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실보조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실보조장치(VAD)는 심부전 환자의 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기기로, 1960년대부터 개발되어 왔다. VAD는 펌프 위치에 따라 체외 설치형, 이식형, 경피형으로, 보조하는 심실에 따라 좌심실, 우심실, 양심실 보조 장치로 분류된다. VAD는 개심술 후, 심근 경색 후, 심장 이식 대기 환자, 심장 이식 대체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BTT, BTC, DT, BTB, BTD, BTR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된다. VAD 사용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출혈, 혈전증, 뇌졸중, 감염 등이 있으며, 장치 불량, 감염, 신경 기능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VAD 치료의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심장 이식의 대체 치료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장기 - 인공 장기
    인공 장기는 손상된 장기를 대체하거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기계, 조직 공학, IT 기술 등의 융합을 통해 발전하며 장기 이식 문제 해결과 생명 연장에 기여하지만 윤리적 문제도 제기된다.
  • 인공장기 - 안내렌즈
    안내렌즈는 시력 교정을 위해 눈 안에 삽입하는 인공 렌즈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백내장 수술 및 굴절 교정 수술에 사용되고, 각막 손상 없이 수술이 가능하지만, 의료 전문가만 시술할 수 있고 비용 부담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심실보조장치
개요
좌심실 보조 장치 (LVAD)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펌프질하고, 피부를 관통하는 드라이브 라인에 의해 외부 착용 제어 장치 및 배터리 팩에 연결됨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좌심실 보조 장치 (LVAD). 피부를 관통하는 드라이브 라인에 의해 외부 착용 제어 장치 및 배터리 팩에 연결됨 (그림의 모델은 이식형 VAD인 HeartMate XVE).
정의심장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 기기
질병 코드
ICD-937.6
관련 정보
메들라인플러스(MedlinePlus)'007268'
역사 및 발전
목적심부전 치료
유형좌심실 보조 장치 (LVAD), 우심실 보조 장치 (RVAD), 양심실 보조 장치 (BiVAD)
작동 원리펌프를 사용하여 혈액을 순환시킴
임상적 사용
적용 질환급성 심부전, 만성 심부전
치료 목표심장 기능 회복, 심장 이식 대기, 장기적인 심장 기능 보조
장점생존율 향상, 삶의 질 개선
단점 및 부작용감염, 혈전 형성, 출혈
최신 동향
기술 발전소형화, 내구성 향상, 생체 적합성 개선
연구 방향완전 이식형 VAD 개발, 인공 심장 개발

2. 역사

전형적인 좌심실 보조 장치(LVAD)의 상세 삽화


120px


최초의 좌심실 보조 장치(LVAD) 시스템은 1962년 휴스턴의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도밍고 리오타에 의해 제작되었다. 1963년 리오타와 E. 스탠리 크로포드에 의해 최초의 LVAD 이식이 이루어졌고, 1966년 리오타와 마이클 E. 드베이키 박사에 의해 최초의 성공적인 LVAD 이식이 완료되었다. 이 환자는 37세 여성이었고, 체외 순환 장치는 수술 후 10일 동안 기계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다.[23]

최초의 장기 LVAD 이식은 1988년 보스턴 어린이 병원 메디컬 센터와 매사추세츠 주 워번의 Thermedics, Inc.의 윌리엄 F. 버나드 박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는 국립 보건원(NIH) 연구 계약에 따라 전자 제어 보조 장치인 HeartMate를 개발한 것으로,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로부터 3년간 620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았다.[24] 초기 VAD는 심장의 "맥동" 작용을 모방하여 혈액을 좌심실에서 펌프로 흡입한 후 대동맥으로 밀어냈다. 1994년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HeartMate IP LVAS가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해당한다.

1990년대 후반, 에릭 로즈, O. H. 프레이저, 메멧 오즈 등 심장 외과 의사들이 VAD를 이식받은 환자가 병원 밖에서도 생활할 수 있다는 개념을 대중화하면서 VAD는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언론 보도 또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했다.[25]

최근 연구는 원심 펌프 또는 축류 펌프 임펠러 구동 펌프와 같은 연속 흐름 펌프에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2세대 VAD는 크기가 작고 신뢰성이 향상되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맥박이 없거나[26] 맥박 강도가 약해진다는 부작용이 있다.[27]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대동맥 주위에 풍선 커프를 사용하는 방식도 있었다. 커프를 팽창, 수축시켜 대동맥이 두 번째 좌심실처럼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심박 조율기로 구동되는 환자의 골격근을 사용하여 장치에 동력을 공급하는 개선 방안도 제안되었으나, 1990년대에 시도된 심근 성형술은 실망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피터 호튼은 한때 VAD를 영구적으로 사용한 가장 오래 생존한 환자였다. 2000년 6월 실험적인 Jarvik 2000 LVAD를 받은 그는 91마일 자선 걷기, 두 권의 책 출판, 강연, 하이킹, 초경량 항공기 조종, 세계 여행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그는 2007년 69세의 나이로 급성 신장 손상으로 사망했다.[28][29]

2007년 8월, 뉴저지주 뉴어크 베스 이스라엘 메디컬 센터의 간호사 실무자(NP)이자 기계 순환 지원(MCS) 프로그램 임상 매니저인 안토니 "토니" 마틴에 의해 순환 보조 임상가 국제 컨소시엄(ICCAC)이 설립되었다. ICCAC는 심장 이식을 위한 가교 역할이나 심장 이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최종 치료로서 MCS가 필요한 개인을 돌보는 것과 관련된 모범 사례 및 교육 개발에 전념하는 조직이다.[30]

2. 1. 세계적인 VAD 개발 역사

인공 심장 개발은 1935년 찰스 린드버그와 알렉시스 카렐이 최초의 완전 치환형 인공 심장(TAH)인 "카렐-린드버그 펌프"를 제작하면서 시작되었다.[80] 1957~1958년에는 클리블랜드 클리닉에서 아쿠츠 테츠조와 빌럼 콜프가 완전 치환형 인공 심장을 에 이식하는 실험을 통해 약 1.5시간 동안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81]

1960년대부터 미국에서는 마이클 드베이키와 노세 유키히코 등이 참여한 국가 프로젝트로 인공 심장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심장 이식의 대체 치료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93][82] 그러나 장기 내구성과 혈전 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완전 치환형 인공 심장은 한계에 직면했고, 개발 목표는 보조 인공 심장(VAD)으로 전환되었다.[83]

1963년 도베이키는 리오타와 스탠리 크로포드가 개발한 좌심실 보조 인공 심장(LVAD)을 42세 환자에게 최초로 임상 적용하였다.[84][85] 리오타는 1961년부터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VAD 연구 개발을 진행했다.[85][86]

초기에는 체외 설치형 VAD가 단기간 사용되었으나, 사이클로스포린의 등장으로 심장 이식이 보급되면서 기증자 부족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에 따라 심장 이식 대기 환자를 위한 "연결" 수단으로 VAD가 활용되기 시작했다.[88][89][90] 1990년대에는 재택 치료가 가능한 제1세대 이식형 VAD가 임상에 도입되어 중증 심부전 치료에 표준적으로 사용되었다.

