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 심장은 심장의 기능을 대신하여 혈액 순환을 돕는 장치로, 심장 질환 치료에 활용된다. 1938년 최초 개발 이후, 완전 인공 심장과 보조 인공 심장으로 발전해왔다. 완전 인공 심장은 환자 심장을 대체하며, 보조 인공 심장은 심장 기능을 부분적으로 지원한다. 인공 심장은 압축식, 전기 기계식, 무박동형 등 다양한 구동 방식을 거쳐왔으며, 1세대부터 3세대에 걸쳐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소프트 인공 심장, BiVACOR 인공 심장 등 혁신적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인공 심장 이식 후 혈전, 세균 감염, 뇌사 판정, 윤리적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장기 - 심실보조장치
심실보조장치는 심장 펌프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심실 기능을 보조하는 기계 장치로, 보조 심실과 사용 기간에 따라 분류되며, 심장 질환 회복, 이식 대기, 영구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체외, 이식, 경피형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인공장기 - 인공 장기
인공 장기는 손상된 장기를 대체하거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기계, 조직 공학, IT 기술 등의 융합을 통해 발전하며 장기 이식 문제 해결과 생명 연장에 기여하지만 윤리적 문제도 제기된다. - 심장학 - 혈압
혈압은 심장이 수축 및 이완할 때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수축기/이완기 혈압으로 표기되며, 심박출량, 혈관 저항 등에 영향을 받고, 고혈압, 저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 심장학 -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혈액 내 지질 수치가 높아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상승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동맥경화증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20세기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20세기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인공 심장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기계 장치 |
기능 | 심장 대체 |
역사 | |
최초 이식 | 1969년 덴턴 쿨리 |
최초 상용화 | 1982년 자르빅-7 |
현재 개발 |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심장 개발 중 |
종류 | |
전체 인공 심장 | 심장 전체 기능 대체 |
보조 인공 심장 | 심장 기능 보조 |
일시적 인공 심장 | 심장 이식 대기 또는 일시적 심부전 치료 |
영구적 인공 심장 | 장기간 심장 기능 대체 |
작동 원리 | |
에너지원 |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
혈액 펌프 | 기계적인 펌프 작용으로 혈액 순환 |
제어 시스템 | 인공 심장 박동 조절 |
이식 방법 | |
외과적 수술 | 심장 이식과 유사한 수술 과정 |
혈관 연결 | 인공 심장과 혈관 연결 |
장점 | |
심부전 치료 | 심부전 환자의 생명 연장 |
이식 대기 | 심장 이식 대기 환자의 생명 유지 |
단점 | |
혈전 위험 | 혈전 생성 가능성 |
감염 위험 | 감염에 취약 |
합병증 가능성 | 기계 오작동 및 합병증 가능성 |
제약 조건 | 배터리 교체 및 외부 전원 의존 |
윤리적 문제 | |
높은 비용 | 고가의 치료비용 |
삶의 질 | 인공 심장 이식 후 삶의 질 문제 |
장기 부족 | 인공 심장 사용 증가로 인한 장기 기증 문제 |
미래 전망 | |
기술 발전 | 소형화, 내구성 향상, 생체 적합성 개선 |
적용 확대 | 심부전 환자 치료에 더 널리 사용 |
관련 단어 | |
관련 용어 | 심장 이식 심부전 혈액 순환 생체 공학 |
2. 역사
인공 심장은 장기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장 이식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심장은 단순한 펌프가 아니라 복잡한 기관이기 때문에, 인공 심장 개발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혈전 형성과 이물질 거부 반응은 초기 인공 심장 개발에 있어 큰 난관이었다.[1]
1938년 소련의 과학자 블라디미르 데미호프가 최초의 인공 심장을 만들어 개에게 이식한 것을 시작으로, 1950년대에는 미국에서 최초의 인체 이식 가능한 인공 심장이 개발되었다. 1952년에는 헨리 오피텍이 도드릴-GMR 심장 기계를 이용하여 심장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다. 1957년에는 윌리엄 콜프 박사가 인공 심장을 체내에 장착한 개를 1시간 반 동안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1]
1964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인공 심장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10년 안에 인간에게 이식 가능한 인공 심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4] 1969년에는 도밍고 리오타와 덴튼 쿨리가 심장 이식을 위한 가교로 인공 심장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19]
1982년에는 로버트 자빅이 개발한 '자빅-7'이 최초로 인체에 영구 이식되었으나, 펌프 내부의 혈전 형성으로 인한 뇌졸중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되었다.
최근에는 이식 거부 반응 및 혈전과 같은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카르마트(Carmat) 심장과 같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1]
2000년대에 들어 미국 아비오메드사가 개발한 전자기 구동 방식의 아비오코어(AbioCor)가 임상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수명 연장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윤리적인 문제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후 아비오메드사는 아비오코어 II 개발을 진행했으나, 2015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개발 프로젝트 자체가 많지 않지만, 도쿄대학교 연구팀[104]등에서 전치환형 인공심장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05] 또한, 기존의 복잡한 구조의 심박형 인공심장 대신, 간단한 구조의 무박동형 인공심장이 실적을 올리고 있으며, 각국의 연구팀이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106]
소형의 보조 심장을 두 개 사용하여 전치환형 인공심장으로 사용하는 기술도 있으며, 체격이 작은 환자들을 위한 소형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2. 1. 초기 개발
1938년 소련의 과학자 블라디미르 데미호프가 최초의 인공심장을 만들어 개에게 이식했다.[1] 1952년 7월 2일, 미국 미시간주 웨인 주립대학교 하퍼 대학교 병원에서 헨리 오피텍이 도드릴-GMR 심장 기계를 이용하여 심장 수술을 받는 데 성공했다.[3][4] 이 기계는 포레스트 디위 도드릴이 개발했으며, 수술 중 50분 동안 환자의 좌심실 기능을 대신했다.[5]1953년에는 존 헤이샴 기본이 심장-폐 기계를 개발하여 개심 수술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다.
