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사회보험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사회보험청은 1962년 후생성 외청으로 설립되어, 의료보험, 연금보험 등의 사회 보험 업무를 담당했다. 2001년 후생성과 노동성이 통합되어 후생노동성 외청이 되었으나, 연금 기록 문제, 횡령, 비리 등 여러 문제와 노동조합과의 유착,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로 국민의 신뢰를 잃어 2009년 12월 31일 폐지되었다. 사회보험청의 업무는 일본연금기구, 전국건강보험협회, 후생노동성 등으로 이관되었으며,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를 통해 사업 개선을 도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관공청 - 일본 조폐국
    일본 조폐국은 메이지 시대 통화 현대화를 위해 설립된 화폐 제조 기관으로, 지폐 및 주화 제조, 훈장 제작, 금속 분석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오사카 본국과 사이타마, 히로시마 지국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인 위조 방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일제강점기 한국 화폐 제조 참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일본의 관공청 - 일본 국립인쇄국
    일본 국립인쇄국은 지폐, 우표, 여권 등 정부 관련 인쇄물 및 용지 제조를 담당하는 일본의 독립 행정 법인으로, 1871년 설립 후 조직 개편을 거쳐 2003년 독립 행정 법인이 되었다.
  • 보험 - 예측 분석
    예측 분석은 통계학, 기계 학습 등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과거 및 현재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의 사건이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론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 결정 지원 및 위험 관리 등에 활용되지만, 인간 행동의 복잡성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보험 - 보험법
    보험법은 상법 제4편의 보험 규정을 지칭하며, 편면적 강행법규성, 기술성, 단체성, 사회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보험계약자 보호를 강화하며, 상법, 특별법, 관습법 등을 법원으로 하고 보험약관의 법적 성격은 논쟁 중이며, 영미법과 대륙법 체계로 발전하여 성실 의무 등의 원칙에 기반한 계약을 규율하며, 보험회사 규제는 국가별로 상이하고 고지의무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일본 사회보험청
개요
정식 명칭사회보험청
공용어 명칭샤카이호켄초
영문 명칭Social Insurance Agency
기관 문장
기관 문장
장관다카다 히로유키(초대)
장관와타나베 요시키(마지막)
상위 기관후생노동성
하위 기관내부 부국, 운영부, 시설 등 기관, 사회보험대학교, 사회보험업무센터, 지방 지분 부국, 지방사회보험사무국, 사회보험사무소
위치도쿄도지요다구가스미가세키 1-2-2 중앙합동청사 제5호관 19·20층
정원16,822명 (2007년 4월 1일 시행)
설치일1962년 (쇼와 37년) 7월 1일
폐지일2009년 (헤이세이 21년) 12월 31일
전신해당 없음
후신일본연금기구, 전국건강보험협회

2. 연혁


  • 1962년 7월 1일, 후생성의 외국으로 사회보험청이 설치되었고, 부속 기관으로 사회보험연구소가 설치되었다.[10]
  • 1971년 5월 16일, 사회보험연구소는 사회 보험 대학교로 개편되었다.
  • 1980년 4월 1일, 장관관방에 장관관방 심의관이 설치되었다.
  • 1988년 10월 1일, 사회보험청에 사회보험청 차장이 설치되었고, 시설 등의 기관으로 사회보험업무센터가 설치되었다.
  • 2000년 4월 1일, 사회보험청의 지방 사무소로 도도부현에 지방사회보험사무국이 설치되었고, 그 분장기관으로 사회보험사무소가 설치되었다.
  • 2001년 1월 6일, 후생성과 노동성이 통합하여 후생노동성이 발족하면서, 사회보험청은 후생노동성의 외국이 되었다.
  • 2006년 9월 1일, 사회보험청 차장 직이 폐지되었다.
  • 2009년 12월 31일, 사회보험청이 폐지되었다.[10]

2. 1. 설립 배경

1962년 7월 1일, 당시 후생성 대신이었던 나다오 히로키치는 증가하는 사회보험 업무를 처리하고, 업무 부문과 감독 부문을 분리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후생성 외청으로 '''사회보험청'''을 설립했다.[10] 이전까지 일본의 사회보험 업무는 후생성 내부 부서에서 담당했으나, 업무량 증가와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별도 기관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초기 사회보험청은 장관관방, 의료보험부, 연금보험부의 1관방 2부로 구성되었으며, 부속 기관으로 사회보험연구소가 설치되었다. 사회보험연구소는 1971년 5월 16일 사회보험대학교로 개편되었다.

