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혁개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의 집단화 해체,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의 민영화 등을 포함한다.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시작되어 2001년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을 거치며 중국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농업 생산성 향상, 산업 발전, 대외 개방을 통해 경제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소득 불평등 심화, 환경 문제, 정치 개혁의 부족, 부패 문제 등 사회적 문제도 야기했다. 시진핑 집권 이후에는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동부유'를 강조하며 개혁의 방향성이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자유화 - 금융 빅뱅
    금융 빅뱅은 1986년 런던 증권 거래소의 규제 완화를 통해 금융 시장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조치로, 고정 수수료 폐지, 거래소 회원 자격 개방, 겸업 허용 등을 포함하며 런던을 국제 금융 중심지로 부상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윔블던 현상, 빈부 격차 심화, 금융 위기 영향 등 논쟁도 존재한다.
  • 경제 자유화 - 염철론
    염철론은 한 무제 사후 곽광이 소집한 염철회의 내용을 정리한 책으로, 법가와 유가 간의 전매제 유지 여부에 대한 논쟁을 담아 당시의 정치, 사회, 경제, 사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 중국의 개혁 - 남순강화
    남순강화는 1989년 천안문 사건과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중국 내 개혁개방 논쟁이 심화되자 덩샤오핑이 1992년 중국 남부 지역을 순방하며 시장경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개혁·개방을 촉구한 활동으로, 중국 경제 성장과 공산당 내 개혁파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중국의 개혁 - 지정은제
    지정은제는 명나라 일조편법을 계승하여 인두세를 폐지하고 지세로 통합함으로써 조세 제도를 간소화한 중국의 조세 개혁 제도이다.
  • 중국의 냉전사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냉전사 - 사인방
    사인방은 문화 대혁명 시기 중국 공산당 내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정적을 숙청하며 문화 대혁명 노선을 따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반혁명 혐의로 처벌받았다.
개혁개방
개혁개방
주요 사건
역사적 사건건국 선언
티베트 침공
위구르 침공
한국 전쟁
중소 분쟁
대약진 운동(대기근)
중인 전쟁
최초의 원폭 실험
문화 대혁명
린뱌오 사건
알바니아 결의
중월 전쟁
중월 국경 분쟁
개혁개방
한 자녀 정책
톈안먼 사건
홍콩 반환
마카오 반환
선저우 5호 유인 우주 비행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상하이 엑스포
미중 무역 전쟁
중국 주식 대폭락 (2015년)
홍콩 민주화 시위
코로나19 팬데믹
늑대 전사 외교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제로 코로나 정책
시진핑 비판 현수막 시위
백지 혁명
선전 일본인 남아 살해 사건
주요 사상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4대 기본 원칙
3개 대표
하나의 중국
과학적 발전관
남해 9단선
일대일로
시진핑 사상
최고 지도자
역대 지도자마오쩌둥
화궈펑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국가 주석마오쩌둥
류샤오치
리셴녠
양상쿤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국무원 총리저우언라이
화궈펑
자오쯔양
리펑
주룽지
원자바오
리커창
리창
주요 조직
정부 기관중국 공산당
당의 지도성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무장 역량
통치 기구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앙정치국
중앙위원회
중앙서기처
중앙군사위원회
중앙기율검사위원회
국가 기구전국인민대표대회
전인대 상무위원회
국가주석
국무원
국가군사위원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국가감찰위원회
최고인민법원
최고인민검찰원
지역중국
화북
동북
화동
화중
화남
서남
서북
홍콩
마카오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관련 정보
관련 이념덩샤오핑 이론
국가자본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선부론
수정주의
시장경제
중국 특색 사회주의
통제경제
유사 개혁도이머이
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2. 역사적 배경

마오쩌둥 시대의 대약진 운동문화대혁명으로 인해 경제가 피폐해지자, 덩샤오핑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4개의 현대화"를 내걸고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시도했다. 이는 선부론으로 대표되는데, 먼저 부유해질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곳부터 부유해지고, 그 영향으로 다른 곳도 부유해지면 된다는 생각이다.

이는 그동안의 교조주의(마오쩌둥 사상)에서 벗어난 상징적인 변화였다. 농촌에서는 1978년 이후 인민공사의 '일대이공(一大二公)'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인민공사는 정부와 경제조직인 공사(公社)가 분리되지 않아 융통성이 없었고, 생산 집체화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농민의 생산 의욕을 떨어뜨렸다. 또한 '식량증산을 경제시책의 중심에 둔다(以糧爲綱)'는 정책으로 인해 다각적인 경영이 제한되어 농촌 경제 전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생산책임제를 도입, 경영 자주권을 보장하여 농민의 생산 의욕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도시에서는 외자 유치를 장려하여 광둥성 선전, 푸젠성 샤먼 등에 경제특구가 설치되었고, 상하이, 톈진, 광저우, 다롄 등 연안부 여러 도시에 경제기술개발구가 설치되었다. 화교선진국 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자본과 기술 이전을 꾀하는 한편, 기업의 경영 자주권을 확대하는 등 경제 체제 개혁도 진행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의 두 단계로 시장 개혁을 진행했다. 1단계에서는 농업의 집단화 해체, 외국인 투자 유치, 기업가들의 사업 시작 허용 등이 이루어졌지만, 상당수의 산업은 여전히 국유화 상태였다. 2단계에서는 많은 국영 기업의 민영화와 위탁 경영이 이루어졌고, 보호 무역주의 정책과 규정이 해제되었다. 그러나 은행석유 산업과 같은 경제의 지배적 부문에서는 국가 독점이 유지되었다.

베이징대학교의 장웨이잉 교수는 “처음 15년 동안은 가격 자유화에만 몰두했다”고 분석하고 있다.[210] 1984년 10월, 중국 공산당은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채택하여 시장 메커니즘에 대한 중국 정책 입안자들의 사고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6] 이 '결정'은 계획경제가 사회주의 발전의 유일한 방법이 아니며, 이전의 상품경제를 제한하는 정책이 사회주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점을 인정했다.[56]

개혁·개방 정책은 동시에 중국 사회에 큰 모순을 낳았다.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연안부와 내륙부에 경제 격차가 확대되어, 관료의 부패가 한층 심각해졌다.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도 눈에 띄게 늘었고, 공산당에 대한 불만은 높아졌다. 1989년에는 천안문 사건이 발생하여, 개혁·개방은 일시 중단하였다.

2. 1. 마오쩌둥 시대의 경제 정책

마오쩌둥 시대에는 대약진 운동문화대혁명과 같은 경제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중국 경제에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했다.[52][53][54][55]

정책시행 기간내용결과
대약진 운동1958년 ~ 1962년급격한 산업화와 집단화 추진대규모 기근 발생, 수천만 명 사망
문화대혁명1966년 ~ 1976년마오쩌둥 권력 강화를 위한 정치 운동, 지식인/전문가 탄압경제 혼란, 생산 시설 파괴



이 시기 중국의 경제 정책 실패는 한국에게 반면교사가 되었다. 한국은 중국의 사례를 통해 무리한 경제 개발 계획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보다 신중하고 점진적인 경제 발전을 추구하게 되었다.

