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에이블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에이블링은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를 모두 지닌 용어이다. 긍정적인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촉진하는 상호작용 패턴을 의미하며, 권한 부여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부정적인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특정 문제의 해결을 돕는 행위가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중독, 공의존, 학대 상황에서 나타나며, 문제 행동을 하는 개인의 책임을 제3자가 대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과 연관된 행동 증후군 - 공의존
공의존은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가족 간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비롯되어 인간 관계에 얽매이는 현상을 폭넓게 설명하는 용어이지만, 질병으로 등재되지는 않았으며 자율성 저해 및 관계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 -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과 연관된 행동 증후군 - 성욕과다증
성욕과다증은 과도한 성적 욕구와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생물학적 및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성병 감염, 관계 손상, 중독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인지 행동 치료, 약물 치료 등의 다각적인 접근 방식으로 치료한다. - 심리적 조작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심리적 조작 - 협박
협박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에게 해악을 가할 것을 알려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대한민국 형법상 협박죄로 처벌받고, 다른 범죄의 수단이 되거나 민사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 학대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학대 - 가정폭력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과 지배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해자의 권력 및 통제 욕구, 세대 간 악순환,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보호를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인에이블링 | |
|---|---|
| 심리적 개입 | |
| 유형 | 상담, 심리 치료, 기타 심리적 지원 |
| 목표 | 문제 행동 감소, 삶의 질 향상, 기능 회복 |
| 대상 | 개인, 커플, 가족, 집단 |
| 방법 | 다양한 심리 치료 기법 (인지 행동 치료, 정신 역동 치료 등) |
| 효과 | 심리적 안정,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대인 관계 개선 |
| 윤리적 고려 사항 | 기밀 유지, 동의, 역량, 문화적 민감성 |
2. 긍정적 의미
긍정적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권한부여(empowerment)와 유사하며, 개인이 발달하고 성장하게 하는 대인관계 패턴을 의미하기도 한다.[1] 이러한 패턴은 가족, 혹은 사회적으로 수권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이며, 집단에 권한을 부여하거나 정부체(governmental body) 등에 새롭게 권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1]
긍정적인 용어로서 "인에이블링"은 개인이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작용 패턴을 설명한다.[1] 긍정적인 맥락에서,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촉진하는 반응 패턴을 가리킨다. 이를 통해 개인은 건강한 방향으로 인도된다.
2. 1. 권한 부여
긍정적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권한부여(empowerment)와 유사하며, 개인이 발달하고 성장하게 하는 대인관계 패턴을 의미하기도 한다.[1] 이러한 패턴은 가족, 혹은 사회적으로 수권법(授權法, enabling acts)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이며, 집단에 권한을 부여하거나 정부체(governmental body) 등에 새롭게 권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1] 긍정적인 용어로서 "인에이블링"은 개인이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작용 패턴을 설명한다.[1]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촉진하는 반응 패턴을 통해 개인은 건강한 방향으로 인도된다.[1]2. 2. 사회적 적용
긍정적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권한부여(empowerment)와 유사하며, 개인이 발달하고 성장하게 하는 대인관계 패턴을 의미하기도 한다.[1] 이러한 패턴은 가족, 혹은 사회적으로 수권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이며, 집단에 권한을 부여하거나 정부체(governmental body) 등에 새롭게 권위를 부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긍정적인 용어로서 "인에이블링"은 개인이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작용 패턴을 설명한다.[1] 긍정적인 맥락에서,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촉진하는 반응 패턴을 가리킨다. 이를 통해 개인은 건강한 방향으로 인도된다.3. 부정적 의미
부정적 의미의 인에이블링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접근하였으나 오히려 문제를 지속시키거나 악화시키는 기능 장애적 행동 접근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1][2] 한 개인의 행동이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문제를 일으키거나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임에도, 제3자가 이에 대해 책임지거나 비난을 하거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좋지 못한 행동은 선의에서 비롯된 것도 있고 공포나 불안으로 인하여 어떤 행동을 못할까봐 하는 경우도 있다. 제3자가 책임져주거나 다 받아줄 경우, 이러한 이상행동을 보이는 개인은 그러한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이 자기는 물론 타인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며, 자신의 행동을 바꾸어야 할 필요성이나 압박을 느끼지 못한다.[3]
개인의 어떤 문제 해결을 돕는 행위가 실제로는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지속시키고 악화시키는 문제 행동을 가리킨다[13][12][14] . 제3자의 책임감, 의무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유지하게 된다[13] . 인에이블링은 중독의 환경적 요인의 중심이다[13] .