1957년,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소의 윌리엄 콜프 박사는 인공 심장을 체내에 장착한 개를 1시간 반 동안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1]
2. 2. 완전 인공심장 개발
1969년, 도밍고 리오타와 덴튼 쿨리는 휴스턴의 텍사스 심장 연구소에서 심장 이식을 위한 가교로 인공심장을 이식했다.[19] 환자는 64시간 후 기증자의 심장으로 교체되었으나, 이식 32시간 후 면역억제제 합병증으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1982년, 윌리엄 드브리스는 유타 대학교에서 자빅-7(Jarvik-7)을 바니 클라크에게 영구 이식했다.[21] 클라크는 약 약 181.44kg 무게의 공압 구동 콘솔에 연결된 채 112일 동안 생존했지만, 여러 합병증을 겪고 1983년 3월 23일 다기관 기능 부전으로 사망했다.[22][23]
이후 윌리엄 J. 슈뢰더 등에게도 Jarvik-7이 이식되었으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했다.[24][25] 1980년대 후반, 공기압 방식의 영구 인공심장은 뇌졸중 등의 문제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로버트 자빅(Robert Jarvik)이 개발한 공기압 구동 방식의 Jarvik-7은 1982년 미국에서 임상 적용되었으나, 펌프 내부의 혈전 형성으로 인한 뇌졸중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3. 보조 인공심장 개발
1963년 7월 19일, E. 스탠리 크로포드와 도밍고 리오타는 메소디스트 병원에서 수술 후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최초로 임상용 좌심실 보조 장치(LVAD)를 이식했다.[27] 환자는 4일 동안 생존했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1966년 4월 21일, 마이클 데베이키와 리오타는 최초로 체외형 LVAD를 이식했다.[27] 환자는 신경 및 폐 합병증으로 며칠 만에 사망했다. 같은 해 10월, 데베이키와 리오타는 새로운 환자에게 체외형 리오타-데베이키 LVAD를 이식했고, 환자는 회복되어 10일 후 퇴원하여 LVAD의 최초 성공적인 사용 사례가 되었다.
1990년, 브라이언 윌리엄스는 FDA 승인을 받아 퇴원한 최초의 인공 심장 보조 장치(VAD) 환자가 되었다.[28]
최초의 좌심실 보조 장치(LVAD) 시스템은 1962년 도밍고 리오타에 의해 개발되었다.[91] 어드리안 칸트로위츠가 설계한 칸트로위츠 카디오바드는 심장 기능의 50% 이상을 담당하여 고유 심장을 강화시킨다.[92]
최초의 심장 보조 장치는 1994년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1998년에 두 개의 장치가 추가로 승인을 받았다.[93] 2006년 8월, 베를린 하트(Berlin Heart)라고 불리는 인공 심장이 자연적인 치유를 가능하게 하여 15세 소녀의 심장이 스스로 제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95] 2011년 12월 16일 베를린 하트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96]
2012년,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베를린 하트를 체외막산소화(ECMO)와 비교하여 "소아 심장 이식의 가교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크기의 심실 보조 장치(예: 베를린 하트)는 ECMO와 비교하여 생존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라고 결론지었다.[98]
보조 인공심장은 환자 자신의 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일본에서는 중증 심부전 환자의 심장 이식 전까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는 "체외 설치형", "체내 이식형", "카테터형"으로 크게 분류된다.
종류 | 제품명 | 제조사 | 비고 |
---|---|---|---|
체외 설치형 | 니프로 VAD | 일본 도요보·니프로 | NCBC(소형 구동 장치)형도 있음 |
체내 이식형 | Heart Mate II | 미국 Thoratec사 | |
EVAHEART | 일본 산메디컬(도쿄여자의과대학·와세다대학·도쿄대학) | ||
Dura Heart | 일본 테루모 | ||
JARVIK 2000 Flowmaker | 미국 Jarvic Heart사 | ||
HEARTWARE HVAD | |||
카테터형 | IMPELLA | 미국 아비오메드사 |
인공심장은 크게 환자 자신의 심장을 대체하는 '''완전 인공 심장'''과, 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보조인공심장'''으로 나눌 수 있다.
2012년 도호쿠 대학 연구팀은 자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화한 완전히 이식 가능한 인공심장용 펌프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107]
3. 종류
최근에는 도호쿠 대학 연구팀이 자기를 이용해 전원을 무선화한 완전 이식형 인공심장용 펌프를 개발하는 등[107], 소형화 및 완전 이식형 인공 심장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 1. 기능에 따른 분류
인공 심장은 환자 자신의 심장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장치로, 크게 완전 인공 심장(TAH)과 보조 인공 심장(VAD)으로 나뉜다.
