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의 도시주와 비도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글랜드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는 1974년 지방 정부법에 따라 도입된 행정 구역 체계로, 도시 자치구와 비도시 자치구로 구분된다. 도시 자치구는 그레이터 런던, 머지사이드, 웨스트 미들랜즈 등 6개 지역으로, 1986년 의회가 폐지되었지만 법적으로 존속하며, 긴급 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연합체 역할을 한다. 비도시 자치구는 여러 개의 디스트릭트로 구성된 샤이어 카운티와 단일 자치구로 나뉘며, 1990년대 이후 단일 자치구로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그레이터 런던은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33개의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리 제도는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운티 - 군 (미국)
미국의 군은 주 아래의 행정 구역으로, 루이지애나주의 교구, 알래스카주의 구와 독립시 등을 포함하여 총 3,141개의 군 또는 군과 동격인 행정구역이 존재하며, 각 주의 군의 지위는 상이하고 일부 주에서는 기능이 축소되기도 한다. - 카운티 - 군청 소재지
군청 소재지는 군, 현, 카운티 등 하위 행정 구역의 행정 중심지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군청 청사가 위치하는 곳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카운티 시트라고 부른다. - 도시주 - 웨스트요크셔주
웨스트요크셔주는 1974년 광역시로 설립되어 5개의 자치구로 구성되며, 역사적으로 요크셔 서라이딩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산업 혁명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교통 및 재생 기능을 담당하는 통합 당국을 두고 금융, 모직물, 탄광, 루바브 재배 등의 산업과 다양한 문화 시설, 스포츠 클럽,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 도시주 - 그레이터맨체스터주
그레이터맨체스터주는 1974년 잉글랜드 북서부에 신설된 광역 자치주로, 맨체스터를 중심으로 10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 혁명 시기 섬유 산업의 중심지에서 현재는 경제, 문화,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비도시주 - 서머싯주
서머싯주는 잉글랜드 남서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지형과 온화한 기후를 바탕으로 농업, 관광, 첨단 기술 산업이 발달하고, 바스, 웨스턴슈퍼메어, 토언턴 등의 도시가 있으며, 예술, 음악, 문학의 전통을 가진다. - 비도시주 - 글로스터셔주
글로스터셔주는 잉글랜드 남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카운티로, 다양한 지형을 포함하며, 브리스톨은 과거에 속했으나 현재는 전례주에 속하고, 2007년 홍수 피해를 겪었으며, 글로스터셔 주의회가 관할하고, 여러 교육기관과 특산 동물, 역사적 유적이 존재하며, 대중 문화에도 등장한다.
잉글랜드의 도시주와 비도시주 | |
---|---|
개요 | |
![]() | |
관할 지역 | 잉글랜드 |
유형 | 도시주 (6개) 비도시주 (77개) |
상태 | 의회 없음 (도시주) 의회 있음 (비도시주) 단일 자치구 |
하위 구역 | 대도시 자치구 (36개) 비도시 디스트릭트 (239개) |
상위 행정 단위 | 지역 |
법률 시작 | 지방 정부법 1972년 |
시행일 | 1972년 4월 1일 |
현재 개수 | 83개 |
통계 기준일 | 2021년 4월 1일 |
행정 | |
도시 카운티 | 카운슬 없음 |
비도시 카운티 | 카운슬 있음 |
단일 자치단체 | 카운슬 있음 |
2. 역사
1974년 4월 1일부터 현재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라는 행정 구조가 시행되었으며, 동시에 행정 자치구와 County borough|자치구영어는 폐지되었다. 그레이터 런던은 1965년에 다른 법률에 의해 창설되었다.
1970년대 말,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지방 행정 기구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해럴드 윌슨의 노동당 정권은 Redcliffe-Maud Commission|레드클리프-모드 위원회영어를 설치하여 대규모 개혁을 제안했다. 위원회는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2층 구조의 지방 행정 기구를 폐지하고, 58개의 단일 자치구를 설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머지사이드,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및 노스이스트 체셔, 버밍엄 지역의 3개 도시 지역에는 20개의 디스트릭트급 행정체를 설치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
에드워드 히스가 이끄는 보수당은 이 제안에 반대하였으나, 1970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자체적인 지방 행정 기구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그 결과 단일 자치구 개념은 포기되었고, 잉글랜드와 웨일스 전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균일하게 분할되었다. 잉글랜드의 새로운 구획은 전통적인 카운티를 기본으로 하되, 도시 지역 외에는 대대적인 지구 재편이 이루어졌다.
