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뇌는 원래 20세기 초 중국에서 사고방식의 현대화를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이후 중국 공산당이 반동분자를 개조하기 위해 사용한 강압적 설득 행위를 의미하게 되었다. 영어 단어 brainwashing은 한국 전쟁 당시 중국에 협력하거나 전향한 미군 전쟁포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세뇌는 개인의 신념을 전복시키고 통제하려는 심리전의 일종으로 간주되며, 푸순 전범 관리소, 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 등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다. 미국에서는 CIA의 MK 울트라 계획 등 세뇌 기술 연구가 진행되었고, 법적 사례에서 세뇌 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반컬트 운동에서는 세뇌 개념을 신흥 종교의 종교 개종을 설명하는 데 적용하기도 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다.

2. 기원

중국어 용어 洗腦|시나오중국어(문자 그대로 '뇌를 씻다')[9]는 원래 20세기 초 중국 지식인들이 사고방식을 현대화하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0] 이후 이 용어는 마오쩌둥 시기 중국 정부가 "반동적인" 사람들을 새로운 중국 사회 시스템의 "올바른 사고"를 가진 구성원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한 강압적인 설득 행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1][153] 이 용어는 의식을 치르거나 성지에 들어가기 전에 "마음/생각을 씻는다"는 의미의 도교 용어 洗心|시신중국어을 말장난으로 변형한 것이다.[154]

옥스포드 영어사전에 따르면, 영어 단어 'brainwashing'은 1950년 9월 24일자 마이애미 뉴스(Miami News) 신문에 실린 기자 에드워드 헌터의 글에서 처음 공개적으로 사용되었다.[12][155] 헌터는 노골적인 반공주의자였으며, 기자로 위장한 CIA 요원으로 의심받는 인물이기도 했다.[13][155] 헌터와 다른 사람들은 한국전쟁(1950-1953) 당시 일부 미국인 전쟁포로(POW)들이 왜 중국 인민 지원군에게 협력하거나 심지어 일부는 중국 측으로 전향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 중국 용어를 사용했다.[14][156] 1951년에는 헌터의 저서 ''Brain-washing in Red China: the calculated destruction of men’s minds'' (직역: 중국 공산당의 세뇌: 인간 정신의 계획적인 파괴)가 출간되어 이 개념을 알렸다.[115]

영국 라디오 운영자 로버트 W. 포드[15][16]와 영국 육군 대령 제임스 카네 역시 중국군 포로 시절 세뇌 기술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17]

미국군과 정부는 생물학전을 포함한 전쟁 범죄에 대한 포로들의 자백을 폄하하기 위해 세뇌 혐의를 제기하기도 했다.[18] 중국 라디오 방송이 제1해병항공단 참모장 프랭크 슈와블이 세균전을 인정했다는 내용을 보도하자, 당시 유엔군 사령관 마크 W. 클라크는 "이 불행한 사람들의 입에서 이런 진술이 나왔는지 의심스럽다. 만약 나왔다면, 공산주의자들이 원하는 말을 강요하는 정신 파괴적인 방법은 너무나 익숙하다"고 주장하며, 포로들이 세뇌의 희생자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19]

3. 중국과 한국전쟁

중국어로 '''세뇌'''(洗腦, xǐnǎo)는 본래 마오쩌둥 시대 중국 정부가 '반동주의자'들을 '올바른 사상'을 가진 새로운 사회 구성원으로 개조하기 위해 시행한 강제적 설득 행위를 가리키는 말이었다.[153][11] 이 단어는 의식을 치르거나 성스러운 장소에 들어가기 전 '마음을 씻는다'는 의미의 도교 용어 '세심'(洗心, xǐxīn)을 변형한 것이다.[154]

영어 단어 '브레인워싱'(Brainwashing)은 1950년 9월 24일 자 마이애미 뉴스(Miami News) 신문에 실린 기자 에드워드 헌터(Edward Hunter)의 기사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2] 헌터는 반공주의자였으며, 일각에서는 그를 기자로 위장한 CIA 요원으로 의심하기도 했다.[155][13] 헌터를 비롯한 일부 인사들은 한국 전쟁(1950-1953) 당시 일부 미국인 전쟁 포로(POW)들이 왜 중국군에게 협력하거나 심지어 일부는 중국 측으로 전향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 중국어 용어를 가져와 사용했다.[156][14] 영국 라디오 운영자였던 로버트 W. 포드(Robert W. Ford)[15][16]와 영국 육군 대령 제임스 카네(James Carne) 역시 포로 시절 중국 측으로부터 세뇌 기술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17]

한편, 미국 군대와 정부는 생물학 무기 사용 등 전쟁 범죄에 대한 포로들의 자백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며 그 신빙성을 떨어뜨리기 위해 '세뇌' 혐의를 적극적으로 제기했다.[18] 중국 라디오 방송이 제1해병항공단 참모장 프랭크 슈와블(Frank Schwable)이 세균전을 인정했다는 내용을 보도하자,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마크 W. 클라크는 "이 불행한 사람들의 입에서 그런 진술이 나왔는지 의심스럽다. 만약 그랬다면, 공산주의자들이 원하는 말을 강요하는 정신 파괴적인 방법은 너무나 익숙하다"고 주장하며 포로들의 자백이 세뇌의 결과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19]

1953년부터 정신과 의사 로버트 제이 리프턴(Robert Jay Lifton)은 한국 전쟁 당시 포로였던 미군 병사들과 1951년 이후 중국 감옥에 수감되었던 서양인 사제, 학생, 교사 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또한 중국 대학에서 사상 교육을 받은 후 탈출한 중국 시민 15명도 인터뷰 대상에 포함되었다. (리프턴의 1961년 저서 ''사상 개조와 전체주의 심리학: 중국에서의 "세뇌" 연구''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20] 리프턴은 연구를 통해 포로들이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사고방식이 비교적 빨리 정상으로 돌아왔으며, 이는 '세뇌'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와는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21]

1956년, 미국 육군은 한국 전쟁 이후 세뇌 개념을 재검토한 보고서 ''공산주의자 심문, 사상 주입, 전쟁 포로 착취''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세뇌를 "대중적인 오해"라고 규정하며, "여러 정부 기관의 철저한 조사를 통해 한국에서 미국 전쟁 포로에 대한 '세뇌' 사례가 단 하나도 명확하게 문서화된 바 없다"고 결론지었다.[22]

