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자리 엡실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디언자리 엡실론은 인디언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체 지도에 처음 등장했다. 이 항성계는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인 인디언자리 엡실론 A와,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인디언자리 엡실론 B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에는 슈퍼목성형 외계 행성인 엡실론 인디 Ab가 발견되었다. 인디언자리 엡실론은 고유 운동이 크고,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항성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한국 천문학자들도 이 항성계에 대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디언자리 - 글리제 412
글리제 412는 큰곰자리 WX별로도 불리는 X선원 항성계이며, UV Cet형 변광성의 특징을 가진 섬광성이다. - 인디언자리 - 글리제 832 b
글리제 832 b는 적색 왜성 글리제 832를 9.88년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약 64%이고 3.73 AU 거리에서 항성을 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T형 항성 - ULAS1335
- T형 항성 - 2MASS J09393548-2448279
2MASS J09393548-2448279는 2005년 발견된 갈색왜성으로, 500K에서 700K 사이의 유효 온도와 25~40 목성 질량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 발견 당시 가장 어두운 갈색왜성이었다.
인디언자리 엡실론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인디언자리 |
겉보기 등급 | 4.674 ± 0.006 |
특징 | |
분광형 | K5V |
적색 편이 | -0.000134 |
시선 속도 | -40.035 km/s |
고유 운동 (적경) | 3966.661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2536.192 밀리초/년 |
연주시차 | 274.8431 |
절대 등급 | 6.88 |
반지름 | 0.711 ± 0.005 R☉ |
질량 | 0.782 ± 0.023 M☉ |
표면 중력 | 4.63 ± 0.01 |
자전 속도 | 2.00 km/s |
자전 주기 | 35.732 (+0.006/-0.003) 일 |
광도 | 0.21 ± 0.02 L☉ |
유효 온도 | 4,649 ± 84 K |
B-V 색 지수 | 1.056 ± 0.016 |
U-B 색 지수 | 1.00 |
금속 함량 | -0.13 ± 0.06 |
나이 | 35 (+8/-10) 억 년 |
위치 정보 | |
![]() | |
식별 정보 | |
다른 이름 | GJ 845 A, HD 209100 |
다른 이름 (계속) | HIP 108870, HR 8387 |
다른 이름 (계속) | LCC 0180, SAO 247287 |
다른 이름 (계속) | TYC 8817-984-1, WDS J22034-5647 A |
다른 이름 (계속) | 2MASS J22032156-5647093 |
인디언자리 엡실론 B | |
특징 | 갈색 왜성 |
분광형 | T1 / T6 |
겉보기 등급 | 24.12 / 15.60 - 15.67 (I 밴드 변광) |
질량 (Ba) | 66.92 ± 0.36 MJ |
질량 (Bb) | 53.25 ± 0.29 MJ |
반지름 (Ba) | 0.080 - 0.081 R☉ |
반지름 (Bb) | 0.082 - 0.083 R☉ |
표면 중력 (Ba) | 5.43 - 5.45 |
표면 중력 (Bb) | 5.27 - 5.33 |
광도 (Ba) | 2.04e-5 L☉ |
광도 (Bb) | 5.97e-6 L☉ |
표면 온도 (Ba) | 1,352 - 1,385 K |
표면 온도 (Bb) | 976 - 1,011 K |
금속 함량 | -0.2 [M/H] |
인디언자리 엡실론 B 위치 | |
고유 운동 (적경) | 3981.977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2466.832 밀리초/년 |
연주시차 | 270.6580 |
인디언자리 엡실론 Ba에 대한 Bb의 궤도 | |
궤도 장반경 | 661.58 ± 0.37 밀리초각 (2.4058 ± 0.0040 au) |
이심률 | 0.54042 ± 0.00063 |
공전 주기 | 11.0197 ± 0.0076 년 |
궤도 경사각 | 77.082 ± 0.032° |
근점 인수 | 328.27 ± 0.12° |
승교점 황경 | 147.959 ± 0.023° |
식별 정보 (인디언자리 엡실론 B) | |
다른 이름 | 인디언자리 CI별 |
다른 이름 (계속) | GJ 845 B / C |
다른 이름 (계속) | WDS J22034-5647 Ba / Bb |