정부의 거듭된 보장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는 강한 반대가 있었고, 가장 과격한 변경은 철회되었다. 그러나 정부는 규모가 작은 카운티의 통합을 강행했다. 러틀랜드와 헤리퍼드셔의 존속 캠페인은 실패했지만, 와이트 섬은 햄프셔에 편입되지 않고 지리적 격리를 이유로 독자적인 카운티 의회를 유지하는 것을 인정받았다.
1972년 지방 정부법은 1972년 의회를 통과하여 잉글랜드의 카운티와 도시 디스트릭트를 규정했지만, 비도시 디스트릭트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아 경계 위원회에서 규정하였다.[1]
1986년, 대처 정부는 중앙 정부와 갈등을 빚은 끝에 도시 카운티 의회 및 대(大) 런던 의회를 폐지했지만, 카운티 자체는 법적으로 존속했다.
1990년대, 잉글랜드의 행정 지도는 일부 자치구가 카운티 기능을 병합하는 단일 자치구로 재편되면서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재편은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2. 1. 1972년 지방 정부법
1972년 해럴드 윌슨의 노동당 정권은 잉글랜드 지방 행정 구조 개혁을 위해 위원회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2층 구조 지방 행정 기구를 폐지하고, 58개의 단일 자치구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했다. 또한 머지사이드,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및 노스이스트 체셔, 버밍엄 지역 3개 도시 지역에는 20개의 디스트릭트급 행정체를 설치하도록 제안했다.[1]에드워드 히스가 이끄는 보수당은 이 제안에 반대했고, 1970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자체적인 지방 행정 기구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 보수당 정부는 단일 자치구 개념을 포기하고 잉글랜드와 웨일스 전역을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균일하게 분할했다. 잉글랜드의 새로운 구획은 전통적인 카운티를 기준으로 했지만, 도시 지역 외에도 대대적인 지구 재편이 이루어졌다.[1]
정부의 거듭된 보장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는 강한 반대가 있었고, 가장 과격한 변경은 철회되었다. 하지만 정부는 규모가 작은 카운티의 통합을 고집했다. 러틀랜드와 헤리퍼드셔의 존속 캠페인은 실패했지만, 와이트 섬은 햄프셔에 편입되지 않고 지리적 격리를 이유로 독자적인 카운티 의회를 유지하게 되었다.[1]
1972년 지방 정부법은 1972년 의회를 통과하여 잉글랜드의 카운티와 도시 디스트릭트를 규정했지만, 비도시 디스트릭트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아 경계 위원회에서 규정하게 되었다.[1]
1972년 지방 정부법에 따라 신설된 도시 카운티는 다음과 같다.