2. 2. 개혁의 필요성 대두

마오쩌둥 시대의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으로 경제가 피폐해지자, 덩샤오핑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4개의 현대화"를 내걸고 시장경제 체제로의 이행을 시도했다.[18] 이는 선부론으로 대표되는데, 먼저 부유해질 조건을 갖춘 곳이 먼저 부유해지고, 그 영향으로 다른 곳도 부유해지면 된다는 사상이다.[19] 이는 기존의 절대평등주의에서 벗어난 상징적인 변화였다.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10월 화궈펑예젠잉, 왕둥싱과 함께 사인방을 체포하여 문화대혁명을 종식시켰다. 화궈펑은 국가 경제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생산력 해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20] 그는 "소련식 대규모 산업화와 자본주의 세계에 대한 개방"을 결합했으며, 그의 지도 아래 중국은 최초의 경제특구를 개방하고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20]

1978년 12월, 덩샤오핑과 그의 개혁파 동지들이 화궈펑을 대신하여 최고 지도자가 된 후 경제 개혁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덩샤오핑이 권력을 잡았을 때, 엘리트들 사이에서는 경제 개혁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가 있었다.[21] 덩샤오핑의 정책은 당 내 보수파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국가 부의 증대에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개혁은 농촌 지역에서 인민공사를 해체하고 생산책임제를 도입하여 농민의 생산 의욕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도시 지역에서는 외자 유치를 장려하여 광둥성선전, 푸젠성아모이 등에 경제특구가 설치되었고, 상하이, 톈진, 광저우, 다롄 등의 연안 도시에는 경제기술개발구가 설치되었다. 화교선진국 자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자본과 기술 이전을 꾀하는 한편, 기업의 경영 자주권을 확대하는 등 경제 체제 개혁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개방 정책은 동시에 중국 사회에 큰 모순을 낳았다.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연안부와 내륙부 간 경제 격차가 확대되었고, 관료의 부정부패는 심각해졌다. 인플레이션과 실업도 눈에 띄게 늘었고, 공산당에 대한 불만은 높아졌다. 1989년에는 천안문 사건이 발생하여 개혁·개방은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

3. 시장 경제 이행기 (1978년~1992년)

1979년 덩샤오핑이 승인한 최초의 특수경제구역 중 하나인 선전에 있는 덩샤오핑의 초상


1979년,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 목표를 강조하고 "샤오캉" 혹은 "중등도의 풍족한 사회"라는 개념을 제시했다.[23][24][25] 싱가포르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룬 리콴유의 업적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덩샤오핑은 경제 성장, 기업가 정신, 그리고 반대 의견을 억압하는 정책을 모방하고자 했다. 2만 2천 명이 넘는 중국 관리들이 싱가포르의 방법을 배우기 위해 파견되었다.[26]

이 시기의 개혁은 지역적 실험으로 시작되어 성공이 입증된 후 다른 곳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7] 이는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는 대조적인 하향식 접근 방식이었으며, 중국 경제 전환의 성공 요인으로 평가받는다.[28]

덩샤오핑은 농업과 산업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고, 외국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개방 정책을 펼쳤다.

당시 중국 공산당 총서기였던 후야오방은 총리였던 조자양과 함께 개혁을 실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덩샤오핑 외에도 후야오방, 조자양, 시중쉰(시진핑의 아버지), 완리, 후치리 등이 개혁을 지지했다.[43][44][45] 천윈은 덩샤오핑 다음으로 권력이 센 인물로, 개혁에 대해 더 보수적인 입장을 가졌다.[46][47][48] 덩샤오핑이 경제 개혁의 설계자로 인정받지만, 천윈은 계획과 건설에 더 직접적으로 관여했으며, 덩샤오핑 측의 많은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을 이끌었다.[47][49] 두 세력은 천윈이 1995년 사망할 때까지 개혁의 방향을 놓고 갈등을 벌였다.[47][48][49]

천윈은 시장을 활용하되, 전체 계획의 범위 내에서 자원을 배분해야 한다는 "새장 경제(鳥籠經濟)"를 주장했다.[50][51] 그는 "새장은 계획이고,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새장 안에서 새[경제]는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날 수 있다"고 말했다.[47][51] 천윈과 리시엔녠 등 보수적인 지도자들은 덩샤오핑이 지지한 주요 특수경제구역인 선전을 방문하지 않았다.[51]

1984년 10월, 중국 공산당은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채택하여 시장 메커니즘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다.[56] 이 ''결정''은 계획경제가 사회주의 발전의 유일한 방법이 아니며, 이전의 상품경제를 제한하는 정책이 사회주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점을 인정했다.[56]

1986년, 조자양 총리와 지도부는 쇼크 요법과 같은 급진적인 가격 개혁 대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60] 그러나 1988년 가격 자유화 계획은 인플레이션 급등과 시위, 뱅크런 등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중단되었다.[61]

3. 1. 농업 개혁

1970년대 말, 중국은 심각한 식량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정부 관리들은 수천만 명이 사망한 대약진 시절의 1959년 재앙이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29]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여 덩샤오핑은 농업 집단화를 해체하고 토지를 사유지로 나누는 가구 책임제를 도입하였다.

새로운 정책에 따라 농민들은 정부에 일정량의 곡물을 판매하는 조건으로 자신의 토지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30] 이 조치는 1975년부터 1985년 사이에 농업 생산량을 25% 증가시켰으며,[30] 이는 경제의 다른 부문을 민영화하는 선례가 되었다.

3. 2. 산업 개혁

1970년대 말, 중국 정부는 대약진 시절의 1959년 재앙과 같은 심각한 식량 부족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9] 이에 덩샤오핑은 농업 집단화를 해체하고 토지를 사유지로 나누는 가구 책임제를 도입했다.[30] 농민들은 정부에 일정량의 곡물을 판매하는 조건으로 자신의 토지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1975년부터 1985년 사이에 농업 생산량을 25%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30]

도시 산업에서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혁이 시행되었다. 국영 기업이 계획 할당량 이상의 생산량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가격 체계가 도입되었고, 상품은 계획 가격과 시장 가격으로 모두 판매되어 시민들이 마오쩌둥 시대의 부족 현상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 산업 책임 체계의 채택은 개인이나 단체가 계약에 따라 기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영 기업의 발전을 더욱 촉진했다.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처음으로 사기업 운영이 허용되었고, 점차 산업 생산량의 더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31] 가격 유연성도 증가하여 서비스 부문이 확장되었다.[32]

1978년 12월, 덩샤오핑은 외국 기업에 중국 시장을 개방하는 개방 정책을 발표했다.[33][34] 국민당 시대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가 허용되었다. 덩샤오핑은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관료적 규제와 개입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특수경제구역을 선전, 주하이, 샤먼 등지에 설치했다. 이 지역들은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32] 1979년 1월 31일, 선전석구 산업구가 설립되어 중국 최초의 "개방" 실험 지역이 되었다.[35][36]

1979년 7월, 중국은 중국과 외국인 투자를 활용한 합작 투자에 관한 최초의 법률을 채택했다.[37] 이 법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으로부터 외국 기술과 자본을 유치하고 흡수하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중국의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을 촉진하여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37]

위안갱의 지휘 아래 "석구 모델"의 발전이 점차 형성되어 ''시간은 돈이다, 효율은 생명이다''라는 슬로건으로 대표되었고, 이는 중국의 다른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35][38] 1984년 1월, 덩샤오핑선전과 주하이를 처음으로 시찰하여 개발의 "선전 속도"와 특수 경제구역의 성공을 칭찬했다.[39][40]

베이징대학교의 장웨이잉 교수는 “처음 15년 동안은 가격 자유화에만 몰두했다”고 분석하고 있다.[210]

3. 3. 톈안먼 사건과 개혁의 중단

1980년대 중국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비효율적인 국영 부문의 경제적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막대한 손실은 국가 수입으로 메워야 했고, 이는 경제에 큰 부담이 되었다.[66] 1985년, 1988년, 1992년에는 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되었다.[62]

선전 석구의 슬로건 "시간은 돈이다, 효율은 생명이다"는 "선전 속도"를 나타낸다.


