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샨어는 타이계 언어이자 미얀마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샨어는 샨족의 언어이며, 미얀마, 태국, 라오스 등에서 사용된다. 샨어는 역사적으로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버마어의 영향을 받았다. 샨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으며,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성조로 구성된다. 문법적으로는 고립어적인 성질을 가지며,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등의 특징을 보인다. 미얀마와 태국 등 샨족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언어 교육을 통해 샨어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어파 - 좡어
    좡어는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며 태국어와 관련이 있고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타이어파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태국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태국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샨어
언어 정보
이름샨어
다른 이름타이 야이
자칭ၵႂၢမ်းတႆး (kwáam tái), လိၵ်ႈတႆး (līk tái)
발음IPA: kwáːm táj, lik táj
사용 정보
사용 국가미얀마, 태국, 중국
사용 지역샨주, 동남아시아
사용자샨족, 다이족, 쿨라족
추정 화자 수468만 5천명 (2017년)
순위126위
언어 분류
어족크라다이어족
어파타이어파
어군남서부 타이 제어
하위 분류북서부 (샨)
방언
표준동부
기타 방언쿤어, 타이 느아어, 캄티어, 타이 라잉어, 아이톤어, 파케어, 캄양어, 투룽어
문자 및 지위
문자몬-버마 문자 (샨 문자)
소수 언어미얀마
ISO 639-2shn
ISO 639-3shn
Glottologshan1277

2. 이름

샨어는 여러 타이계 언어나 버마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샨어에서는 '''따이어'''(kwam tai, ၵႂၢမ်းတႆး)라고 한다. 버마어에서는 '''샨어'''(hram: bhasa, ရှမ်းဘာသာ)라고 하는데, 이것의 구식 철자인 hsyam:(သျှမ်း)에서 영어 명칭 샨(Shan)이 유래했다. 어원은 태국의 타칭인 시암(Siam)으로 보인다. 태국어(중앙 태국어)와 남부 태국어에서는 '''타이야이어'''(phasa thai yai/ภาษาไทใหญ่th)라고 하며, "큰 타이족 말"이라는 뜻이다. 북부 태국어에서는 '''따이어'''(kam tai/กำไตnod)라고 한다. 라오어에서는 '''따이야이어'''(phasa tai yai/ພາສາໄທໃຫຍ່lo)라고 한다. 따이르어에서는 '''응이오어'''(kam ngio/ᦅᧄᦇᦲᧁᧉkhb)라고 한다.

3. 역사

역사적으로 샨어는 지역의 공용어로서 우위를 점하여, 특히 칭포어와 팔라웅어를 비롯한 다른 지역 언어에 많은 차용어를 제공했다.[2] 샨어는 또한 버마어에서 이들 언어로의 차용어 중개자 역할도 했다.[2]

마찬가지로, 샨어는 수세기 동안 지속된 역사적 접촉과 버마어와 샨어 사용자의 교류, 특히 버마 왕실과 샨 공국 사이의 교류를 통해 버마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 대부분의 샨어 방언에서 /f/my 소리가 없는 것은 버마어의 영향으로 여겨진다.[2] 샨어 어휘는 버마어와의 접촉으로 크게 풍부해졌으며, 샨어 어휘 전반에 걸쳐 버마어 차용어가 나타난다.[2] 여기에는 버마어를 통해 팔리어에서 차용된 차용어도 포함된다. 버마어는 또한 복잡한 전치사의 사용과 밀접하게 관련된 타이 언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 단어 패턴과 관련하여 샨어 문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2]

최근 수십 년간의 노동 이주로 인해, 현재 태국에는 100만 명의 샨족이 거주하고 있다.[2][3] 지속적인 언어 접촉의 결과로, 태국어는 특히 과학 및 정치 개념과 관련하여 샨어에 대한 차용어의 경쟁적인 출처가 되었다.[2] 특히 젊은 샨어 화자들 사이에서 역사적인 /f/my > pʰmy 변화의 역전과 같은 최근의 음운론적 발전은 태국어와의 접촉에 기인한다.

