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디 팝은 영국 인디 신에서 발생한 포스트 펑크의 하위 장르로, 1980년대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1990년대에는 틴에이지 펑크럽, 벨 앤 세바스찬 등에 의해 주목받았으며, 일본에서는 네오 아코와 함께 "네오 아코/기타 팝"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디 팝은 1970년대 후반 '인디'와 '대중적인'의 결합으로 시작되었으며, 펑크 록의 DIY 정신과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같은 음악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C86 컴필레이션 앨범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트위 팝, 시부야계, 체임버 팝 등의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한국에서는 플리퍼스 기타가 인디 팝을 소개하며 선구자 역할을 했으며, 브리지, 카지 히데키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디 팝 - 챔버 팝
챔버 팝은 록 음악과 현악 섹션의 조합을 추구하며 심포닉 팝이나 오케스트럴 팝으로도 불리고, 비틀즈와 비치 보이스의 영향으로 발전하여 1990년대 중반 부흥기를 맞았으며, 풍부한 오케스트레이션과 다양한 악기 편성이 특징이다. - 인디 팝 - TV 걸
TV 걸은 트렁 응고와 브래드 피터링을 중심으로 2010년 샌디에고에서 결성된 미국의 밴드로, 샘플델리아, 인디 팝, 로 파이, 일렉트로닉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아 사랑과 배신을 주제로 향수와 슬픔, 냉소와 유머가 공존하는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이미지를 활용한 앨범 커버로도 유명하다. - 영국의 음악 장르 - 브레이크비트
브레이크비트는 1970년대 후반 힙합에서 시작되어 펑크와 재즈 펑크 드럼 브레이크 샘플링을 활용한 음악 장르 및 기법으로, 테이프 및 디지털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전자 음악 장르와 하위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된다. - 영국의 음악 장르 - 트립합
트립합은 1990년대에 등장한 음악 장르로, 저음 강조 드럼 비트와 힙합 비트 샘플을 사용하며 사이키델릭하고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매시브 어택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 DIY 문화 - 콜린 워드
콜린 워드는 영국의 무정부주의 사상가이자 저술가, 교육자로, 아나키즘 이론과 실제, 교육, 도시계획, 주택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프리덤》과 《아나키》의 편집자, 그리고 《도시 속의 아이》를 비롯한 여러 저서를 통해 탈학교, 자율적인 사회 조직, 주택 문제에 대한 아나키즘적 대안을 제시하고 젊은이들의 일상 공간 활용과 도시 환경에 대한 연구로 사회과학계에 영향을 미쳤다. - DIY 문화 - 매그놀리아 네트워크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소유의 미국 텔레비전 채널인 매그놀리아 네트워크는 본래 DIY 네트워크였으나, 칩과 조안나 게인스의 매그놀리아 브랜드로 리브랜딩되어 주택 디자인, 건설, 리모델링 관련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리얼리티 경쟁 프로그램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인디 팝 | |
---|---|
음악 장르 정보 | |
이름 | 인디 팝 |
스타일 기원 | 펑크 록 팝 기타 팝 포스트펑크 인디 록 |
문화적 기원 | 1970년대 후반, 영국 |
파생 장르 | 대안 팝 칠웨이브 |
하위 장르 | 체임버 팝 트위 팝 |
융합 장르 | 일렉트로니카 |
지역별 장면 | 더니든 |
관련 항목 | 인디 록 대안 댄스 대안 R&B 아노락 C86 드림 팝 로파이 음악 뉴 웨이브 노이즈 팝 팝 펑크 노던 소울 |