도시 카운티 | 구성 지역 |
---|---|
머지사이드 | 리버풀 주변, 랭커셔 남서부, 체셔 북서부 위럴 주변, 머지 강 맞은편 |
그레이터 맨체스터 | 맨체스터 시가지 및 주변 마을 |
사우스 요크셔 | 웨스트 라이딩 오브 요크셔의 셰필드-로더럼 지구 |
타인 앤드 위어 | 노섬벌랜드의 뉴캐슬-어폰-타인, 더럼의 선더랜드 주변 타인사이드 도시권 |
웨스트 미들랜즈 | 블랙 컨트리 및 코번트리를 포함한 버밍엄 도시권 |
웨스트 요크셔 | 웨스트 라이딩 오브 요크셔의 리즈-브래드퍼드 지구 |
그 외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서머싯 북부, 글로스터셔 남부, 브리스틀 및 바스에서 에이본 구성
- 더럼 남부, 티사이드 도시권, 기즈버러 및 하트리풀 주변을 포함하는 노스 라이딩 오브 요크셔 북부에서 클리블랜드 구성
- 웨스트모어랜드, 컴벌랜드(Cumberland), 랭커셔 및 요크셔 일부에서 컴브리아 구성
- 헤리퍼드셔와 우스터셔를 병합하여 헤리퍼드 앤드 우스터 구성
- 요크셔 동부 및 링컨셔 북부에서 험버사이드 구성
- 헌팅던 앤드 피터버러를 캠브리지셔에 편입
- 러틀랜드를 1개의 디스트릭트로 레스터셔에 편입
- 버크셔의 옛 카운티 타운인 애빙던을 포함하는 베일 오브 화이트 호스를 옥스퍼드셔에 편입하고, 월링퍼드 및 디드콧 주변 지역과 함께 사우스 옥스퍼드셔 디스트릭트의 서쪽 절반에 편입
- 본머스를 햄프셔에서 도싯으로 옮기고, 자매 도시 풀과 합병
2. 2. 1974년부터 1995년까지의 변화
1974년 4월 1일부터 현재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라는 행정 구조가 시행되었으며, 동시에 행정 자치구와 County borough|자치구영어는 폐지되었다.1970년대 말,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지방 행정 기구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해럴드 윌슨의 노동당 정권은 레드클리프-모드 위원회(Redcliffe-Maud Commission영어)를 설치하여 대규모 개혁을 제안했다. 위원회는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2층 구조의 지방 행정 기구를 폐지하고, 58개의 단일 자치구를 설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머지사이드,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및 노스이스트 체셔, 버밍엄 지역의 3개 도시 지역에는 20개의 디스트릭트급 행정체를 설치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
에드워드 히스가 이끄는 보수당은 이 제안에 반대하였으나, 1970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자체적인 지방 행정 기구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그 결과 단일 자치구 개념은 포기되었고, 잉글랜드와 웨일스 전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균일하게 분할되었다. 잉글랜드의 새로운 구획은 전통적인 카운티를 기본으로 하되, 도시 지역 외에는 대대적인 지구 재편이 이루어졌다.
정부의 거듭된 보장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는 강한 반대가 있었고, 가장 과격한 변경은 철회되었다. 그러나 정부는 규모가 작은 카운티의 통합을 강행했다. 러틀랜드와 헤리퍼드셔의 존속 캠페인은 실패했지만, 와이트 섬은 햄프셔에 편입되지 않고 지리적 격리를 이유로 독자적인 카운티 의회를 유지하는 것을 인정받았다.
1972년 지방 정부법은 1972년 의회를 통과하여 잉글랜드의 카운티와 도시 디스트릭트를 규정했지만, 비도시 디스트릭트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아 경계 위원회에서 규정하였다.[1]
1974년에 신설된 도시 카운티:
- 머지사이드: 리버풀 주변, 랭커셔 남서부, 체셔 북서부의 위럴 주변, 머지 강 맞은편
- 그레이터 맨체스터: 맨체스터 시가지 및 주변의 마을
- 사우스 요크셔: West Riding of Yorkshire|웨스트 라이딩 오브 요크셔영어의 셰필드-로더럼 지구
- 타인 앤드 위어: Tyneside|타인사이드영어 도시권, 노섬벌랜드의 뉴캐슬-어폰-타인, 더럼의 선더랜드 주변
- 웨스트 미들랜즈: Black Country|블랙 컨트리영어 및 코번트리를 포함한 버밍엄 도시권
- 웨스트 요크셔: West Riding|웨스트 라이딩영어의 리즈-브래드퍼드 지구
주요 변경 사항:
- County of Avon|에이본 주영어 신설: 서머싯 북부, 글로스터셔 남부, 브리스틀 및 바스
- Cleveland, England|클리블랜드영어 신설: Teesside|티사이드영어 도시권 중심, 더럼 남부, Guisborough|가이즈보로영어 및 하트리풀 주변, North Riding of Yorkshire|노스 라이딩 오브 요크셔영어 북부
- 컴브리아 신설: Westmorland|웨스트모어랜드영어, 컴벌랜드, 랭커셔 및 요크셔 일부
- Hereford and Worcester|헤리퍼드 앤드 우스터영어 신설: 헤리퍼드셔와 우스터셔 병합
- Humberside|험버사이드영어 신설: 요크셔 동부 및 링컨셔 북부
- Huntingdon and Peterborough|헌팅던 앤드 피터버러영어를 캠브리지셔에 편입