전형적인 패턴은,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그 공의존 배우자의 조합이다[15][16] . 인에이블러는 알코올 의존자의 문제 행동을 "뒷수습"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13][16][15] . 예를 들어, 직장에 병가 연락을 대신 해주고, 흩어진 술병을 숨기고, 술 구매 비용을 제공하는 것[16] . 그 외에도, 도박 중독 환자의 가족이 도박 중독자를 대신하여 빚을 갚아주는 행동도 인에이블링에 포함된다[17] . 인에이블링에 포함되는 행동으로는 "잔소리・설교・질책", "과잉 간호・뒷수습", "감시" 등이 있다. 또한 환자가 병을 부정하거나, 환자의 변명에 협력하는 것도 포함된다[16] . 인에이블링은 알코올 및 도박 중독 환자의 심리적 성장을 방해하며, 공의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공의존자는 알코올・도박 등 의존 환자의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협력자라고 볼 수 있다.
3. 1. 개념
인에이블링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했으나, 오히려 그 문제를 지속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비정상적 행동을 의미한다.[1][2] 이는 제3자가 문제 행동을 하는 개인의 책임을 대신 지거나, 그 결과를 대신 처리해주는 것을 말한다.[3] 이러한 행동은 선의에서 비롯되거나, 문제 행동을 막으려는 두려움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3]결과적으로 문제 행동을 하는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지 못하고,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3] 예를 들어,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배우자가 환자 대신 직장에 연락을 하거나, 술병을 숨기거나, 술 구매 비용을 제공하는 행동[16], 도박 중독 환자의 가족이 대신 빚을 갚아주는 행동[17] 등이 인에이블링에 해당한다. "잔소리, 설교, 질책", "과잉 간호 및 뒷수습", "감시" 등도 인에이블링에 포함되며, 환자가 병을 부정하거나 환자의 변명에 협력하는 것도 마찬가지다.[16]
인에이블링은 중독의 환경적 요인의 중심이며,[13] 알코올 및 도박 중독 환자의 심리적 성장을 방해하고, 공의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공의존자는 알코올・도박 등 의존 환자의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협력자라고 볼 수 있다.
3. 2. 공의존
공의존(codependency)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중독, 좋지 않은 정신 건강, 미성숙, 무책임, 또는 저조한 성과와 같은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돕는 불균형한 관계를 설명하려는 이론이다.[4][5] 이때 원조나 조장 등의 인에이블링을 하는 사람을 공의존자(codenendent)라고 한다.인에이블링은 물질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과 그들의 파트너, 배우자 또는 부모 사이의 관계에서 관찰될 수 있다. 인에이블링 행동에는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에게 책임을 묻지 못하게 하는 변명이나 손상된 판단력의 결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6] 예를 들어,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그 공의존 배우자의 조합이 전형적인 패턴이다.[15][16] 인에이블러는 알코올 의존자의 문제 행동을 "뒷수습"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13][16][15] 직장에 병가 연락을 대신 해주고, 흩어진 술병을 숨기고, 술 구매 비용을 제공하는 것이다.[16] 도박 중독 환자의 가족이 도박 중독자를 대신하여 빚을 갚아주는 행동도 인에이블링에 포함된다.[17]
부정적인 맥락에서, 개인의 어떤 문제 해결을 돕는 행위가 실제로는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지속시키고 악화시키는 문제 행동을 가리킨다.[13][12][14] 제3자의 책임감, 의무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유지하게 된다.[13] 인에이블링은 중독의 환경적 요인의 중심이다.[13] 인에이블링은 보복에 대한 우려나 직장 손실, 부상 또는 자살과 같은 물질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미칠 결과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6] 부모는 중독된 성인 자녀가 집안일을 돕는 등 집에 기여하지 않고 살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자녀의 변명, 정서적 공격, 자해 위협에 조작당할 수 있다.[7] 이러한 행동들은 알코올 및 도박 중독 환자의 심리적 성장을 방해하며, 공의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증대시킨다.[16] 이러한 공의존자는 알코올・도박 등 의존 환자의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협력자라고 볼 수 있다.