구분 | 종류 | 제조사 및 개발 기관 |
---|---|---|
체외 설치형 | 니프로 VAD | 일본 도요보·니프로 (NCBC(소형 구동 장치)형도 있음) |
체내 이식형 | Heart Mate II | 미국 Thoratec사 |
EVAHEART | 일본 산메디컬(도쿄여자의과대학·와세다대학·도쿄대학) | |
Dura Heart | 일본 テルモ | |
JARVIK 2000 Flowmaker | 미국 Jarvic Heart사 | |
HEARTWARE HVAD | ||
카테터형 | IMPELLA | 미국 아비오메드사 |
일본에서는 체격이 작은 환자에게 적합한 소형 인공 심장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호쿠 대학 연구팀은 자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화한 완전 이식형 인공 심장용 펌프를 개발하기도 했다.[107]
3. 2. 구동 방식에 따른 분류
인공심장은 구동 방식에 따라 압축식, 전기 기계식, 무박동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압축식: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펌프를 작동시킨다. 초기 인공심장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부피가 크고 이동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1982년 유타 대학교에서 임상 적용된 윌리엄 드브리스의 Jarvik-7이 대표적이다. Jarvik-7은 은퇴한 치과의사 바니 클라크에게 이식되어 112일 동안 생존했지만, 여러 합병증을 겪었다.[21][22] 이후 윌리엄 J. 슈뢰더는 620일, 머레이 헤이던은 488일 동안 생존했다.[25][26]
- 전기 기계식: 전기 모터로 펌프를 작동시킨다. 압축식보다 크기가 작고 효율적이지만, 배터리 수명과 발열 문제가 있다.
- 무박동형: 프로펠러나 스크루를 회전시켜 혈액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한다. 기존 박동형 인공심장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혈전 형성 위험이 적다. 1990년대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소에서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송아지 실험에서 3개월 이상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
최근에는 심장 기능이 일부 남아있는 환자에게는 심실 보조 장치(VAD)가 사용되기도 한다. 어드리안 칸트로위츠가 설계한 칸트로위츠 카디오바드(Kantrowitz CardioVad)는 심장 기능의 50% 이상을 담당한다.[92] 또한, 베를린 하트(Berlin Heart)와 같이 자연 치유를 돕는 장치도 개발되었다.[95]
전치환형 인공심장으로는 로버트 저비크가 개발한 Jarvik-7이 있었으나, 혈전 형성 등의 문제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000년대에는 아비오메드사의 아비오코어가 임상 사용되었지만, 환자 수명 연장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3. 3. 세대별 분류
1세대 인공 심장은 신체 외부에 장착하는 형태였다. 1982년 유타 대학교에서 영구 이식을 목적으로 설계된 Jarvik-7의 최초 임상 적용이 이루어졌다. 윌리엄 드브리스는 울혈성 심부전을 앓고 있던 바니 클라크에게 Jarvik-7을 이식했다.[21][22] 클라크는 약 약 181.44kg 무게의 구동 콘솔에 연결된 채 112일 동안 생존했지만, 여러 합병증을 겪고 1983년 다기관 기능 부전으로 사망했다.[23] 이후 드브리스는 윌리엄 J. 슈뢰더에게 Jarvik-7을 이식했고, 슈뢰더는 인공 심장 이식 환자 중 최장 기간인 620일 동안 생존했다.[25]2세대 인공 심장은 신체 내부에 장착하는 박동형 펌프를 사용한다. 1994년 FDA는 최초의 심장 보조 장치를 승인했으며, 1998년에 두 개의 장치가 추가로 승인되었다.[93]
3세대 인공 심장은 신체 내부에 장착하며, 심실보조장치라고도 불리는 비박동형 펌프를 사용한다.[94] 2010년 딕 체니 부통령이 이 시술을 받았다.[100] 2012년 8월 삼성서울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3세대 심실 보조 장치 시술에 성공했으며, 당시 비용은 1억 1천만 원이었다.