2. 2. 설립 및 조직 변화

1962년 7월 1일, 후생성의 외국(外局)으로 사회보험청이 설치되었다.[10] 초기에는 장관관방, 의료보험부, 연금보험부의 1관방 2부 체제로 구성되었으며, 부속 기관으로 사회보험연구소가 설치되었다.[10]

1971년 5월 16일, 사회보험연구소는 사회 보험 대학교로 개편되었다.

1980년 4월 1일, 장관관방에 장관관방 심의관이 설치되었다.

1988년 10월 1일, 조직 개편으로 총무부와 운영부의 2부 체제가 되었고, 사회보험업무센터가 설치되었다. 총무부장은 전임직이 아니라 사회보험청 차관이 겸임하였다.

2000년 4월 1일, 지방 사무소로 도도부현에 지방사회보험사무국, 그 분장기관으로 사회보험사무소를 설치하였다.

2001년 1월 6일, 후생성과 노동성이 통합되어 후생노동성이 발족하면서, 사회보험청은 후생노동성의 외국이 되었다.

2006년 9월 1일, 사회보험청 차장 직이 폐지되고, 총무부장은 전임직이 되었다.

2. 3. 폐지

2009년 12월 31일, 사회보험청은 연금 기록 문제, 횡령, 비리 등 여러 문제로 인해 국민의 신뢰를 잃어 폐지되었다.[10] 폐지와 함께 징계 처분을 받은 직원 525명이 해고되었다. 사회보험청의 업무는 일본연금기구, 전국건강보험협회, 후생노동성 등으로 이관되었다.

3. 업무 이관

사회보험청 폐지 이후, 주요 업무는 일본연금기구와 후생노동성 등으로 이관되었다.

3. 1. 업무 분할

사회보험청의 주요 업무였던 국민연금, 후생연금보험, 정부관장 건강보험의 적용, 징수, 급여 업무는 다음과 같이 분할, 이관되었다.

사회보험청은 국민연금, 후생연금보험 및 정부관장 건강보험의 적용·징수·급여(給付)를 주요 업무로 하였다. 국가는 보험자로서 최종적인 책임을 지면서 일상적인 경영을 하고, 1997년 9월 2일 지방분권추진위원회 제3차 권고에 따라 국가의 직접 집행 사무로서 사회보험청이 일원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국민연금 보험료 징수는 시(市)·정(町)·촌(村)에 위임하여 행해졌지만, 원칙적으로 국가가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정리되어 2002년 4월부터 국가로 이관되었다. 2000년 4월 지방분권일괄법 시행에 따라 도도부현에서 해당 사무에 종사하던 직원들은 후생사무관으로 변경되었고, 지방사무관 제도도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도도부현의 연금 관리국을 폐지하고, 사회보험청 산하 '사회보험사무국'이 신설되었다. 도도부현의 사회보험사무소는 사회보험청의 산하 기관으로 바뀌었다.

연금 제도의 기획·입안이나 적립금 관리는 후생노동성 연금국이 담당하고 있다.

3. 2. 지방분권 추진과 업무 이관

1997년 9월 2일 지방분권추진위원회 제3차 권고에 따라, 사회보험 사무는 국가가 보험자로서 경영 책임을 지고, 전국적인 사업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일체적인 사무 처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국가의 직접 집행 사무로 일원화되었다.

이에 따라 2002년 4월부터 시정촌에서 담당하던 국민연금 보험료 징수 업무가 국가로 이관되었다. 2000년 4월에는 지방분권일괄법 시행에 따라 지방사무관 제도가 폐지되고,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은 후생사무관으로 신분이 변경되었다.