부패인플레이션 증가는 사람들의 불만을 증폭시켰고, 이는 결국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이어졌다.[62] 이 사건 이후 여러 핵심 개혁가들이 축출되거나 개혁을 되돌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62] 많은 개혁파 관리들이 투옥되거나 망명했다.[61]

그러나 덩샤오핑은 자신의 개혁을 고수했고, 1992년 남순 강화에서 개혁을 계속할 필요성을 재확인했다.[63] 그의 격려 덕분에 1990년 11월 상하이 증권거래소마오쩌둥에 의해 폐쇄된 지 40년 만에 재개장되었고, 같은 해 12월 선전 증권거래소도 설립되었다.[64][65]

4. 사회주의 시장 경제 (1992년~)

1989년 톈안문 사건 이후에도 덩샤오핑은 개혁을 고수했고, 1992년 남순 강화를 통해 개혁 지속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63] 그의 격려로 1990년 11월 상하이 증권거래소마오쩌둥에 의해 폐쇄된 지 40년 만에 재개장되었고, 같은 해 12월 선전 증권거래소도 설립되었다.[64][65] 덩샤오핑과 달리, 천윈을 위시한 보수 원로들은 지나치게 자유방임적인 시장 경제와 경제 주요 부문에 대한 국가 통제 유지 사이의 균형을 강조했다. 천윈은 정부 관료 내 특수 이익 집단의 이익을 해칠 수 있는 정책을 막아 경제 유지에 기여했다.[63]

이 시기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비효율적인 국영 부문의 경제적 어려움은 커졌다. 막대한 손실은 국가 수입으로 메워야 했고, 이는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66] 1985년, 1988년, 1992년에는 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되었다.[62] 1992년 이후 민영화가 가속화되면서 민간 부문GDP 비중이 증가했다. 중국 정부는 1988년 국영 부문의 "보완"으로, 1999년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중요 구성 요소"로 민간 경제를 점차 인정했다.[67]

1984년 10월, 중국 공산당은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채택하여 시장 메커니즘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6] 이 결정은 계획경제가 사회주의 발전의 유일한 방법이 아니며, 이전의 상품경제 제한 정책이 사회주의 발전을 저해했음을 인정했다. 이후 개혁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계획 상품 경제 건설에 초점을 맞췄다.[56]

사기업 통제와 정부 개입은 계속 감소했는데, 특히 1985년 가격 통제 완화[15]와 가구책임제 도입을 통해 농업 식품 부문에서 두드러졌다. 운영 불가능한 국영 기업의 소규모 민영화도 이루어졌다. 주목할 만한 발전은 국가 통제의 분권화로, 지방 정부 지도자들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영 부문을 민영화할 방법을 실험할 수 있게 되었다.[57] 명목상 지방 정부 소유지만 사실상 사기업인 향진기업은 국영 부문을 희생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69] 위안 갱의 도움으로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 상업은행인 중국상업은행과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 보험 회사인 평안보험이 석구(Shekou)에 설립되었다. 1984년 5월, 상하이, 광저우, 톈진 등 14개 연안 도시가 "개방 연안 도시"로 지정되었다.[58][59]

250x250px

4. 1. 장쩌민-주룽지 시대의 개혁 심화

1992년 이후 개혁개방이 다시 추진되면서 경제 성장이 급속도로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 연해 지역과 내륙 지역 간의 지역 격차는 심화되었고, 특히 농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하에서 장쩌민-주룽지 정권은 격차 해소와 한층 더 심화된 경제 개혁에 나섰다. 격차 해소를 위한 서부 대개발, 국영 기업 개혁에 따른 실업자 증가, 농민공 문제, 삼농 문제 등 새로운 문제들도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안고 있으면서도 중국 경제는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성장했고, 생산대국일 뿐만 아니라 거대한 시장으로서도 기대를 모았다.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달성한다.[223]

상하이의 금융 중심구 루자쭈이

4. 2. 후진타오-원자바오 시대의 조정

2002년 후진타오 정권이 발족하였다. 2020년의 GDP을 2000년의 4배(연평균 7.2% 성장)로 설정하여 중진국으로 도약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小康社會) 건설을 새로운 목표로 내걸었다.[223] '샤오캉'(小康)은 백성을 다스려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로, 의식주 문제 해결을 넘어 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의식주가 충분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연안 지역뿐만 아니라 내륙 지역의 경제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03년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원자바오를 총리로 선출하여 주룽지의 경제개혁을 계승하였다. 2004년에는 사유재산권 보호를 명기한 헌법 개정안을 채택하고, 국유기업 개혁을 위한 정책도 제시하였다. 2007년에는 사유재산 보호를 명기한 물권법과 국내외 기업 간 소득세율 격차를 줄이는 기업소득세법을 채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엑스포 개최는 개혁·개방 정책의 진전을 보여주었다.

후진타오 정권은 각 계층 간 조화로운 사회를 의미하는 '화해 사회(和諧社會)' 실현을 목표로 하였다.

4. 3. 시진핑 시대의 변화

시진핑이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에, 리커창이 국무원 총리에 취임한 2013년 이후, 중국은 소득 격차, 부패, 경제 성장 둔화, 미중 무역 전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211][21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과 함께 예상되었던 중국 민주화 운동은 활성화되지 않고 침묵 상태를 유지했다.

5. 개방 정책

2006년 중국의 수출 분포


중국 정부는 1978년 경제 체제 개혁을 결정하면서 대외 개방 정책도 함께 계획했다. 1980년부터 광둥성의 선쩐, 주하이(珠海), 산터우(汕頭), 푸젠성의 샤먼(아모이) 및 하이난성에 5개의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1984년에는 다롄(大連), 친황다오(秦皇島), 톈진(天津), 옌타이(煙台), 칭다오(青島), 롄윈강(連雲港), 난퉁(南通), 상하이(上海), 닝보(寧波), 원저우(温州), 푸저우(福州), 광저우(廣州), 잔장(湛江), 베이하이(北海) 등 14개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이후 중국은 연해, 연강(강 주변), 연변(국경 주변), 내륙 지역을 아우르는 전방위적, 다차원적, 광범위한 대외 개방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대외 개방 지구에서는 다양한 우대 정책을 실시하여 외향형 경제 발전, 수출 확대, 선진 기술 도입 등의 면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5. 1. 경제특구 설치와 연해 도시 개방



1978년 중국 정부는 경제 체제 개혁과 함께 대외 개방 정책을 계획했다. 1980년부터 광둥성의 선쩐, 주하이(珠海), 산터우(汕頭), 푸젠성의 샤먼(廈門) 및 하이난성에 5곳의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1984년에는 다롄(大連), 친황다오(秦皇島), 톈진(天津), 옌타이(煙台), 칭다오(青島), 롄윈강(連雲港), 난퉁(南通), 상하이(上海), 닝보(寧波), 원저우(温州), 푸저우(福州), 광저우(廣州), 잔장(湛江), 베이하이(北海) 등 14개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1985년 이후,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민난삼각주(샤먼(廈門)·취안저우(泉州)·장저우(漳州)), 산둥반도, 랴오둥반도, 허베이성, 광시 좡족 자치구를 경제개방구로 지정하여 연해 경제 개방 지대를 형성했다.