2002년에는 제1세대 이식형 VAD인 HeartMate VE, 2010년에는 제2세대 이식형 VAD인 HeartMate I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영구 사용(DT: destination therapy) 적응증으로 승인되었다.[91][92] 이는 심장 이식이 어려운 고령 환자나 악성 종양 합병 환자에게 적용되었다.

이후 제3세대 이식형 VAD는 자기 부상이나 동압 부상과 같은 비접촉 베어링을 사용하여 혈전 형성과 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93]

2. 2. 한국의 VAD 도입 및 발전

1980년대에 도쿄대·제온형 VAD와 국립 순환기병 연구 센터·토요보형 VAD(니프로 VAD)가 급성 심부전에 대한 1개월 정도의 사용을 목적으로 임상 사용이 시작되었다.[94][116][95] 이 두 기종의 체외 설치형 박동류 VAD는 1994년부터 보험 적용이 되었다.[94][116][95]

2011년부터는 제2·3세대 정류식 이식형 VAD인 DuraHeart와 EVAHEART가 보험 상환되었다.[99] 2013년 4월에는 HeartMate II, 2014년 1월에는 Jarvik 2000이 제조 판매 승인을 받아, 중증 심부전 치료 기기의 선택지가 구미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다.[99]

2010년 장기 이식법 개정으로 소아 기증자로부터의 심장 이식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아 심장 이식으로의 가교 역할로서 소아용 VAD의 역할이 중요해졌다.[100] 2012년에는 EXCOR의 의사 주도 임상 시험이 일본에서 시작되어, 도쿄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에서 최초의 EXCOR 이식 수술이 이루어졌다.[100]

3. 종류

심실보조장치(VAD)는 펌프 위치, 보조하는 심실, 혈류 생성 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 펌프 위치:
  • 체외 설치형: 펌프가 몸 밖에 있다.
  • 이식형: 펌프가 몸 안에 이식된다.
  • 경피형: 카테터를 통해 혈관 내에 삽입된다.
  • 보조하는 심실:
  • 좌심실 보조 장치(LVAD): 좌심실을 보조한다.
  • 우심실 보조 장치(RVAD): 우심실을 보조한다.
  • 양심실 보조 장치(BiVAD): 양쪽 심실을 모두 보조한다.
  • 혈류 생성 방식:
  • 박동류 VAD: 심장 박동과 유사하게 혈액을 뿜어낸다.[11]
  • 연속류 VAD: 지속적으로 혈액을 흐르게 한다. 박동류 VAD보다 작고 내구성이 좋다.[17]


주요 심실보조장치
종류기종개발・제조일본 보험 등재
체외 설치형 VAD니프로 VAD (구 TOYOBO형)국립순환기병연구센터 (도요보・니프로)[108]1994년
제온 VAD도쿄대 (일본 제온)1994년
BVS 5000아비오메드2001년
AB5000아비오메드2001년
CentriMagThoratec영어
Berlin Heart|en|Berlin Heartde EXCORBerlin Heart|en|Berlin Heartde[109](2012년 임상 시험 시작)
이식형 VAD제1세대 박동류 VADNovacor월드하트2004년
HeartMate IP / VE / XVE소라테크
제2・제3세대 정상류 VADJarvik 2000자르빅 하트[110](2013년 제조 판매 승인[111])
HeartMate II소라테크2013년
HeartMate3소라테크2021년
EVAHEART선메디칼 기술 연구소2011년
DuraHeart테르모2011년
HeartWare HVAD하트웨어[112]
소아용 VADPediPumpCleveland Clinic영어
infant Jarvik자르빅 하트
PediaFlow VAD월드하트
경피형 VADImpella아비오메드2017년
Tandem Heart카디악 어시스트


3. 1. 체외 설치형 VAD

펌프 본체가 체외에 위치하며, 주로 단기간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니프로 VAD, 제온 VAD, BVS 5000, AB5000, CentriMag, Berlin Heart|en|Berlin Heartde EXCOR 등의 기종이 여기에 해당된다.

체외 설치형 VAD는 이식형 VAD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갖는다.[116]

; 장점

  • 저렴한 비용: 이식을 위한 부품이 필요 없고, 내구성에 대한 보장이 단기간으로 가능하여 기기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 소형 환자에게도 사용 가능: 펌프 포켓을 만들 필요가 없어 작은 체격의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 펌프 교체 용이: 혈액 펌프에 고장이나 혈전 형성이 발생한 경우 체외 부품 교체만으로 대처 가능하다.


; 단점

  • 행동 제한: 혈액 펌프가 체외에 설치되어 있어 송탈 혈관의 발거 사고나 굴곡의 위험이 있어 환자의 행동이 제한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입원 치료가 원칙이다.
  • 감염 위험 높음: 체내와 혈액 펌프를 굵은 송탈 혈관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이식형보다 감염 위험이 크다.


체외 설치형 VAD 주요 기종
기종개발 및 제조일본 보험 등재
니프로 VAD (구 TOYOBO형)국립순환기병연구센터 (도요보 · 니프로)[108]1994년
제온 VAD도쿄대 (일본 제온)1994년
BVS 5000아비오메드2001년
AB5000아비오메드2001년
CentriMagThoratec영어 (Thoratec)
Berlin Heart|en|Berlin Heartde EXCORBerlin Heart|en|Berlin Heartde[109](2012년 임상 시험 시작)



니프로 VAD는 공기압으로 다이어프램 펌프를 구동하는 공기 구동식이다. 펌프 내부는 폴리우레탄 막(다이어프램)으로 공기실과 혈액실로 나뉘며, 혈액실의 유입부와 유출부에는 인공 밸브가 내장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혈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공기실은 공기 구동 튜브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실에 음압을 가하면 다이어프램이 공기실로 당겨져 혈액이 심장에서 탈혈된다. 양압이 가해지면 다이어프램이 혈액실로 밀려 혈액이 대동맥으로 보내진다. 좌심실 보조의 경우 좌심실 심첨부 탈혈·상행 대동맥 송혈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우심실 보조의 경우 우심방 탈혈·폐동맥 송혈이 일반적이다. Thoratec PVAD나 Berlin Heart|en|Berlin Heartde EXCOR 등도 이와 같은 공기 구동 다이어프램 펌프이다.