3. 1. 푸순 전범 관리소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5년, 일부 일본인 포로는 소련 극동 시베리아(하바롭스크) 지역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28] 시베리아에서 이들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 강제 노동, 기아, 심문 등을 겪었으며, 구 일본군의 비민주성을 비판받는 등 고초를 겪었다.[131] 1950년 7월, 전년도에 수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푸순 전범 관리소로 이들 일본인 포로가 이송되었다.[128][129] 푸순 관리소에서는 비교적 나은 대우를 받았으며, 충분한 식사가 제공되고 강제 노동은 없었다.[129]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은 "올바른 사상을 올바른 방법으로 교육하면 인간은 변한다"는 신념 아래 '사상 개조'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푸순 관리소의 전쟁 포로들은 매일 학습과 운동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129]

일본인 전범에 대한 '사상 개조' 교육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130][129][131]

# 반성 학습: 마르크스주의마오쩌둥 사상 학습

# 죄행 고백: 자신의 죄를 솔직하게 고백하는 탄백(坦白) 과정

# 심문1956년, 중국 선양 시최고인민법원 특별 군사 법정에서 일본인 전범들이 기소되었고, 피고 전원이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사죄했다. 이들은 다음 해인 1957년 귀국하여 일본에서 중국 귀환자 연락회를 결성하고, 자신들의 가해 행위를 증언하고 사죄하는 활동을 이어갔다.[129]

이러한 일본인 포로들의 '인죄(認罪, 죄를 인정함)' 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역사학자 하타 이쿠히코는 이를 세뇌의 결과로 보고 진술의 신빙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2][129] 만화가 고바야시 요시노리는 중국의 '사상 개조 교육'이 자기 계발 세미나나 컬트 종교의 세뇌 시스템과 유사하다고 비판했다.[133][129]

반면, 저널리스트 아라이 토시오는 "천황 숭배 사상과 군국주의 사상에 세뇌되었던 전범들이 스스로 그 마인드 컨트롤을 풀고 정신의 자유를 되찾아 죄를 고백한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34][129] 일본의 진보 성향 시사 주간지 『주간 금요일』 역시 푸순 전범 관리소에서의 인죄를 "'인류의 해방'이라는 이상을 구현한, 세계적으로도 드문 역사적 사실"이라고 높이 평가했다.[135]

한편, 푸순 관리소에 수감되었던 당사자 중 한 명인 시로노 히로시는 후루미 타다유키와의 대담집 『옥중의 인간학』에서 세뇌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원래 세뇌 같은 것에 당할 리도 없고, 실제로 당한 적도 없다. 중국 공산당도 그렇게 바보는 아니다(웃음)"라고 말하며, 귀국 후 기자들에게 세뇌당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중국에서 교정받아 공산당원이 될 정도라면, 일본 경찰에게 교정받으면 바로 '네, 그만두겠습니다'라고 말하게 될 것이다. 그런 바보 같은 짓을 하는 마오쩌둥이라면, 나는 전쟁에서 지지 않았을 것이다(웃음)"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3. 2. 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

2010년대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설치한 강제 수용소(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에서 위구르족을 비롯한 소수 민족 수십만 명을 대상으로 조직적인 "세뇌"와 "인격 개조"를 자행하고 있다는 국제적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136][137]

2019년 11월,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중국 정부 내부 문건으로 추정되는 '차이나 케이블'을 폭로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감시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에서 수집한 개인 정보를 알고리즘으로 분석하는 소위 "일체화 통합 작전 플랫폼"(IJOP)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과 머신 러닝 기술을 이용한 '예측 치안' 방식으로 위구르족 등을 임의로 선별하여 예방 구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138][139]

수용소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엄격한 통제와 사상 개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37]

  • 수감자의 모든 생활 행동을 철저히 관리하고 탈주를 엄격히 방지한다.
  •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자백하도록 강요한다.
  • 중국어 사용을 강제하는 등 언어 교정을 실시한다.
  • 점수제를 통해 수감자를 평가하고 상벌을 적용한다.


이 외에도 수감자에게 약물을 투여하여 통제하려 했다는 충격적인 증언도 나오고 있다.[140]

세계 위구르 회의의 고문 변호사 벤 에머슨은 이러한 중국 정부의 행태를 두고 "하나의 민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거대한 집단 세뇌 계획 외에 다른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강력히 비판했다.[137]

4. 미국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 지원군에게 포로로 잡힌 미국군 병사들이 수용소 생활을 거치며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보고는 미국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51년, 언론인이자 중앙정보국(CIA) 요원으로 알려진 에드워드 헌터는 중국 공산당의 '세뇌' 기법을 다룬 저서 ''Brain-washing in Red China: the calculated destruction of men’s minds''(직역: 중국 공산당의 세뇌: 인간 정신의 계획적인 파괴)를 출간하며 '세뇌(brainwashing)'라는 용어를 널리 알렸다.[115]

헌터는 일본인 포로와 한국 전쟁 미군 포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사상 개조' 방식을 분석하며, '학습회'를 통한 반복 학습, 집단 내에서의 강요된 자기 비판, 교묘한 상벌 시스템(고백을 칭찬하고 비협조자에게 동조 압력 행사), 죄책감 주입 등을 주요 특징으로 지적했다.[115][116] 그는 중국 공산당의 세뇌를 단순한 선전이나 교육이 아닌, 개인의 기존 신념 체계를 전복시키고 정신을 통제하려는 '뇌의 전쟁', 즉 심리전의 일종으로 규정했다. 헌터에 따르면 세뇌는 통제를 위한 조건화(저항력 약화)와 개심(전향)을 위한 강화 및 설득의 두 단계로 이루어지며,[121] 학습과 고백을 유도하기 위해 복음 전도나 정신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법이 동원되었다.[122]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의 자유 의지는 부정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은 마비되어 결국에는 당의 노선에 무조건적으로 동조하게 만드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였다.[120] 헌터는 1958년 미국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에서도 중국 공산당의 심리전에 대해 증언했다.[125]

한편, 심리학자 로버트 J. 리프턴은 1954년부터 홍콩에서 중국을 탈출한 서구인과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정신 의학적 관점에서 '세뇌' 또는 '사상 개조' 과정을 분석한 저서 『사상 개조의 심리』(1961)를 발표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의 사상 개조를 전체주의 사회의 효과적인 심리 통제 수단으로 보면서도,[126] 세뇌 기법의 핵심 요소로 다음 8가지를 제시했다.


