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다족은 미얀마의 인레 호수 주변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14세기 샨족의 지배를 피해 미얀마 남부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버마어의 방언인 인따어를 사용한다. 불교를 믿으며, 수상 가옥에서 생활하며 쭌묘라는 부유식 농법으로 채소를 재배한다. 남성은 분홍색 재킷과 바지를, 여성은 롱지를 입는 전통 의상을 가지며, 쓴맛 수프와 녹차를 즐겨 먹는다. 독특한 다리 노젓기 기술로 유명하며, 남성은 한쪽 다리로 서서 노를 젓고 여성은 앉아서 노를 젓는 방식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인다족
일반 정보
언어버마어의 인따 방언
종교테라바다 불교
관련 민족버마족, 라카인족
인레 호수의 수상 정원
인구 통계
거주 지역미얀마
추정 인구100,000 - 200,000명
기타
인따족의 깃발
구글 지도 검색어인레 호수

2. 기원

인다족의 기원은 논쟁의 대상이다.[3] 인다족은 그들의 조상이 오늘날 미얀마 남쪽 끝(타닌타리 지역)에서 왔다고 믿는다.[1][4]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론에 따르면, 14세기 동안 인다족은 미얀마 남부에서 샨족 사오파의 지배를 피해 인레 호수에 정착했다.[3] 오늘날까지, 인다족은 주로 호수에 인접한 4개의 도시, 호수 기슭을 따라 있는 수많은 작은 마을, 그리고 호수 자체에 거주하며, 호수 전체 지역은 냥쉐 타운십에 있다.

3. 언어

인다족은 버마어의 방언인 인따어를 사용한다.[4] 인따어는 다른 버마어 방언과 달리 유성음 동화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는 다누어 및 타웅요어와 유사하다.[5] 식민지 시대의 관찰자들은 인따족이 샨어 억양을 가진 버마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언급했다.[4]

4. 문화

인다족은 압도적으로 불교도이며, 나무와 엮은 대나무로 만든 간소한 가옥에서 말뚝 위에 살며, 주로 자급자족하는 농부들이다.[6] 인레 호수 위에 나무와 대나무로 지은 수상 가옥에서 생활한다. 인다족은 부유하는 정원에 채소 농장을 가꾸면서 생계를 유지한다. 호수 위에 떠 있는 밭인 '쭌묘'를 만들어 농사를 짓는 독특한 수상 농업 방식을 발전시켰다.

인다족의 전통 의상은 남성의 경우 분홍색 반소매 재킷과 헐렁한 바지로 구성된다.[6] 식민지 시대 이전, 인다족 여성들은 페니 천으로 된 흰색 상의 위에 "친 인"이라고 불리는 맞춤형 면 재킷을 입었고, 옅은 분홍색과 짙은 분홍색 줄무늬와 물결무늬가 번갈아 가며 장식된 새틴과 실크 ''흐타메인''를 입었다.[6] 인다족 마을인 야와마에는 "핫 야르"라고 불리는 토착 롱지가 있는데, 이는 다양한 갈색과 노란색 줄무늬로 실크와 면 직물로 꿰매어졌다.[6]

인다족 요리는 "세이카 힌"(ဆေးခါးဟင်း)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쓴맛 수프로 유명하다.[6] 선택하는 전통 음료는 소금과 함께 제공되는 끓인 녹차이다.[6] 전통적인 식사는 밥과 다양한 카레를 ''다웅란''에 담아 제공한다.[6]

인다족의 전통 춤에는 ''란시'', ''룬시'', ''오지기'' 춤이 있다.[6] 인다족 남녀가 시를 낭송하는 "타이테이"라고 불리는 시 낭송 전통도 있다.[6]

인다족은 한쪽 다리로 배를 젓는 독특한 다리 노젓기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7] 이들은 호수에서 이동할 때 주로 작은 보트나 '롱테일' 모터가 장착된 보트를 이용한다.[7] 현지 어부들은 한쪽 다리로 배 뒤쪽에 서서 다른 다리를 노에 감는 독특한 방식으로 노를 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러한 방식은 호수가 갈대와 수초로 덮여 있어 앉아서는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발달하였다.[7] 서서 노를 저으면 갈대 너머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7] 하지만 이 다리 노젓기 방식은 남성들만 사용하며, 여성들은 배 뒤쪽에 다리를 꼬고 앉아 손으로 노를 젓는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다.[7]

4. 1. 생활 양식

인다족은 압도적으로 불교도이며, 나무와 엮은 대나무로 만든 간소한 가옥에서 말뚝 위에 살며, 주로 자급자족하는 농부들이다.[6] 인레 호수 위에 나무와 대나무로 지은 수상 가옥에서 생활한다. 인다족은 부유하는 정원에 채소 농장을 가꾸면서 생계를 유지한다. 호수 위에 떠 있는 밭인 '쭌묘'를 만들어 농사를 짓는 독특한 수상 농업 방식을 발전시켰다.