4. 방언

샨어의 주요 방언들은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4] 샨 주에서 사용되는 샨어 방언은 지리적 경계와 현대 행정 구역에 대략 일치하는 세 그룹, 즉 북부, 남부, 동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언은 어휘와 발음에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4]

남부 방언은 미얀마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미얀마어 단어를 더 많이 차용한다. 반면 동부 샨어는 어휘와 발음 면에서 북부 태국어라오어에 가깝다. 북부의 타이 느아어는 윈난-중국어 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부 단어는 초성 자음에서 차이를 보인다. 북부에서는 특정 모음 및 종성 자음과 결합될 때 초성 및 이 (ky로 표기), (khy로 표기) 및 (my로 표기)로 발음된다. 중국 샨어에서는 초성 이 이 된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이 종종 로 발음된다. 초성 는 동부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두 방언에서는 와 합쳐진다.

J. 마빈 브라운은 샨 주의 세 방언을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4]


  • 북부 - 라쇼, 미얀마; 중국의 영향이 더 많음
  • 남부 - 따웅지 (샨 주의 수도), 미얀마; 미얀마의 영향이 더 많음
  • 동부 - 껭뙁, 미얀마 (골든 트라이앵글); 북부 태국어라오어에 더 가까움


쿤어(미얀마어로 콘 샨이라고 불림)는 껭뙁 계곡에서 사용되는 방언인데,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4] 중국 샨어는 몽마오의 옛 샨 주를 지칭하는 타이 마오라고도 불린다. 타이 롱은 살윈강 서쪽의 남부 및 중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남부 샨 주 방언,[5] 북부 샨 주 방언,[6]라오스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카친 주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방언인 타이 라잉어와 사가잉 구역 북부에서 사용되는 캄티어와 같은 방언도 있다.

5. 음운

샨어의 음절은, 초성 자음·반자음·모음·성조로 이루어진다.

=== 닿소리 (자음) ===

샨어는 19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태국어라오어(이산어)와는 달리 유성 파열음 /d/와 /b/가 없다.

colspan=2 |양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မ /m/ၼ /n/ၺ /ɲ/င /ŋ/
파열음/파찰음무기음ပ /p/တ /t/ၸ /tɕ/ၵ /k/ဢ /ʔ/
유기음ၽ /pʰ/ထ /tʰ/ၶ /kʰ/
마찰음သ /s/ႁ /h/
설측음လ /l/
반모음ယ /j/ဝ /w/


  • ၾ /f/는 동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ရ /r/은 매우 드물며, 팔리어 및 몇몇 영어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 성문 파열음은 종성이 없는 짧은 모음 또는 모음 앞의 묵음인 ‘a’에서 나타난다.
  • [sʰ], [s], [r]의 이음으로, [tsʰ], [ts], [r̥]가 나타난다. /r/와 /l/을 모두 [l]로 발음하는 화자도 있다.


=== 홀소리 (모음) ===

샨어는 10개의 모음과 13개의 이중 모음을 가지고 있다. 이중 모음으로는 [iw], [ew], [ɛw], [uj], [oj], [ɯj], [ɔj], [ɤj], [aj], [aɯ], [aw], [aːj], [aːw]가 있다.

전설중설후설
iɨ~ɯu
eə~ɤo
ɛa, aːɔ



샨어는 태국어보다 모음 체계가 덜 복잡하며, 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태국어를 배울 때 "ia", "ua", "uea" 와 같은 소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삼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으며, 태국어의 특징인 장모음과 단모음의 체계적인 구분이 없다.

=== 성조 ===

샨어는 음절의 음소 사이에서 성조의 대조를 보인다. 샨어에는 방언에 따라 5~6개의 성조가 있다. 여섯 번째 성조는 북부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지역에서는 강조할 때만 사용된다.

==== 무성음 음절의 성조 ====

무성음 음절, 즉 [m], [n], [ŋ], [w], [j]와 같은 공명음으로 끝나는 폐쇄 음절과 개방 음절의 6가지 음소적 톤은 다음과 같다.

No.설명IPA설명표기*
1상승 (24)˨˦낮은 음에서 시작하여 상승하는 음고ǎa (표시 없음)
2낮음 (11)˩낮고 평탄한 음고àa,
3중간 하강 (32)˧˨중간 수준의 음고, 끝에서 약간 하강a (표시 없음)a;
4높음 (55)˥높고 평탄한 음고áa:
5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 (42)˦˨ˀ짧고 삐걱거리며, 마지막 성문 폐쇄로 강하게 하강âʔ, â̰a.
6강조 (343) 또는 중간 (33)˧˦˧ / ˧중간 수준에서 시작하여 약간 상승한 다음 끝에서 하강 (톤 3 및 5와 유사)a᷈a-



첫 번째 표기 열의 기호는 다른 톤 언어에 사용되는 관례에 해당하며, 두 번째는 샨어 정자법에서 파생되었다.