4.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인공심장은 합성 물질과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심장의 기능을 모방, 혈액 순환을 돕는다. 그러나 심장의 복잡한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워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1] 역사적으로 혈전 형성 및 이물질 거부 반응과 같은 생체의학적 문제와 장치의 수명 및 작동 관련 문제가 있었다.[1]
4. 1. 인간 심장과 인공심장의 차이
인간의 심장은 평생(약 75년) 동안 약 30억 회 박동하며, 2억 리터의 혈액을 순환시킨다.[1] 심장은 우심실에서 폐로 혈액을 보내는 작용과 좌심실에서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는 작용을 한다.[1] 이 두 가지 펌프 작용은 압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완전히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1] 인공심장은 이러한 심장의 펌프 작용을 모방하여 혈액 순환을 돕는다.인공 심장은 합성 물질과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심장의 복잡한 기능을 모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1] 역사적으로 혈전 형성 및 이물질 거부 반응과 같은 생체의학적 문제와 장치의 수명 및 작동과 관련된 문제가 있었다.[1]
4. 2. 작동 원리 (예시: 자빅-7)

자빅-7(Jarvik-7)은 심장의 좌우 심실을 대체하는 두 개의 인공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인공 심실은 실제 심장의 심방, 대동맥, 폐동맥과 연결된다. 인공 심실은 외부 컴프레서에서 보내는 압축 공기로 작동하며, 이 공기는 다이어프램(격막 형태의 판)을 움직여 혈액 순환을 돕는다.[21]
자빅-7은 생체 적합성 플라스틱과 폴리머로 만들어졌으며, 4개의 메드트로닉-홀 밸브를 사용했다.[54] 원래 유타드라이브라고 불린 대형 압축 공기 구동 콘솔에 연결되어 작동했다.[55] 이후 크기가 작은 70cc 모델과 휴대용 배터리 구동 시스템이 개발되어 환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1982년 유타 대학교에서 윌리엄 드브리스 박사가 61세의 치과의사 바니 클라크에게 자빅-7을 이식하는 수술을 처음으로 시행했다. 클라크는 112일 동안 생존했으며, 이는 인공 심장 이식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21] 이후 윌리엄 J. 슈뢰더는 620일, 머레이 헤이던은 488일 동안 자빅-7을 이식받고 생존했다.[25][26]
자빅-7은 영구 이식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혈전, 감염 등의 문제로 인해 1980년대 후반에는 심장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에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현재는 자빅-7의 권리를 인수한 신카디아 시스템즈(SynCardia Systems)에서 개선된 모델을 생산하고 있다.[54]
5. 최신 기술 및 연구 동향
인공 심장은 의료 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특히 카르마트(Carmat) 심장과 같은 최근 장치들은 이물 거부 반응 및 혈전과 같은 이식으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
2008년 10월 27일, 프랑스의 심장 이식 전문가 알랭 카르팡티에(Alain F. Carpentier) 교수는 2013년까지 완전 이식형 인공 심장을 심장 이식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인공 심장은 그의 생명공학 회사인 카르마트(CARMAT SA)[41]와 트러플 캐피털(Truffle Capital)에 의해 개발 및 생산될 예정이었다. 시제품에는 내장형 전자 센서가 사용되었으며, 화학적으로 처리된 동물 조직("생체재료" 또는 "생체합성 미세 다공성 물질")으로 만들어졌다.[42] 2013년 12월 18일, 파리 조르주 퐁피두 유럽 병원 팀은 75세 환자에게 최초로 카르마트 인공 심장 이식 수술을 시행했으나,[43] 환자는 75일 후 사망했다.[44]
카르마트 에이슨(Aeson)은 두 개의 심실이 각각 수압 유체가 들어있는 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모터식 펌프가 유체를 이동시켜 혈액을 펌핑한다. 막의 혈액 접촉면은 소 심장 주머니 조직으로 만들어져 생체 적합성을 높였다. 소 심장 조직으로 만든 판막과 압력 센서를 사용하며, 내부 제어 시스템으로 유속을 조절한다.[45] 무게는 900g으로 일반 심장의 약 세 배이며, 주로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한다. 리튬이온(Li-Ion) 배터리를 휴대해야 하며, 예상 수명은 약 5년이다.[47] 2016년 유럽 의약품 안전청은 짧은 생존율을 이유로 시험을 금지했으나, 2017년 5월 해제되었다.[49] 2020년 12월 22일 CE 마크를 획득하여 유럽 연합에서 판매가 승인되었으며,[50] 현재 유럽에서는 최대 180일 동안 가교 이식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미국에서는 임상 시험 단계에 있다.[51]
신카디아 시스템즈(SynCardia Systems)는 70cc와 50cc 두 가지 모델의 인공 심장을 판매하고 있다. 70cc 모델은 성인 남성의 양심실 부전에, 50cc 모델은 어린이와 여성에게 사용된다.[30] 2014년 기준 1,250명 이상의 환자가 신카디아 인공 심장을 이식받았다.[31][32] 병원용 컴패니언 2(Companion 2)와 휴대용 프리덤 구동 시스템(Freedom Driver System)을 사용하며,[36][33] 맥동 공기로 심장 작동을 지원하고 각 심실의 혈류를 모니터링한다.[34]
1991년 자빅-7(Jarvik-7)의 권리가 카디오웨스트(CardioWest)로 이전된 후, 1993년 임상 시험이 시작되어 2002년에 완료되었다.[35] 이후 카디오웨스트는 신카디아로 변경되었고, 2004년 신카디아 전인공심장이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을 받았다.[36] 신카디아는 자빅-7과 디자인을 공유하지만, 뇌졸중과 출혈 발생률을 줄이는 등 개선이 이루어졌다.[32] 한 환자는 1,700일 이상 장치 지원을 받았다.[37] 2016년 파산 보호 신청 후 버사 캐피탈 매니지먼트(Versa Capital Management)에 인수되었고,[38] 2021년 피카드 메디컬(Picard Medical)에 인수되었다.[39] 2023년 4월, 특수목적 인수회사(Special-purpose acquisition company)를 통해 상장을 추진했다.[40]