1990년 중국 정부는 상하이(上海) 푸둥신구(浦東新区) 개발과 개방을 결정하고, 장강 연안 도시들의 개방을 추진하여 푸둥 신구를 중심으로 하는 장강 개방 지대를 형성했다. 1992년 이후에는 변경 도시나 내륙의 모든 성도(省都)와 자치구 수도를 개방했다. 이어서 15곳의 보세구(保税区), 49곳의 국가급 경제 기술 개발구와 53개소의 첨단 기술 산업 개발구를 개설했다.

이처럼 중국은 연해, 연강(강을 낀 지역), 연변(국경과 인접한 지역), 내륙 지구를 연결하여 전방위적이고 다차원적이며 광범위한 대외 개방 구조를 형성하였다. 대외 개방 지구에서는 다양한 우대 정책을 실시하여 외향형 경제 발전, 수출 확대, 선진 기술 도입 등에서 성과를 거두었다.[52][53][54][55]

5. 2. 경제개방구 확대와 내륙 지역 개방

1978년 중국 정부는 경제 체제 개혁과 함께 대외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1980년부터 광둥성의 선쩐, 주해, 산두, 푸젠성의 하문(아모이) 및 하이난성에 5개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1984년에는 대련, 진황도, 천진, 연태, 청도, 연운항, 남통, 상해, 영파, 온주, 복주, 광주, 담강, 북해의 14개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1985년 이후, 장강 삼각주(창장 삼각주), 주강 삼각주(주장 삼각주), 민난 삼각지대(하문·천주·장주), 산둥반도, 랴오둥반도, 허베이성, 광시 좡족 자치구를 경제개방구로 지정하여 연해 경제 개방 지대를 형성했다.

1990년 중국 정부는 상해 포동신구 개발 및 개방을 결정하고, 장강 연안 도시들의 개방을 더욱 확대하여 포동신구를 중심으로 하는 장강 개방 지대를 만들었다. 1992년부터는 변경 도시와 내륙의 모든 성도(省都) 및 자치구 수도를 개방했다. 이후 15개의 보세구(保税区), 49개의 국가급 경제 기술 개발구, 53개의 첨단 기술 산업 개발구를 설치했다.

이처럼 중국은 연해, 연강(沿江), 연변(沿邊), 내륙 지역을 통합하여 전방위적이고 다차원적이며 광범위한 대외 개방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대외 개방 지구에서는 다양한 우대 정책을 통해 외향형 경제 발전, 수출 증진, 선진 기술 도입 등에서 성과를 거두었다.[52][53][54][55]

5. 3. 전방위적 개방 구조 형성



중국은 1978년 경제 체제 개혁과 함께 대외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1980년 광둥성의 선전, 주하이, 산터우, 푸젠성의 샤먼 및 하이난성에 5개 경제특구를 설치했다. 1984년에는 다롄, 친황다오, 톈진, 옌타이, 칭다오, 롄윈강, 난퉁, 상하이, 닝보, 원저우, 푸저우, 광저우, 잔장, 베이하이 등 14개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1985년부터는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민난 삼각주(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산둥반도, 랴오둥반도, 허베이성, 광시 좡족 자치구를 경제개방구로 지정하여 연해 경제 개방 지대를 형성했다.

1990년에는 상하이 푸둥 신구 개발 및 개방을 결정하고, 장강 연안 도시들의 개방을 추진하여 푸둥 신구를 중심으로 하는 장강 개방 지대를 만들었다. 1992년 이후에는 변경 도시와 내륙의 모든 성도(省都) 및 자치구 수부를 개방했다. 또한 15개의 보세구, 49개의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 53개의 첨단기술산업개발구를 설치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국은 연해, 연강(강 주변), 연변(국경 주변), 내륙 지역을 아우르는 전방위적이고 다차원적이며 광범위한 대외 개방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대외 개방 지역에서는 다양한 우대 정책을 통해 외향형 경제 발전, 수출 확대, 선진 기술 도입 등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6. 개혁의 영향 및 평가

중국의 경제 개혁은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켜 중국 신좌파 세력의 반발과 개혁 후퇴 시도를 불러일으켰다. 도시 지역의 빈곤은 사실상 해소되었고 농촌 지역의 빈곤도 크게 감소했으며, 개혁 이전 시대와 비교하여 중국 국민 모두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되었지만, 중국의 지니 계수는 0.45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일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다.[125]

불평등 심화는 중국의 복지 국가 시스템의 점진적인 축소와 해안 지역과 내륙 지방 간의 격차, 특히 내륙 지방의 더 큰 국영 부문 부담에 기인한다.[126] 일부 학자들은 불평등 완화를 위해 복지 국가를 부활시키고 재분배적인 소득세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127] 일부 중국 경제학자들은 국영 독점 기업을 민영화하고 그 수익을 국민에게 분배하면 불평등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28]

개혁개방 이전, 중국 산업은 대체로 침체되어 있었고 사회주의 체제는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유인책을 거의 제공하지 않았다. 이중가격제도의 도입과 기업 경영진의 자율성 확대를 통해 1980년대 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134] 외국 기업과,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사실상 민간 기업인 경우가 많은 새롭게 형성된 향진기업들이 국유기업들과 성공적으로 경쟁하였다. 1990년대까지 대규모 민영화를 통해 향진기업과 국유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민간 부문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했다. 국유 부문의 산업 생산량 비중은 1980년 81%에서 2005년 15%로 감소했다.[135] 외국 자본은 중국 산업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69]

1978년 사실상 산업 후진국이었던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시멘트, 철강, 선박, 섬유 생산국이며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1980년부터 2000년까지 4배 증가했으며, 2000년부터 2006년까지 1억 2,850만 톤에서 4억 1,880만 톤으로 증가하여 세계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136] 1975년부터 1992년까지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139,800대에서 110만 대로 증가했고, 2008년에는 935만 대로 증가했다.[137] 섬유와 같은 경공업은 정부 개입 감소로 인해 더 큰 증가를 보였다. 중국 섬유 수출은 1980년 세계 수출의 4.6%에서 2005년 24.1%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섬유 생산량은 18배 증가했다.[138]

산업체 수는 1980년 37만 7,300개에서 1990년과 1996년에는 거의 800만 개로 증가했다.[140] 다른 동아시아 산업 성장과 비교했을 때, 중국의 산업 성과는 일본을 능가했지만 한국과 대만 경제에는 뒤처졌다.[139]

중국의 무역 흑자는 미국 일각에서 미국 일자리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2000년대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중국산 상품 수입을 제한하기 위해 보호무역 정책을 추진했다. 일부 학자들은 중국의 무역 흑자 증가는 더 발전된 아시아 국가들의 산업이 중국으로 이동한 결과이며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124]

6. 1. 경제적 성과

중국 공산당(CCP)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장 개혁을 두 단계로 진행했다. 1단계는 농업 집단화 해체, 외국인 투자 유치, 기업가들의 사업 시작 허용 등을 포함했다. 2단계는 국영 기업의 민영화와 위탁 경영, 1985년 가격 통제 해제를 포함했다.[15] 2001년 중국은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했고, 이후 민간 부문이 크게 성장하여 2005년에는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했다.[16] 1978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9.5%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다.