음소 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샨어IPA음역영어
상승나/ၼႃshn/nǎː/na두꺼운
낮음나/ၼႃႇshn/nàː/na,아주
중간 하강나/ၼႃႈshn/nà̱ː/na;얼굴
높음나/ၼႃးshn/náː/na:
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나/ၼႃႉshn/nâ̰(ː)/na.고모, 삼촌
강조 또는 중간나/ၼႃႊshn/nāː/na-(감탄사/표기를 위해)



샨어 톤은 다음과 같이 태국어 톤에 해당한다.

# 샨어 상승 톤은 태국어 상승 톤과 가깝다.

# 샨어 낮은 톤은 태국어 낮은 톤과 동일하다.

# 샨어 중간 톤은 태국어 중간 톤과 다르다. 끝에서 떨어진다.

# 샨어 높은 톤은 태국어 높은 톤과 가깝다. 그러나 상승하지 않는다.

# 샨어 하강 톤은 태국어 하강 톤과 다르다. 짧고 삐걱거리며 성문 폐쇄로 끝난다.

샨어는 다섯 종류의 성조를 구별한다.

#상승조 ̌ (˧˥)

#저평조 ̀ (˩)

#중평조 ̄ (˧)

#고평조 ́ (˥)

#하강조 ̂ (˥˧)

제2성, 제4성, 제5성은 종종 성문 폐쇄음이나 거친 소리를 동반한다.

==== 종성 음절의 성조 ====

다음 표는 [ʔ]와 같은 성문 파열음 및 [p], [t], [k]와 같은 폐쇄음으로 끝나는 음절, 즉 종성 음절의 4가지 음운론적 성조를 나타낸다.

성조샨어음운론적음성학적음역영어
고성လၵ်း/lák/[lak˥]lak:post
쉰 소리လၵ်ႉ/la̰k/[la̰k˦˨ˀ]lak.steal
저성လၢၵ်ႇ/làːk/[laːk˩]laak,differ from others
중성လၢၵ်ႈ/lāːk/[laːk˧˨]laak;drag



=== 음절 구조 ===

샨어의 음절 구조는 C(G)V((V)/(C))인데, 이는 초성이 자음과 선택적으로 활음(glide)으로 구성되며, 운은 단모음 단독, 자음을 동반한 단모음, 또는 이중 모음 단독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중 모음 뒤에 자음이 올 수도 있다.) 활음은 -w-, -y- 및 -r-이다. 가능한 종성 자음은 /ŋ/, /n/, /m/, /k/, /t/, /p/, 및 /ʔ/의 7개이다.

다음은 몇 가지 대표적인 단어이다.


  • CV /kɔ/ ''또한''
  • CVC /kàːt/ ''시장''
  • CGV /kwàː/ ''가다''
  • CGVC /kwaːŋ/ ''넓은''
  • CVV /kǎi/ ''멀리''
  • CGVV /kwáːi/ ''물소''


일반적인 샨어 단어는 단음절이다. 다음절 단어는 대부분 팔리어 차용어이거나, 약한 음절 /ə/로 시작하는 버마어 단어이다.

5. 1. 닿소리 (자음)

샨어는 19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태국어라오어(이산어)와는 달리 유성 파열음 /d/와 /b/가 없다.

colspan=2 |양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မ /m/ၼ /n/ၺ /ɲ/င /ŋ/
파열음/파찰음무기음ပ /p/တ /t/ၸ /tɕ/ၵ /k/ဢ /ʔ/
유기음ၽ /pʰ/ထ /tʰ/ၶ /kʰ/
마찰음သ /s/ႁ /h/
설측음လ /l/
반모음ယ /j/ဝ /w/


  • ၾ /f/는 동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ရ /r/은 매우 드물며, 팔리어 및 몇몇 영어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 성문 파열음은 종성이 없는 짧은 모음 또는 모음 앞의 묵음인 ‘a’에서 나타난다.
  • [sʰ], [s], [r]의 이음으로, [tsʰ], [ts], [r̥]가 나타난다. /r/와 /l/을 모두 [l]로 발음하는 화자도 있다.