2001년 7월 3일 최초의 AbioCor(아비오코어) 인공 심장 이식 수술이 시행되었다.[60] AbioCor는 티타늄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0.9kg이다. 피부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변환 장치로 내부 배터리(30분 지속)를 충전하며, 휴대용 외부 배터리 팩은 4시간 동안 지속된다.[60][61] 2006년 FDA는 인도주의적 목적으로 AbioCor 이식을 허가했다.[62] AbioCor는 크기 때문에 여성의 50% 미만, 남성의 약 50%에게만 적합하며, 사용 수명이 1~2년에 불과하다.[63] AbioMed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의 기술을 결합하여 더 작고 안정적인 AbioCor II를 설계했다. 이 펌프는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의 50%에게 이식 가능하며 최대 5년의 수명을 가져야 한다.[63] 2005년 동물 실험을 거쳤으며, 2008년 FDA 승인을 목표로 했다.[64] 그러나 AbioMed(아비오메드)는 2015년 완전 인공 심장 개발을 중단하고,[65] 2019년 현재 최대 6일 동안 혈액 순환을 돕는 심장 펌프만 판매하고 있다.[67][66]
5. 1. 무박동형 인공심장
기존의 박동형 인공심장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혈전 형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무박동형 인공심장은 프로펠러나 스크루를 회전시켜 혈액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106]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소에서는 1990년대 실용화를 목표로 무박동형 인공심장 연구를 진행했다. 이 인공심장은 스크루와 같은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혈액을 일정한 속도로 흘려보낸다. 평소에는 체중 1kg당 매분 90cc의 혈액을 흘려보내고, 운동량에 따라 프로펠러 회전수를 조절한다. 송아지를 이용한 실험에서 실제 심장을 멈추게 한 후 이 인공심장을 장착하여 3개월 이상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심장 수술 직후 환자에게 심장 보조 장치로 사용하기도 한다.[1]
5. 2. 완전 이식형 인공심장
東北大学|도호쿠 대학일본어 연구팀은 자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무선화한 완전 이식형 인공심장용 펌프를 개발하였다.[107] 완전 이식형 인공심장은 환자의 이동성을 높이고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5. 3. 소프트 인공심장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의 기능성 재료 연구소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실리콘 인공심장을 개발했다.[71] 이 소프트 인공심장(SAH, Soft Artificial Heart)은 무게 390g, 부피 679 cm³의 실리콘 일체형 장치이며, 가압 공기를 통해 작동한다. 연구팀의 목표는 실제 심장과 크기가 비슷하고 형태와 기능 면에서 최대한 유사한 인공심장을 개발하는 것이었다.[73] SAH는 실제 심장처럼 작동하지만, 초기 시제품은 3000회 박동(약 30~50분) 후 좌심실과 공기 팽창실 사이의 실리콘 막(두께 2.3 mm)이 파열되는 문제가 발생했다.[74][75]
2018년 초 보고에 따르면, 실리콘 대신 다양한 폴리머를 사용한 새로운 시제품도 수명이 제한적이었다.[76] 당시 연구팀은 CAD 소프트웨어와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최대 15년까지 지속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5. 4. 기타 연구
BiVACOR(바이바코어)사는 회전식 원심 펌프를 기반으로 한 인공 심장을 개발해 왔다.[77] 인공 심장 연구자이자 심장 전문의인 O. H. Frazier와 William Cohn은 BiVACOR사의 이사회에 속해 있다. BiVACOR 인공 심장은 자기 부상 임펠러를 사용하여 혈전 형성을 줄이고 단 하나의 움직이는 부품만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인공 심장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는 크기와 복잡성을 줄이고 배터리 팩만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BiVACOR 인공 심장은 이전의 인공 심장과 달리 박동성이 아니며 판막이 없지만, 임펠러의 속도를 빠르게 변화시켜 "박동"을 생성할 수 있다.[78] BiVACOR 인공 심장은 양에서 심장 대체물로서 테스트되었다.[79][80] 2023년 11월 10일, BiVACOR 인공 심장은 인체 임상 시험을 위한 조사 장치 면제(IDE) 하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81] 2024년 7월, 말기 심부전을 앓고 있는 57세 남성에게 베일러 세인트 루크 의료 센터에서 최초의 인체 임상 연구의 일환으로 BiVACOR 인공 심장을 성공적으로 이식하는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추가로 4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할 예정이다.[82][83] 몇 주 후, 두 번째 환자인 34세 남성에게 듀크 대학교 병원에서 BiVACOR 인공 심장을 이식하는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0일 후 심장 이식 수술을 받았다.[84]프레이저(O. H. Frazier)와 콘(William Cohn)은 두 개의 개조된 HeartMate II 펌프를 결합하여 인공 심장을 만들었다.[68] 2011년 3월 12일, 이들은 55세의 크레이그 루이스(Craig Lewis)에게 이 실험적인 인공 심장을 이식했다. 크레이그 루이스는 아밀로이드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았다. 그의 가족으로부터 허락을 받은 후, 프레이저와 콘은 그의 심장을 자신들이 개발한 장치로 교체했다. 루이스는 수술 후 5주 동안 생존했지만, 결국 아밀로이드증으로 인한 간과 신장 기능 부전으로 사망했고, 그 후 그의 가족은 인공 심장의 전원을 끄도록 요청했다.[69]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발포체로 만든 심장: 유연한 실리콘으로 만들어졌으며, 외부 펌프와 함께 작동하여 공기와 체액을 심장을 통해 밀어낸다. 현재는 사람에게 이식할 수 없지만, 인공 심장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90]
- 원심 펌프[85][86] 또는 축류 펌프[87][88]를 인공 심장으로 사용: 환자는 맥박 없이 생존할 수 있다.
- 폐순환과 체순환을 번갈아 가며 펌핑하여 맥박을 생성하는 원심 인공 심장[89]
- 인공심근: 도쿄 여자 의과 대학의 오카노 데루오 교수는 환자 자신의 허벅지 근육에서 채취한 근아세포(myoblast)를 배양하여 만든 "심근 시트"를 심장 표면에 붙여 심장 기능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개발했다.
6. 윤리적 문제 및 과제
인공 심장은 장기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심장 이식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심장은 단순한 펌프가 아니며, 합성 물질과 전원 공급 장치로 완벽하게 모방하기에는 복잡한 부분들이 많다.