1984년, 중국 공산당은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통해 시장 메커니즘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다.[56] 이 결정은 계획경제가 사회주의 발전의 유일한 방법이 아니며, 상품경제를 제한하는 정책이 사회주의 발전을 저해한다고 인정했다.[56] 이후 개혁은 중국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 계획 상품 경제 건설에 초점을 맞추었다.[56]

가구책임제 도입과 1985년 가격 통제 완화[15]를 통해 농업 식품 부문의 사기업에 대한 통제가 감소했고, 지방 정부 지도자들은 경제 성장을 위한 실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57] 향진기업이 국영 부문을 희생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69] 위안 갱(Yuan Geng)의 도움으로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 상업은행인 중국상업은행과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 보험 회사인 평안보험이 석구(Shekou)에 설립되었다. 1984년 5월, 14개 연안 도시가 "개방 연안 도시 (沿海开放城市)"로 지정되었다.[58][59]

1986년, 조자양 총리는 가격 개혁의 충격 요법 대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60] 1988년, 인플레이션 급등으로 가격 자유화 계획이 중단되고 긴축 정책이 시행되었다.[61]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개혁이 잠시 주춤했지만, 덩샤오핑은 1992년 남순 강화에서 개혁 지속을 재확인했다.[63] 1990년 상하이 증권거래소선전 증권거래소가 설립되었다.[64][65]

1992년 이후 민영화가 가속화되고 민간 부문의 GDP 비중이 증가했다. 중국 정부는 민간 경제에 대한 인정을 점차 확대했다.[67]

개혁 기간 동안 정부는 관세 및 무역 장벽을 낮추었고, 중국은 가장 개방적인 대국으로 여겨진다.[143] 2005년 중국 산업 제품의 평균 법정 관세는 8.9%였다. (아르헨티나 30.9%, 브라질 27.0%, 인도 32.4%, 인도네시아 36.9%)[144]

덩샤오핑 집권 이후 특별경제구역(SEZs)을 통해 외국인 투자가 자유화되었다.[146] 1990년대에는 금융 부문이 자유화되었고,[147]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후 서비스 부문이 크게 자유화되었다.[148] 은행, 금융 서비스, 보험, 통신 부문도 외국인 투자에 개방되었다.[149]

상하이 증권거래소


선전 증권거래소


마오쩌둥 시대의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으로 쇠락한 경제를 재건하기 위해 덩샤오핑은 “4개의 현대화”를 내걸고 시장경제 체제로 이행했다. 선부론에 따라, 먼저 부유해질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곳부터 부유해지고, 그 영향으로 다른 곳도 부유해진다는 것이다.

농촌에서는 인민공사가 해체되고 생산책임제가 도입되었다. 도시에서는 외자 활용이 장려되었고, 광둥성선전, 푸젠성샤먼 등에 경제특구, 상하이, 톈진, 광저우, 다롄 등 연안 지역 도시들에 경제기술개발구가 설치되었다.

1992년 이후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었지만, 지역 격차가 심화되고 농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장쩌민(江澤民)·주룽지(朱鎔基) 정권은 격차 해소와 경제 개혁에 나섰다. 서부 대개발, 국영 기업 개혁에 따른 실업자 증가, 농민공 문제 등이 발생했지만, 중국 경제는 “세계의 공장”으로 불릴 정도로 성장했다.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다.

2002년부터 후진타오(胡錦濤) 정권이 출범하여 2020년 국내총생산(GDP)을 2000년의 4배로 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2004년에는 사유 재산권 보호를 명시한 헌법 개정안이 채택되었고, 국유 기업 개혁 정책도 추진되었다.[211][212] 2008년 베이징 올림픽(2008年北京オリンピック)과 2010년 상하이 엑스포(上海国際博覧会|上海万博) 개최도 결정되었다.

2013년 시진핑(習近平)이 집권하면서 소득 격차, 부패, 경제 성장 둔화, 미중 무역 전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新型コロナウイルス) 등의 문제가 발생했지만,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6. 2. 사회적 영향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경제 성장과 함께 빈곤이 크게 감소했지만, 소득 불평등 심화와 같은 새로운 사회 문제가 나타났다.

1978년부터 2005년 사이에 평균 임금은 6배 증가했고,[120] 1978년부터 2001년까지 절대 빈곤은 인구의 41%에서 5%로 감소했다.[121] 그러나 평균 소득과 함께 소득 불평등도 증가하여, 신좌파의 반발을 야기했다.[119]

1992년 이후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도시와 농촌, 연해 지역과 내륙 지역 간의 지역 격차가 심화되었고, 특히 농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장쩌민·주룽지 정권은 서부 대개발 등을 통해 격차 해소를 시도했지만, 국영 기업 개혁에 따른 실업자 증가, 농민공 문제, 삼농 문제 등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했다.

후진타오-원자바오 정권은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을 2000년의 4배로 늘려 중진국이 되는 전략을 추진하고, '샤오캉 사회'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다. '샤오캉'은 의식주가 충분히 해결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된 상태를 의미하며, 연안 지역뿐 아니라 내륙 지역의 경제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각 계층 간의 조화를 이룬 '화하이 사회'를 실현하고자 했다.

시진핑 시대에도 소득 격차, 부패, 경제 성장 둔화 등의 문제는 지속되었고, 미중 무역 전쟁, 코로나19 등의 새로운 문제도 발생했다.

6. 3.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중국의 개혁개방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01년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은 중국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가져왔고, 이는 곧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위상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16] 중국은 세계 및 지역 성장의 원동력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그 영향력이 두드러진다.[123] 아시아 지도자들은 중국의 경제 성장을 "아시아 전체의 성장 동력"으로 평가하기도 한다.[124]

중국의 경제 성장은 한국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수요 증가는 한국, 홍콩, 일본, 대만 등의 수출 증가에 기여했으며, 특히 한국은 대중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하며 경제 성장의 동력을 얻었다.[123]

그러나 중국의 급부상은 한국에게 도전 과제를 안겨주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중국의 무역 흑자가 미국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보호 무역주의 정책을 통해 중국산 상품 수입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144]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중국의 무역 흑자 증가는 더 발전된 아시아 국가들의 산업이 중국으로 이동한 결과일 뿐이며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124]

결론적으로, 중국의 경제 성장은 한국에게 기회이자 도전이다. 한중 양국은 상호 협력과 경쟁 속에서 발전적인 관계를 모색해야 하며, 특히 미중 무역 전쟁과 같은 국제 정세 변화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6. 4.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 미친 영향

중국의 경제 개혁과 그에 따른 경제 발전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 베트남에서는 1986년부터 친중파인 장진(張鎮), 팜반동(范文同), 응웬반린(阮文麟)이 중국과 베트남 관계 개선과 함께 개혁개방과 유사한 도이모이와 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사회주의 지향의 시장경제영어를 추진하게 되었다.[213][214]
  • 1991년에 중국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 경제를 점진적으로 개혁하고 외국인직접투자를 받아들여 중국에 이어 고성장을 달성한 인도P.V. 나라심하 라오덩샤오핑의 영향을 받았으며,[215] 경제개혁의 선구자였던 만모한 싱과 함께 "인도의 덩샤오핑"이라고 불렸다.[216]
  • 북한에서도 1991년 김일성이 생애 마지막 해외 방문지였던 중국을 방문했을 때 덩샤오핑으로부터 개혁개방을 촉구받고 귀국 후 회의에서 라진-선봉 경제무역지대 설치를 결정했다.[217] 또한 1993년 12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는 1994년부터 1996년을 경제 재건을 위한 조정 기간으로 하고, 농업, 경공업, 무역 발전을 중심으로 한 경제 정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218] 김일성은 1980년대부터 중국식 개혁개방을 후계자 김정일에게 배우게 하려 했지만, 의견 차이로 잘 되지 않았다. 그래서 김일성은 1990년대부터 직접 개혁개방을 시도했지만, 1994년에 중도에 병사했다. 뒤를 이은 김정일은 자기 보신을 우선시하여 고난의 행군을 초래하여 경제를 침체시켰고, 개혁개방은 실패했다.[219][220][221]

7. 개혁에 대한 비판과 과제

개혁개방은 경제 성장을 가져왔지만, 여러 비판과 과제에 직면해 있다.