3. 2. 이식형 VAD

펌프가 체내에 이식되는 이식형 VAD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식형 VAD는 환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키고 감염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비용이 높고 펌프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88][89][90]

1990년대에 재택 치료가 가능한 제1세대 박동류 이식형 VAD가 임상 도입되어 중증 심부전에 표준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8][89][90] 2002년에는 제1세대 이식형 VAD인 HeartMate VE가, 2010년에는 제2세대 이식형 VAD인 HeartMate I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영구 사용(DT: destination therapy) 적응증으로 승인되었다. 단, 장기 내구성에 한계가 있어 고령이나 악성 종양 합병 등 심장 이식 적응증이 되지 않는 증례에 한정되었다.[91][92]

이후 이식형 VAD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이 진행되었고, 제2세대 이식형 VAD는 접촉 베어링으로 정체류 펌프의 회전 날개를 지지하는 반면, 새롭게 개발된 제3세대 이식형 VAD는 자기 부상이나 동압 부상과 같은 비접촉 베어링 기구를 갖게 되었다. 제3세대 이식형 VAD의 비접촉 베어링은 접촉 베어링에 비해 베어링부의 열 발생에 의한 혈전 형성과 마모를 경감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93]

일본에서는 제2, 3세대 정류식 이식형 VAD인 DuraHeart와 EVAHEART가 임상 시험 개시로부터 각각 5년 반, 2년 만에 제조 판매 승인을 얻어 2011년부터 보험 상환되었다. 이어 HeartMate XVE의 후속 기종인 HeartMate II가 2013년 4월에, Jarvik 2000이 2014년 1월에 제조 판매 승인을 받았다.[99]

이식형 VAD 주요 기종
종류기종개발・제조보험 등재 (일본)
제1세대 박동류 VADNovacor월드하트(WorldHeart)2004년
HeartMate IP / VE / XVE소라테크
제2・제3세대 정상류 VADJarvik 2000자르빅 하트(Jarvik Heart)[110](2013년 제조 판매 승인[111])
HeartMate II소라테크 (Thoratec Corporation)2013년
HeartMate3소라테크 (Thoratec Corporation)2021년
EVAHEART선메디칼 기술 연구소2011년
DuraHeart테르모2011년
HeartWare HVAD하트웨어(HeartWare)[112]
소아용 VADPediPump클리블랜드 클리닉 (Cleveland Clinic)
infant Jarvik자르빅 하트
PediaFlow VAD월드하트


3. 3. 경피형 VAD

임펠라(Impella)와 텐덤하트(TandemHeart)는 혈관 내 치료 기술을 이용한 경피적 VAD로, 카테터를 통해 혈관 내에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 설치가 가능하다.[101][102] 임펠라는 2017년부터 일본에서 임상 사용이 시작되었다.[103]

경피형 VAD
종류기종개발・제조보험 등재 (일본)
경피형 VADImpella아비오메드2017년
경피형 VAD텐덤하트카디악 어시스트


4. 작동 원리

심실 보조 장치(VAD)는 펌프, 탈혈관, 송혈관, 제어 장치, 전원 공급부로 구성된다. 펌프의 작동으로 심장에서 탈혈관을 통해 흡입된 혈액은 송혈관을 통해 대동맥(우심 보조의 경우 폐동맥)으로 배출된다.[93][120][113][114]

펌프 구동 방식은 공기압으로 다이어프램 펌프를 구동하는 공기압 구동식과 모터 회전으로 구동되는 전자기력 구동식이 있다. 펌프 배출 기구에 따라 박동류 및 정상류(연속류) 혈류로 나뉜다.[93][120][113][114]

박동류 VAD는 공기압 구동식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한다. 펌프 내부는 폴리우레탄 막(다이어프램)으로 공기실과 혈액실로 나뉘며, 혈액실 유입/유출부에는 인공 밸브가 있어 혈액의 역류를 막고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공기실에 음압을 가하면 다이어프램이 당겨져 혈액이 심장에서 탈혈되고, 양압이 가해지면 다이어프램이 밀려 혈액이 대동맥으로 나간다. 좌심실 보조는 좌심실 심첨부 탈혈·상행 대동맥 송혈, 우심실 보조는 우심방 탈혈·폐동맥 송혈이 일반적이다.[115]

정상류 VAD는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형과 축류 펌프(Axial-flow pump)형이 있다. 원심 펌프형은 임펠러 회전으로 생기는 원심력으로 혈액을 흡입·구출한다. 자기 부상 비접촉 베어링을 가진 제3세대 정상류 이식형 DuraHeart는 세계 최초의 자기 부상 원심 펌프 VAD로, 임펠러를 펌프 내벽에 접촉시키지 않고 부상시켜 회전시켜 장기 내구성과 항혈전성을 갖췄다. 축류 펌프형은 회전하는 임펠러 축 전후의 양력으로 혈액을 구출하며, 임펠러 고속 회전이 필요하지만 소형화에 유리하다. 경피적 VAD는 카테터 내에 날개차와 모터를 갖춘 축류 펌프의 정상류이다.

5. 적응증

심실보조장치(VAD)는 심부전의 중증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VAD의 대부분은 좌심실 보조 장치(LVAD)이다. 양심실 보조 장치(BiVAD)는 좌심실 부전과 우심실 부전이 모두 있는 환자에게 사용되지만, LVAD만으로도 안정적인 혈액 순환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104] 고도 양심실 부전 환자는 호흡 부전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동맥혈의 산소 공급을 위해 체외 막형 산소 공급 장치(ECMO)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104]

5. 1. 적응 질환

심실보조장치(VAD)는 개심술 후의 심부전, 심근 경색 후, 심장 이식 대기, 심장 이식 대체 등에 사용된다.[104][120]

1997년 심장 이식이 재개되기 전까지 한국에서는 개심술 후 체외 순환 이탈이 어렵거나 저심박출량 증후군, 극증형 심근염 등이 주요 적응증이었으나, 심장 이식 재개 후에는 심장 이식 대기 환자를 위한 브리지(BTT) 사용이 주류가 되었다.[104][120]

주요 적응 질환은 다음과 같다:[105]

  • 심근증(확장성 심근증, 비대성 심근증, 기타 특발성 심근증, 이차성 심근증, 허혈성 심근증 등)
  • 치명적인 부정맥에 의한 혈역학적 파탄
  • 단심실증, 대혈관 전위증, 우심실 유출로 협착 질환 등의 선천성 심장 질환


심장 이식까지의 연결(브리지)로서의 사용을 '''BTT'''(bridge to transplant)라고 부른다. 2014년 현재, 한국에서 이식형 VAD의 보험 상환 기준은 BTT로서의 사용뿐이며, 장기간의 이식 대기 기간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21]

5. 2. 목적별 분류

심실 보조 장치(VAD)의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105]

목적약칭설명
심장 이식 대기BTT (Bridge to Transplant)심장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에 등록된 환자가 대상이지만, 미등록 상태에서 이식 수술을 하기도 한다.[121]
이식 적응증 판단 보류BTC (Bridge to Candidacy)VAD를 삽입하여 신부전, 간부전 등 다른 장기 기능 회복을 유도한다. 회복 후 심장 이식 적응증을 판단한다.[122][123][124]
장기 생존 (심장 이식 불가)DT (Destination Therapy)심장 이식이 불가능한 중증 심부전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이다. VAD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며, 장기 재택 치료라고도 한다.[125][126]
체외형 → 이식형 VAD 전환BTB (Bridge to Bridge)체외 설치형 VAD로 전신 상태 회복 후 이식형 VAD로 전환한다.[105]
단기 VAD (생명 유지 목적)BTD (Bridge to Decision)심인성 쇼크를 동반한 중증 심부전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 단기적으로 VAD를 사용한다. 심장 이식 적응증 여부 판단 전까지 사용한다.[130]
심장 기능 회복 목적BTR (Bridge to Recovery)심장 기능 회복을 기대하며 VAD를 삽입한다. 극심형 심근염, 주산기 심근증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에도 사용된다.