3. 3. 중독
인에이블링은 알코올 의존증, 약물, 도박 등 중독자와 그 공의존 관계에 있는 배우자나 부모 사이에서 흔히 나타난다.[15][16] 배우자는 중독자인 상대 배우자가 술이나 약물에 취해 있을 때, 회사에 대신 병가 전화를 하는 등 중독자에게 닥칠 부정적인 결과를 막으려 한다.[16] 이러한 행동은 중독자가 스스로 책임지거나 자신의 잘못으로 발생한 혼란을 해결하는 것을 막아, 돕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망치는 것이다.[16] 심리치료사 달라인 랜서(Darline Lancer)는 인에이블링을 멈추는 것이 쉽지 않으며, 중독자가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될 결과에 대한 두려움, 예를 들어 중독자 남편의 실직, 자동차 사고, 심지어 자살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말한다.중독자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집안일을 돕게 하지 않거나, 변명, 정서 공격, 자해 위협에 조종당할 수 있다. 부정적인 맥락에서, 개인의 문제 해결을 돕는 행위가 실제로는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지속시키고 악화시킨다.[13][12][14] 제3자의 책임감, 의무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유지하게 된다.[13] 인에이블링은 중독의 환경적 요인의 중심이다.[13]
전형적인 패턴은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그 공의존 배우자의 조합이다.[15][16] 인에이블러는 알코올 의존자의 문제 행동을 '뒷수습'하는 행동을 한다.[13][16][15] 예를 들어 직장에 병가 연락을 대신 해주고, 흩어진 술병을 숨기거나 술 구매 비용을 제공한다.[16] 도박 중독 환자의 가족이 빚을 대신 갚아주는 것도 인에이블링에 포함된다.[17] 인에이블링에는 '잔소리, 설교, 질책', '과잉 간호, 뒷수습', '감시' 등이 있으며, 환자가 병을 부정하거나 환자의 변명에 협력하는 것도 포함된다.[16] 인에이블링은 알코올 및 도박 중독 환자의 심리적 성장을 방해하며, 공의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증대시킨다. 공의존자는 알코올, 도박 등 의존 환자의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협력자이다.
3. 4. 학대
학대 상황에서 인에이블링은 학대 피해자를 더욱 취약하게 만들고 학대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13][12][14] 인에이블러(enabler)는 자기애성자나 학대자의 나쁜 행동을 허용하거나 덮어주지만, 플라잉몽키(flying monkey)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자에게 나쁜 행동을 옮겨서 자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8]정서적 학대는 오랜 시간을 거쳐 누군가를 조장자로 바꿀 수 있는 세뇌 방식이다.[10] 자기애성자는 피해자 역할을 하는 반면, 진정한 피해자는 자신이 학대에 책임이 있으며 여기에 적응하거나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10]
학대에서의 인에이블링 사례는 다음과 같다.[11]
- 타인의 폭력이나 분노가 정당하다는 핑계를 찾는다.
- 타인이 저지른 일을 대신 수습한다.
- 학대자의 이상행동을 밖에 알리지 않는다.
- 타인의 나쁜 선택에 대한 악영향을 흡수한다.