- 러틀랜드를 디스트릭트로 레스터셔에 편입
- Vale of White Horse|베일 오브 화이트 호스영어 (버크셔의 옛 카운티 타운 애빙던 포함)를 옥스퍼드셔에 편입, Wallingford|월링퍼드영어 및 디드콧 주변 지역과 함께 South Oxfordshire|사우스 옥스퍼드셔영어 디스트릭트 서쪽 절반에 편입
- 본머스를 햄프셔에서 도싯으로 이동, 풀과 합병
{| class="wikitable"
|+ 1974년부터 1995년까지의 잉글랜드의 주
|-
|

|-
|
|}
2. 3. 도시 카운티 의회 폐지 (1986년)
1986년, 대처 정부는 중앙 정부와 갈등을 빚은 끝에 도시 카운티 의회 및 대(大) 런던 의회를 폐지했지만, 카운티 자체는 법적으로 존속했다.2. 4. 1992년 지방 정부법
1990년대, 잉글랜드의 행정 지도는 일부 자치구가 카운티 기능을 병합하는 단일 자치구로 재편되면서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재편은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1995년 4월 1일, 와이트 섬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이전에는 와이트 섬 카운티 카운슬과 Medina, Isle of Wight|메디나영어, South Wight|사우스 와이트영어 자치구 카운슬로 구성된 2층 구조였다. 같은 날, 그레이터 런던과의 경계에 있는 서리 및 버킹엄셔의 소지역이 버크셔로 이관되었다.
- 1996년 4월 1일, 인구가 적은 Avon (county)|에이본영어, Humberside|험버사이드영어, Cleveland, England|클리블랜드영어 3개 카운티가 폐지되고 각 지역은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다. 같은 날, 요크가 확장된 후 노스요크셔에서 분리되었다.
- 1997년 4월 1일, 본머스, 달링턴, 더비, 레스터, 루턴, Milton Keynes (borough)|밀턴 케인스영어, 풀, 포츠머스, 러틀랜드, 사우스햄튼 디스트릭트가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또한, 브라이턴 및 호브 디스트릭트가 병합되어 새로운 단일 자치구 브라이턴 앤 호브가 되었다.
- 1998년 4월 1일, 블랙풀, 블랙번 위드 다웬, Halton (borough)|핼턴영어, Medway|메드웨이영어, 노팅엄, 피터버러, 플리머스, Borough of Swindon|스윈던영어, 스토크온트렌트, 사우스엔드온시, Telford and Wrekin|텔포드 앤 레킨영어, 토베이, Thurrock|서록영어, 워링턴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Hereford and Worcester|헤리퍼드 앤 우스터영어는 폐지되어 헤리퍼드셔 단일 자치구와 우스터셔 샤이어 카운티로 대체되었다. 버크셔는 6개의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지만, 법적인 폐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 5. 1995년부터 1998년까지의 변화
1995년 4월 1일, 와이트 섬은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이전에는 와이트 섬 카운티 카운슬과 Medina, Isle of Wight|메디나영어, South Wight|사우스 와이트영어의 2층 구조였다. 같은 날 그레이터 런던과의 경계에 있는 서리 및 버킹엄셔의 소지역이 버크셔로 이관되었다.[1]1996년 4월 1일, 인구가 적은 Avon (county)|에이본영어, Humberside|험버사이드영어, Cleveland, England|클리블랜드영어 3개 카운티가 폐지되고 각 지역은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다. 같은 날, 요크가 확장된 후 노스요크셔에서 분리되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1]
1997년 4월 1일, 본머스, 달링턴, 더비, 레스터, 루턴, Milton Keynes (borough)|밀턴 케인스영어, 풀, 포츠머스, 러틀랜드, 사우스햄튼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또한, 브라이턴 및 호브 디스트릭트가 병합되어 새로운 단일 자치구 브라이턴 앤 호브가 되었다.[1]
1998년 4월 1일, 블랙풀, 블랙번 위드 다웬, Halton (borough)|핼턴영어, Medway|메드웨이영어, 노팅엄, 피터버러, 플리머스, Borough of Swindon|스윈던영어, 스토크온트렌트, 사우스엔드온시, Telford and Wrekin|텔포드 앤 레킨영어, 토베이, Thurrock|서록영어, 워링턴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Hereford and Worcester|헤리퍼드 앤 우스터영어는 폐지되어 헤리퍼드셔 단일 자치구와 우스터셔 샤이어 카운티로 대체되었다. 버크셔는 6개의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지만, 법적인 폐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
2. 6. 2009년 구조 개혁
2009년 4월부터 베드퍼드셔주와 체셔주의 행정 구역 개편이 시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비도시 카운티의 변경이 있었다.