기타 팝 (기타팝) | |
스타일 기원 | 팝 펑크 록 팝 록 포스트펑크 |
문화적 기원 | 1970년대 후기 |
파생 장르 | 칠웨이브 |
하위 장르 | 체임버 팝 |
관련 항목 | 대안 록 아노락 드림 팝 Lo-Fi 뉴 웨이브 노이즈 팝 팝 펑크 |
인디 팝 (음악 장르) | |
장르 뿌리 | 포스트 펑크 1960년대 걸 그룹 인디 록 파워 팝 |
문화 뿌리 | 1980년대 초반 영국 |
사용 악기 | 보컬 기타 베이스 드럼 |
인기 |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2010년대에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높은 인기 |
하위 장르 | 시에이티식스(C86) 트위 팝 |
2. 역사
인디 팝은 원래 영국의 인디 신에서 발생한 포스트 펑크 장르의 음악이다. 특히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는 1980년대부터 아즈텍 카메라, 더 패스털스, 더 블루벨스 등 많은 기타 팝 밴드들이 활동했던 곳이다. 1990년대에는 틴에이지 펑크럽, 벨 앤 세바스찬 등이 주목받으며 글래스고는 기타 팝 신과 파워 팝 신의 대명사로 여겨지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네오 아코와 함께 "네오 아코/기타 팝"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일본 밖에서는 아즈텍 카메라, 오렌지 주스가 대표적인 인디 팝 밴드로 알려져 있다. 일본 내에서는 프리퍼스 기타가 해외 인디 음악을 일본에 소개한 선구자로 유명하며, 이들의 활동은 1990년대 전반에 유행한 시부야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브릿지, 카지 히데키 역시 일본 기타 팝의 대표적인 존재로 꼽힌다.
2. 1. 기원과 어원
1970년대 후반, "독립"과 "대중적인"의 약자로 "인디"와 "인디 팝"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 당시에는 펑크 록의 DIY 정신에 영감을 받아, 메이저 레이블과 음반 계약을 맺지 않고도 직접 음악을 녹음하고 발매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방식이 주목받았다.[1]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실험적인 음악, 초기 펑크의 반항 정신, 조나단 리치먼과 같은 독특한 음악가들이 인디 팝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9] 모노크롬 셋[6]의 초기 싱글들은 스미스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조니 마는 모노크롬 셋이 없었다면 스미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했다.[7][8]2. 2. 초기 발전
1970년대 후반, "독립"과 "대중적인"의 약자로 "인디"와 "인디 팝"은 같은 의미를 가졌다.[1] 펑크 록의 DIY 정신에서 영감을 받아, 메이저 레이블과 음반 계약을 맺을 필요 없이 직접 음악을 녹음하고 발매할 수 있다는 새로운 생각으로 기타 밴드들이 결성되었다.[1] 인디 팝은 이전의 언더그라운드 록 스타일의 거칠고 진지한 분위기와는 대조적이었으며, 동시대 팝 음악의 화려함과도 거리가 멀었다.[1] 대부분의 인디 팝은 펑크의 단순한 특징뿐만 아니라 "주류 팝의 달콤함과 중독성"도 차용했다.[9]텔레비전 퍼소낼리티즈는 비록 상업적인 성공은 크지 않았지만, 비평가들로부터 높이 평가받았으며, 특히 C86 세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음악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우리가 지금 인디 음악이라고 부르는 것은 스코틀랜드에서 발명되었다"고 언급했다.[11]
2. 3. 스코틀랜드 인디 팝 씬
사이먼 레이놀즈는 "현재 우리가 인디 음악이라고 부르는 것은 스코틀랜드에서 발명되었다"고 언급하며, 1979년 포스트카드 레코드의 등장을 그 예로 들었다.[1] 글래스고는 아즈텍 카메라, 더 패스털스, 더 블루벨스 등 1980년대부터 많은 기타 팝 밴드들의 중심지였다.[1] 1990년대에는 틴에이지 펑크럽, 벨 앤 세바스찬 등이 등장하며 기타 팝 씬과 파워 팝 씬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1]2. 4. C86과 인디 팝의 확산