2. 관측 역사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체 지도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등장했다. 1801년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레르트 보데의 별 지도 ''우라노그래피아''에서 인디언의 왼손에 들린 화살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31]
인디언자리 엡실론은 지름과 질량이 태양의 75% 정도이며, 밝기는 태양의 15% 정도인 K 분광형의 주계열성이다. 이 별은 초당 86km의 속도로 태양에 대해 움직이며, 종족I 항성으로 분류된다. 이는 최소 16개의 다른 별들과 함께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1847년, 하인리히 루이 다레스트는 17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목록에서 이 별의 위치를 비교하여 측정이 가능한 고유 운동을 발견했다. 즉,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별이 천구상에서 위치가 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27] 1882~1883년, 희망봉에서 데이비드 길과 윌리엄 L. 엘킨이 인디언자리 엡실론의 시차를 측정하여 각초의 시차 추정치를 얻었다.[28] 1923년, 하버드 천문대의 할로 섀플리는 0.45 각초의 시차를 얻었다.[29]
1972년, 코페르니쿠스 위성으로 이 별의 자외선 레이저 신호 방출을 조사했으나, 검출에 실패했다.[25] 워싱턴 D.C. 카네기 연구소의 마가렛 턴불과 질 타터는 복잡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17,129개의 가까운 별들을 정리한 목록의 선두에 인디언자리 엡실론을 포함시켰다.[26]
3. 항성계 구성
2003년 1월, 인디언자리 엡실론에서 1500 AU 떨어진 곳에서 갈색 왜성이 발견되었다.[13][14] 이 갈색 왜성은 목성 질량의 40~6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같은 해 8월, 천문학자들은 이 갈색 왜성이 실제로는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2.1AU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5][15] 두 갈색 왜성은 모두 T형 왜성으로, 질량이 더 큰 인디언자리 엡실론 Ba는 T1형, 질량이 작은 Bb는 T7형 분광형을 가졌다.
2024년에는 인디언자리 엡실론을 공전하는 슈퍼목성형 외계 행성인 엡실론 인디 Ab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 행성은 모항성으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 슈퍼목성 중에서도 차가운 온도를 가진 행성으로 분류된다.
3. 1. 인디언자리 엡실론 A
인디언자리 엡실론 A는 분광형 K5V의 주계열성이다. 이 별은 태양 질량의 약 4분의 3[23], 태양반지름의 약 70%이다.[9] 표면 중력은 태양보다 약간 더 높다.[36]
이 별의 금속함량은 헬륨보다 원자 번호가 높은 원소의 비율로, 일반적으로 태양과 비교하여 철 대 수소의 비율([Fe/H])로 표시된다. 인디언자리 엡실론 A는 광구에 태양의 철 비율의 약 74%([Fe/H] = -0.13)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4] 나이는 약 35억 년으로, 태양보다 약간 젊다.[52]
인디언자리 엡실론 A의 별 코로나는 태양과 유사하며, X선 광도는 20W이고, 추정 코로나 온도는 이다. 이 별의 별 바람은 바깥쪽으로 팽창하여 63AU 거리에서 활충격파를 생성한다. 활충격파 하류에서 종단 충격파는 별에서 최대 140AU까지 도달한다.[20]
이 별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 중 Groombridge 1830과 61 백조자리 다음으로 세 번째로 고유 운동이 크며,[21] 전체적으로는 아홉 번째로 높다.[22] 이 운동은 약 2640년 경에 이 별을 두루미자리로 이동시킬 것이다.[41]
인디언자리 엡실론 A는 최소 16개의 제1족성 별로 이루어진 인디언자리 엡실론 이동성 무리의 구성원으로 여겨진다.[17] 이는 유사한 별 역학 공간 속도 벡터를 가진 별들의 연관으로, 같은 시기에 같은 위치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8] 인디언자리 엡실론 A는 태양에 대한 별 역학 공간 속도가 86km/s이며,[36][2] 이는 젊은 별로 간주되는 것치고는 이례적으로 높다.[16]
인디언자리 엡실론에서 보면, 태양은 큰곰자리의 국자 근처에 있는 2.6등급 별이다.[3]
3. 2. 인디언자리 엡실론 B (갈색 왜성 쌍성)
2003년 1월, 천문학자들은 인디언자리 엡실론 A에서 약 1,500 AU 떨어진 곳에서 갈색 왜성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13][14] 이 갈색 왜성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40~60배 정도로 추정되었다.