인공 심장은 개발 초기부터 혈전 형성 및 이물 거부 반응과 같은 생체의학적 문제와 장치 수명 및 작동 관련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속적인 의료 기술 발전을 통해 개선되어 왔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6. 1. 뇌사 판정 문제
대한민국에서는 뇌사를 아직 법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 심장 제공자의 뇌가 정지된 직후 심장이 뛰고 있는 '뇌사' 상태에서의 심장 이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60] 이는 유족의 감정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심장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큰 어려움을 주며, 동시에 인공심장 개발의 필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6. 2. 혈전 형성 및 이물 거부 반응
인공 심장은 이식 후 혈전 형성과 이물 거부 반응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 심장은 펌프와 유사하지만, 합성 물질과 전원 공급 장치로 완벽히 모방하기에는 복잡하고 미묘한 부분들이 많다. 인공 심장은 개발 초기부터 의료 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지만, 혈전 형성 및 이물질 거부 반응과 관련된 생체의학적 문제와 장치 수명 및 작동에 필요한 장비와 관련된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최근에는 카르마트(Carmat) 심장과 같은 장치들이 개발되어 이식 거부 반응 및 혈전과 같은 합병증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
6. 3. 제한적인 적용 범위
초기 인공심장은 크기가 커서 체격이 작은 환자에게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1969년 4월 4일, 도밍고 리오타와 덴튼 A. 쿨리는 휴스턴의 텍사스 심장 연구소에서 죽어가는 환자의 심장을 이식용 가교(bridge)로 인공 심장으로 교체하는 수술을 시행했으나, 환자는 64시간 후 인공심장을 제거하고 기증자의 심장으로 교체받았지만 32시간 뒤 사망했다.[19] 1982년 유타 대학교에서 영구 이식용 인공 심장의 최초 임상 적용이 이루어졌다. 1982년 12월 1일, 윌리엄 드브리스는 시애틀 출신의 은퇴한 치과의사이자 심각한 울혈성 심부전을 앓고 있던 바니 클라크에게 Jarvik-7 인공 심장을 이식했고, 클라크는 112일 동안 생존한 후 1983년 3월 23일 다기관 기능 부전으로 사망했다.[21][22][23] 이후 1984년 11월 25일, 빌 슈뢰더에게 Jarvik-7을 이식했으나 620일 만인 1986년 8월 6일 뇌졸중, 호흡 부전 및 패혈증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5] 머레이 헤이던은 1985년 2월 17일 Jarvik-7을 이식받은 후 488일 만인 1986년 6월 19일 감염과 신부전으로 사망했다.[26] 잭 버챔은 1985년 4월 14일 Jarvik-7을 이식받았지만 기기 크기, 출혈 및 신부전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10일 후인 1985년 4월 25일 사망했다.[26]최근에는 소형화된 인공심장이 개발되고 있지만, 여전히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초의 AbioCor(아비오코어) 인공 심장 이식 수술은 2001년 7월 3일에 시행되었다.[60] AbioCor는 크기 때문에 여성 인구의 50% 미만과 남성 인구의 약 50%에게만 적합하며, 사용 수명이 1~2년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있다.[63]
7. 대한민국 현황 및 전망
대한민국에서 심장병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심장 이식 대기자가 많아 인공심장에 대한 수요가 높다. 2012년 삼성서울병원에서 3세대 심실 보조 장치 시술에 성공하여 국내 인공심장 기술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심장 질환 예방 및 치료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특히, 뇌사 판정 기준 완화 및 장기 기증 활성화 정책을 통해 심장 이식 기회를 확대하고, 인공심장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rtificial Heart
https://www.britanni[...]
2023-10-06
[2]
웹사이트
Harper University Hospital
http://www.harperhos[...]
2022-01-11
[3]
웹사이트
The Mechanical Heart celebrates 50 lifesaving years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8-02-09
[3]
웹사이트
Mechanical Heart Celebrates 50 Lifesaving Years
http://www.prnewswir[...]
[4]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First Open Heart Surgery – Newsroom
http://media.wayne.e[...]
2018-02-13
[5]
논문
The Michigan Heart: The World's First Successful Open Heart Operation?
[6]
웹사이트
William Glenn, 88, Surgeon Who Invented Heart Procedure
https://www.nytimes.[...]
2003-03-17
[7]
논문
Artificial Heart in the chest: Preliminary report
[8]
논문
Ablation experimentale et replacement du coeur par un coer artificial intra-thoracique
[9]
특허
Artificial Heart
[10]
웹사이트
Paul Winchell Artificial Heart
https://lemelson.mit[...]
[11]
특허
Mechanical Heart
[12]
특허
Pump for an Artificial Heart
[13]
웹사이트
Jarvik Heart Paul Winchell
http://www.jarvikhea[...]
2024-03-07
[14]
논문
The Artificial Heart
[15]
서적
Frontiers in Biomedical Engineering: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for Chinese Biomedical Engine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
논문
In Memoriam: Adrian Kantrowitz 1918–2008
[17]
논문
Results of total artificial heart implantation in calves
1971-12
[18]
웹사이트
Kolff
http://www.stanford.[...]
[19]
논문
Orthotopic cardiac prosthesis for two-staged cardiac replacement
[20]
웹사이트
Treasures of American History
http://americanhisto[...]