5. 3. 적응 기준

INTERMACS Profile영어[131][132] (J-MACS 레벨)에 따라 심실 보조 장치(VAD)의 적응 기준을 결정한다. 일본에서는 INTERMACS Profile을 모델로 작성한 J-MACS 레벨(기본적으로 INTERMACS와 동일)로 규정하고 있다.

INTERMACS Profile (J-MACS 레벨)
ProfileINTERMACSJ-MACSINTERMACS의 별칭VAD 적응 결정까지의 시간
1Critical cardiogenic shock중증 심인성 쇼크Crash and burnhours (시간 단위)
2Progressive decline진행성 쇠약Sliding fastdays (일 단위)
3Stable but inotrope dependent안정된 강심제 의존Dependent stabilityfew weeks (주 단위)
4Resting symptoms안정 시 증상Frequent flyermonths (월 단위)
5Extertion intolerant운동 불내성House-bound
6Exertion limited경미한 노력 가능 상태Walking wounded
7Advanced NYHA III안정 상태



원칙적으로 Profile 1은 체외 설치형 VAD의 적응, Profile 2~3은 이식형 VAD의 적응으로 간주된다. Profile 4에 속하는 사례는 약물 치료가 어려운 부정맥이나 강심제에 대한 알레르기 등 특수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이식형 VAD의 적응이 가능하다.[105]

6. 합병증 및 관리

심실보조장치(VAD) 사용에는 여러 위험이 따르는데,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출혈, 뇌졸중, 펌프 혈전증, 감염 등이 있다.[60]

심실보조장치는 혈액이 금속이나 합성 고분자 같은 생체 물질이 아닌 표면 위로 흐르게 하기 때문에 혈전증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응고 이상을 막기 위해 항응고제가 사용된다.[61][62] 항응고제 사용으로 인해 출혈은 심실보조장치 삽입 또는 제거 후 가장 흔한 초기 합병증이며, 최대 60%의 환자에게서 재수술이 필요하다.[63][64] 출혈은 주로 위장관에서 발생하며, 뇌내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65][66] 출혈은 대량 수혈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감염, 폐 기능 부전, 비용 증가, 우심 부전 등 치명적인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64]

허혈성 뇌졸중 및 펌프 혈전증은 심실보조장치 내 이물질에 노출된 혈액이 혈전을 형성하려는 경향에 대항하기 위한 적절한 항응고 요법이 없을 때 발생한다. 뇌졸중 위험은 사용 중인 심실보조장치 유형 및 기타 위험 요인에 따라 다르다.[60] 심방 세동과 고혈압은 모두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68]

수술 후에는 심장 압전, 우심 부전, 캐뉼라의 새킹[140] 등에 주의해야 한다. 드레인 출혈이 안정된 후에는 항응고 요법을 실시한다.[93] 경구 복용 시에는 와파린을 투여하고 며칠 후 아스피린을 추가 투여한다.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면 헤파린을 정맥 투여한다.

재택 관리 중 항혈전 요법은 와파린항혈소판제의 병용이 기본이다.[93] 와파린의 투여량은 PT-INR을 측정하면서 각 기종별 목표치 범위 내에 있도록 관리한다.

각 기종의 PT-INR 목표치[93]
이식 기종목표 PT-INR
DuraHeart2.0 - 3.0
EVAHEART2.5 - 3.5
HeartMate II1.5 - 2.5
Jarvik 20002.5 - 3.5



항혈소판제아스피린(바이아스피린)을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클로피도그렐로 변경하거나 함께 복용할 수 있다.

드라이브라인은 심실보조장치(VAD)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배선으로, 피부를 관통하여 체외로 연결된다. 드라이브라인 피부 관통부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통증, 발적, 출혈, 삼출액, 불량 육아 조직 형성, 냄새 유무 등을 확인해야 한다. 주변 피부의 보습 상태, 피부 박리, 발적 유무도 확인한다.

6. 1. 장치 불량

심실보조장치 (VAD) 수술 후 초기에 나타나는 펌프 기능 부전의 원인으로는 펌프 자체의 이상, 송혈관이나 탈혈관의 위치 불량, 꺾임에 의한 탈혈 장애, 혈액 펌프 정지 등이 있다.[142][143][144][145][146] 이러한 상황에서는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혈액 펌프 이외의 기능 부전은 각 부품을 교환하여 개선될 수 있지만, 해결되지 않으면 혈액 펌프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교환해야 한다.

6. 2. 감염

심실보조장치(VAD) 환자의 감염은 장치의 인공 표면이 세균 및/또는 진균의 증식 표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70] 대부분의 감염은 장치의 전원 코드가 피부에 들어가는 부위(보통 상복부)에서 발생하는 드라이브라인 감염으로 분류된다.[70]

심실보조장치 관련 감염은 다양한 유기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71][70]

종류세부 종류
그람 양성 세균포도상구균, 특히 황색포도상구균, 장구균
그람 음성 세균녹농균, 장내세균 종, 클렙시엘라
진균특히 칸디다



기타 면역 체계 관련 문제에는 면역 억제가 포함된다. 장치에 사용되는 일부 폴리우레탄 구성 요소는 혈액이 접촉할 때 백혈구의 하위 집합을 감소시킨다. 이는 환자를 진균 및 일부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어 적절한 예방 요법이 필요하게 한다.[72]

심실 보조 장치 이식과 관련된 수많은 위험과 생활 방식 변경을 고려할 때,[73] 잠재적 환자가 의사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74]

심실보조장치 삽입 환자는 수술 전부터 간 기능 장애, 신 기능 장애, 저영양 상태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개심술보다 수술 후 감염증을 동반할 위험이 높다.[147][148] 또한 중심 정맥 카테터나 폐동맥 카테터, 대동맥 내 풍선 펌프가 삽입된 경우도 있어,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의 위험도 높다.[149] 수술 후 발열이나 염증 반응(백혈구나 CRP 등)의 재상승이 관찰될 경우, 혈류 감염의 고위험군임을 고려하여, 제거 가능한 카테터는 조기에 제거하고 혈액 배양도 적극적으로 시행한다. 항생제는 처음에는 광범위 항생제를 시작한 후, 원인균이 확인되면 감수성을 바탕으로 항균 스펙트럼을 좁힌 약제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50]

6. 3. 신경 기능 장애

심실보조장치(VAD)를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머리 CT를 통해 뇌출혈이나 지주막하 출혈과 같은 출혈성 병변인지, 또는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나 뇌경색과 같은 허혈성 병변인지 감별해야 한다.[151]

출혈성 병변의 경우, 두개 내 출혈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와 함께 신선 동결 혈장(FFP), 제IX인자 제제, 농축 혈소판 등의 사용을 고려한다.[152] 개두 혈종 제거술을 포함한 외과적 치료도 검토할 수 있다. 허혈성 병변의 경우에는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나 뇌경색에 대한 치료와 더불어 적절한 항응고 요법을 계속 시행한다.