  • 환경 통제 (현실 정보 차단)
  • 은밀한 조작 (개인이 자발적으로 따른다고 믿게 만듦)
  • 고백 의식 강요
  • 절대적 순수성 요구 (세계를 선과 악으로 단순화)
  • '성스러운 과학' (교리의 절대적 진리성 강조)
  • 교리의 우선 (개인의 경험보다 교리 중시)
  • 특수 용어 주입 (사고의 틀 제한)
  • 존재 가치 결정 (순응 여부에 따라 존재 가치 결정)


그러나 리프턴은 세뇌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는 미국으로 돌아간 포로 중 공산주의자로 계속 활동한 사람이 소수에 불과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중국의 세뇌 프로그램이 궁극적으로는 실패했다고 결론지었다.[127]

이러한 세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냉전 시대의 긴장 속에서, 중앙정보국(CIA)은 비밀리에 정신 통제 기술을 연구하는 MK 울트라 계획을 진행하기도 했다.[141] 모델 캔디 존스가 CIA에 의해 세뇌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42]

4. 1. MK 울트라 계획

1950년대 초부터 약 20년 동안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미국 국방부는 실용적인 세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비밀리에 MK 울트라 계획을 포함한 연구를 진행했다.[157][64] 이 실험 과정에서는 전기 충격부터 고용량의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투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다.[157][64]

실험 책임자였던 시드니 고틀립 국장과 그의 팀은 고문 기술을 사용하여 대상의 기존 정신을 파괴하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나,[157][64] 그 빈 자리에 새로운 정신을 주입하는 재프로그래밍 단계에서는 뚜렷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57][158][159][65][66] 존 D. 마크스는 1979년 저서 ''맨츄리안 캔디데이트를 찾아서''에서 MK 울트라 계획이 1963년 사실상 종료될 때까지 CIA 연구원들이 신뢰할 만한 세뇌 방법을 찾지 못했으며, 실험 대상자에게 기억 상실증이나 긴장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로 작전상 활용이 불가능했다고 평가했다.[13]

그러나 정신과 의사 콜린 A. 로스와 같은 일부 인물들은 CIA가 특정 임무 수행을 위해 조종 가능한 소위 "맨츄리안 캔디데이트"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7] 모델 캔디 존스(Candy Jones)가 CIA에 의해 세뇌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42] MK 울트라 계획에서 사용된 LSD나 메스칼린 같은 환각제 실험은 과거 나치 인체 실험에서 비롯되었다는 지적도 있다.[68]

MK 울트라 계획에서 연구된 기법들은 후대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9.11 테러 이후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추진한 대테러 전쟁 과정에서 쿠바의 관타나모 만 수용소나 이라크의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등에서 CIA와 미군이 사용한 강화 심문 기법은 비인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이 기법의 일부가 한국 전쟁 당시 중국 공산당이 미군 포로에게 자백을 강요하기 위해 사용했던 세뇌 기술에 기반했다는 사실이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69][143][144]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12월 관타나모 만에 파견된 미군 훈련 교관들은 중국 공산당의 세뇌 기법을 설명한 1957년 공군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심문 교육을 실시했다.[69]

4. 2. 법적 사례와 '세뇌 방어'

200px


세뇌라는 개념은 형사 고발에 대한 변호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이어진 찰스 맨슨 사건은 그가 추종자들을 세뇌시켜 살인 및 기타 범죄를 저지르게 했다는 혐의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24][25]

1974년, 언론 재벌 허스트 가문의 일원인 패티 허스트는 19세의 나이에 좌익 무장 단체 심비오니즈 해방군에게 납치되었다. 몇 주간 감금된 후 허스트는 이 단체에 합류하여 활동에 참여했다. 1975년 은행 강도 및 총기 사용 혐의로 체포되자, 그녀의 변호인 F. 리 베일리는 허스트가 납치범들에게 한국 전쟁 포로들이 겪었던 것과 같은 세뇌를 당했기 때문에 법적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심신 미약 참조).[26] 베일리는 한국 전쟁 포로를 연구했던 정신과 의사 루이 졸리온 웨스트와 심리학자 마가렛 싱어의 도움을 받아 변론을 펼쳤다. (싱어는 1996년 자신의 이론을 담은 책 ''우리 시대의 컬트''를 출간했다.[27][28][29])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허스트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26]

1990년에는 사이언톨로지 교회의 전 신도였던 스티븐 피시만이 우편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의 변호인단은 정신 이상 항변을 제기하며, 싱어와 리처드 오브셰의 전문가 증언을 통해 사이언톨로지 교회가 피시만을 세뇌시켜 독립적인 판단 능력을 상실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프라이 기준을 근거로 세뇌 이론을 전문가 증언으로 채택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프라이 기준은 전문가 증인이 사용하는 과학 이론이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원칙이다.[30] 이후 미국 법원은 프라이 기준에 따라 세뇌 관련 증언을 과학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일관되게 기각해왔다.[31]

2003년 D.C. 저격 사건의 피고인 리 보이드 말보의 변호에서도 세뇌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2][33] 세뇌 주장은 자녀 양육권 소송 등 다른 법적 분쟁에서도 등장했다.[34][35]

법학자 토마스 앤드루 그린은 2014년 저서에서 세뇌 방어가 법의 기본 전제인 자유 의지를 약화시킨다고 비판했다.[36][37] 법정 심리학자 딕 앤서니는 2003년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세뇌 주장은 신뢰성 없는 전문가 증언이 아닌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33]

4. 3. 미국 심리학회(APA) 태스크 포스

1983년, 미국 심리학회(APA)는 마거릿 싱어에게 세뇌 또는 강압적 설득이 종교 집단 구성원을 통제하는 데 실제로 사용되는지 조사하기 위해 '기만적이고 간접적인 설득 및 통제 기법 태스크 포스'(DIMPAC, Deceptive and Indirect Methods of Persuasion and Control Task Force)의 의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DIMPAC는 조사 결과, "종교 집단과 대규모 집단 의식 훈련은 기만적이고 간접적인 설득 및 통제 기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기법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으며, 그 사용으로 인해 수천 명의 개인과 가족에게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 보고서는 이 주제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영향 기법을 개념화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며, 기만적이고 간접적인 설득 및 통제 기법의 윤리적 파급 효과를 탐구하고, 보고서에 설명된 문제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시한다"고 결론 내렸다.[70]