전통적인 인다족 의상은 남성의 경우 분홍색 반소매 재킷과 헐렁한 바지로 구성된다.[6] 인다족 마을인 야와마에는 "핫 야르"라고 불리는 토착 롱지가 있는데, 이는 다양한 갈색과 노란색 줄무늬로 실크와 면 직물로 꿰매어졌다.[6]

인다족 요리는 "세이카 힌"(ဆေးခါးဟင်း)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쓴맛 수프로 유명하다.[6] 선택하는 전통 음료는 소금과 함께 제공되는 끓인 녹차이다.[6] 전통적인 식사는 밥과 다양한 카레를 ''다웅란''에 담아 제공한다.[6]

전통적인 인다족 춤에는 ''란시'', ''룬시'', ''오지기'' 춤이 있다.[6] 인다족 남자와 여자가 시를 낭송하는 "타이테이"라고 불리는 시 낭송 전통.[6]

인다족은 또한 특이한 다리 노젓기 기술로도 잘 알려져 있다.[7] 호수에서의 대부분의 교통 수단은 전통적으로 작은 보트 또는 호수의 일반적인 얕은 수심 때문에 필요한 '롱테일' 모터가 장착된 약간 더 큰 보트를 이용한다. 현지 어부들은 한 다리로 선미에 서서 다른 다리를 노에 감는 독특한 노젓기 스타일을 실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독특한 스타일은 호수가 갈대와 부유 식물로 덮여 있어 앉아 있는 동안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진화했다. 서 있으면 노젓는 사람은 갈대 너머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리 노젓기 스타일은 남자들만 실천한다. 여성들은 선미에 다리를 엇갈려 앉아 손으로 노를 사용하여 관습적인 스타일로 노를 젓는다.

4. 2. 전통 의상

인다족의 전통 의상은 남성의 경우 분홍색 반소매 재킷과 헐렁한 바지로 구성된다.[6] 식민지 시대 이전, 인다족 여성들은 페니 천으로 된 흰색 상의 위에 "친 인"이라고 불리는 맞춤형 면 재킷을 입었고, 옅은 분홍색과 짙은 분홍색 줄무늬와 물결무늬가 번갈아 가며 장식된 새틴과 실크 ''흐타메인''를 입었다.[6] 인다족 마을인 야와마에는 "핫 야르"라고 불리는 토착 롱지가 있는데, 이는 다양한 갈색과 노란색 줄무늬로 실크와 면 직물로 꿰매어졌다.[6]

4. 3. 전통 음식

인다족 요리는 "세이카 힌"(ဆေးခါးဟင်း)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쓴맛 수프로 유명하다.[6] 선택하는 전통 음료는 소금과 함께 제공되는 끓인 녹차이다.[6] 전통적인 식사는 밥과 다양한 카레를 ''다웅란''에 담아 제공한다.[6]

4. 4. 전통 예술

인다족의 전통 춤에는 ''란시'', ''룬시'', ''오지기'' 춤이 있다.[6] 인다족 남녀가 시를 낭송하는 "타이테이"라고 불리는 시 낭송 전통도 있다.[6]

4. 5. 다리 노젓기

인다족은 한쪽 다리로 배를 젓는 독특한 다리 노젓기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7] 이들은 호수에서 이동할 때 주로 작은 보트나 '롱테일' 모터가 장착된 보트를 이용한다.[7] 현지 어부들은 한쪽 다리로 배 뒤쪽에 서서 다른 다리를 노에 감는 독특한 방식으로 노를 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러한 방식은 호수가 갈대와 수초로 덮여 있어 앉아서는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발달하였다.[7] 서서 노를 저으면 갈대 너머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7] 하지만 이 다리 노젓기 방식은 남성들만 사용하며, 여성들은 배 뒤쪽에 다리를 꼬고 앉아 손으로 노를 젓는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다.[7]

5. 현대

참조

[1] 웹사이트 Ethnic Intha party seeks self-administration for Inle Lake https://www.mmtimes.[...] 2017-12-12
[2] 웹사이트 Ethnic Intha party seeks self-administration for Inle Lake https://www.mmtimes.[...] 2017-12-12
[3] 논문 Toxic Tomatoes: Using Object Biography to Explore Inle Lake's Sustainability Crisis https://muse.jhu.edu[...] 2020-05-14
[4] 서적 Burma: A Handbook of Practical Information Alexander Moring Ltd.
[5] 논문 The Development of Voicing Rules in Standard Burmese 1998-10-30
[6] 논문 The Traditional Customs of Innthars https://www.dagonuni[...] 2018
[7] 웹사이트 A luminous lake of unusual talents http://www.bbc.com/t[...] 2016-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