2003년 8월, 천문학자들은 이 갈색 왜성이 실제로는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며, 서로 약 2.1 AU 떨어져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5][15] 이 두 갈색 왜성은 모두 T형 왜성으로, 질량이 더 큰 인디언자리 엡실론 Ba는 T1~T1.5형, 질량이 작은 인디언자리 엡실론 Bb는 T6형 분광형을 가진다.[35]
분광학 및 측광법 측정을 통해, 진화 모델[11]을 사용하여 이 갈색 왜성들의 물리적 특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 인디언자리 엡실론 Ba와 Bb는 각각 목성 질량의 47 ± 10배와 28 ± 7배,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0.091 ± 0.005배와 0.096 ± 0.005배로 나타났다.[12] 유효 온도는 각각 1300–1340 K과 880–940 K이며, log ''g'' (cm s−1) 표면 중력은 5.50과 5.25, 광도는 태양 광도의 1.9 × 10−5배와 4.5 × 10−6배이다. 예상되는 금속 함량은 [M/H] = –0.2이다.[3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약 2.4 AU 떨어진 궤도를 약 11년의 공전 주기로 공전하며, 그 궤도는 이심률이 약 0.54에 달하는 극단적인 타원형임이 밝혀졌다.
인디언자리 엡실론 B계는 변광성으로, 변광성 종합 목록 (GCVS)에 '''인디언자리 CI별'''이라는 알겔란더 기법에서의 명칭으로 등재되어 있다. 주로 적외선으로 관측되는 I 밴드에서 0.07등급의 겉보기 밝기 변화를 보인다.
3. 3. 인디언자리 엡실론 Ab (행성)
인디언자리 엡실론 Ab는 인디언자리 엡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2년 시선 속도 관측을 통해 존재 가능성이 처음 제기되었다.[10] 2018년에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었고,[33] 2019년에는 시선 속도 관측과 천체측정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공식 발표되었다.[39]
특성 | 값 |
---|---|
질량 | 2.96 ~ 6.31 목성 질량[40] |
궤도 장반경 | 11.08 ~ 28.4 AU[40] |
공전 주기 | 42.9 ~ 171.3년[4] |
궤도 이심률 | 0.40 ~ 0.42[40] |
궤도 경사각 | 103.7 ± 2.3°[40] |
2002년 Michael Endl 등의 연구에서는 목성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행성이 20년 이상의 공전 주기로 존재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66] 2013년 Mathias Zechmeister 등의 연구에서는 30년 이상의 공전 주기를 가진 거대 가스 행성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태양계의 토성 궤도와 유사한 거리였다.
이후 관측 및 분석을 통해 궤도 요소가 수정되었다. 2019년 Fabo Feng 등의 연구에서는 궤도 장반경이 약 11.6AU, 궤도 이심률이 약 0.26, 공전 주기가 약 45년으로 추정되었다. 2023년 분석에서는 궤도 장반경이 11.08AU, 공전 주기가 42.9년, 궤도 이심률이 0.42로 상당히 큰 타원 궤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을 이용한 직접 촬영이 이루어졌고,[42] 2024년에 그 이미지가 공개되었다.[43] 막스 플랑크 천체 물리학 연구소의 Elisabeth Matthews 등 연구팀은 이 천체가 인디언자리 엡실론 A를 공전하는 단일 거대 가스 행성이라고 결론 내렸다. 표면 온도는 275 K(2 ℃)로 추정되며, 이는 지금까지 직접 촬영된 외계 행성 중 가장 낮은 온도이다.[71]
인디언자리 엡실론 A 주변에서는 미행성 충돌로 형성되는 먼지 원반의 존재를 나타내는 과도한 적외선 방출은 감지되지 않았다.[72]
4. 생명체 거주 가능성
워싱턴 D.C. 카네기 연구소의 마거렛 턴불과 질 타터는 지구 근처 17,129개 항성들 중 인디언자리 엡실론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을 거느릴 후보로 꼽았다.[26] 이 별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지아다 아레이가 진화된 생명체의 가능성에 대해 태양과 유사한 별과 M형 별 사이의 '스위트 스폿'에 있는 K형 별로 평가한 다섯 개의 가까운 패러다임 중 하나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Goldilocks" Stars May be "Just Right" for Finding Habitable Worlds
https://www.nasa.gov[...]