결국 도도부현의 연금 관리국은 폐지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회보험청 산하 ‘지방사회보험사무국’이 신설되었다.

4. 조직

연금 봉투

  • 사회보험청 장관
  • 수석 통괄 관리관
  • 통괄 관리관(개혁 특명 담당)
  • 관리관
  • 총무부
  • * 총무과
  • * 직원과
  • * 경리과
  • * 서비스 추진과
  • 운영부
  • * 기획과
  • * 의료보험과
  • * 연금보험과
  • 사회보험 업무 센터
  • * 총무부
  • * 정보관리부
  • * 업무부
  • * 기록관리부
  • * 중앙연금 상담실
  • 사회보험대학교
  • * 서무과
  • * 교무과
  • 지방사회보험사무국(2006년 10월 1일 현재 전국 47곳)
  • * 사회보험사무소(2006년 10월 1일 현재 전국 265곳)

5. 문제점 및 스캔들

사회보험청은 연금 사업 운영과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과 스캔들을 일으켜 국민의 불신을 초래했다.

2004년 3월, 국민연금보험료 미납 정보 유출 의혹(연금 미납 문제)이 보도되면서 엉성한 운영 실태가 드러났다. 같은 해 7월, 약 300명의 직원이 개인정보를 업무 외 목적으로 열람해 513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 9월에는 간부 직원이 뇌물수수죄로 체포되었다.[18]

2006년 5월, 전국 사회보험사무소에서 국민연금 보험료 부정 면제 222,587건이 적발되어 준법 의식 결여 문제가 제기되었다.

2007년에는 온라인화 과정에서 컴퓨터 입력 오류, 아이치현 내 사회보험사무소의 체납금 부정 감액(총액 약 6800만)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국회와 언론은 사회보험청의 이용자 중심 사고 부족, 개인정보 보호 인식 부족, 보험료 및 세금의 부적절한 사용 등을 지적하며 비판했다.[18]

5. 1. 연금 기록 문제

1979년 사회보험청은 기록을 전산화했고[3], 1997년에는 3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려 했다.[4] 이로 인해 수많은 문제가 발생했으며, 2007년 5월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1997년 이전 보험료 납부자 5천만 명의 기록이 시스템에 등록된 어떤 시민과도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폭로했다.[5] 이 문제는 자유민주당이 2007년 선거에서 패배하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다.[6]

2010년 1월까지 5천만 건의 기록 중 1,400만 건이 기존 연금 번호와 통합되었다.[7]

2007년 5월, 일본 사회보험청의 온라인화 과정에서 컴퓨터 입력 오류와 부실이 많았고, 기초 연금 번호로 통합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연금 번호가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국회와 언론에서는 연금 기록의 부실한 관리가 비판받았다.

또한 일본 사회보험청의 온라인화 계획에 대해 노동조합이 "중앙집권화된 지배 기구를 강화하고 독점 자본을 위한 합리화"라며 반대했고, 온라인화 실시에 따른 노동 강화를 요구하지 않겠다는 각서[11]를 교환했던 점이 문제시되었다.[12] (자세한 내용은 전국사회보험직원노동조합 참조).

5. 2. 횡령 및 비리

2004년 3월, 국민연금보험료 미납 정보에 관한 개인정보 누출이 의심되는 사례(연금 미납 문제) 등이 보도되면서 사회보험청의 엉성한 운영이 발각되었다. 같은 해 7월, 약 300명의 직원이 미납 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업무 외 목적으로 열람했던 것이 밝혀져 행위자와 관리 감독 공무원 513명이 징계 처분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사회보험청 간부 직원이 뇌물수수죄로 체포되어 국민의 신뢰를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4]