그러나 1987년 5월 11일, APA의 심리학 사회 및 윤리적 책임 위원회(BSERP, Board of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Psychology)는 DIMPAC 보고서를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BSERP는 해당 보고서가 "APA의 승인을 받기 위해 필요한 과학적 엄격성과 공정한 비판적 접근 방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오랜 심사숙고 끝에 BSERP는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71]

4. 4. 관타나모 만 수용소,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9.11 테러 이후 대테러 전쟁을 명분으로 내세운 조지 W. 부시 행정부 하에서, 쿠바의 관타나모 만 수용소나 이라크의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등에서 CIA미군에 의해 비인도적인 Enhanced interrogation techniques|강화 심문영어이 자행되었다. 이는 고문이라는 심각한 인권 문제로 비판받았다.[143][144]

2008년 12월과 2009년 4월에 공개된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심문 기법은 한국 전쟁 당시 중국 공산당이 미군 포로에게 거짓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사용했던 세뇌 기법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69][143][144] 보고서는 미국 국방부 장관이 2002년 관타나모에서의 공격적인 심문 기법을 승인한 것이 아프가니스탄이라크, 특히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등지에서 어떻게 확산되었는지를 보여주었다.[69]

관타나모 수용자 중에는 중국에서 탈출한 위구르족도 포함되어 있었다. 미국 법무부 감찰관 Glenn A. Fine|글렌 A. 파인영어 등의 증언에 따르면, 관타나모를 방문한 중국 당국자와 미군 심문관은 협력하여 수용자에게 15분마다 잠을 깨우는 '프리퀀트 플라이어 프로그램'(Frequent Flyer Program)과 같은 수면 박탈 기법을 사용하는 등 가혹한 심문을 자행했다.[145][146][147][148]

5. 반(反)컬트 운동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반(反)컬트 운동'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6. 기타 연구 및 사례

요스트 메를로


네덜란드 정신과 의사 요스트 메를로는 세뇌 개념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정신 살해"를 의미하는 "Menticideeng"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메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네덜란드 점령 경험과, 네덜란드 정부 및 미국 군대와 협력하여 기소된 나치 전범들을 심문한 경험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강의했다.[72] 그의 1956년 베스트셀러 저서 ''정신 강간''(The Rape of the Mindeng)에서는 "세뇌와 멘티사이드, 즉 심리학의 타락에 해당하는 현대적 기술은 거의 모든 사람을 복종시키고 항복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민주 사회가 이러한 지식을 자유 수호와 인간 이해 증진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73]

1970년대 러시아 역사학자 다니엘 로마노프스키는 생존자와 목격자 인터뷰를 통해,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나치가 벨라루스 국민에게 가한 세뇌를 연구했다. 이는 대규모 선전과 학교에서의 강도 높은 재교육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이전에는 흔치 않았던, 유대인이 열등하며 소련 정부와 밀접하다는 나치적 관점을 빠르게 받아들였다고 분석했다.[74][75][76][77][78][79]

이탈리아에서는 한 사람을 완전히 심리적, 신체적으로 지배하는 범죄 개념인 ''플라지오''(plagioita)가 논란이 되었다. 이는 대상의 자유와 자기 결정을 소멸시키고 인격을 부정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플라지오 범죄는 거의 기소되지 않았고 유죄 판결은 단 한 건에 그쳤으며, 1981년 이탈리아 법원은 이 개념이 부정확하고 일관성이 없으며 임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80]

정신 질환해리성 정체성 장애(DID) 분야에서는 범죄 네트워크나 악의적 행위자들이 성적, 금전적 착취를 목적으로 고문 기반 세뇌를 통해 의도적으로 여러 개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격을 만든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81][82][83][84][85]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컬트에서의 고문 기반 의식 학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이는 주로 "사탄 의식 학대"라는 이름으로 알려졌고 "도덕적 공황"으로 간주되었다.[86]

사이언톨로지 교회는 1955년 ''세뇌: 심리 정치학에 관한 러시아 교과서의 종합''(Brain-Washing: A Synthesis of the Russian Textbook on Psychopoliticseng)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L. 론 허버드는 이 책이 1936년 소비에트 비밀 경찰 책임자 라브렌티 베리야가 작성한 비밀 매뉴얼이라고 주장했다.[87] 허버드는 FBI가 자신의 경고를 무시하자, 소련 요원들이 자신을 미국에 대항하도록 고용하려 했으나 거절했으며,[88] 이에 분노한 한 요원이 전기 충격으로 자신을 공격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89]

유엔 NGO인 여성 인신매매 반대 연합(CATW)의 공동 설립자 캐슬린 배리[90][91] 1979년 저서 ''여성 성 노예''(Female Sexual Slaveryeng)를 통해 여성 성매매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촉구했다.[92] 루이스 오쿤은 1986년 저서 ''여성 학대: 신화를 대체하는 사실''(Woman Abuse: Facts Replacing Mythseng)에서 "캐슬린 배리는 강제적인 여성 매춘이 사상 개혁과 매우 유사한 강압적 통제 행위를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93] 리타 나카시마 브록과 수잔 브룩스 스istlethwaite는 1996년 저서 ''돌을 던지기: 아시아와 미국의 매춘과 해방''(Casting Stones: Prostitution and Liberation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eng)에서 포주들이 피해자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테러리스트와 편집증적 컬트의 세뇌 기술과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94]

로버트 J. 리프턴은 한국 전쟁 당시 중국 공산당의 포로 세뇌를 연구한 초기 연구 이후, 2000년 저서 ''세계를 파괴하여 구원하기: 옴진리교, 종말론적 폭력, 그리고 새로운 세계 테러''(Destroying the World to Save It: Aum Shinrikyo, Apocalyptic Violence, and the New Global Terrorismeng)에서 자신의 사상 개혁 이론을 옴진리교테러와의 전쟁에 적용했다. 그는 이 맥락에서 사상 개혁이 반드시 폭력이나 신체적 강요를 동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테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서방 정부들 역시 일부 심리 통제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95]

신경 과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캐슬린 테일러는 2004년 대중 과학 서적 ''세뇌: 사상 통제의 과학''(Brainwashing: The Science of Thought Controleng)에서 심리 통제 이론의 역사와 주요 사건들을 검토했다. 그녀는 세뇌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뇌에 더 경직된 신경학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중에 상황을 재고하거나 생각을 바꾸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96][97]