2019-02-22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논문
A new catalogue of Strömgren-Crawford uvbyβ photometry
2015-08-01
[6]
간행물
[7]
간행물
[8]
논문
Precise Dynamical Masses of ε Indi Ba and Bb: Evidence of Slowed Cooling at the L/T Transition
[9]
논문
Precision angular diameters for 16 southern stars with VLTI/PIONIER
2020-04
[10]
논문
The planet search program at the ESO Coudé Echelle spectrometer. III. The complete Long Camera survey results
2002
[11]
논문
Evolutionary models for cool brown dwarfs and extrasolar giant planets. The case of HD 209458
2003-05
[12]
논문
ε Indi Ba, Bb: The nearest binary brown dwarf
2004-01
[13]
뉴스
Discovery of Nearest Known Brown Dwarf: Bright Southern Star Epsilon Indi Has Cool, Substellar Companion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6-05-24
[14]
논문
ε Indi B: A new benchmark T dwarf
2003-02
[15]
논문
epsilon Indi B
IAU
2003
[16]
논문
Chromospherically Young, Kinematically Old Stars
2001
[17]
논문
The zeta Herculis, sigma Puppis, ε Indi, and eta Cephei Groups of Old Disk Population Stars
1971
[18]
논문
A model atmosphere of the late type dwarf Epsilon INDI
1980
[19]
간행물
Close encounters of the stellar kind
2015-03
[20]
논문
Modeling the Interstellar Medium-Stellar Wind Interactions of λ Andromedae and ε Indi
[21]
논문
The Visibility of Stars Without Optical Aid
1947
[22]
웹사이트
High Proper Motion Stars: Interesting Areas to View
http://www.rssd.esa.[...]
ESA
2006-08-10
[23]
웹사이트
The 100 nearest star systems
http://www.astro.gsu[...]
Georgia State University
2012-06-11
[24]
논문
Mass-radius relation of low and very low-mass stars revisited with the VLTI
2009-10
[25]
논문
CETI from Copernicus
1975
[26]
웹사이트
2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Aliens
http://www.discover.[...]
Discover
2007-03-02
[27]
논문
On proper motion of ε Indi
1847
[28]
논문
Revue des publications astronomiques. Heliometer determinations of Stellar parallax, in the southern hemisphere, by David Gill and W. L. Elkin
1886
[29]
논문
Epsilon Indi
1923
[30]
논문
High-resolution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brown dwarf ε Indi Ba
[31]
웹사이트
Discovery of Nearest Known Brown Dwarf
http://www.eso.org/p[...]
ESO
2008-07-02
[32]
논문
Debris Disks around Sun-like Stars
http://www.iop.org/E[...]
2008-02
[33]
논문
Detection of the closest Jovian exoplanet in the Epsilon Indi triple system
2018-03-23
[34]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http://www.aanda.org[...]
2007
[35]
간행물
ɛ Indi Ba, Bb: a detailed study of the nearest known brown dwarfs
http://goedoc.uni-go[...]
2010-02
[36]
논문
A model atmosphere of the late type dwarf Epsilon INDI
1980
[37]
논문
The Cosmic Production of Helium
2003-03
[38]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LHS 67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1
[39]
간행물
Detection of the nearest Jupiter analog in radial velocity and astrometry data
2019-10-14
[40]
논문
A temperate super-Jupiter imaged with JWST in the mid-infrared
2024-07
[41]
서적
Patrick Moore's Data Book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A direct detection of the closest Jupiter analog with JWST/MIRI
https://www.stsci.e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07-31
[43]
웹사이트
NASA's Webb Images Cold Exoplanet 12 Light-Years Away
https://science.nasa[...]
NASA Webb Mission Team
2024-07-24
[44]
논문
Low-amplitude Solar-like Oscillations in the K5 V Star ϵ Indi A
2024-04-01
[45]
웹사이트
Discovery of Nearest Known Brown Dwarf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3-01-13
[46]
논문
On proper motion of ε Indi
[47]
논문
Revue des publications astronomiques. Heliometer determinations of Stellar parallax, in the southern hemisphere, by David Gill and W. L. Elkin
[48]
논문
Epsilon Indi
[49]
논문
CETI from Copernicus
[50]
웹사이트
2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Aliens
http://www.discover.[...]
Discover
[51]
웹사이트
"Goldilocks" Stars May be "Just Right" for Finding Habitable Worlds
https://www.nasa.gov[...]