베드퍼드셔주와 체셔주는 의례 카운티로 등급이 변경되어, 같은 이름을 가진 비도시 카운티와는 다르게 취급하게 되었다.
2. 7. 2019년과 2020년의 재편
도싯, 버킹엄셔에서 단일 자치구 재편이 있었다. 2021년에는 노샘프턴셔에서도 행정 개혁이 시행될 예정이다.[1]3. 현재 잉글랜드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
1974년 4월 1일부터 잉글랜드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라는 새로운 행정 구조가 시행되면서, 기존의 행정 자치구와 County borough|자치구영어는 폐지되었다. 그레이터 런던은 이보다 앞선 1965년에 별도의 법률에 의해 창설되었다.
1990년대에는 자치구와 디스트릭트의 기능 및 권한을 통합한 새로운 유형의 비도시 자치구인 단일 자치구가 등장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비도시 자치구는 단일 자치구와 구별하기 위해 shire county|샤이어 카운티영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70년대 말, 해럴드 윌슨의 노동당 정권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지방 행정 기구 개혁을 위해 Redcliffe-Maud Commission|레드클리프-모드 위원회영어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2층 구조의 지방 행정 기구를 폐지하고, 지리적 경계를 우선시한 58개의 단일 자치구를 설치하는 급진적인 개혁안을 제시했다. 머지사이드,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및 노스이스트 체셔, 버밍엄 지역에는 3개의 도시 지역과 20개의 디스트릭트급 행정체를 설치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히스가 이끄는 보수당은 이 개혁안에 반대했고, 1970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자체적인 지방 행정 기구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 단일 자치구 개념은 포기되었지만, 잉글랜드와 웨일스 전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균일하게 분할되었다. 잉글랜드의 새로운 행정 구역은 대체로 전통적인 카운티를 따랐지만, 도시 지역 외곽에서는 대대적인 구역 재편이 이루어졌다.
정부는 지방 행정 개편이 지역 주민들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했지만, 지방에서는 강한 반발이 있었고, 결국 가장 급진적인 변경 사항은 철회되었다. 다만, 정부는 규모가 작은 카운티의 통합을 추진했다. 러틀랜드와 헤리퍼드셔의 존속 운동은 실패했지만, 와이트 섬은 지리적 고립성을 인정받아 햄프셔에 편입되지 않고 독자적인 카운티 의회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1972년 Local Government Act 1972|지방 행정법영어이 의회를 통과하여 잉글랜드의 카운티와 도시 디스트릭트를 규정했지만, 비도시 디스트릭트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어, 이미 활동을 시작한 경계 위원회에 의해 규정되었다.[1]
1974년 잉글랜드 지방 행정 개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변경 내용 |
---|
서머싯 북부, 글로스터셔 남부, 브리스틀, 바스를 통합하여 County of Avon|에이본 주영어 신설 |
더럼 남부, Guisborough|가이즈보로영어, 하트리풀 주변 Teesside|티사이드영어 도시권을 중심으로 North Riding of Yorkshire|노스 라이딩영어 북부에 Cleveland, England|클리블랜드영어 신설 |
Westmorland|웨스트모어랜드영어, 컴벌랜드, 랭커셔, 요크셔 일부를 통합하여 컴브리아 신설 |
헤리퍼드셔와 우스터셔를 병합하여 Hereford and Worcester|헤리퍼드 앤드 우스터영어 신설 |
{{llang|en|East Riding of Yorkshire|요크셔 동부]]와 링컨셔 북부를 통합하여 험버사이드/Humberside영어 신설 |
헌팅던 앤드 피터버러/Huntingdon and Peterborough영어를 캠브리지셔에 편입 |
러틀랜드를 레스터셔의 단일 디스트릭트로 편입 |
버크셔의 옛 카운티 타운 애빙던을 포함하는 베일 오브 화이트 호스/Vale of White Horse영어를 옥스퍼드셔에 편입하고, 월링퍼드/Wallingford영어 및 디드콧 주변 지역과 함께 사우스 옥스퍼드셔/South Oxfordshire영어 디스트릭트 서쪽 절반에 편입 |