2006년에는 도미닉 스트레이트필드가 저술한 ''세뇌: 마인드 컨트롤의 비밀 역사''(Brainwash: The Secret History of Mind Controleng)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냉전 시대부터 테러와의 전쟁 시기에 이르기까지 세뇌 기술의 발달 과정을 다루며, CIA의 기밀 해제 문서와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다.[98][99][100][101]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 지원군에게 포로가 된 일부 미국군 병사들이 수용소에서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서구 사회에 세뇌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1951년에는 언론인 에드워드 헌터가 중국 공산당의 세뇌 실태를 고발하는 ''중국 공산당의 세뇌: 인간 정신의 계획적인 파괴''(Brain-washing in Red China: the calculated destruction of men’s mindseng)를 출간했다.[115] 헌터는 일본인 포로와 한국 전쟁 미군 포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사상 개조" 수법으로 "학습회"에서의 집단 학습, 자기 비판 강요, 교묘한 상벌 시스템(고백자 칭찬, 비고백자에게 동조 압력 가하기), 죄책감 주입 등을 지적했다.[115][116] 헌터는 이를 단순한 심리전이 아닌 "뇌의 전쟁"으로 규정하며, 대상의 신념을 전복시켜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뇌가 통제를 위한 조건 부여 단계와 개심을 위한 강화 및 설득 단계로 이루어진다고 분석했다.[121] 또한, 장기적으로는 세뇌된 개인이 스스로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만들고, 개인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며 반대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120] 헌터는 1958년 미국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에서도 중국 공산당의 심리전에 대해 증언했다.[125]

심리학자 로버트 J. 리프턴은 1954년-1955년 홍콩 조사를 바탕으로 저서 ''사상 개조의 심리''(Thought Reform and the Psychology of Totalismeng, 1961)에서 중국 공산당의 "사상 개조"를 정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126] 그는 세뇌 기술의 8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요소설명
환경 통제정보 접근을 차단하고 현실 인식을 조작하여 개인의 자율성을 약화시킨다.
은밀한 조작개인의 경험을 조작하여 집단이 원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한다.
고백 의식공개적인 자기 비판과 죄책감 고백을 강요하여 기존 신념을 부정하게 만든다.
순수성 요구집단의 이념이나 교리에 대한 절대적인 순수성을 강요하며 어떠한 타협도 불허한다.
"성스러운 과학"집단의 교리를 절대적이고 과학적인 진리로 포장하여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교리의 우선개인의 경험이나 이성적 판단보다 집단의 교리를 우선시하도록 강요한다.
특수 용어 주입집단 내에서만 통용되는 특수 용어를 사용하여 외부 세계와의 사고방식을 분리시킨다.
존재 권한 분배집단의 규범에 순응하는 사람에게만 존재 가치를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배척한다.

[126]

그러나 리프턴은 귀국한 전 포로 중 소수만이 공산주의자로 활동했다는 점 등을 들어, 중국의 세뇌 프로그램이 궁극적으로는 실패했다고 결론지었다.[127]

제2차 세계 대전소련에 억류되었던 일부 일본인 포로들은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푸순 전범 관리소로 이송되었다.[128][129] 이들은 비교적 나은 대우를 받았지만, 마오쩌둥의 "사상 개조" 정책에 따라 학습과 운동을 강요받았다.[129] 일본인 전범에 대한 "사상 개조" 교육은 다음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단계내용
반성 학습마르크스주의마오쩌둥 사상 학습
죄행 고백 (탄백, 坦白)과거의 잘못을 고백하고 반성하도록 강요
심문학습과 고백 내용을 바탕으로 사상 검증 및 강화

[130][129][131]

1956년 선양 시 특별 군사 법정에서 기소된 피고 전원은 죄를 인정하고 사죄했으며, 귀국 후 중국 귀환자 연락회를 결성하여 가해 증언 및 사죄 활동을 벌였다.[129] 이 과정을 두고 역사학자 하타 이쿠히코나 만화가 고바야시 요시노리 등은 세뇌의 결과로 보며 진술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반면,[132][129][133] 저널리스트 아라이 토시오나 잡지 『주간 금요일』 등은 군국주의 사상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죄를 고백한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134][129][135] 당사자였던 시로노 히로시는 후일 대담에서 "원래 세뇌 따위 될 리도 없고, 실제로 당한 적도 없다"며 세뇌 사실을 부인했다.

201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강제 수용소(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에서 수십만 명을 대상으로 조직적인 "세뇌"와 "인격 개조"를 자행하고 있다는 국제적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136][137] 2019년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공개한 중국 정부 내부 문건으로 추정되는 '차이나 케이블'(China Cableseng)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와 휴대 전화 등에서 수집한 개인 정보를 인공지능(AI) 기반의 '일체화 통합 작전 플랫폼'(IJOP)으로 분석하여 위구르족을 선별, 예방 구금하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138][139] 수용소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침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리 지침내용
생활 행동 관리 및 탈주 방지수용자의 모든 행동을 철저히 통제하고 탈주를 엄격히 방지한다.
뉘우침과 자백 강요과거 행동에 대한 뉘우침과 자백을 강요하여 기존 사상을 부정하게 만든다.
언어 교정표준 중국어 교육을 강제하여 위구르어 사용을 억압한다.
점수에 따른 상벌수용자의 행동을 점수로 평가하여 상벌을 부여함으로써 통제를 강화한다.

[137]

일부 증언에서는 약물 투여를 통한 통제 시도도 언급되었다.[140] 세계 위구르 회의의 고문 변호사 벤 에머슨은 이를 "하나의 민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거대한 집단 세뇌 계획"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137]

7. 대중문화

로렌스 하비와 프랭크 시나트라가 출연한 ''맨츄리안 켄디데이트''


조지 오웰의 1949년 디스토피아 소설 ''1984''는 가상의 미래 전체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은 통치자들의 뜻에 맞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바꾸도록 강요받으며 감금, 고립, 고문을 당한다. 소설 속에서 당국을 대표하는 고문관은 "우리는 뇌를 날려버리기 전에 완벽하게 만든다...모두 깨끗하게 씻겨진다."라고 말하며 세뇌 과정을 묘사한다.[102] 오웰이 그린 이러한 모습은 이후 대중문화에서 세뇌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103][104]

1950년대 미국에서는 포로의 세뇌를 다룬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더 랙'', ''대나무 감옥'', ''미지의 세계로'', ''공포제작자'' 등이 대표적이다. 영화 ''금지된 구역''은 소련 비밀 요원들이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지 않도록 자국 정부에 의해 고전적 조건화 방식으로 세뇌당하는 이야기를 다루었다.