[21]
웹사이트
The 25th Anniversary of Barney Clark's Artificial Heart
http://celebrities.h[...]
HealthDiaries.com
2007-12-01
[22]
논문
The total artificial heart
2015-11-20
[23]
서적
Spare Parts: Organ Replacement in Americ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4]
뉴스
Bill Schroeder made medical history with artificial heart implant in '80s
https://www.wmtw.com[...]
2023-06-30
[25]
서적
Spare Parts: Organ Replacement in Americ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Spare Parts: Organ Replacement in Americ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7]
뉴스
Dr. Denton Cooley and Dr. Michael E. DeBakey: Rock stars of Houston medicine
http://www.chron.com[...]
2014-04-03
[28]
웹사이트
Revolutionizing Care for Failing Hearts – William G. McGowan Charitable Fund
http://www.williamgm[...]
[29]
웹사이트
Pittsburgh's 25th Anniversary of First VAD Patient to Be Discharged from a Hospital – Regenerative Medicine at the McGowan Institute
http://www.mirm.pitt[...]
2015-09-28
[30]
뉴스
Two Sizes Intended to Treat Most Patients
http://www.syncardia[...]
2015-11-16
[31]
웹사이트
New Record of 161 SynCardia Total Artificial Heart Implants Set In 2013
http://www.syncardia[...]
2014-01-07
[32]
논문
Results with SynCardia total artificial heart beyond 1 year
[33]
PDF
Driver Reference Manual
https://www.vumc.org[...]
[34]
웹사이트
UCLA Transplantation Services, Los Angeles, CA
http://transplants.u[...]
[35]
논문
Cardiac replacement with a total artificial heart as a bridge to transplantation
[36]
웹사이트
FDA finds higher death, stroke rates for latest SynCardia artificial heart driver
https://www.medtechd[...]
Industry Dive, Inc.
2021-01-14
[37]
뉴스
Turkish Man Becomes World's Longest Supported SynCardia Total Artificial Heart Patient
https://www.business[...]
2024-06-06
[38]
웹사이트
Carmat's heart sinks with another delay
http://www.evaluate.[...]
2019-01-15
[39]
웹사이트
Artificial heart maker SynCardia beamed up by newcomer Picard Medical in VC-engineered deal
https://www.fiercebi[...]
2021-09-30
[40]
보도자료
Picard Medical and its Subsidiary, SynCardia Systems, a Pioneer in Total Artificial Heart Technology, to Become a Publicly Traded Company via Merger with Altitude Acquisition Corp.
https://www.globenew[...]
2023-04-24
[41]
뉴스
A Synthetic Heart That Keeps on Ticking
https://www.bloomber[...]
2013-10-10
[42]
웹사이트
The Carmat Heart – The technology behind the prosthesis
http://www.carmatsa.[...]
[43]
웹사이트
First-in-man implantation of CARMAT's bioprosthetic artificial heart
http://www.carmatsa.[...]
[44]
뉴스
First patient fitted with Carmat artificial heart dies
https://www.reuters.[...]
2014-03-03
[45]
웹사이트
Biology and Machine Come Together in a New Artificial Heart
http://www.technolog[...]
[46]
뉴스
Carmat artificial heart patient in good condition: hospital
https://www.reuters.[...]
2013-12-30
[47]
웹사이트
Pierwsze wszczepione na stałe sztuczne serce bije już w ludzkiej piersi – TechTrendy.pl
http://techtrendy.pl[...]
2013-12-30
[48]
웹사이트
Celyad gets FDA Fast Track to Tackle Heart Failure with Cell Therapy
https://labiotech.eu[...]
2017-05-11
[49]
웹사이트
Implantation of Carmat's Artificial Heart Begins in Denmark to Beat Low Enrolment
https://labiotech.eu[...]
2018-02-21
[50]
웹사이트
CARMAT Receives the CE Marking for Its Total Artificial Heart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0-12-23
[51]
웹사이트
AESON®, The Carmat Total Artificial Heart
https://www.carmatsa[...]
[52]
서적
Artificial Hearts: The Allure and Ambivalence of a Controversial Medical Technology
https://books.google[...]
JHU Press
[53]
서적
Mechanical Devices to Assist the Failing Heart: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1966
[54]
웹사이트
Robert Jarvik, MD on the Jarvik-7
https://www.jarvikhe[...]
2016-04-06
[55]
웹사이트
A Change of Heart
https://utah-health.[...]
2022-12-20
[56]
논문
2014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thods and Models in Automation and Robotics (MMAR)
[57]
웹사이트
Cheng-Hsin General Hospital
http://home.chgh.org[...]
[58]
논문
In Vivo and Clinical Study of Phoenix-7 Total Artificial Heart
[59]
논문
Successful Use of Phoenix-7 Total Artificial Heart
[60]
뉴스
Patient gets first totally implanted artificial heart
http://archives.cnn.[...]
CNN.com
2001-07-03
[61]
뉴스
AbioCor FAQs
http://www.abiomed.c[...]
AbioMed
[62]
뉴스
FDA Approves First Totally Implanted Permanent Artificial Heart for Humanitarian Uses
https://www.fda.gov/[...]