본머스를 햄프셔에서 도싯으로 옮기고, 풀과 합병 |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잉글랜드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와이트 섬은 단일 자치구가 되었고, 에이본/Avon (county)영어, 험버사이드/Humberside영어, 클리블랜드/Cleveland, England영어는 폐지되어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다. 요크는 노스요크셔에서 분리되어 확장된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또한 본머스, 달링턴, 더비, 레스터, 루턴, 밀턴 케인스, 풀, 포츠머스, 러틀랜드, 사우스햄튼, 브라이턴 앤 호브, 블랙풀, 블랙번 위드 다웬, 핼턴/Halton (borough)영어, 메드웨이/Medway영어, 노팅엄, 피터버러, 플리머스, 스윈던/Borough of Swindon영어, 스토크온트렌트, 사우스엔드온시, 텔포드 앤 레킨/Telford and Wrekin영어, 토베이, 서록/Thurrock영어, 워링턴 등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헤리퍼드 앤 우스터/Hereford and Worcester영어는 폐지되어 헤리퍼드셔 단일 자치구와 우스터셔 샤이어 카운티로 대체되었고, 버크셔는 6개의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지만 법적으로 폐지되지는 않았다.
현재 잉글랜드의 행정 구역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도시 자치구 (Metropolitan County): 그레이터맨체스터, 머지사이드, 사우스요크셔, 타인앤드위어, 웨스트미들랜즈, 웨스트 요크셔
- 비도시 자치구 (Non-metropolitan County):
- 샤이어 카운티 (Shire County): 버킹엄셔 등 27개 카운티
- 단일 자치구 (Unitary Authority): 와이트 섬 등 56개 자치구
- 그레이터 런던 (Greater London): 시티 오브 런던과 32개의 런던 자치구
각 행정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도시 자치구 (Metropolitan County)
그레이터맨체스터, 머지사이드, 사우스요크셔, 타인앤드위어, 웨스트미들랜즈, 웨스트 요크셔는 도시 자치주이다. 이 지역의 인구는 보통 120만 명에서 280만 명 사이이다.이들 자치주의 의회는 마거릿 대처 내각에 의해 1986년에 폐지되었으나, 법적으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실제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도시 자치주는 행정 및 지리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현재도 의례 자치주이다. 과거 자치주 의회의 권한 대부분은 대도시 자치구(사실상의 단일 자치구)로 이양되었고, 현재도 도시 자치주급 연합체는 긴급 서비스, 시민 방위,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3. 2. 비도시 자치구 (Non-metropolitan County)
1974년 4월 1일부터 잉글랜드의 도시 및 비도시 자치구라는 새로운 행정 구조가 시행되면서, 기존의 행정 자치구와 County borough|자치구영어는 폐지되었다. 그레이터 런던은 이보다 앞선 1965년에 별도의 법률에 의해 창설되었다.1990년대에는 자치구와 디스트릭트의 기능 및 권한을 통합한 새로운 유형의 비도시 자치구인 단일 자치구가 등장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비도시 자치구는 단일 자치구와 구별하기 위해 shire county|샤이어 카운티영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70년대 말, 해럴드 윌슨의 노동당 정권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지방 행정 기구 개혁을 위해 Redcliffe-Maud Commission|레드클리프-모드 위원회영어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잉글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2층 구조의 지방 행정 기구를 폐지하고, 지리적 경계를 우선시한 58개의 단일 자치구를 설치하는 급진적인 개혁안을 제시했다. 머지사이드,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및 노스이스트 체셔, 버밍엄 지역에는 3개의 도시 지역과 20개의 디스트릭트급 행정체를 설치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히스가 이끄는 보수당은 이 개혁안에 반대했고, 1970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자체적인 지방 행정 기구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 단일 자치구 개념은 포기되었지만, 잉글랜드와 웨일스 전역은 카운티와 디스트릭트로 균일하게 분할되었다. 잉글랜드의 새로운 행정 구역은 대체로 전통적인 카운티를 따랐지만, 도시 지역 외곽에서는 대대적인 구역 재편이 이루어졌다.