6. 4. 재택 관리

이식형 심실보조장치(VAD)를 장착한 환자는 퇴원 후 집에서 생활이 가능하다. 환자 및 가족은 기기 점검, 항혈전 요법, 드라이브라인 관리 등을 숙지해야 한다.[153]
기기 점검:재택 요양 중에는 환자 본인 또는 간병인이 매일 기기를 점검해야 한다.[154]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부품은 외래 진료 시 교체한다. 기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의료기관에 연락하여 지시에 따라야 한다. 이식형 VAD 관리 시설은 항상 긴급 대응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154]
항혈전 요법:재택 관리 중에는 와파린항혈소판제를 함께 복용하는 것이 기본이다.[93] 항혈전 요법은 생명 유지 및 일상생활 활동(ADL) 유지에 매우 중요하므로, 환자와 가족은 중요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복약 관리를 지속해야 한다. 정기적인 외래 진료를 통해 복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와파린 투여량은 PT-INR을 측정하여 각 기종별 목표치 범위 내에 있도록 관리한다.[93] 재택에서도 자가 검사용 혈액 응고 분석기를 사용하여 PT-INR 측정을 할 수 있다.[156][157] 항혈소판제는 아스피린(바이아스피린)을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클로피도그렐로 변경하거나 함께 복용할 수 있다.

각 기종의 PT-INR 목표치[93]
이식 기종목표 PT-INR
DuraHeart2.0 - 3.0
EVAHEART2.5 - 3.5
HeartMate II1.5 - 2.5
Jarvik 20002.5 - 3.5


드라이브라인 관리:드라이브라인은 VAD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배선으로, 피부를 관통하여 체외로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브라인 피부 관통부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통증, 발적, 출혈, 삼출액, 불량 육아 조직 형성, 냄새 유무 등을 확인해야 한다. 주변 피부의 보습 상태, 피부 박리, 발적 유무도 확인한다. 샤워 시에는 드라이브라인 피부 관통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샤워 후에는 물기를 잘 닦아 건조시킨다.
일상생활:


  • 여행: 여행 시에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해당 기종의 전원과 백업 기기를 휴대해야 한다.[158] 숙박 시설에는 접지가 있는 3구 콘센트(3P 콘센트)가 있는지 확인한다.[158] 항공기 탑승 시 기기를 X선 검사 대신 수동 검사를 받도록 보안 검사 조치가 필요하므로, 사전에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담한다.[159]
  • 성생활: 이식형 VAD 장착 후 퇴원한 환자 중 많은 수가 성생활에 관심을 가지며,[160] 30~40%는 성생활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161] 안정된 부부간의 성생활은 운동 강도가 낮아 (1.3~1.8METs) 수술 후 안정된 시기에는 가능하다.[162] 단, 드라이브 라인 삽입부에 접촉하거나 드라이브 라인을 당기는 등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63] 성생활로 인해 심부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담당 의사와 상담한다.
  • 임신: 임신은 금기이다. 태아 성장으로 인한 혈액 펌프 손상 가능성과 항응고제의 기형성 및 습관성 유산 유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164] VAD를 장착한 여성이 성생활을 할 때는 반드시 피임해야 한다.
  • 스포츠: 지속적인 운동은 심폐 기능 향상에 중요하며, 가능한 범위 내에서 활동을 확대하는 것이 좋다. 단, 농구, 럭비 등 신체 접촉이 많은 스포츠는 기기 고장 및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105]

재택 치료 중 점검 항목:

재택 치료 중 환자 및 기기 구동 상태 점검 항목[105]
실시자빈도내용
자기 관리환자매일체온, 체중, 혈압, 항응고 요법, 피부 관통부 상태, 복약 내용, 기기 구동 상태
진찰VAD 관리팀한 달에 한 번전신 상태, 혈역학, 항응고 요법, 감염 여부, 피부 관통부 상태, 투약 내용 · 복약 상황, 기기 구동 상태
치료 성적 평가VAD 관리팀6 - 12개월에 한 번운동 능력 (6분 걷기 검사, 심폐 운동 부하 검사 등), 혈역학 (심장 초음파), QOL (SF-36, EuroQol 등) · 정신 신경 기능 평가 (미니 정신 상태 검사, 트레일 메이킹 검사 등), 기타 검사 (두부 CT 검사, 흉부 CT 검사)


7. 임상 결과 및 전망

VAD 치료의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심장 이식과 필적하는 성적이 기대된다. 2005년 보고에 따르면 VAD 치료 2년 생존율은 60% 정도였지만,[171] 2014년 일본 통계에서는 1년 생존율 88%, 2년 생존율도 80% 이상으로[107] 해마다 개선되고 있다.

HeartMate II LVAD 사용 관련 연구들은 이 장치가 이식 전 가교 치료와 최종 치료를 위한 LVAD 사용 타당성과 위험성을 입증하는 데 유용했다.


  • HeartMate II 주요 임상 시험은 2005년에 시작되었으며, 이식 전 가교 치료(BTT)와 최종 치료(DT), 즉 장기적이고 영구적인 지원이라는 두 가지 적응증에 대한 HeartMate II 평가를 포함했다. Thoratec Corp.는 FDA가 한 가지 프로토콜에 두 가지 적응증을 모두 포함하는 임상 시험을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발표했다.[49][50][51]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에서 진행된 113명 환자(이 중 100명이 주요 결과 보고) 대상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3개월 후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12개월 생존율은 68%였다.[52]
  • 이 시험에 등록된 첫 194명 환자에 대한 1년 추적 관찰 데이터를 바탕으로 FDA는 HeartMate II를 이식 전 가교 치료를 위해 승인했다. 이 시험은 광범위한 환자 그룹에서 생존율과 삶의 질 향상을 임상적으로 입증했다.[53][54]
  • 연구 종료 시점에 도달했거나 수술 후 18개월 추적 관찰을 완료한 281명 환자에 대한 18개월 추적 관찰 데이터에 따르면, 박동성 유량 장치에 비해 지속성 유량 LVAD가 생존율이 높고, 부작용 발생 빈도가 낮으며, 신뢰성이 더 높았다. 281명 환자 중 157명이 이식을 받았고, 58명 환자는 LVAD를 몸에 지닌 채 계속 치료를 받았으며, 7명 환자는 심장이 회복되어 LVAD를 제거했으며, 나머지 56명은 사망했다. 그 결과, 환자의 NYHA 분류 심부전이 LVAD 지원 6개월 후 LVAD 사용 전 기준치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었다. 이 시험은 이식 전 가교 치료 적응증을 포함했지만, 그 결과는 지속성 유량 LVAD가 최종 치료를 위해 기계적 지원을 받는 환자에게 내구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초기 증거를 제공한다.[55]
  • HeartMate II LVAD가 이식 전 가교 치료 목적으로 FDA 승인받은 후, 상업적 환경에서 장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승인 후("등록")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 장치는 다른 LVAD 치료법과 기준 환자에 비해 모두 결과를 개선했다. 구체적으로, HeartMate II 환자는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았고, 30일 생존율이 96%로 상당히 높았으며, 93%가 성공적인 결과(이식, 심장 회복 또는 장기 LVAD)에 도달했다.[56]


일본에서는 심장 이식 증례 수가 아직 제한된 상황이며, 2010년 개정 장기 이식법에 의해 심장 이식 뇌사 기증자가 증가했지만, 여전히 2년 이상 장기간 이식 대기 기간이 필요하다.[173] 따라서 대체 치료로서 VAD 치료 중요성은 크며, 향후 더욱더 치료 성적 향상이 기대된다.