1986년 ''NME''의 컴필레이션 ''C86''은 1960년대 사이키델릭 사운드와 개러지 록에서 영감을 받은 기타 밴드들을 수록하여 인디 팝 확산에 기여했다.[14] 인디 팝 팬들은 자신들을 'popkids'와 'popgeeks'로, 그들이 듣는 음악을 'p!o!p', 'twee', '아노락', 'C86'으로 불렀다.[1] 스코틀랜드 그룹 더 파스텔스는 힙스터의 '아노락' 전형으로 여겨졌는데, 그들의 느긋한 멜로디, 무심한 스트럼, 순진한 태도는 록 밴드의 개념을 변화시켰다.[1]
2. 5. 미국 인디 팝 씬
미국에서는 비트 해프닝의 캘빈 존슨이 워싱턴주 올림피아에 K 레코드(K Records)를 설립했고, 이후 슬럼버랜드와 해리엇 같은 레이블들이 미국 전역으로 이 장르를 확산시켰다.[15]3. 특징
인디 팝은 주류 팝 음악의 상업적인 성공보다는 음악적 실험성과 독립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단순하고 귀에 쏙 들어오는 멜로디, 사랑과 관련된 가사, 남녀 보컬의 조화 등이 특징이다.[9] 아마추어적인 감성과 DIY 정신을 바탕으로, 소규모 레이블을 통해 음악을 발표하는 경우가 많다.[1] "인디" 장르 내에서는 진정성 문제가 특히 중요하게 여겨지며, 주류에 편입되어 타락하는 것을 경계하는 경향이 있다.[9]
대부분의 인디 음악은 "60년대 스타일의 기타 장글"에 관한 것이다.[1] 인디 팝은 이전의 언더그라운드 록 스타일의 거칠고 진지한 음색과는 대조적이었으며, 동시대 팝 음악의 화려함과도 거리가 멀었다.[1] 인디 록의 불안감과 거침과는 구별되는[3] 대부분의 인디 팝은 펑크의 단순한 특징뿐만 아니라 "주류 팝의 달콤함과 중독성"도 차용한다.[9]
인디 팝 팬들은 자신들을 ''popkids''와 ''popgeeks''로, 듣는 음악을 ''p!o!p'', ''twee'', 아노락, ''C86'' 등으로 부른다.
4. 관련 장르
인디 팝과 관련된 장르로는 트위 팝, 시부야계, 체임버 팝 등이 있다. 트위 팝은 인디 팝의 하위 장르로, 단순함과 순수함, 남녀 보컬의 조화, 귀에 맴도는 멜로디, 사랑을 주제로 한 가사 등이 특징이다.[20] 시부야계는 1990년대 일본에서 유행한 스타일로, 많은 밴드들이 미국의 주요 인디 레이블을 통해 음반을 배급했기 때문에 인디 팝 애호가들에게 인기를 얻었다.[21] 체임버 팝은 풍성한 오케스트레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 팝의 하위 장르이다.[3]
4. 1. 트위 팝 (Twee Pop)
트위 팝은 인디 팝의 하위 장르로,[3] C86에서 유래했다. 극도의 단순함과 순수함, 남녀 보컬의 하모니, 귀에 맴도는 멜로디, 사랑을 주제로 한 가사 등이 특징이다.[20] 오랫동안 대부분의 밴드는 영국의 사라 레코드와 미국의 케이 레코드를 통해 음반을 유통했다.[20]
4. 2. 시부야계 (Shibuya-kei)
는 1990년대 일본에서 유행한 스타일로, 많은 밴드들이 매터도어나 그랜드 로열과 같은 주요 인디 레이블을 통해 미국에서 배급되었기 때문에 인디 팝 애호가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이 장르의 일본 그룹 중에서는 피자카토 파이브가 미국에서 가장 주류에 가까운 성공을 거두었다.[21]4. 3. 체임버 팝 (Chamber Pop)
체임버 팝은 풍성한 오케스트레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 팝의 하위 장르이다. 브라이언 윌슨과 버트 벅래치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3] 루이 필립이 엘 레코드를 위해 제작한 대부분의 음악들은 이 장르를 특징짓는 정교한 오케스트라와 보컬의 사용을 보여준다.[22] 반면 디바인 코메디는 브릿팝 시대 가장 인기 있는 체임버 팝 밴드였다.[23]5. 한국의 인디 팝
프리퍼스 기타는 해외 인디 음악을 한국에 소개하며 인디 팝의 선구자로 알려졌다.[1] 이들의 활동은 1990년대 전반에 유행한 시부야계에도 영향을 미쳤다.[1] 브리지, 카지 히데키도 한국 인디 팝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꼽힌다.[1]
6. 주요 아티스트
참조
[1]
논문
Twee as Fuck: The Story of Indie Pop
https://web.archive.[...]