2006년 5월, 전국 각지의 사회보험사무소가 국민연금 보험료를 부정하게 면제(법령 등에 따른 정상적인 면제 조치가 아닌 사무 처리)했던 것이 발각되었다. 조사 결과 부정 면제는 222,587건에 달했고, 행정 조직으로서의 준법의식이 결여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2007년 8월 10일, 아이치현 내의 8군데 사회보험사무소가 건강보험이나 후생연금 보험료를 체납한 사업소에 대하여 부과되는 체납금을 부정하게 감액했던 것이 밝혀졌다. 총액은 적어도 약 6800만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3년, 사회보험청의 여러 간부 직원이 감독 하에 있는 건강보험조합인 도쿄도 소형 컴퓨터 소프트웨어 산업 건강보험조합(현: 간토 IT 소프트웨어 건강보험조합)으로부터 잦은 접대를 받은 불상사에 대해 스스로 처분을 내렸다.

5. 3. 개인정보 유출

2004년 3월, 국민연금보험료 미납 정보에 관한 개인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사례(정치인의 연금 미납 문제)가 언론에 보도되었다.[18] 같은 해 7월, 약 300명의 직원이 미납자 정보 등 개인 정보를 업무 외 목적으로 열람한 사실이 밝혀져, 행위자와 관리 감독 공무원 513명이 징계 처분되었다.[18]

5. 4. 방만한 운영과 낮은 준법 의식

2004년 3월, 국민연금보험료 미납 정보에 관한 개인정보 누출 의혹(연금 미납 문제)이 보도되면서 사회보험청의 허술한 운영이 드러났다.[18] 같은 해 7월, 약 300명의 직원이 미납 정보 등 개인정보를 업무 외 목적으로 열람하여 513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9월에는 간부 직원이 뇌물수수죄로 체포되기도 했다.[18]

2006년 5월에는 전국 각지의 사회보험사무소가 국민연금 보험료를 부정하게 면제(법령에 따르지 않은 사무 처리)한 사실이 드러났다. 조사 결과 부정 면제 건수는 222,587건에 달했고, 행정 조직으로서 준법 의식이 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8]

2007년 5월, 사회보험청 업무의 온라인화 과정에서 컴퓨터 입력 오류 등이 발생하여 주먹구구식 연금 기록 관리가 비판받았다.[18] 같은 해 8월 10일에는 아이치현 내 8개 사회보험사무소가 건강보험 및 후생연금 보험료 체납 사업소에 부과되는 체납금을 부정하게 감액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감액된 체납금 총액은 적어도 약 6800만에 달했다.[13]

국회 및 언론에서는 사회보험청이 "이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는다",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않는다", "국민이 납부한 보험료나 세금을 보험 급부 이외에 안이하게 생각한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되었다.[18]

2003년에는 사회보험청 간부들이 감독 대상인 도쿄도 소형 컴퓨터 소프트웨어 산업 건강보험조합(현: 간토 IT 소프트웨어 건강보험조합)으로부터 잦은 접대를 받은 문제로 자체 처분을 내리기도 했다.[14]

5. 5. 노동조합과의 유착

2007년 사회당 지지 성향의 사회보험청 직원 노동조합인 자치노와 공산당 지지 성향의 국공노련은 온라인화 및 전산화에 반대하며, 노동 조건 강화를 막기 위해 사측과 부적절한 각서를 체결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8] 오시타 에이지는 사회보험청 노동조합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연금 낭비 및 기록 문제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17]

2004년 4월 기준, 지방 사회보험 사무국 및 사회보험 사무소 직원 노동조합 가입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대상가입조직률
자치노 산하 국비평의회12,949명12,423명-
국공노련의 전후생노동조합4,438명2,383명-
본청 직원 (사회보험 업무 센터, 사회보험 대학 포함)793명207명26.1%
전체15,463명14,806명95.8%



2000년 지방분권 일괄 시행으로 사회보험 업무와 직원은 국가로 일원화되었으나, 노조는 7년간 경과 조치로 도도부현 직원 단체 가입이 유지되었다. 2007년 3월, 자치노 국비평의회는 전국사회보험직원노동조합으로 개명했지만, 자치노 산하 단체라는 실질적인 변경은 없었다.

