께 《해넘어가기 전의 기도》라는 공동 시집에 참여하기도 했다. 평론집으로는 1978년에 출간한 감성의 논리(感性の論理)와 1980년에 출간한 한국문학의 반성(韓国文学の反省)이 있다.4. 2. 공동시집
이상로, 임광식 등의 시인들과 함께 공동시집 《해넘어가기 전의 기도》를 펴냈다.4. 3. 평론
이형기는 평론집으로 감성의 논리/The Logic of Sensitivity영어와 한국문학의 반성을 출간하였다.5. 수상 경력
1956년 한국문인협회상을 수상했다.[4] 1959년에는 제2회 한국문학가협회상을, 1966년에는 문화공보부 문예상을 수상했다.[4] 1978년 한국시인협회상을 수상했으며,[4] 1982년에는 한국문학작가상을, 1983년에는 부산문화상을 수상했다.[4] 1990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하였고,[4] 1993년에는 제1회 공초문학상을 수상했다.[4] 199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ee Hyeonggi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이형기 시인, 문학평론가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21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처리 불가
[5]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klti.or.k[...]
2014-02-10
[6]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처리 불가
[7]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처리 불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