- 타인의 빚을 대신 갚는다.
- 신체적 정서적 언어적 공격에 노출되었을 때, 맞서거나 방어하지 않는다.
- 학대자가 말하는 '팩트' 혹은 '사실'이라는 것을 증거를 찾지 않고 제3자에게 되풀이한다.
- 가스라이팅, 부정, 희생양화와 같은 자기애성 유형 행동을 가진 다른 학대 피해자를 다시 희생양으로 삼는다.
- 삼각화 : 피해자나 보호자로서 학대 트라이앵글에 들어가 역할하지만, 자신이 똑같은 학대 당사자임을 인지하지 못한다.
- 혼외정사나 그로 인해 태어난 아이, 알코올 의존증, 도박, 근친상간 등 자기애성자의 행동을 숨겨준다.
- 투사 혹은 자신이 자기애성자로부터 받은 수치를 제3자에게 넘겨주는 것.
- 재정 상황을 알지 못하여 자기애성자가 이를 관리하게 함, 경우에 따라 엄청난 빚을 질 수도 있다.
부정적인 맥락에서, 개인의 어떤 문제 해결을 돕는 행위가 실제로는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지속시키고 악화시키는 문제 행동을 가리킨다.[13][12][14] 제3자의 책임감, 의무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당사자의 문제 행동을 유지하게 된다.[13] 인에이블링은 중독의 환경적 요인의 중심이다.[13]
전형적인 패턴은,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그 공의존 배우자의 조합이다.[15][16] 인에이블러는 알코올 의존자의 문제 행동을 "뒷수습"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13][16][15] 예를 들어, 직장에 병가 연락을 대신 해주고, 흩어진 술병을 숨기고, 술 구매 비용을 제공하는 것이다.[16] 그 외에도, 도박 중독 환자의 가족이 도박 중독자를 대신하여 빚을 갚아주는 행동도 인에이블링에 포함된다.[17] 인에이블링에 포함되는 행동으로는 "잔소리・설교・질책", "과잉 간호・뒷수습", "감시" 등이 있다. 또한 환자가 병을 부정하거나, 환자의 변명에 협력하는 것도 포함된다.[16]
4. 한국 사회와 인에이블링
5. 인에이블링 극복 방안
5. 1. 개인적 차원
5. 2. 가족 차원
5. 3. 사회적 차원
참조
[1]
웹사이트
elinewberger.com
http://www.elinewber[...]
2008-02-09
[2]
웹사이트
The Role of Enabler: Are You Enabling Addiction In The One You Love?
http://addictionreco[...]
2013-07-05
[3]
서적
The selfish brain
https://books.google[...]
Hazelden
2000-02-17
[4]
서적
Codependency and Pathological Altru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뉴스
Codependency and Codependent Relationships
http://bpdfamily.com[...]
BPDFamily.com
2014-07-13
[6]
웹사이트
Are You an Enabler? - Psych Central
http://psychcentral.[...]
2016-05-17
[7]
웹사이트
Loved Ones of Addicts May Also Need Help Saying No
http://www.huffingto[...]
2015-03-29
[8]
뉴스
Coping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the White House
https://qz.com/85218[...]
Quartz
2016-12-06
[9]
간행물
The toxic triangle: Destructive leaders, susceptible followers, and conducive environments
https://www.scienced[...]
2007
[10]
서적
How to Talk to a Narcissist
2008
[11]
웹사이트
Enabling
http://outofthefog.w[...]
[12]
웹사이트
elinewberger.com
http://www.elinewber[...]
[13]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14]
웹사이트
The Role of Enabler: Are You Enabling Addiction In The One You Love?
http://addictionreco[...]
[15]
서적
援助者必携 はじめての精神科
医学書院
2011-12
[16]
서적
アディクションアプローチ : もうひとつの家族援助論
医学書院
1999-06
[17]
웹사이트
依存症対応のヒント 家族のためのワークブック
https://www.pref.kan[...]
2024-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