1989년 천안문 사건은 개혁 과정에서 발생한 부패와 인플레이션 증가에 대한 불만이 표출된 사건이었다.[62] 이 사건 이후 일부 개혁가들이 축출되고 개혁이 주춤하기도 했지만, 덩샤오핑은 1992년 남순강화를 통해 개혁을 계속 추진할 것을 강조했다.[63]

천윈 등 보수적인 원로들은 시장 경제의 지나친 자유방임보다는 국가 통제와 시장 경제의 균형을 강조했다.[63]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비효율적인 국영 부문의 어려움과 1985년, 1988년, 1992년의 인플레이션은 문제로 지적되었다.[62]

중국의 경제 전환은 동유럽 국가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중국은 동유럽과 달리 급격한 충격과 인플레이션을 피하며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76] 이는 시장 제도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한 중국 정부의 접근 방식 덕분이었다.[179]

중국의 경제 성장은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해도 괄목할 만하다. 특히 높은 투자율과 자유로운 경제 환경이 성장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있다.[182]

7. 1. 국가 통제 강화 문제

시진핑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가 통제가 강화되어 시장 경제 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17]

7. 2. 소득 불평등 심화 문제

개혁개방 이후 중국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그 이면에는 소득 불평등 심화라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1992년 이후 개혁개방 가속화로 도시와 농촌, 연해 지역과 내륙 지역 간 격차가 커져 사회적 불만으로 이어졌다. 장쩌민·주룽지 정부는 격차 해소와 경제 개혁 심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서부 대개발 과정에서 국영 기업 개혁에 따른 실업자 증가, 농민공 문제, 삼농 문제 등 새로운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으며, 후진타오-원자바오 정부는 '샤오캉 사회' 건설과 '화하이 사회' 실현을 통해 계층 간 조화를 이루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시진핑-리커창 정부 역시 소득 격차, 부패, 경제 성장 둔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미중 무역 전쟁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팬데믹 등 외부적인 도전 과제에도 직면해 있다.

7. 3. 환경 문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었지만, 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경제 성장에만 치중한 나머지 환경 보호를 소홀히 한 결과, 대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환경 문제는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7. 4. 노동 문제

개혁개방 이후 중국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그 과정에서 노동 문제는 심각하게 부각되었다. 특히,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하에서 노동자들의 권리 침해와 저임금 노동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1992년 이후 개혁개방이 가속화되면서 경제는 성장했지만, 도시와 농촌, 연해 지역과 내륙 지역 간의 소득 격차는 심화되었고, 특히 농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장쩌민·주룽지 정권은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경제 개혁을 심화시키려 노력했지만, 국유기업 개혁에 따른 실업자 증가, 농민공(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 문제, 삼농 문제(농업, 농촌, 농민 문제) 등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했다.

8. 결론

중국 경제 개혁은 1978년 덩샤오핑의 주도로 시작된 이후, 중국을 세계 경제 대국으로 성장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개혁개방은 시장 경제 원리를 도입하고, 국영 기업을 민영화하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등 과감한 조치들을 포함했다. 이러한 개혁은 중국 특수경제구 설치와 향진기업 육성 등과 함께 경제 성장을 가속화했다.[52][53][54][55]

그러나 개혁개방은 긍정적인 측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소득 불평등 심화, 환경 오염, 부패 만연, 지역 격차 확대 등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났다.[192] 특히, 신좌파불평등 심화와 국유 자산 유출 문제를 제기하며 개혁개방의 어두운 면을 비판했다.[192] 부동산 위기 또한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202]