2005-10-24
[2]
웹사이트
Washed Out: ''Within and Without''
http://theweek.com/a[...]
2011-07-22
[3]
웹사이트
Indie Pop
http://www.allmusic.[...]
[4]
웹사이트
10 Canadian jangle and indie pop bands that will improve your day
http://www.aux.tv/20[...]
2014-04-14
[5]
웹사이트
The Best Indie-Pop of 2013
http://www.popmatter[...]
2013-12-05
[6]
웹사이트
The Monochrome Set
https://shop.tapeter[...]
2023-04-30
[7]
웹사이트
The Monochrome Set
https://www.cccb.org[...]
2023-04-30
[8]
뉴스
The Monochrome Set: Remembering the band that history forgot
https://www.theguard[...]
2023-04-30
[9]
논문
…This little ukulele tells the truth': indie pop and kitsch authenti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Rough Guide to Rock
Rough Guides
[11]
웹사이트
Big Gold Dream: Norman Blake, Russell Burn, Tam Dean Bum, Grant McPhee: Amazon Digital Services LLC
https://www.amazon.c[...]
2018-05-07
[12]
웹사이트
Record Bin: The jangling pop brilliance of The Go-Betweens' "16 Lovers Lane"
https://noogatoday.6[...]
2019-09-02
[13]
웹사이트
Beat Happening - Beat Happening
http://www.allmusic.[...]
2015-03-25
[14]
뉴스
C86 sound jangles on in the Japanese indie scene
http://www.japantime[...]
2013-07-10
[15]
웹사이트
The 25 Best Indie Pop Albums of the ’90s
https://pitchfork.co[...]
2022-10-27
[16]
논문
Friday 22 July
http://planbmag.com/[...]
Plan B Magazine Blog
2016-01-12
[17]
간행물
CD86 - 48 tracks from the birth of indie pop
https://www.sainteti[...]
Sanctuary Records
2024-11-06
[18]
뉴스
The Birth of Uncool
http://arts.guardian[...]
2006-10-25
[19]
웹사이트
The C86 indie scene is back!
https://web.archive.[...]
2012-01-02
[20]
웹사이트
Twee Pop
http://www.allmusic.[...]
[21]
웹사이트
Japanese Indie Pop: The Beginner's Guide to Shibuya-Kei
http://www.laweekly.[...]
2011-04-13
[22]
웹사이트
The Ocean Tango
http://www.ondarock.[...]
2010-01-12
[23]
웹사이트
The Divine Comedy: Foreverland
https://www.popmatte[...]
2021-01-07
[24]
논문
Twee as Fuck: The Story of Indie Pop
http://pitchfork.com[...]
2020-12-11
[25]
논문
…This little ukulele tells the truth': indie pop and kitsch authenti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10 Canadian jangle and indie pop bands that will improve your day
http://www.aux.tv/20[...]
2020-12-11
[27]
웹사이트
The Best Indie-Pop of 2013
https://www.popmatte[...]
2020-12-11
[28]
웹사이트
Washed Out: Within and Without
https://theweek.com/[...]
2020-12-11
[29]
웹사이트
Indie Pop
2020-12-11
[30]
서적
Words and Music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31]
서적
The Rock Snob's Dictionary: An Essential Lexicon Of Rockological Knowledge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32]
웹사이트
Snail Mail {{!}} Biography & History
2020-12-28
[33]
웹사이트
Clairo {{!}} Biography & History
2020-12-28
[34]
웹인용
Indie pop
http://www.allmusic.[...]
2012-1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기아, 인디 싱어송라이터 ‘우효’와 손잡고 브랜드 철학 담은 노래 공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