심장 이식으로의 브리지 치료에서, 일본 VAD 치료는 구미 선진국과 비교하면 더욱 중증례에 대한 적응이 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172]

심장 이식의 완전한 대체 치료가 되기 위해서는, 수술 후 원격기 감염증 원인이 되는 피부 관통 드라이브 라인을 없앨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174][175]

소라텍사는 컨트롤러, 배터리, 에너지 전송 장치가 일체화된 모듈을 개발 중[177]이며, 차세대형 이식형 VAD에서 완전 매립을 실현하려고 하고 있다. 장래적으로 완전 매립형 이식형 VAD가 완성될 경우, 심장 이식의 완전한 대체 치료가 될 가능성이 기대된다.[93]

8. 더불어민주당 관점 및 한국적 특수성

더불어민주당은 보편적 의료 복지를 주요 정책으로 강조하며, 중증 심부전 환자에 대한 심실보조장치(VAD) 치료 접근성 확대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은 높은 수준의 의료 기술과 비교적 잘 갖춰진 건강보험 시스템을 바탕으로 VAD 치료의 발전과 보급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심부전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VAD 치료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과 함께 국산 VAD 개발 및 상용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Global burden of heart failure: a comprehensive and updated review of epidemiology 2023-01-18
[2] 논문 Ventricular assist devices for treatment of acute heart failure and chronic heart failure https://pubmed.ncbi.[...] 2015-07-01
[3] 논문 Bridge to heart transplantation using the Levitronix CentriMag short-term ventricular assist device. 2020-09-01
[4] 논문 Managing Patients With Short-Term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JACC Review Topic of the Week 2021-03-09
[5] 웹사이트 Impella 5.5® with SmartAssist®{{!}} Product {{!}}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www.heartrec[...] 2023-10-26
[6] 논문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ndication, Timing, and Management https://pubmed.ncbi.[...] 2021-10-01
[7] 논문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Drug Therapy for the Reversal of Heart Failure
[8] 웹사이트 First VentrAssist Heart Recovery Featured on National TV https://web.archive.[...] Ventracor.com 2006-10-19
[9] 논문 Total artificial heart: surgical technique in the patient with normal cardiac anatomy 2020-03-01
[10] 논문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devices in advanced heart failure: 2020 and beyond https://pubmed.ncbi.[...] 2020-01-01
[11] 서적 2014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thods and Models in Automation and Robotics (MMAR) 2014-09-02
[12] 논문 Comparisons of infection complications between continuous flow and pulsatile 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13] 웹사이트 Panel A shows a first-generation pulsatile flow left ve - Open-i https://openi.nlm.ni[...] 2018-04-23
[14] 논문 The Pharmacotherapy Implications of Ventricular Assist Device in the Patient With End-Stage Heart Failure 2012-01-01
[15] 웹사이트 SynCardia TAH pulsatile pump components http://www.syncardia[...] 2018-04-23
[16] 웹사이트 The HeartMate XVE too has a vent line, despite being battery-powered http://www.aldmd.com[...] 2018-04-23
[17] 논문 Clinical management of continuous-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in advanced heart failure
[18] 논문 Smaller, Safer, Totally Implantable LVADs: Fact or Fantasy? 2005-08-01
[19] 뉴스 Magnetic levitation heart pump implanted in first U.S. patient http://www.healio.co[...] Cardiology Today 2008-10-01
[20] 논문 Development of a Compact Maglev Centrifugal Blood Pump Enclosed in a Titanium Housing
[21] 논문 Third-generation Blood Pumps with Mechanical Noncontact Magnetic Bearings
[22] 뉴스 Dr. Denton Cooley and Dr. Michael E. DeBakey: Rock stars of Houston medicine http://www.chron.com[...] 2014-04-03
[23] 논문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registering a therapy in evolution. 2008-09-01
[24] 간행물 Heart Pump Progress Announced - A promising step in artificial heart technology 1988-03-19
[25] Youtube Electric Heart http://www.pbs.org/w[...] PBS
[26] 문서 No Pulse: How Doctors Reinvented the Human Heart http://www.popsci.co[...] Popular Science 2012-01-01
[27] 웹사이트 VAD FAQs http://columbiasurge[...]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2016-08-27
[28] 뉴스 The First Lifetime-Use Patient http://www.jarvikhea[...] Jarvik Heart
[29] 웹사이트 Patient Sets World Record for Living with Heart Assist Device https://web.archive.[...] Texas Heart Institute 2007-07-06
[30] 웹사이트 Home {{!}} ICCAC https://iccac.global[...]
[31] 뉴스 Transplant shows heart's reparative capabilities https://www.latimes.[...] 2009-07-14
[32] 논문 Extended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with a Continuous-Flow Rotary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33] 뉴스 Heidelberg Cardiac Surgeons implant world's first new DeBakey Heart Assist Device http://insciences.or[...] 2009-08-17
[34] 뉴스 VA study: heart-healing patch http://www.azstarnet[...] 2009-08-04
[35] 뉴스 A Study of Anginera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http://clinicaltrial[...]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9-09-15
[36] 뉴스 Meet the Kiwi bionic man http://www.stuff.co.[...] 2009-09-13
[37] 뉴스 $2.8 Million Grant Renewed for Development of "Pulse-Less" Total Artificial Heart http://www.businessw[...] 2009-08-06
[38] 뉴스 Evaluation of the HeartWare LVAD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Heart Failure http://www.hopkinsme[...] Johns Hopkins Hospital 2009-05
[39] 뉴스 HeartWare International Surpasses 50 Implants in the US http://www.bio-medic[...] 2009-08-20
[40] 뉴스 Thoratec Announces First HeartMate III Human Implant And Start of CE Mark Trial https://archive.toda[...] Thoratec Corporation 2009-08-20
[41] 간행물 Human Ventricular Unloading Induces Cardiomyocyte Proliferation
[42] 웹사이트 LVAD Wear http://www.carewmedi[...]
[43] 뉴스 First human use of a wireless coplanar energy transfer coupled with a continuous-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https://www.jhltonli[...]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2019-02-04
[44] 웹사이트 Urgent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Notification Letter Medtronic HVAD™ System https://www.medtroni[...] 2021-09-30
[45] 간행물 Medical Aspects of End-Stage Heart Failure: Transplantation and Device Therapies I, Abstract 1762: An Emerging Option for Women with Advanced Heart Failure: Results of the HeartMate II Continuous 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Bridge to Transplant Trial http://circ.ahajourn[...] American Heart Association
[4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8-01-09
[47] 간행물 HeartWar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Through Bilateral Anterior Thoracotomy
[48] 간행물 Results from a multicentre evaluation of plug use for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explantation. 2022-03-31
[49] 뉴스 HeartMate II Pivotal Clinical Trial Fact Sheet http://www.thoratec.[...] Thoratec Corporation 2009-09-10
[50] 뉴스 The HeartMate II LVAS Pivotal Trial http://www.crsti.org[...] Cardiopulmonary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2008-08-19