NASA
2019-02-22
[52]
웹사이트
The 100 nearest star systems
http://www.astro.gsu[...]
Georgia State University
2012-01-01
[53]
논문
Modeling the Interstellar Medium-Stellar Wind Interactions of λ Andromedae and ε Indi
[54]
논문
The Visibility of Stars Without Optical Aid
[55]
웹사이트
High Proper Motion Stars: Interesting Areas to View
http://www.rssd.esa.[...]
European Southern Agency
2007-05-04
[56]
문서
インディアン座ε星の空間速度成分が、U = −77 km/s、V = −38 km/s、W = 4 km/s となっているので、これにより全方向の速度成分を考慮した相対的な空間速度は ≒ 86 km/s となる。
[57]
논문
Chromospherically Young, Kinematically Old Stars
[58]
논문
The zeta Herculis, sigma Puppis, ε Indi, and eta Cephei Groups of Old Disk Population Stars
[59]
논문
Close encounters of the stellar kind
[60]
논문
ε Indi B: A new benchmark T dwarf
[61]
간행물
Press Release {{!}} Discovery of Nearest Known Brown Dwarf - Bright Southern Star Epsilon Indi Has Cool, Substellar Companion
https://www.eso.org/[...]
European Southern Agency
2003-01-13
[62]
논문
epsilon Indi B
http://www.cbat.ep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63]
논문
Gaia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 and survey properties
[64]
논문
Evolutionary models for cool brown dwarfs and extrasolar giant planets. The case of HD 209458
[65]
문서
[[ケプラーの法則|ケプラーの第三法則]] に軌道長半径 (天文単位)に 28.4 、主星質量 (太陽質量)に 0.78 を代入して計算
[66]
논문
The planet search program at the ESO Coudé Echelle spectrometer. III. The complete Long Camera survey results
[67]
논문
A direct and differential imaging search for sub-stellar companions to epsilon Indi A
[68]
논문
Imaging search for the unseen companion to ε Ind A – improving the detection limits with 4 μm observations
[69]
arxiv
Detection of the closest Jovian exoplanet in the Epsilon Indi triple system
2018-03-23
[70]
웹사이트
A direct detection of the closest Jupiter analog with JWST/MIRI
https://www.stsci.ed[...]
STScI
2023-05-25
[71]
웹사이트
Webb Directly Images Temperate Super-Jupiter around Epsilon Indi A
https://www.sci.news[...]
2024-07-24
[72]
논문
Debris Disks around Sun-like Stars
[73]
논문
A new catalogue of Strömgren-Crawford uvbyβ photometry
[74]
웹사이트
Result for eps Ind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24-09-12
[75]
논문
Precision angular diameters for 16 southern stars with VLTI/PIONIER
[76]
논문
Low-amplitude Solar-like Oscillations in the K5 V Star ε Indi A
[77]
논문
Detection of the nearest Jupiter analog in radial velocity and astrometry data
[78]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79]
논문
A model atmosphere of the late type dwarf Epsilon INDI
[80]
논문
Precise Dynamical Masses of ε Indi Ba and Bb: Evidence of Slowed Cooling at the L/T Transition
[81]
웹사이트
Result for eps Ind B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24-09-12
[82]
웹사이트
Result for CI Ind
http://www.sai.msu.s[...]
2024-09-12
[83]
논문
ɛ Indi Ba, Bb: a detailed study of the nearest known brown dwarfs
[84]
논문
Mass-radius relation of low and very low-mass stars revisited with the VLTI
[85]
논문
High-resolution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brown dwarf ε Indi Ba
[86]
논문
A temperate super-Jupiter imaged with JWST in the mid-infrared
https://www.nature.c[...]
[87]
웹사이트
Sun Fact Sheet
https://nssdc.gsfc.n[...]
NASA
2024-01-11
[88]
논문
The planet search programme at the ESO CES and HARPS. IV. The search for Jupiter analogues around solar-like stars
[89]
웹사이트
Confirmation of the closest directly detected exoplanet: a super-Jupiter orbiting Eps Ind A
https://www.stsci.ed[...]
STScI
2024-02-29
[90]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LHS 67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1
[91]
웹인용
List of the Nearest 100 Stellar Systems
http://www.chara.gsu[...]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
2007-07-14
[92]
저널
Predicted infrared brightness of stars within 25 parsecs of the sun
http://adsabs.harvar[...]
2007-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