6. 사회보험청 개혁

사회보험청은 1962년 7월 1일 설립 이후 방만한 운영과 연금 기록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을 노출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사회보험청을 개혁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일련의 개혁 과정을 거쳐, 2010년 1월 1일 사회보험청은 폐지되고 일본연금기구가 새롭게 출범하였다.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08년 10월, 건강보험 업무를 담당할 전국건강보험협회와 보험의료기관 지도 감독을 담당할 지방후생국이 설치되었다.
  • 2010년 1월, 공적연금 운영 업무는 일본연금기구가, 공적연금 재정 책임 및 관리 운영 책임은 후생노동성이 담당하도록 변경되었다.


사회보험청 개혁 과정에서, 1979년 체결된 '온라인화 계획 실시에 따른 각서'가 문제가 되었다. 이 각서는 국가공무원법으로 규제되는 사항, 인사, 근무 평정 등 거버넌스 관련 사항, 업무 지휘 명령권 등이 교섭 대상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4년 11월, 해당 각서는 파기되었다.

6. 1. 개혁 추진 과정


  • 2004년 7월 23일, 무라세 기요시가 민간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사회보험청 장관에 취임했다.
  • 2004년 8월 3일, 일본 정부는 '사회보험청의 바람직한 모습에 관한 지식인 회의(내각관방장관 주재)'를 설치했다. 이 회의는 내각관방장관 및 후생노동대신과 여러 지식인으로 구성되어 2004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총 10회 개최되었다.
  • 2004년 8월, 사회보험청 업무의 근본적 개혁을 위해 장관 아래의 모든 조직이 주체적으로 참가하여 개혁을 가속화하기 위한 사회보험청 개혁 추진 본부가 설치되었다.
  • 2004년 11월 26일, 지식인 회의(제5회)는 ‘긴급 대응 프로그램’을 정리했다.
  • 2005년 5월 31일, 지식인 회의는 최종 정리에서 공적연금은 정부가 충분히 운영 책임을 담당하는 새로운 국가 기관을 설치하고, 정부가 관장하는 건강보험은 국가에서 분리한 전국 단위의 공법인을 설립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 2005년 7월, 위 최종 정리에 따라 ‘사회보험 새 조직의 실현을 향한 지식인 회의(후생노동대신 주재)’를 설치하고, 국가 행정 조직의 연금 운영 새 조직의 구체적인 모습을 논의하였다.
  • 2005년 12월 12일, 지식인 회의는 연금 운영 새 조직을 국가의 ‘특별한 기관’이라는 위치를 부여하고, 주요 기능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 2006년 6월 21일 관련 법령의 개정 및 공포를 통해 2008년 10월에 전국건강보험협회가 신설되고, 정부가 관장하는 건강보험의 담당을 이관하기로 하였다.
  • 2006년 12월 14일, 자민당 및 공명당에 의한 ‘여당 연금제도 개혁 협의회’는 연금 운영 새 조직의 법인화와 직원의 비공무원화를 담은 새로운 개혁 방침을 밝혔다.
  • 2007년 2월 20일, 야나기사와 하쿠오 후생노동대신과의 협의에서 아베 신조 총리는 새 법인의 명칭을 ‘일본연금기구’로 결정했다.
  • 2007년 6월 30일, 일본연금기구법안이 성립.
  • 2009년 12월 31일, 징계 등의 문제가 있는 사회보험청 직원 525명을 분한 면직.
  • 2010년 1월 1일, 사회보험청이 폐지, 일본연금기구로 이행.

6. 2. 새로운 조직

2008년 10월, 사회보험청에서 분리 독립하여 건강보험의 새로운 보험자가 되는 전국건강보험협회(비공무원형 공법인)와 보험의료기관의 지도 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지방후생국이 설치되었다.[10]

2010년 1월, 사회보험청의 업무는 다음과 같이 분할되었다.[10]

  • 공적연금 운영 업무는 일본연금기구(비공무원형 공법인)가 담당.
  • 공적연금의 재정 책임 및 관리 운영 책임은 후생노동성이 담당.