정부는 지방 행정 개편이 지역 주민들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했지만, 지방에서는 강한 반발이 있었고, 결국 가장 급진적인 변경 사항은 철회되었다. 다만, 정부는 규모가 작은 카운티의 통합을 추진했다. 러틀랜드와 헤리퍼드셔의 존속 운동은 실패했지만, 와이트 섬은 지리적 고립성을 인정받아 햄프셔에 편입되지 않고 독자적인 카운티 의회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1972년, 잉글랜드의 카운티와 도시 디스트릭트를 규정하는 Local Government Act 1972|지방 행정법영어이 의회를 통과했지만, 비도시 디스트릭트에 대한 규정은 없어 경계 위원회가 이를 규정하게 되었다.[1]
1974년 잉글랜드 지방 행정 개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변경 내용 |
---|
서머싯 북부, 글로스터셔 남부, 브리스틀, 바스를 통합하여 County of Avon|에이본 주영어 신설 |
더럼 남부, Guisborough|가이즈보로영어, 하트리풀 주변 Teesside|티사이드영어 도시권을 중심으로 North Riding of Yorkshire|노스 라이딩영어 북부에 Cleveland, England|클리블랜드영어 신설 |
Westmorland|웨스트모어랜드영어, 컴벌랜드, 랭커셔, 요크셔 일부를 통합하여 컴브리아 신설 |
헤리퍼드셔와 우스터셔를 병합하여 Hereford and Worcester|헤리퍼드 앤드 우스터영어 신설 |
East Riding of Yorkshire|요크셔 동부]]와 링컨셔 북부를 통합하여 {{lang|en|Humberside|험버사이드영어 신설 |
Huntingdon and Peterborough|헌팅던 앤드 피터버러영어를 캠브리지셔에 편입 |
러틀랜드를 레스터셔의 단일 디스트릭트로 편입 |
버크셔의 옛 카운티 타운 애빙던을 포함하는 Vale of White Horse|베일 오브 화이트 호스영어를 옥스퍼드셔에 편입하고, Wallingford|월링퍼드영어 및 디드콧 주변 지역과 함께 South Oxfordshire|사우스 옥스퍼드셔영어 디스트릭트 서쪽 절반에 편입 |
본머스를 햄프셔에서 도싯으로 옮기고, 풀과 합병 |
3. 2. 1. 샤이어 카운티 (Shire County)
샤이어 카운티는 여러 비도시 디스트릭트로 구성된 비도시 카운티를 지칭하는 비공식적인 명칭이다. 이름이 "셔"로 끝나지 않아도 샤이어 카운티로 불릴 수 있다. 샤이어 카운티는 총 27개이다.샤이어 카운티 목록 |
---|
2009년 지방 자치 행정 개혁 법령 시행으로 샤이어 카운티의 총수는 감소했다. 비도시 카운티였던 베드퍼드셔와 체셔는 각각 2개의 비도시 카운티로 분할되었고, 콘월, 더럼(카운티), 노섬벌랜드, 슈롭셔, 윌트셔는 단일 도시로 변경되었다.
모든 샤이어 카운티에는 카운티 의회가 있다. 다만, 카운티 의회가 없는 버크셔는 샤이어 카운티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샤이어 카운티는 도시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으며, 인구는 대체로 109,000명에서 1,400,000명 사이이다.