5. 2. 홀소리 (모음)

샨어는 10개의 모음과 13개의 이중 모음을 가지고 있다. 이중 모음으로는 [iw], [ew], [ɛw], [uj], [oj], [ɯj], [ɔj], [ɤj], [aj], [aɯ], [aw], [aːj], [aːw]가 있다.

전설중설후설
iɨ~ɯu
eə~ɤo
ɛa, aːɔ



샨어는 태국어보다 모음 체계가 덜 복잡하며, 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태국어를 배울 때 "ia", "ua", "uea" 와 같은 소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삼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으며, 태국어의 특징인 장모음과 단모음의 체계적인 구분이 없다.

5. 3. 성조

샨어는 음절의 음소 사이에서 성조의 대조를 보인다. 샨어에는 방언에 따라 5~6개의 성조가 있다. 여섯 번째 성조는 북부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지역에서는 강조할 때만 사용된다.

샨어는 다섯 종류의 성조를 구별한다.

#상승조 ̌ (˧˥)

#저평조 ̀ (˩)

#중평조 ̄ (˧)

#고평조 ́ (˥)

#하강조 ̂ (˥˧)

제2성, 제4성, 제5성은 종종 성문 폐쇄음이나 거친 소리를 동반한다.

== 무성음 음절의 성조 ==

무성음 음절, 즉 [m], [n], [ŋ], [w], [j]와 같은 공명음으로 끝나는 폐쇄 음절과 개방 음절의 6가지 음소적 톤은 다음과 같다.

No.설명IPA설명표기*
1상승 (24)˨˦낮은 음에서 시작하여 상승하는 음고ǎa (표시 없음)
2낮음 (11)˩낮고 평탄한 음고àa,
3중간 하강 (32)˧˨중간 수준의 음고, 끝에서 약간 하강a (표시 없음)a;
4높음 (55)˥높고 평탄한 음고áa:
5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 (42)˦˨ˀ짧고 삐걱거리며, 마지막 성문 폐쇄로 강하게 하강âʔ, â̰a.
6강조 (343) 또는 중간 (33)˧˦˧ / ˧중간 수준에서 시작하여 약간 상승한 다음 끝에서 하강 (톤 3 및 5와 유사)a᷈a-



첫 번째 표기 열의 기호는 다른 톤 언어에 사용되는 관례에 해당하며, 두 번째는 샨어 정자법에서 파생되었다.

음소 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샨어IPA음역영어
상승나/ၼႃshn/nǎː/na두꺼운
낮음나/ၼႃႇshn/nàː/na,아주
중간 하강나/ၼႃႈshn/nà̱ː/na;얼굴
높음나/ၼႃးshn/náː/na:
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나/ၼႃႉshn/nâ̰(ː)/na.고모, 삼촌
강조 또는 중간나/ၼႃႊshn/nāː/na-(감탄사/표기를 위해)



샨어 톤은 다음과 같이 태국어 톤에 해당한다.

# 샨어 상승 톤은 태국어 상승 톤과 가깝다.

# 샨어 낮은 톤은 태국어 낮은 톤과 동일하다.

# 샨어 중간 톤은 태국어 중간 톤과 다르다. 끝에서 떨어진다.

# 샨어 높은 톤은 태국어 높은 톤과 가깝다. 그러나 상승하지 않는다.

# 샨어 하강 톤은 태국어 하강 톤과 다르다. 짧고 삐걱거리며 성문 폐쇄로 끝난다.

== 종성 음절의 성조 ==

다음 표는 [ʔ]와 같은 성문 파열음 및 [p], [t], [k]와 같은 폐쇄음으로 끝나는 음절, 즉 종성 음절의 4가지 음운론적 성조를 나타낸다.