1962년에 개봉한 영화 ''맨츄리안 켄디데이트''는 리처드 콘돈의 1959년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이 영화는 세뇌된 슬리퍼 요원을 이용해 미국을 장악하려는 소련 정부의 음모를 그리면서 세뇌라는 주제를 대중문화의 전면에 부각시켰다.[105][106][107] 세뇌 개념은 종종 러시아 심리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연구와 연결되는데, 영화 속 수석 세뇌자는 "파블로프 연구소의 옌 로 박사"로 등장한다.[108][109]

코르드와이너 스미스(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중 군사 정보 및 심리전 전문가였던 미국 육군 장교 폴 마이론 안토니 라인바거의 필명)의 SF 소설에서는 외상 기억을 제거하기 위한 세뇌가 미래 사회의 정상적이고 유익한 의료 행위로 묘사되기도 한다.[110]

세뇌는 SF 장르에서 중요한 주제로 계속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업의 정신 통제'라는 하위 장르에서는 미래 사회가 거대 기업들에 의해 지배되고, 기업들이 광고대중 매체를 이용해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통제하는 모습을 그린다.[111] 작가 테리 오브라이언은 "정신 통제는 너무 강력한 이미지라서 최면술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그와 비슷한 무언가가 발명되었어야 했을 것이다. 이 플롯 장치는 어떤 작가도 무시하기에는 너무 유용하다. 정신 통제에 대한 두려움도 똑같이 강력한 이미지이다."라고 언급하며 세뇌가 창작물에서 매력적인 소재임을 설명했다.[112]

