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학도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입학도설(入學圖說)은 조선 초기의 학자 권근(權近, 1352~1409)이 성리학의 기본 원리를 그림과 해설로 설명한 책입니다. 1390년 권근이 전라도 익산(益山)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저술하기 시작하여, 1397년(태조 6년)에 경상도 진주(晉州)에서 간행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 성리학 입문서: 주로 어린이나 성리학 초심자들을 위해 성리학의 기초 지식을 쉽게 풀이한 책입니다.
  • 도(圖)와 설(說)의 결합: 유학 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과 태극도설(太極圖說) 등에서 주요 개념어를 뽑아 그림(圖)과 해설(說)로 설명했습니다.
  • 다양한 도설 수록: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 천인심성분석도(天人心性分釋圖), 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 중용수장분석도(中庸首章分釋圖), 십이월괘지도(十二月卦之圖) 등 40여 종의 도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최초의 삽화 교과서: 세계 최초로 그림과 도형, 삽화를 삽입한 교과서로,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해(1658)보다 270여 년 앞서 만들어졌습니다.
  • 천인심성합일지도: 성리학의 중심 개념인 태극, 천명, 이기, 음양, 오행, 사단, 칠정 등의 문제를 하나의 도표로 요약하고, 그 관계와 특성을 설명합니다.

의의:

  • 성리학 도설의 시초: 조선 시대 성리학에서 그림으로 설명하는 '도설(圖說)'의 시초가 되는 저작입니다.
  • 후대 영향: 훗날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등 조선 성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학술적 가치: 조선 초 유학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며, 권근의 학문과 경세론, 유학의 중요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정 문화유산:입학도설은 현재 대한민국 보물 제1136-1호, 제1136-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94호,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입학도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보물
지정 번호1136-1, 1136-2, 394, 32
지정 정보
지정 날짜1992년 7월 28일, 2011년 4월 29일, 2003년 9월 18일, 2014년 7월 2일
소장 정보
주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5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산9번지 대성암
울산광역시 남구 문수로 217번길 15, 문수사
상세 정보
시대고려 시대, 조선 시대
문화재청 정보
문화재청 ID12,11360100,31, 12,11360200,37, 21,03940000,38, 21,00320000,26
명칭
명칭입학도설 (入學圖說)
양산 대성암 소장 명칭양산대성암소장입학도설 (梁山大聖庵所藏入學圖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