성조샨어음운론적음성학적음역영어
고성လၵ်း/lák/[lak˥]lak:post
쉰 소리လၵ်ႉ/la̰k/[la̰k˦˨ˀ]lak.steal
저성လၢၵ်ႇ/làːk/[laːk˩]laak,differ from others
중성လၢၵ်ႈ/lāːk/[laːk˧˨]laak;drag


5. 3. 1. 무성음 음절의 성조

무성음 음절, 즉 [m], [n], [ŋ], [w], [j]와 같은 공명음으로 끝나는 폐쇄 음절과 개방 음절의 6가지 음소적 톤은 다음과 같다.

No.설명IPA설명표기*
1상승 (24)˨˦낮은 음에서 시작하여 상승하는 음고ǎa (표시 없음)
2낮음 (11)˩낮고 평탄한 음고àa,
3중간 하강 (32)˧˨중간 수준의 음고, 끝에서 약간 하강a (표시 없음)a;
4높음 (55)˥높고 평탄한 음고áa:
5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 (42)˦˨ˀ짧고 삐걱거리며, 마지막 성문 폐쇄로 강하게 하강âʔ, â̰a.
6강조 (343) 또는 중간 (33)˧˦˧ / ˧중간 수준에서 시작하여 약간 상승한 다음 끝에서 하강 (톤 3 및 5와 유사)a᷈a-



첫 번째 표기 열의 기호는 다른 톤 언어에 사용되는 관례에 해당하며, 두 번째는 샨어 정자법에서 파생되었다.

음소 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샨어IPA음역영어
상승나/ၼႃshn/nǎː/na두꺼운
낮음나/ၼႃႇshn/nàː/na,아주
중간 하강나/ၼႃႈshn/nà̱ː/na;얼굴
높음나/ၼႃးshn/náː/na:
높게 하강하고 삐걱거림나/ၼႃႉshn/nâ̰(ː)/na.고모, 삼촌
강조 또는 중간나/ၼႃႊshn/nāː/na-(감탄사/표기를 위해)



샨어 톤은 다음과 같이 태국어 톤에 해당한다.

# 샨어 상승 톤은 태국어 상승 톤과 가깝다.

# 샨어 낮은 톤은 태국어 낮은 톤과 동일하다.

# 샨어 중간 톤은 태국어 중간 톤과 다르다. 끝에서 떨어진다.

# 샨어 높은 톤은 태국어 높은 톤과 가깝다. 그러나 상승하지 않는다.

# 샨어 하강 톤은 태국어 하강 톤과 다르다. 짧고 삐걱거리며 성문 폐쇄로 끝난다.

샨어는 다섯 종류의 성조를 구별한다.

#상승조 ̌ (˧˥)

#저평조 ̀ (˩)

#중평조 ̄ (˧)

#고평조 ́ (˥)

#하강조 ̂ (˥˧)

제2성, 제4성, 제5성은 종종 성문 폐쇄음이나 거친 소리를 동반한다.

5. 3. 2. 종성 음절의 성조

wikitext

다음 표는 [ʔ]와 같은 성문 파열음 및 [p], [t], [k]와 같은 폐쇄음으로 끝나는 음절, 즉 종성 음절의 4가지 음운론적 성조를 나타낸다.

성조샨어음운론적음성학적음역영어
고성/lák/[lak˥]lak:post
쉰 소리/la̰k/[la̰k˦˨ˀ]lak.steal
저성/làːk/[laːk˩]laak,differ from others
중성/lāːk/[laːk˧˨]laak;drag


5. 4. 음절 구조

샨어의 음절 구조는 C(G)V((V)/(C))인데, 이는 초성이 자음과 선택적으로 활음(glide)으로 구성되며, 운은 단모음 단독, 자음을 동반한 단모음, 또는 이중 모음 단독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중 모음 뒤에 자음이 올 수도 있다.) 활음은 -w-, -y- 및 -r-이다. 가능한 종성 자음은 /ŋ/, /n/, /m/, /k/, /t/, /p/, 및 /ʔ/의 7개이다.

다음은 몇 가지 대표적인 단어이다.

  • CV /kɔ/ ''또한''
  • CVC /kàːt/ ''시장''
  • CGV /kwàː/ ''가다''
  • CGVC /kwaːŋ/ ''넓은''
  • CVV /kǎi/ ''멀리''
  • CGVV /kwáːi/ ''물소''


일반적인 샨어 단어는 단음절이다. 다음절 단어는 대부분 팔리어 차용어이거나, 약한 음절 /ə/로 시작하는 버마어 단어이다.