3. 2. 2. 단일 자치구 (Unitary Authority)
1974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잉글랜드의 도시주 및 비도시주 행정 구조 개편 과정에서, 1990년대에 단일 자치구(Unitary Authority)라는 새로운 유형의 비도시 자치구가 등장했다.[1] 단일 자치구는 자치구(borough)와 디스트릭트(district)의 기능 및 권한을 통합한 형태이다. 기존의 비도시 자치구는 단일 자치구와 구분하기 위해 '셔 자치구'(shire county)라고 불리게 되었다.단일 자치구는 1990년대에 잉글랜드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 1995년 4월 1일: 와이트 섬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 1996년 4월 1일: 에이본, 험버사이드, 클리블랜드 3개 카운티가 폐지되고 각 지역은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다. 요크는 노스요크셔에서 분리되어 확장된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 1997년 4월 1일: 본머스, 달링턴, 더비, 레스터, 루턴, 밀턴 케인스, 풀, 포츠머스, 러틀랜드, 사우스햄튼 등의 디스트릭트가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브라이턴과 호브는 합병하여 브라이턴 앤 호브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 1998년 4월 1일: 블랙풀, 블랙번 위드 다웬, 핼턴, 메드웨이, 노팅엄, 피터버러, 플리머스, 스윈던, 스토크온트렌트, 사우스엔드온시, 텔포드 앤 레킨, 토베이, 서록, 워링턴 등이 단일 자치구가 되었다. 헤리퍼드 앤 우스터는 폐지되고 헤리퍼드셔 단일 자치구와 우스터셔 셔 카운티로 대체되었다. 버크셔는 6개의 단일 자치구로 분할되었지만 법적으로 폐지되지는 않았다.
현재 잉글랜드에는 56개의 단일 자치구가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카운슬(council)만을 가진다. 이 중 50개는 비도시 카운티와 지리적으로 일치하며, 44개는 디스트릭트 카운슬 하나만 가지고 카운티 카운슬은 가지지 않는다. 와이트섬, 콘월, 더럼, 노섬벌랜드, 슈롭셔, 윌트셔 6개 지구는 법적으로는 카운티 카운슬을 가지지만 실제로는 디스트릭트 카운슬을 가지지 않는 형태로 운영된다. 버크셔를 구성하는 6개의 단일 자치구는 비도시 카운티는 아니지만, 카운티 카운슬이 없는 상태로 버크셔 내에 존속하는 특이한 경우이다.
3. 3. 그레이터 런던 (Greater London)
그레이터 런던은 지역 중 하나이자 카운티 수준의 행정 구역으로, 시티 오브 런던과 32개의 런던 자치구를 합쳐 총 33개의 자치 단체가 있다.[5]1965년, 그레이터 런던은 1963년 제정된 런던 정부법에 따라 과거의 카운티 오브 런던, 미들섹스 대부분, 그리고 인접한 다른 카운티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되었다. 1972년의 자치체 개편에서는 제외되었다.[5] 초기에는 그레이터 런던 의회가 있었으나, 1986년에 도시 카운티 의회와 함께 폐지되었다. 1994년, 그레이터 런던은 신설된 지역 구분에 포함되면서 전체를 통괄하는 조직이 다시 설치되었고, 2000년에는 공선제 런던 의회와 런던 시장이 설치되었다. 이들은 2011년 다른 지역의 행정 기관이 폐지된 후에도 존속하고 있다.
의례적 카운티로서 그레이터 런던은 런던 자치구를 관할하는 "그레이터 런던"과 시티 오브 런던으로 나뉜다.
참조
[1]
서적
Local Government Act 1972
[2]
서적
Politics UK
[3]
서적
Local Government
[4]
서적
Aspects of Britain: Local Government
[5]
서적
Local Government in Britain
[6]
간행물
Bedfordshire (Structural Changes) Order 2008
http://www.opsi.gov.[...]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7]
간행물
Cheshire (Structural Changes) Order 2008
http://www.opsi.gov.[...]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