[51] 뉴스 FDA Approves HeartMate II Mechanical Heart Pump for Heart-Failure Patients Waiting for Organ Transplantation http://nyp.org/news/[...] NewYork–Presbyterian Hospital 2008-04-25
[52] 간행물 Use of a Continuous-Flow Device in Patients Awaiting Heart Transplantation
[53] 뉴스 Exciting times for heart-assisting devices at U-M http://www2.med.umic[...] University of Michigan Health System 2008-04-23
[54] 뉴스 Thoratec HeartMate II LVAS – P060040 https://www.fda.gov/[...] 2009-08-28
[55] 간행물 Continuous Flow Rotary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56] 간행물 Initial FDA Post-Approval Study INTERMACS Registry Results with a Continuous 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s a Bridge to Heart Transplantation 2009-08
[57] 간행물 Harefield Recovery Protocol Study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Chronic Heart Failure (HARPS) http://clinicaltrial[...] 2009-08-03
[58] 간행물 The REMATCH trial: Rationale, design, and end points. Randomized Evaluation of Mechanical Assistance for the Treatment of Congestive Heart Failure
[59] 간행물 Chronic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for Inotrope-Dependent Heart Failure Patients Who Are Not Transplant Candidates
[60] 간행물 Trends and Outcomes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Therapy: JACC Focus Seminar 2022-03-22
[61] 간행물 HeartMate 3: Facing the challenge of past success 2016-09
[62] 간행물 Argatroban as a Primary or Secondary Postoperative Anticoagulant in Patients Implanted with Ventricular Assist Devices
[63] 간행물 Bleeding Complications and Blood Product Utilization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64] 간행물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nd bleeding: adding insult to injury
[65] 간행물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recipients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a systematic review https://pubmed.ncbi.[...] 2023-09
[66] 간행물 Outcomes After Intracranial Hemorrhage in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https://pubmed.ncbi.[...] 2019-12
[67] 간행물 Activation of coagulation and fibrinolytic pathways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68] 간행물 Trends and Outcomes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Therapy: JACC Focus Seminar 2022-03-22
[69] 간행물 The Unique Blood Pressures and Pulsatility of LVAD Patients: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Opportunities 2017
[70] 간행물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nfections: A Systematic Review 2018
[71] 논문 Ventricular assist device-related infections
[72] 논문 Infection in ventricular assist devices: Prevention and treatment
[73] 논문 Modification of self-concept in patients with a left-ventricular assist device: an initial exploration. https://deepblue.lib[...] 2013
[74] 논문 Decision making for destination therapy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there was no choice" versus "I thought about it an awful lot". 2014
[75] 논문 Educational resources for patients considering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 cross-sectional review of internet, print, and multimedia materials. 2014
[76] 웹사이트 A decision aid for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for Destination Therapy A device for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https://patientdecis[...]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2014-07-31
[77] 뉴스 No Heart http://www.businesss[...] Business Spectator 2009-07-13
[78] 웹사이트 FDA Alerts Health Care Providers to Stop New Implants of Certain Ventricular Assist Device System https://www.fda.gov/[...] 2021-06-03
[79] 문서 日本においては口頭では通称バド(VAD)またはバス(VAS)と呼ぶ
[80] 문서 The Total Artificial Heart: Where We stand 2004-02
[81] 문서 Permanent substitutes for valves and hearts 1958
[82] 문서 能勢之彦,人工臓器の歴史を語る 世界の巨人たち 第一話 ―人工臓器の神様,ウィレム・コルフ先生と私― 2011
[83] 웹사이트 医療の挑戦者たち(21 - 1)「アクツハート成功!」。その鼓動は、人工心臓時代の幕開けを告げた。(阿久津哲造) http://challengers.t[...] 2014-08-19
[84] 문서 植込み型補助人工心臓時代の本格的幕開け
[85] 문서 Universidad de Morón - Cardiocirculatory Assistance and Total Artificial Heart; Historical Review. UM-Thesaurus IV (21). http://www.unimoron.[...]
[86] 문서 Prolonged partial left ventricular bypass by means of an intrathoracic pump implanted in the left chest 1962
[87] 문서 Domingo Liotta - International Foundation - Medical Corp. http://www.fdliotta.[...]
[88] 문서 Overseas transport of a patient with an extracorporeal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1995-02
[89] 문서 Prognosis of dilative cardiomyopathy and bridge use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to heart transplantation 1993
[90] 문서 第49回日本人工臓器学会大会 教育講演 「臓器移植法改正後の心臓移植・補助人工心臓の現況と将来展望」 2012
[91] 문서 Long-Term Use of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End-Stage Heart Failure 2001-11-15
[92] 문서 Advanced Heart Failure Treated with Continuous-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2009-12-03
[93] 서적 心臓外科 Knack & Pitfalls 心不全外科治療の要点と盲点 文光堂
[94] 서적 新 心臓血管外科管理ハンドブック 南江堂
[95] 문서 ゼオン型は2005年に市場から撤退している。
[96] 문서 1996年の臨床試験開始から保険適用承認まで8年を要し、その間欧米ではNovacorの世代交代が進んだ。
[97] 문서 埋め込み型LVASの臨床導入: ノバコア保険償還の経緯と今後の課題 2005
[98] 문서 植込み型補助人工心臓の時代来る 2011
[99] 문서 東京大学医学部附属病院 22世紀医療センター 平成25年度活動報告書 http://www.h.u-tokyo[...]
[100] 웹사이트 東大で日本初のBerlin Heart製補助人工心臓EXCOR手術成功 https://kyodonewsprw[...] 共同通信PRワイヤー 2014-07-06
[101] 문서 Clinical introduction of the Tandemheart, a percutaneous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circulatory support during high-risk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2003
[102] 문서 Initial experiences with the Impella device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 Impella support for cardiogenic shock 2003
[103] 웹사이트 日本初!経皮的補助人工心臓を用いた急性心不全の治療に成功! http://www.med.osaka[...] 大阪大学医学系研究科・医学部 2019-10-29
[104] 서적 心臓血管外科テキスト 中外医学社
[105] 문서 循環器病の診断と治療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2013, 2011-2012年度合同研究班報告 - 「重症心不全に対する植込み型補助人工心臓ガイドライン」
[106] 간행물 日本臨床補助人工心臓研究会(JACVAS) - 2012年度補助人工心臓レジストリー http://www.jacvas.co[...]
[107] 간행물 J-MACS Statistical Report (2010年6月-2013年12月) http://www.pmda.go.j[...] 2014-03
[108] 문서 国立循環器病センターと東洋紡で共同開発され、現在は東洋紡からニプロ社に製造販売が引き継がれている。
[109] 웹사이트 Berlin Heart http://www.berlinhea[...]
[110] 웹사이트 Jarvik Heart http://www.jarvikhea[...]
[111] 간행물 厚生労働省医薬食品局審査管理課 医療機器審査管理室 審議結果報告書 Jarvik2000植込み型補助人工心臓システム(平成25年10月31日) http://www.pmda.go.j[...]
[112] 웹사이트 HeartWare http://www.heartware[...]
[113] 논문 Comparisons of infection complications between continuous flow and pulsatile 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2007
[114] 논문 Cardiology patient pages: ventricular assist devices: important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families 2011-09-20
[115] 문서 左房脱血や下行大動脈送血を行うことも可能である。
[116] 논문 植込型補助人工心臓時代における体外式補助人工心臓の役割 2012