후진타오-원자바오 정부는 샤오캉 사회 건설과 화하이 사회 실현을 목표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211][212] 시진핑 정부는 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경제 발전을 지속하려 했지만, 미중 무역 전쟁과 코로나19 팬데믹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경제 개혁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환경 보호, 사회 복지 확충, 지역 균형 발전 등을 통해 모든 국민이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경제 발전과 변화는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미국과의 관계, 일본과의 관계 등 다변화된 외교 전략을 통해 한중 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특히, 독도 문제, 동북공정 등 역사적, 영토적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The Chinese Economic Miracle: Lessons to Be Learnt https://www.jstor.or[...]
[2] 웹사이트 China anniversary: How the country became the world's 'economic miracle' https://www.bbc.com/[...] 2019-09-30
[3] 뉴스 DENG XIAOPING IS DEAD AT 92; ARCHITECT OF MODERN CHINA (Published 1997) https://www.nytimes.[...] 2021-01-12
[4] 뉴스 Analysis What we really know about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ttps://www.washingt[...] 2021-01-12
[5] 서적 Deng Xiaop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China
[6] 웹사이트 关于"总设计师"称谓提法的来龙去脉 http://cpc.people.co[...] 2021-01-12
[7] 웹사이트 Why China's Political Reforms Failed https://thediplomat.[...] 2020-05-03
[8] 뉴스 What the West Gets Wrong About China https://hbr.org/2021[...] 2024-03-24
[9] 웹사이트 The inside story of the propaganda fightback for Deng's reforms https://www.scmp.com[...] 2020-05-01
[10] 서적 The China Miracle: Development Strategy and Economic Reform https://www.jstor.or[...]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03
[11] 서적 The Geopolitics of Globalization: The Consequences for Development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
[12] 뉴스 China Passes Japan as Second-Largest Economy https://www.nytimes.[...] 2020-05-03
[13] 뉴스 China overtakes Japan as world's second-largest economy https://www.theguard[...] 2020-05-03
[14] 서적 The United States vs. China : the quest for global economic leadership https://www.worldcat[...] 2022
[15] 서적 Beef in China: Agribusines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2001
[16] 뉴스 China Is a Private-Sector Economy http://www.businessw[...] 2014-09-30
[17] 논문 Deng Undone: The Costs of Halting Market Reform in China http://www.foreignaf[...] 2014-09-30
[18] 웹사이트 Политика реформ и открытости в Китае https://svoivkitae.c[...] 2023-07-12
[19] 서적 The Chinese economy : transitions and growth https://archive.org/[...] MIT Press 2007
[20] 서적 How China escaped shock therapy : the market reform debate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1
[21]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11-15
[22] 서적 Red Swan: How Unorthodox Policy-Making Facilitated China's Ris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8
[23] 웹사이트 Meet "moderately prosperous" China https://worldin.econ[...] 2020-05-26
[24] 웹사이트 Commentary: Sprinting toward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http://www.xinhuanet[...] 2020-05-26
[25] 논문 Xiao-kang: Deng Xiaoping's socio-economic development target for China https://doi.org/10.1[...] 1998-03-01
[26] 뉴스 In Lee Kuan Yew, China Saw a Leader to Emulate https://sinosphere.b[...] 2015-03-23
[27] 서적 The New China Playbook: Beyond Socialism and Capitalism Viking 2023
[28] 서적 The Political Logic of Economic Reform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29] 문서
[30]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Bedford/St. Martin's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Open Door Policy http://news.bbc.co.u[...] BBC 2019-05-17
[34] 서적 The China-Hong Kong Connection: The Key to China's Open Door Poli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1-16
[35] 웹사이트 Unsung hero of China's opening up is star of Shenzhen museum https://www.scmp.com[...] 2020-09-05
[36] 웹사이트 Shekou Industrial Zone — firsts in reform and opening-up https://www.chinadai[...] 2020-09-05
[37]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
[38] 웹사이트 Shenzhen – from village to city of opportunities https://www.straitst[...] 2020-09-05
[39] 웹사이트 Jan 24–29,1984: Deng Xiaoping visits Shenzhen and Zhuhai – China – Chinadaily.com.cn https://www.chinadai[...] 2020-06-17
[40] 서적 Studies on China's Special Economic Zon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3-15
[41] 웹사이트 Hu Yaobang: an icon of China's reform – and of how little has changed https://www.scmp.com[...] 2021-01-12
[42] 웹사이트 Zhao Ziyang: The forgotten architect of China's economic reforms {{!}} DW {{!}} 14.01.2015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1-01-12
[43] 웹사이트 Xi versus Deng, the family feud over China's reforms https://www.ft.com/c[...] 2021-01-12
[44] 웹사이트 Chinese reform politician Wan Li dies at 98 https://apnews.com/a[...] 2021-01-12
[45] 웹사이트 Hu Qili Urged People Throughout Country to Help Change China With AM-China, Bjt https://apnews.com/a[...] 2021-01-12
[46] 학술지 Differing Visions of China's Post-Mao Economy: The Ideas of Chen Yun, Deng Xiaoping, and Zhao Ziyang https://www.jstor.or[...] 1986
[47] 뉴스 Chen Yun, a Chinese Communist Patriarch Who Helped Slow Reforms, Is Dead at 89 (Published 1995) https://www.nytimes.[...] 1995-04-11
[48] 뉴스 CHEN YUN DIES https://www.washingt[...]
[49] 학술지 Assault on the Reforms: Conservative Criticism of Political and Economic Liberalization in China, 1985–86 https://www.jstor.or[...] 1988
[50] 웹사이트 Bird Cage Economics http://sites.google.[...]
[51] 서적 A Bird in the Cage: Market Reform under Socialism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12
[52] 웹사이트 Inside China's Silicon Valley: From copycats to innovation {{!}} CNN Business https://www.cnn.com/[...] CNN 2018-11-23
[53] 웹사이트 The rise of China's 'Silicon Valley' – CNN Video https://www.cnn.com/[...] 2018-11-19
[54] 웹사이트 A $30 Billion Fortune Is Hiding in China's Silicon Valley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21-10-18
[55] 웹사이트 Xinhua Headlines: The rise of China's Silicon Valley https://web.archive.[...]
[56] 서적 Sovereign Funds: How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Finances its Global Ambition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
[57] 문서 (Brandt, 2008, pp. 17–18)
[58] 뉴스 China's Coastal Cities Seek Foreign Investors https://www.washingt[...] 1984-11-25
[59] 학술지 China Adjusts to the World Economy: The Political Economy of China's Coastal Development Strategy https://www.jstor.or[...] 1991
[60] 서적 How China escaped shock therapy : the market reform debate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1
[61] 서적 How China escaped shock therapy : the market reform debate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1
[62] 문서 (Naughton, 2008, p. 105)
[63] 문서 (Naughton, 2008, p. 114)
[64] 학술지 Was Deng Xiaoping Right? An Overview of China's Equity Markets https://onlinelibrar[...] 2014-09
[65] 웹사이트 An old man's ups and downs in China's stock market https://web.archive.[...]
[66] 문서 (Brandt, 2008, p. 22)
[67] 문서 (Brandt, 2008, p. 19)
[68]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6
[69] 문서 (Rawski, 2008, p. 573)
[70] 문서 (Naughton, 2008, p. 116)
[71] 논문
[72] 뉴스 China's Private Economy Grows Up http://8km.de/2006/1[...] 2006-09-23
[73] 뉴스 China names key industries for state control http://www.chinadail[...] 2006-12-19
[74] 논문
[75] 웹사이트 China's New Healthcare could cover millions more http://www.time.com/[...]
[76] 웹사이트 China's Real Estate Riddle http://www.feer.com/[...] 2009-06-08
[77] 뉴스 Charting China's Economy: 10 Years Under Hu https://www.wsj.com/[...] 2012-11-16
[78] 뉴스 China overtakes Japan as world's second-biggest economy https://www.bbc.com/[...] 2011-02-14
[79] 뉴스 Xi Jinping's Ambitious Agenda for Economic Reform in China http://www.brookings[...] 2013-11-17
[80] 뉴스 Creeping reforms as China gives Shanghai Free Trade Zone go-ahead https://www.washingt[...] 2013-08-25
[81] 뉴스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show of support for state-owned firms 'no surprise', analysts say https://www.scmp.com[...] 2018-09-28
[82] 학술지 China's economic development history and Xi Jinping's "China dream:" an overview with personal reflections 2021-03-15
[83] 웹사이트 Chinese enterprises write Communist Party's role into charters – Nikkei Asian Review https://asia.nikkei.[...]
[84] 뉴스 Commentary: Why Chinese state companies are getting the Communist party's attention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85] 웹사이트 Principles by Ray Dalio https://www.principl[...]
