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강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강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에 위치한 군으로, 1952년 자성군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압록강 유역의 중강진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한반도 최저 기온인 -43.6°C를 기록하기도 했다. 북쪽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접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뗏목과 임업이 발달했으며, 현재는 1읍 1구 8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강군 - 후창층군
    후창층군은 한반도 지질 시대의 지층군으로, 암석 구성에 따라 아래층, 가운데층, 웃층으로 나뉘며, 중강 지구에서는 층서 구분이 다르고, 백운모편암의 K-Ar 절대 연령 측정 결과 약 12억 9400만 년의 연대가 측정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극점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극점 - 비단섬
    비단섬은 압록강 하구의 여러 섬과 간석지를 연결하여 형성된 섬으로, 평안북도 신도군에 속하며 조선과 청나라의 접경 지역이었고 현재는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며 지리천연기념물이 위치해 있다.
  • 한국의 극점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한국의 극점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중강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중강군
원어 이름중강군(중강군)
한자 표기中江郡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Chunggang kun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Junggang-gun
국가북한
자강도
면적620 km²
인구 (2008년)41,022명
행정 구역1읍, 1로동자구, 8리
행정 구역
1개
로동자구1개
8개
역사
혁명 사적지http://www.kcna.co.jp/item/2007/200707/news07/10.htm#11
기타
웹사이트http://www.globalsecurity.org/wmd/world/dprk/chunggang-up.htm

2. 역사

현재의 중강군은 1952년에 재편된 것으로, 1949년에 자강도가 신설되기 전까지는 평안북도에 속해 있었다. 1949년에 자강도로 소속이 옮겨졌고 1952년에 자성군에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른다. 원래 자성군에 속한 지역으로, 압록강 유역의 중강진이라는 곳에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찰서·헌병 분대·기상대가 놓여졌고, 1933년 1월 13일에는 중강진 기상대에서 한반도의 관측 사상 최저 기온인 -43.6°C를 기록한 바 있다.

2. 1. 연혁


  • 1413년 이전 : 동북면 갑산만호부 '''여연촌'''(閭延村)이었다.
  • 1413년 : 영길도 갑산군 '''여안부'''(汝安府)가 되었다.
  • 1416년 : 함길도 '''여연군'''(閭延郡)이 되었다.
  • 1417년 : 평안도 여연군이 되었다.
  • 1433년 : 여연군 서부에 '''우예군'''(虞芮郡), 남부에 자성군이 설치되었다.
  • 1455년 : 여연군, 우예군이 '''폐지'''되어 강계부에 편입되었다.
  • 1869년 : 평안도 자성군이 되었다.
  • 1895년 : 강계부 자성군이 되었다.
  • 1896년 : 평안북도 자성군이 되었다.
  • 1949년 1월 : 자강도 자성군이 되었다.
  • 1952년 12월 : 자성군에서 '''중강군'''이 분리되었다.[11] 중강군에 중강읍·중상리·건하리·연풍리·진평리·덕삼리·초당리·만흥리·장흥리·상장리·중덕리·호남리·조속리·토성리·장성리·원동리·호하리·호상리(1읍 17리)가 설치되었다.
  • 1958년 : 조속리가 토성리에, 연풍리 일부가 건하리에 편입되었다. 연풍리의 잔여분과 진평리 일부가 합병하여 신덕리가 설치되었다.(1읍 16리)
  • 1967년 : 초당리 일부가 분리되어 오수리가, 상장리 일부가 분리되어 석주리가 설치되었다.(1읍 18리)
  • 1969년 : 석주리·덕삼리·진평리·초당리가 오수리에, 호상리·호남리가 호하리에, 원동리가 장성리에, 신덕리가 건하리에, 만흥리가 중상리에 편입되었다.(1읍 9리)
  • 1977년 : 호하리가 호하로동자구로 승격되었다.(1읍 1로동자구 8리)


원래 자성군에 속한 지역으로, 압록강 유역의 중강진이라는 곳에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찰서·헌병 분대·기상대가 설치되었고, 1933년 1월 12일에는 중강진 기상대에서 한반도 관측 사상 최저 기온인 -43.6°C를 기록한 바 있다.[11] 이후 1952년 중강진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중강군으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및 기후

중강군은 한반도 북부, 압록강 상류의 남쪽에 위치한다. 북쪽은 중화인민공화국, 동쪽·동남쪽은 량강도 김형직군, 서쪽·서남쪽은 자성군과 접한다. 이곳에는 백두산 인근의 삼지연군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곳인 중강진(정북진)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지역이지만, 대한민국 신문의 날씨 예보에도 이곳의 최저 기온이 게재된다.

중강군은 여름은 덥고 겨울은 혹독하게 추운,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a'')를 보인다.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가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15.9°C이고 7월 평균 기온은 22.9°C이다. 최저 기온이 -43.6°C에 달한 적도 있다. 반면에 여름 최고 기온은 39°C에 달한 적도 있다.[4] 1933년 1월 12일, 중강진에서 -43°C의 기온이 기록되었다.[4] 현재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 변화가 한반도의 다른 지역보다 심각하며, 평균 기온이 100년 동안 3.1°C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7.5°C-1.8°C5.9°C15.2°C22.7°C26.5°C28.9°C28.2°C23.4°C15.6°C3.9°C-5.4°C13°C
평균 최저 기온 (℃)-22.8°C-17.9°C-7.4°C0.8°C8°C13.9°C18.3°C17.3°C9.7°C0.9°C-7.5°C-18.8°C-0.5°C
평균 강수량 (mm)4.8mm9.1mm17.4mm32.3mm62.7mm89.8mm172.7mm150.1mm60.8mm33.7mm27.5mm12.8mm673.7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3.23.74.96.48.910.211.49.85.96.06.05.381.7
평균 상대 습도 (%)78.974.369.064.868.676.782.082.478.473.677.078.075.3

[13] [14] [15] [16]

4. 산업

숲이 우거져 있기 때문에 뗏목과 임업이 발달해 있다.

5. 행정 구역

중강군은 1읍(ŭp), 1로동자구(rodongjagu)와 8리(ri)로 구성되어 있다.[11]

로동자구
중강읍호하로동자구중상리
건하리
장흥리
상장리
중덕리
장성리
토성리
오수리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뉴스 Junggang Revolutionary Site http://www.kcna.co.j[...] 2007-07-09
[3] 웹사이트 Chunggang-up http://www.globalsec[...] 2006-11-11
[4] 서적 Bukhan Yeonguso 1983
[5]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0
[6]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hunggang / Korea (Nordkore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6
[7] 웹사이트 Station 47014 Chunggang ftp://ftp-cdc.dwd.de[...]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6
[8] 웹사이트 Station Chunggang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8-10-06
[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中江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4-02
[10] 간행물 朝鮮気象三十年報 朝鮮総督府観測所
[11] 웹사이트 자강도 중강군 역사 http://www.cybernk.n[...]
[12]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13]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14] 웹인용 Klimatafel von Chunggang / Korea (Nordkorea) http://www.dwd.de/DW[...] 독일 기상청 2016-11-06
[15] 웹인용 Station 47014 Chunggang ftp://ftp-cdc.dwd.de[...] 독일 기상청 2016-11-06
[16] 웹인용 Station Chunggang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8-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