FDA.gov
2006-09-05
[63]
뉴스
Will We Merge With Machines?
http://www.popsci.co[...]
popsci.com
2005-08-01
[64]
뉴스
14th Artificial Heart Patient Dies: A Newsmaker Interview With Robert Kung, PhD
http://www.medscape.[...]
medscape.com
2004-11-11
[65]
웹사이트
Total artificial heart: What's new?
http://www.eacts.org[...]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Thoracic Surgery
2015-10-06
[66]
웹사이트
ABIOMED | Impella®
http://www.abiomed.c[...]
[67]
논문
Impella Ventricular Support Systems – P140003/S018
https://www.fda.gov/[...]
2019-06-03
[68]
뉴스
New artificial heart 'a leap forward'
http://www.chron.com[...]
[69]
웹사이트
Walking Dead – The First Human Able to Survive Without a Heart OR a Pulse
http://tv.bamargera.[...]
[70]
논문
A Soft Total Artificial Heart-First Concept Evaluation on a Hybrid Mock Circulation
[71]
웹사이트
Our work on soft artificial hearts highlighted in the media
http://www.fml.ethz.[...]
2017-07-13
[72]
뉴스
This 3-D-printed artificial heart actually beats
https://www.cnn.com/[...]
CNN
2019-03-12
[73]
웹사이트
Testing a soft artificial heart
https://www.ethz.ch/[...]
2017-07-13
[74]
웹사이트
Testing a soft artificial heart
https://www.youtube.[...]
2017-07-12
[75]
논문
Supporting Information – A soft total artificial heart – first concept evaluation on a hybrid mock circulation.
[76]
웹사이트
Scientists Developing Softer, Longer Lasting Artificial Heart
https://www.cnbc.com[...]
CNBC
2019-03-12
[77]
뉴스
Donor brings inventor of artificial heart closer to Houston
http://www.chron.com[...]
2013-01-14
[78]
뉴스
Living without a pulse: Engineering a better artificial heart
http://edition.cnn.c[...]
2013-12-04
[79]
뉴스
BiVACOR beatless artificial heart appeal hopes to raise $5 million
http://www.courierma[...]
2015-03-07
[80]
뉴스
Bionic heart breakthrough: Scientists transplant device into sheep, hope for clinical trial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03-07
[81]
웹사이트
US FDA Grants the BiVACOR Total Artificial Heart IDE Approval for First-in-Human Early Feasibility Study
https://www.business[...]
2023-11-29
[82]
웹사이트
Successful first-in-human implantation of the BiVACOR Total Artificial Heart by Baylor and THI doctors
https://www.bcm.edu/[...]
2024-07-25
[83]
웹사이트
First patient successfully implanted with BiVACOR's artificial heart
https://www.clinical[...]
2024-07-29
[84]
웹사이트
Duke Transplant Team Helps Pioneer Total Artificial Heart
https://today.duke.e[...]
Duke University
2024-10-08
[85]
뉴스
Former vice president Dick Cheney now has no pulse
http://articles.nyda[...]
2011-01-05
[86]
웹사이트
Pulseless Pumps & Artificial Hearts
https://www.scribd.c[...]
[87]
웹사이트
The pulseless life on healthcare in europe
http://www.european-[...]
[88]
웹사이트
No Pulse: How Doctors Reinvented The Human Heart
http://www.popsci.co[...]
2012-02-29
[89]
논문
A new pulsatile total artificial heart using a single centrifugal pump
[90]
뉴스
New Artificial Heart is Made of Foam
http://www.popsci.co[...]
2015-10-01
[91]
간행물
Prolonged Assisted circulation after cardiac or aortic surgery. Prolonged partial left ventricular bypass by means of intracorporeal circulation. This paper was finalist in The Young Investigators Award Contes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Denver, May 1962 Am. J. Cardiol. 1963, 12:399–404
[92]
논문
Midwest Trials of Heart-Assist Device
[93]
웹사이트
FDA Approves Two Portable Heart-Assist Devices
https://www.fda.gov/[...]
FDA.gov
[94]
웹사이트
An Artificial Heart That Doesn't Beat
http://www.technolog[...]
TechnologyReview.com
[95]
웹사이트
Berlin Heart
http://capitalhealth[...]
Capital Health, Edmonton
2007-08-28
[96]
웹사이트
Newly approved Berlin Heart helps patients waiting for a transplant – Vector
http://vectorblog.or[...]
2011-12-30
[97]
웹사이트
No Pulse: How Doctors Reinvented The Human Heart
https://www.popsci.c[...]
Popular Science
2012-02-29
[98]
논문
Prospective Trial of a Pediatric Ventricular Assist Device
[99]
웹사이트
News – Texas Children's Hospital
http://www.texaschil[...]
[100]
논문
The heart of invention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1-01-12
[101]
간행물
人工臓器33,No.1
[102]
서적
まんが医学の歴史
医学書院
[103]
웹사이트
聖域への挑戦 ~人工心臓の歩み~
http://www.terumo.co[...]
[104]
웹사이트
東京大学 大学院医学系研究科 生体物理医学専攻 医用生体工学講座 生体機能制御学分野
http://www.bme.gr.jp[...]
[105]
웹사이트
人工心臓コンセプトモデル“KAWASAKI G5-model”の理論的背景, 人工心臓コンセプトモデル“KAWASAKI G5-model”の設計
http://jsmbe48.umin.[...]
[106]
뉴스
「拍動しない人工心臓」で生きた人
http://wired.jp/2011[...]
WIRED
2011-06-16
[107]
뉴스
東北大、体内に完全埋め込み可能なワイヤレス型人工心臓用ポンプを開発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2-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