[86] 뉴스 Xi's China: The rise of party politics https://www.ft.com/c[...] 2016-07-25
[87] 뉴스 China and Economic Reform: Xi Jinping's Track Record https://www.nytimes.[...] 2017-03-04
[88] 웹사이트 China's debt-reduction campaign is making progress, but at a cost https://www.atlantic[...] 2023-03-14
[89] 뉴스 As China settles in for trade war, leader Xi emphasizes 'self reliance' https://www.washingt[...] 2018-11-02
[90] 뉴스 China's Xi Speeds Up Inward Economic Shift https://www.wsj.com/[...] 2020-08-12
[91] 뉴스 Half of China's top developers crossed Beijing's 'red lines' https://www.ft.com/c[...] 2021-10-08
[92] 웹사이트 Opinions on Strengthening the United Front Work of Private Economy in the New Era http://www.xinhuanet[...]
[93] 웹사이트 Full Text: Xi Jinping's Speech on Boosting Common Prosperity – Caixin Global https://www.caixingl[...] 2021-10-19
[94] 뉴스 Assessing China's "common prosperity" campaign https://www.brooking[...] 2021-09-09
[95] 뉴스 China stock pickers reshape portfolios on Xi's 'common prosperity' https://www.reuters.[...] 2021-11-03
[96] 학술지 The 1978 Truth Criterion Controversy 1991
[97] 뉴스 40 years ago, Deng Xiaoping changed China — and the world https://www.washingt[...]
[98] 서적 回首1978——历史在这里转折 http://cpc.people.co[...] People's Press
[99] 서적 Reinventing Modern China: Imagination and Authenticity in Chinese Historical Writing https://academic.oup[...]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2-10
[100] 학술지 意识形态的兴衰与知识分子的起落—— "反右"运动与八十年代"新启蒙"的背景分析 https://www.modernch[...]
[101] 학술지 China after the 13th Congress 1988
[102] 학술지 意识形态的兴衰与知识分子的起落—— "反右"运动与八十年代"新启蒙"的背景分析 https://www.modernch[...]
[103] 웹사이트 追忆邓小平:改革开放姓社不姓资 谁走回头路谁下台 http://www.reformdat[...] 2012-12-03
[104] 뉴스 The great pragmatist: Deng Xiaoping https://www.theguard[...] 2008-12-18
[105] 학술지 Comparing the Chinese and Vietnamese Reforms: An Introduction https://www.jstor.or[...] 1998
[106] 웹사이트 North Korean Attitudes Toward China: A Historical View of Contemporary Difficulties https://www.wilsonce[...] 2024-10-27
[107] 웹사이트 上一次中国领导人访问朝鲜时,发生了什么? https://cn.nytimes.c[...] 2024-10-27
[108] 논문 The mirage of the alleged Chinese new left 2024-07-11
[109] 논문 新左派与当代中国知识分子的思想分化 https://www.modernch[...] 2002
[110] 웹사이트 What is the China Model? Understanding the Country's State-Led Economic Model https://www.pbs.org/[...] 2019-05-17
[111] 뉴스 The End of Reform in China https://www.foreigna[...] 2019-06-04
[112] 웹사이트 Carl Minzner on China's Post-Reform Era https://thediplomat.[...] 2018-04-04
[113] 웹사이트 China: Deng Xiaoping era ends with start of Xi era http://www.ejinsight[...] 2018-09-06
[114] 웹사이트 Chinese state tightens grip 40 years after Deng's reforms https://asia.nikkei.[...]
[115] 뉴스 China sparked an economic miracle — now there's a fight over its legacy https://edition.cnn.[...] 2018-12-17
[116] 뉴스 Xi Jinping's turn away from the market puts Chinese growth at risk https://www.ft.com/c[...] 2019-01-15
[117] 서적 2008
[118] 웹사이트 China has socialist market economy in place People's Daily Online 2005
[119] 서적 2008
[120] 서적 2008
[121] 서적 2008
[122] 서적 2008
[123] 서적 2008
[124] 서적 2008
[125] 서적 2008
[126] 서적 2008
[127] 서적 2008
[128] 웹사이트 Completely bury Keynesianism http://finance.sina.[...] 2009-02-17
[129] 서적 2008
[130] 서적 2008
[131] 서적 How China escaped shock therapy : the market reform debate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1
[132] 서적 2008
[133] 서적 2008
[134] 서적 2008
[135] 서적 2008
[136] 서적 2008
[137] 뉴스 China poised to be world’s largest auto market https://www.nbcnews.[...] NBC News 2009-02-04
[138] 서적 2008
[139] 서적 2008
[140] 서적 2008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Politicizing Consumer Culture: Advertising's Appropriation of Political Ideology in China's Social Transition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서적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reconsidered: beyond purge and holocaust Palgrave Macmillan 2011-10-20
[162] 논문
[163] 논문
[164] 뉴스 Autocr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ttps://www.foreigna[...] 2018-05-01
[165] 간행물 China's Economic Transformation http://www.worlddial[...] 2014-09-30
[166] 웹사이트 WTO China – Member information https://www.wto.org/[...] 2020-06-20
[167] 웹사이트 改革开放40年:"引进来"与"走出去" http://www.qstheory.[...] 2020-06-19
[168] 웹사이트 发达国家对华援助"不手软" http://view.163.com/[...] 2020-06-18
[169] 웹사이트 China ForeignAssistance.gov https://www.foreigna[...] 2020-06-18
[170] 웹사이트 中国还需要发达国家的政府援助吗? http://phtv.ifeng.co[...] Phoenix Television 2020-06-18
[171] 웹사이트 Japan to discontinue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for China: Taro Kono https://www.japantim[...] 2020-06-18
[172]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6
[173] 간행물 Economic Development and Freedom: The Legacy of Peter Bauer http://object.cato.o[...] Cato Institute 2014-09-30
[174] 간행물 Can Russia Change? http://www.foreignaf[...] 2014-09-30
[175] 서적 Power and prosperity : outgrowing communist and capitalist dictatorships Basic Books 2000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웹사이트 China's economic census uncovers more fake data https://www.scmp.com[...] 2021-05-20
[187] 웹사이트 Study Suggests That Local Chinese Officials Manipulate GDP https://insights.som[...] 2020-02-11
[188] 웹사이트 Fake figures cloud China's economic data https://asiatimes.co[...] 2021-05-20
[189] 뉴스 China's GDP Growth Pace Was Inflated for Nine Years, Study Finds https://www.bloomber[...] 2019-03-08
[190] 웹사이트 Why China's dramatic economic recovery might not add up http://www.theguardi[...] 2021-05-20
[191] 웹사이트 Chinese province admits falsifying economic data for years https://money.cnn.co[...] 2021-05-20
[192] 뉴스 The Lang-Gu debate: a debate that has not yet ended http://news.hexun.co[...] 2008-10-30
[193] 웹사이트 Each Country's Share of CO2 Emissions https://www.ucsusa.o[...] 2021-05-05
[194] 논문
[195] 뉴스 China Reduced Air Pollution in 7 Years as Much as US Did in Three Decades https://www.bloomber[...] 2023-06-07
[196] 웹사이트 China has Quickly and Sharply Reduced Pollution Since Enacting Strict Policies https://epic.uchicag[...] 2023-06-07
[197] 서적 Hunger and Public Action Clarendon Press
[198] 논문 Capitalist reforms and extreme poverty in China: Unprecedented progress or income deflation?
[199] 서적 Global extreme poverty: present and past since 1820 OECD Publishing
[200] 뉴스 How has Tiananmen changed China? https://www.washingt[...] 2021-05-05
[201] 논문 Corruption and anti-corruption in reform China https://online.ucpre[...] 2000-06-01
[202] 뉴스 The $52 Trillion Bubble: China Grapples With Epic Property Boom https://www.wsj.com/[...] 2021-05-05
[203] 논문 Missile Science, Population Science: The Origins of China's One-Child Policy https://www.jstor.or[...]
[204] 논문 China's New Demographic Reality: Learning from the 2010 Census 2013-09-01
[205] 웹사이트 A look inside the struggles and benefits of China's 'little emperor' generation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5-05
[206] 웹사이트 How China's Demographic Time Bomb Threatens its Economy https://knowledge.wh[...] 2021-05-05
[207] 웹사이트 Cost of child rearing in China hinders baby boom https://www.marketpl[...] 2021-05-05
[208] 뉴스 China's Looming Crisis: A Shrinking Population https://www.nytimes.[...] 2021-05-05
[209] 웹사이트 Could China's population crisis be reaching a point of no return? https://www.scmp.com[...] 2021-05-05
[210] 웹사이트 ヒト・モノ・カネで中国経済成長を総括すると http://jbpress.ismed[...] 2009-05-07
[211]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物権法(人民日報HPより中国語版) http://npc.people.co[...]
[212] 웹사이트 読売新聞HP https://web.archive.[...]
[213] 논문 Vietnam and the making of market-Leninism 2009
[214] 논문 Is the World Bank compatible with the "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 2013-03-01 # Spring 2013을 3월 1일로 가정
[215] 웹사이트 Reassessing India's 'forgotten prime minister' https://www.bbc.com/[...] BBC 2019-05-22
[216] 뉴스 Manmohan is Deng Xiaoping of India: P Chidambaram – Oneindia News News.oneindia.in 2008-05-02
[217] 서적 中国は北朝鮮を止められるか 中朝愛憎の60年を追う 晩聲社 2010-06
[218] 문서 田中 (2006) p.55、朴在勲 (2009) p.49、朴在勲 (2010) pp.27-28 2006-01-01,2009-01-01,2010-01-01 #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219] 서적 金正日を告発する 黄長燁が語る朝鮮半島の実相 2008
[220] 뉴스 【秘録金正日(47)】中国の改革解放を「共産主義捨てた」と一蹴 トウ小平は「なんてばかなやつだ」と激怒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9-16
[221] 서적 中国は北朝鮮を止められるか: 中朝愛憎の60年を追う 2010
[222] 웹사이트 こうして「改革・開放」は始まった_人民中国 http://www.peoplechi[...]
[223] 문서 예기(禮記) 예운(禮運)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