선원보험은 전국건강보험협회로 이관되었고, 사회보험청은 폐지되었다.[10]

7.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社会保険事業運営評議会|샤카이호켄지교운에이효기카이일본어)는 2004년 8월 사회보험청에 설치되어 사업 전반에 대해 보험료 가입자와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을 도모했다. 평의회는 지식인, 노사 대표 등 7명으로 구성되었다.

7. 1. 역할

2004년 8월에 사회보험청에 설치된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社会保険事業運営評議会일본어)는 사회보험 사업 전반에 대한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보험료 가입자와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회보험 사업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구성원은 지식인이나 노사 대표 7인 등이다.[1]

운영 평의회는 다음 사항들을 검토했다.[1]

  • 정부 관장 건강보험, 후생연금보험, 국민연금 등의 사회보험 사업의 적절성
  • 피보험자 적용, 보험료 징수, 의료·연금 급여 등 사회보험 사업 관련 업무의 적절성
  • 기타 이용자 관점에서의 사회보험 사업의 바람직한 모습

7. 2. 구성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社会保険事業運営評議会|샤카이호켄지교운에이효기카이일본어)는 2004년 8월에 일본 사회보험청의 사업 내용이나 업무 수행 방법 등 사업 전반에 대해 보험료 가입자나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평의회는 지식인, 노사 대표 등 7명으로 구성되었다.[1]

  • 운영 평의회 검토 과제[1]

# 정부 관장 건강보험, 후생연금보험, 국민연금 등의 사회보험 사업이 적절하게 실시되고 있는가

# 피보험자 적용, 보험료 징수, 의료·연금 등의 급여 등 사회보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가 적절하게 실시되고 있는가

# 기타 이용자의 시점에서 본 사회보험 사업 본연의 자세 확인

7. 3. 검토 과제

2004년 8월, 사회보험청은 사업 내용 및 업무 수행 방식 등 사업 전반에 걸쳐 보험료 가입자와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보험사업운영 평의회를 설치했다. 평의회는 지식인, 노사 대표 등 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과제를 검토했다.

  • 정부 관장 건강보험, 후생연금보험,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 사업의 적절한 실시 여부
  • 피보험자 적용, 보험료 징수, 의료·연금 급여 등 사회보험 사업 관련 업무의 적절한 실시 여부
  • 기타 이용자 관점에서 본 사회보험 사업의 바람직한 모습 확인

참조

[1] 웹사이트 Japan Pension Service website English information http://www.nenkin.go[...] 2010-11-24
[2] 웹사이트 Social Insurance Agency website Agency Structure http://www.sia.go.jp[...] 2010-11-23
[3] 뉴스 Bloated bureaucracy exposed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website 2010-11-24
[4] 뉴스 Special panel to investigate pension fiasco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website 2010-11-24
[5] 뉴스 Poll-wary ruling bloc gropes to fix pension fiasco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website 2010-11-24
[6] 뉴스 Ruling coalition suffers huge defeat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website 2010-11-24
[7]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the “Japan Pension Service” http://www.issa.int/[...]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 website 2010-11-24
[8] 간행물 SAPIO第 19 巻第19~22号 小学館
[9] 웹사이트 社保庁廃止で「解雇」 取り消し求めた元職員の敗訴確定: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10-06
[10] 서적 賢人たちの世 文藝春秋
[11] 웹사이트 "年金記録問題"に対する基本的考え方 http://www.jichiro.g[...] 全日本自治団体労働組合
[12] 뉴스 不祥事続発の日本年金機構。その「母体組織」の驚きのルール~ 「文字入力は一日平均5000字まで」「50分働き15分休憩」 - 現代ビジネス https://gendai.media[...]
[13] 뉴스 朝日新聞 2007-08-10
[14] 웹사이트 衆議院 会議録 第11号 平成16年4月14日(水曜日) https://web.archive.[...]
[15] 서적 だまされないための年金・医療・介護入門: 社会保障改革の正しい見方・考え方
[16] 뉴스 asahi.com:消えた年金の遠因? 社保庁労組、手帳統一など次々反対 - 5000万件の不明年金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17] 서적 内閣官房長官秘録
[1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