세뇌를 다룬 다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그림자 없는 저격수'' (존 프랑켄하이머 감독, 1962년): 한국 전쟁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세뇌된 미군 병사가 살인을 저지르는 이야기를 다룬다. '맨츄리안 캔디데이트(Manchurian candidate)'는 조종당하는 정치인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음모 이론'' (1997년): 영화.
  • Toshl 『세뇌 지옥의 12년으로부터의 생환』 (2014년): 일본의 가수 Toshl가 사이비 종교 단체로부터 세뇌당했던 경험을 고백한 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rainwashing | Cults, Indoctrination, Manipulat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Psychology Press
[4] 서적 Encyclopedia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Religion Gyan Publishing House
[6] 논문 Media coverage of unconventional religion: Any "good news" for minority faiths? 1997-12
[7]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Themes, Works, and Wonders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웹사이트 Brainwash Definition & Meaning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Dictionary 2023-07-22
[9] 웹사이트 Word dictionary – 洗腦 – MDBG English to Chinese dictionary http://www.mdbg.net/[...] 2011-01-31
[10] 논문 China and the Political Myth of 'Brainwashing https://madeinchinaj[...] 2019-07
[11] 서적 Brainwashing: The Science of Thought Contro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2]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13] 서적 The Search for the Manchurian Candidate: The CIA and mind control https://archive.org/[...] Times Books 1979
[14] 뉴스 Was kidnapped Utah teen brainwashed? 2003-03-14
[15] 서적 Captured in Tibet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Wind between the Worlds: Captured in Tibet https://archive.org/[...] SLG Books
[17] 뉴스 Red germ charges cite 2 U.S. Marines https://timesmachine[...] 1954-02-23
[18]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Biological Warfare: Secrets from the early Cold War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 뉴스 Clark denounces germ war charges https://timesmachine[...] 1953-02-24
[20] 서적 Knowledge in Minds Psychology Press
[21] 논문 Home by Ship: Reaction patterns of American prisoners of war repatriated from North Korea 1954-04
[22] 서적 Communist Interrogation, Indoctrination, and Exploitation of Prisoners of War. http://palmm.digital[...]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6-05-15
[23] 웹사이트 Patty Hearst http://www.famouspic[...] Famous Pictures Magazine 2013-05-14
[24] 문서 Minds on Trial: Great Cases in Law and Psychology
[25] 문서 Shifting the Blame: How Victimization Became a Criminal Defense
[26] 문서 Regulating Religion: Case Studies from Around the Globe
[27] 웹사이트 Cults in Our Midst: The Continuing Fight Against Their Hidden Menace https://web.archive.[...] 2015-02-02
[28] 서적 Encyclopedia of New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29] 뉴스 Louis J. West, 74, Psychiatrist Who Studied Extremes, Dies https://www.nytimes.[...] 1999-01-09
[30] 뉴스 United States v. Fishman (1990) https://law.justia.c[...]
[31] 논문 Law, social science and the 'brainwashing' exception to the first amendment https://onlinelibrar[...] 1992
[32] 문서 Mental Condition Defences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Perspectives from Law and Medicine
[33] 뉴스 Stressed to Kill: The Defense of Brainwashing; Sniper Suspect's Claim Triggers More Debate https://web.archive.[...] 2003-11-21
[34] 서적 Divorce Poison: How to Protect Your Family from Bad-mouthing and Brainwashing
[35] 서적 Regulating Religion: Case Studies from Around the Globe
[36] 서적 Freedom and Criminal Responsibility in American Leg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LaFave's Criminal Law West Academic 2010-03-18
[38]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ety AltaMira
[39] 서적 New Religious Movements: A Practical Introducti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40] 간행물 Media Coverage of Unconventional Religion: Any 'Good News' for Minority Faiths?
[41] 간행물 Religious Movements: Cult and Anti-Cult Since Jonestown
[42] 서적 Mormon Studies: A Cr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23-06-15
[43] 간행물 Mind Control: Psychological Reality or Mindless Rhetoric? https://web.archive.[...] 2016-06-02
[44] 간행물 What messages are behind today's cults? https://web.archive.[...] 2009-10-01
[45] 서적 Misunderstanding Cults: Searching for Objectivity in a Controversial Field U of Toronto Press
[46] 간행물 TReply to Bromley 1998-04
[47] 간행물 The Blacklisting of a Concept: The Strange History of the Brainwashing Conjecture in the Sociology of Religion 1997-10
[48] 서적 Invitation to the Sociology of Religion Psychology Press 2003-07-24
[49] 뉴스 Review https://web.archive.[...] National Review 1986-12-19
[50] 간행물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You Must Be Joking!
[51] 서적 The Making of a Moonie: Choice or Brainwashing? Blackwell Publishers
[52] 뉴스 Moon's death marks end of an era http://religion.blog[...] CNN 2012-09-03
[53] 뉴스 Unification Church founder Rev. Sun Myung Moon dies at 92 https://web.archive.[...] 2012-09-02
[54] 웹사이트 New Religious Movements – Some Problems of Definition https://web.archive.[...]
[55] 간행물 The Market for Martyrs http://faculty.arec.[...] George Mason University
[56] 서적 Prophetic Charisma: The Psychology of Revolutionary Religious Personalities
[57] 서적 Feet of clay: a study of gurus Simon and Schuster
[58] 간행물 The active vs. passive convert: paradigm conflict in conversion/recruitment research 1985-06
[59] 웹사이트 Brainwashing by Religious Cults https://web.archive.[...] 2004-11-23
[60] 서적 Religion and The Law Oxford Handbooks Online
[61] 간행물 Pseudoscience and Minority Religions: An Evaluation of the Brainwashing Theories of Jean-Marie Abgrall
[62] 서적 Misunderstanding Cults: Searching for Objectivity in a Controversial Fiel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3] 뉴스 Will Israel's first anti-cult legislation harm religious freedom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64] 뉴스 The CIA's Secret Quest for Mind Control: Torture, LSD and A 'Poisoner in Chief' https://www.npr.org/[...] 2021-07-20
[65] 간행물 Pseudoscience and Minority Religions: An evaluation of the brainwashing theories of Jean-Marie
[66] 웹사이트 Chapter 3, part 4: Supreme Court Dissents Invoke the Nuremberg Code: CIA and DOD Human Subjects Research Scandals https://web.archive.[...] 2005-08-24
[67] 간행물 Book Review https://doi.org/10.1[...]
[68] 서적 The Search for the Manchurian Candidate: The CIA and Mind Control
[69] 뉴스 Report says top officials set tone for detainee abuse https://www.csmonito[...] 2020-01-03
[70] 보고서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Deceptive and Indirect Techniques of Persuasion and Control https://digitalcolle[...] Baylor University 2023-01-04
[71] 웹사이트 APA Memorandum to Members of the Task Force on DIMPAC http://www.geocities[...] 1987-05-11
[7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ropaganda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3] 웹사이트 The Rape of the Mind: The Psychology of Thought Control, Menticide, and Brainwashing http://www.lermanet.[...] World Publishing Company 2015-02-24
[74] 서적 Nazi Europe and the Final Solution Berghahn Books 2009
[75] 서적 Gray Zones: Ambiguity and Compromise in the Holocaust and its Aftermath Berghahn Books 2005
[76] 서적 The Minsk Ghetto 1941–1943: Jewish Resistance and Soviet Internation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77] 서적 Bringing the Dark Past to Light: The Reception of the Holocaust in Postcommunist Europ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3
[78] 웹사이트 Interview https://www.angelfir[...] Angelfire.com 2019-08-05
[79] 간행물 Nazi Europe and the Final Solution Berghahn Books
[80] 문서 Profili penali dei condizionamenti mentali Milano 1996
[81] 간행물 'An evil cradling?' Cult practices and the manipulation of attachment needs in ritual abuse http://dx.doi.org/10[...] Routledge 2018-03-22