개자음으로는 -j-, -w-, -r-의 3가지가 나타난다. Egerod (1957)가 제시한 '말자음'은 다음과 같다.

-m-p-w
-n-d-j
-k


6. 문법

샨어는 고립어적인 성질을 지닌다.

=== 명사구 ===

샨어의 명사는 이를 수식하는 형용사, 유형사, 지시사 등이 뒤따를 수 있다.

=== 동사구 ===

샨어에서는 연쇄 동사 구문이 많이 사용된다. 동사 (군)에는 법의 표지, 부정사, 지속상의 표지가 선행하며, 완료상의 표지가 후속한다.

6. 1. 명사구

샨어의 명사는 이를 수식하는 형용사, 유형사, 지시사 등이 뒤따를 수 있다.

6. 2. 동사구

샨어에서는 연쇄 동사 구문이 많이 사용된다. 동사 (군)에는 법의 표지, 부정사, 지속상의 표지가 선행하며, 완료상의 표지가 후속한다.

7. 대명사

인칭대명사IPA의미[7]
1인칭ၵဝ်[kǎw]나 (비격식)
တူ[tǔ]나 (비격식)
ၶႃႈ[kʰaː]나 (격식) "하인, 노예"
ႁႃး[háː]우리 둘 (친숙/이중)
ႁဝ်း[háw]우리 (일반)
ႁဝ်းၶႃႈ[háw.kʰaː]우리 (격식) "우리 하인, 우리 노예"
2인칭မႂ်း[máɰ]너 (비격식/친숙)
ၸဝ်ႈ[tɕaw]너 (격식) "주인, 영주"
ၶိူဝ်[kʰɤ̂]너희 둘 (친숙/이중)
သူ[sǔ]너 (격식/단수, 일반/복수)
သူၸဝ်ႈ[sǔ.tɕaw]너 (격식/단수, 일반/복수) "너희 주인, 너희 영주"
3인칭မၼ်း[mán]그/그녀/그것 (비격식/친숙)
ၶႃ[kʰǎː]그들 둘 (친숙/이중)
ၶဝ်[kʰǎw]그/그녀/그것 (격식), 또는 그들 (일반)
ၶဝ်ၸဝ်ႈ[kʰǎw.tɕaw]그/그녀/그것 (격식), 또는 그들 (격식) "그들 주인, 그들 영주"
ပိူၼ်ႈ[pɤn]그들, 다른 사람들


8. 사회언어학적 상황

8. 1. 미얀마

2012년 현재, 미얀마 군부 통치 하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소수 민족의 언어 수업을 폐지했지만, 과거 교재를 사용하여 사숙 등에서 언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8]

8. 2. 태국

태국의 샨족 디아스포라 사회에서는 샨족의 민족 정체성 유지를 위해 샨어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샨족 디아스포라가 존재하는 치앙라이 주의 루암차이 마을(가칭)에서는 태국어중국어의 문화적 영향이 강해져 샨어 소멸이 우려되었다. 이 마을에서는 2002년부터 청년 조직 타이 눔(따이 눔/တႆးၼုမ်ႇshn)에 의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샨어와 샨 문화 교육 학습을 진행하는 서머 캠프가 실시되고 있다.

태국 국내 학교 벽에 쓰인 샨어 낙서. 태국어와 중국어, 주음 부호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han https://www.ethnolog[...] 2019
[2] 간행물 Tai identity in Myanmar and beyond https://www.zora.uzh[...]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2016-09
[3] 웹사이트 Refugee Conundrum: Little movement in Myanmar's repatriation schemes https://www.bnionlin[...] 2024-12-10
[4] 서적 From Ancient Thai To Modern Dialects and Other Writings on Historical Thai Linguistics White Lotus Press 1965
[5] 간행물 "Pirated" Transnational Broadcasting: The Consumption of Thai Soap Operas among Shan Communities in Burma https://www.jstor.or[...] 2008-04
[6] 논문 Serial verb constructions in Tai Long Shan https://hdl.handle.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19
[7] 웹사이트 SEAlang Library Shan Lexicography http://sealang.net/s[...] 2020-04-27
[8] 뉴스 母語を守る戦い、ミャンマーの少数民族 https://www.afpbb.co[...] AFPBBNews 2012-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