[117] 논문 Terumo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system: results of long-term animal study 2000-01
[118] 문서 日本ではマケット社の遠心ポンプであるROTAFLOWを体外設置型VADとして用いた報告もある
[119] 논문 Axial and centrifugal continuous-flow rotary pumps: a translation from pump mechanics to clinical practice 2013-01
[120] 서적 心臓手術の麻酔 第3版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121] 논문 How to treat stage D heart failure? - When to implant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in the era of continuous flow pumps?- 2011
[122] 논문 Novel risk scoring system with preoperative objective parameters gives a good prediction of 1-year mortality in patients with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2012
[123] 논문 Age and preoperative total bilirubin level can stratify prognosis after extracorporeal pulsati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2011
[124] 논문 Renal and hepatic function improve in advanced heart failure patients during continuous-flow support with the HeartMate II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2009
[125] 논문 Long-Term Use of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End-Stage Heart Failure 2001-11-15
[126] 논문 Destination therapy: the new gold standard treatment for heart failure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2013
[127] 논문 The Fourth INTERMACS Annual Report: 4,000 implants and counting 2012
[128] 논문 Initial experience of conversion of Toyobo paracorporeal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to DuraHeart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2012
[129] 논문 A case of conversion of a NIPRO ventricular assist system to an EVAHEART left ventricular assist system 2013
[130] 논문 Left heart bypass support with the Rotaflow Centrifugal Pump as a bridge to decision and recovery in an adult 2012
[131] 논문 INTERMACS profiles of advanced heart failure: the current picture http://www.jhltonlin[...] 2009
[132] 문서 INTERMACS: Interagency Registry for Mechanically Assisted Circulatory Support(米国の補助人工心臓市販後レジストリ)
[133] 웹사이트 植込型補助人工心臓の使用に係る体制等の基準案について http://www.jacvas.co[...] 2014-08-02
[134] 논문 Clinical management of continuous-flow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in advanced heart failure 2010
[135] 논문 2010 Focused Update of ESC Guidelines on device therapy in heart failure: an update of the 2008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and the 2007 ESC guidelines for cardiac and resynchronization therapy 2010
[136] 문서 ただし心不全が高度な場合は体外循環開始後に作成することもある
[137] 문서 クロスクランプとは異なり、大動脈に平行にクランプをかける。大動脈の内腔は途絶しないため血流を遮断しない。
[138] 문서 VADに繋がる脱血カニューレを左室に接続する固定用カフ。心尖部に装着するため心尖部カフと呼ばれる。
[139] 문서 血液ポンプは予め生理食塩水で満たしておく。
[140] 문서 サッキング(sucking): カニューレの心臓壁への吸い付き現象
[141] 문서 ACT: Activated clotting time
[142] 논문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malfunction: an approach to diagnosis by echocardiography 2005-05-03
[143] 논문 Left ventricular support by axial flow pump: the echocardiographic approach to device malfunction 2005-12
[144] 논문 Assessment of recurrent heart failure associated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dysfunction 2005-12
[145] 논문 Reinforcement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outflow grafts to prevent kinking 2007-07
[146] 논문 Urgent exchange of a HeartMate II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fter percutaneous lead fracture 2009-09
[147] 논문 Outcomes o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as destination therapy in the post-REMATCH era: implications for patient selection 2007-07-31
[148] 논문 Predictors and outcomes of continuous veno-venous hemodialysis use after implantation of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2006-04
[149]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s: incidence, risk factors, outcome, and associated pathogens 2004-06
[150] 논문 Optimizing antimicrobial therapy in sepsis and septic shock 2009-10
[151] 논문 Successful treatment of cerebral hemorrhage using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n a patient with left-ventricular-assist device 2012-03
[152] 논문 Endovascular treatment of cerebral hemorrhage in a patient with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report of a case 2014-05
[153] 간행물 Experience of a patient with an extracorporeal ventricular assist system who participated in a sleepover program 2011
[154] 논문 Out-of-hospital experience in patients with implantable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present and future trends 1997-04
[155] 웹사이트 コアグチェックXSパーソナル http://www.eidia.co.[...]
[156] 논문 Self management of oral anticoagulation: randomised trial 2005-11-05
[157] 논문 Improving the outcomes of anticoagulation: an evaluation of home follow-up of warfarin initiation 2004-08
[158] 문서 同じ機種でも各国・地域ごとにAC電源ケーブルなどの部品はカスタマイズされるため、通常の移動においてはコンセントの差込口のタイプの違いが問題になることはない
[159] 간행물 HeartMate II Community Living Manual 2011
[160] 논문 Psychosocial and sexual concerns of patients with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 pilot study 2004-05
[161] 논문 Outpatient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support: a safe and economical therapeutic option for heart failure 2000-07
[162] 논문 2011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 second update of codes and MET values 2011-08
[163] 간행물 HeartMate II Community Living Manual 2011
[164] 논문 Risk of warfarin during pregnancy with mechanical valve prostheses 2002-01
[165] 논문 心臓移植待機患者の課題: 補助人工心臓装着患者について 2011
[166] 논문 Long-term result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 after weaning from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2005-08-30
[167] 논문 Myocardial recovery by mechanical unloading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system 2009-08
[168] 논문 Development of a hybrid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ventricular assist device weaning 2010-09
[169] 논문 A felt plug simplifies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removal after successful bridge to recovery 2007-11
[170] 문서 線溶系の作用を阻害する薬剤
[171] 간행물 Long-term destination therapy with the HeartMate XV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roved outcomes since the REMATCH Study 2005
[172] 논문 諸外国に比較してわが国の治療成績が優れている手術 -「心臓移植」と「補助人工心臓」治療- 2008
[173] 논문 心臓移植の現状と展望 2011
[174] 웹사이트 てんかん発作抑える装置、頭蓋骨に埋め込み 世界初の臨床試験に英男児が参加 https://www.bbc.com/[...] 2024-06-24
[175] 웹사이트 平成17年度 特許出願技術動向調査報告書 内視鏡(要約版) http://www.jpo.go.jp[...] 특허청 2006-03
[176] 웹사이트 Penn State LionHeart http://pennstatehers[...]
[177] 웹사이트 Thoratec Announces Development Agreement With WiTricity for Proprietary Energy Transfer Technology http://www.prnewswir[...] 2014-07-11
[178] 뉴스 http://media.daum.ne[...]
[179] 뉴스 http://media.daum.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