[82] 간행물 Becoming Yourself: Overcoming Mind Control and Ritual Abuse Routledge 2018-05-11
[83] 서적 Healing the Unimaginable http://dx.doi.org/10[...] 2018-05-08
[84] 문서 Trauma, Torture and Dissociation: A Psychoanalytic View Taylor & Francis 2018
[85] 문서 The Alchemy of Wolves and Sheep: A Relational Approach to Internalized Perpetration in Complex Trauma Survivors Taylor & Francis 2013
[86] 학술지 Moral Panics: Culture, Politics, and Social Construction https://www.jstor.or[...] 1994
[87] 서적 They Never Said It : A Book of Fake Quotes, Misquotes, and Misleading Attribution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88] 서적 A Piece of Blue Sky: Scientology, Dianetics and L. Ron Hubbard Exposed https://archive.org/[...] Lyle Stuart Books 1990
[89] 서적 California. Court of Appeal (2nd Appellate District). Records and Briefs https://books.google[...]
[90] 웹사이트 A Distinctive Style Article https://web.archive.[...] 2018-01-21
[91] 웹사이트 On the Issues Article http://www.ontheissu[...] Ontheissuesmagazine.com 2019-08-05
[92] 웹사이트 Biography at The People Speak Radio http://www.thepeople[...] 2012-06-15
[93] 서적 Woman Abuse: Facts Replacing Myths SUNY Press 1986
[94] 서적 Casting Stones: Prostitution and Liberation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 Fortress Press 1996
[95] 문서 Destroying the World to Save It: Aum Shinrikyo, Apocalyptic Violence, and the New Global Terrorism Owl Books 2000
[96] 학술지 Thoughts on thought control 2005-07
[97] 뉴스 Brainwashing by Kathleen Taylor https://web.archive.[...] Times Newspapers Ltd 2004-11-27
[98] 웹사이트 TLS - Times Literary Supplement https://web.archive.[...]
[99] 웹사이트 Et cetera: Sep 23 https://www.theguard[...] 2006-09-23
[100] 학술지 Brainwash: The Secret History of Mind Control 2007
[101] 웹사이트 The Intelligence Officer's Bookshelf https://web.archive.[...]
[102] 서적 Nineteen Eighty-Four 1949
[103] 서적 Psychiatry and Public Affairs Aldine Transaction 2011
[104] 서적 Encyclopedia of New Religious Movements Routledge 2004
[105] 서적 Screen Enemies of the American Way: Political paranoia about Nazis, Communists, Saboteurs, Terrorists and Body Snatching Aliens in Film and Television McFarland 2010
[106] 서적 Brainwashing: A study in Cold War demonology https://archive.org/[...]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07] 웹사이트 Mind-control movies and TV https://web.archive.[...] 2016-03-12
[108] 서적 Judicial Policy Making and the Modern State: How the courts reformed America's pris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09] 서적 Asian Diaspora and East-West Modernity Purdue University Press
[110] 서적 Voices for the Future: Essays on major science fiction writers Popular Press
[111] 서적 Androids, Humanoids, and other Science Fiction Monsters: Science and soul in science fiction films https://archive.org/[...] NYU Press 1994
[112]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Themes, Works, and Wonder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3] 문서 明鏡国語辞典、大修館書店
[114] 문서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によれば、「中華人民共和国成立後,数年にわたり全国的な範囲と規模でおこなわれた知識人の自己改造・自己変革を思想改造という。」「旧社会から持ちこんできた習慣や思想を改造し,勤労者さらにはプロレタリアへ立場を移すよう,組織的な学習運動がおこなわれた。」
[115] 문서 Hunter, Edward (1951). Brain-washing in Red China: the calculated destruction of men’s minds. New York: Vanguard Press.日本語訳:エドワード・ハンター、福田実訳『洗脳 中共の心理戦争を解剖する』法政大学出版局、1953年。
[116] 문서 Hunter, Edward(1956),[https://archive.org/stream/brainwashingstor00huntrich/brainwashingstor00huntrich_djvu.txt 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Ambassador Books, Ltd., Toronto.
[117]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50-51
[118]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43-45
[119]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198
[120]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184
[121]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182
[122]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202
[123]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184
[124] 문서 Hunter, Edward,BRAINWASHING: The Story of the Men Who Defied it,p.48-49
[125] 문서 Hunter, Edward. “[http://www.crossroad.to/Quotes/globalism/Congress.htm Communist psychological warfare]”,COMMITTEE ON UN-AMERICAN ACTIVITIES
[126] 문서 Robert Jay Lifton,Thought Reform and the Psychology of Totalism: A Study of "Brainwashing" in China. New York: Norton. 1961.([https://archive.org/details/ThoughtReformAndThePsychologyOfTotalism オンライン],邦訳[[ロバート・J・リフトン]]『思想改造の心理―中国における洗脳の研究』 [[誠信書房]] 1979年
[127] 문서 Lifton 1979, p.253
[128] 문서 彭厚訓編、撫順戦犯管理所編『日本戦犯再生の地』五州伝播出版社,p.8-10
[129] 문서 安藤裕子「和解の記憶の欠落 ―戦後日本における「認罪」の表象―」『アジア太平洋討究』No. 25,2015年
[130] 문서 [[上杉千年]]「拝啓 広島県教育委員会殿 第5弾「広島解放区」にうごめく教員組合と校長会」[[正論 (雑誌)|正論]]1999年4月号
[131] 문서 石田隆至「寛大さへの応答から戦争責任へ ─ある元兵士の「終わりなき認罪」をめぐって─」プライム (31), p59-72, 2010-03,明治学院大学国際平和研究所
[132] 문서 [[秦郁彦]]「『世界』が持ち上げる「撫順戦犯裁判」認罪書 の読みかた」『[[諸君!]]』1998年5月号([[文藝春秋]])
[133] 문서 小林よしのり『新ゴーマニズム宣言 SPECIAL 戦争論』幻冬舎(1998),第 13 章「洗脳されている自覚はない」pp. 183‒194
[134] 문서 『世界』1998年5月号 pp. 69‒70
[135] 문서 週刊金曜日「中国へ『帰郷』した日本人戦犯たち(上)(下)」2000年10月3日号 pp. 52‒55, 10月20日号 pp. 30‒33
[136] 뉴스 China: Extreme brainwashing at Uighur prison camps exposed in new leak https://www.bbc.com/[...] 2019-11-24
[137] 뉴스 中国政府、ウイグル人を収容所で「洗脳」 公文書が流出 https://www.bbc.com/[...] 2019-11-25
[138] 뉴스 Exposed: China’s Operating Manuals For Mass Internment And Arrest By Algorithm https://www.icij.org[...] 2019-11-24
[139] 뉴스 大規模システムでウイグル族を監視 中国当局の内部文書判明 https://www.tokyo-np[...] 2019-11-25
[140] 뉴스 Secret documents: China detention camps to 'prevent escapes' https://mainichi.jp/[...] 2019-11-25
[141] 간행물 The Church Committee:Foreign and Military Intelligence,Final Report,1976 http://www.aarclibra[...]
[142] 서적 Donald Bain's The Control of Candy Jones Playboy Press 1976
[143] 뉴스 China Inspired Interrogations at Guantánamo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20-01-04
[144] 뉴스 Report says top officials set tone for detainee abuse https://www.csmonito[...] 2020-01-04
[145] 뉴스 Detainee’s Lawyers Make Claim on Sleep Deprivation https://www.nytimes.[...] 2020-01-05
[146] 뉴스 Uighur men held for 12 years leave Guantánamo Bay for Slovakia https://www.theguard[...] 2020-01-05
[147] 문서 House Foreign Affairs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uman Rights, and Oversight, hearing on the FBI’s role at Guantanamo Bay prison, June 4, 2008
[148] 웹사이트 「180時間断眠も無問題」:米政府の拷問実態が明らかに https://wired.jp/200[...] 2020-01-04
[149]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Religion Gyan Publishing House
[150] 서적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Psychology Press
[151]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서적 Encyclopedia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 서적 Brainwashing: The Science of Thought Contro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7-02
[154] 문서 '''Note:''' ''xīn'' can mean "heart", "mind" or "centre" depending on context. For example, {{lang|zh-Latn|[[:zh:心脏病|xīn zàng bìng]]}} means [[Cardiovascular disease]], but {{lang|zh-Latn|[[:zh:心理医生|xīn lǐ yī shēng]]}} means [[psychologist]], and {{lang|zh-Latn|[[:zh:市中心|shì zhōng xīn]]}} means [[Central business district]].
[155] 서적 The Search for the Manchurian Candidate: The CIA and mind control https://archive.org/[...] Times Books 2008-12-30
[156] 뉴스 Was kidnapped Utah teen brainwashed? 2003-03-14
[157] 뉴스 The CIA's Secret Quest for Mind Control: Torture, LSD and A 'Poisoner in Chief' https://www.npr.org/[...]
[158] 저널 Pseudoscience and Minority Religions: An evaluation of the brainwashing theories of Jean-Marie
[159] 웹인용 Chapter 3, part 4: Supreme Court Dissents Invoke the Nuremberg Code: CIA and DOD Human Subjects Research Scandals http://www.eh.doe.go[...] 2005-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