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야 심하바르만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1288년부터 1307년까지 참파 왕국의 군주였다. 그는 1282년 쿠빌라이 칸이 보낸 사절단을 포로로 잡고, 대월과의 동맹을 통해 원나라의 침략에 맞섰다. 원나라는 여러 차례 참파를 침략했지만, 참족의 저항과 대월의 지원으로 격퇴되었다.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대월 황제의 딸 현진 공주와 결혼하여 동맹을 강화했으며, 포나가르 사원 등 여러 사원을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베트남의 군주 - 쩐 소제
    쩐 소제는 쩐 왕조의 마지막 황제로, 외조부 호뀌리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1400년 호뀌리에게 강요받아 퇴위하면서 쩐 왕조는 멸망했다.
  • 13세기 베트남의 군주 -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는 학문적 소양을 갖추고 유연한 정책을 펼치며 주변국과 교류한 참파 왕국의 군주였으나, 자야 하리데바에 의해 암살당했다.
  • 13세기 베트남의 군주 - 인드라바르만 5세
    인드라바르만 5세는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를 살해하고 참파의 왕위를 찬탈하여 대월과 원나라에 조공하며 외교적 균형을 추구했지만, 원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 따르면 고령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참파 국왕 -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는 학문적 소양을 갖추고 유연한 정책을 펼치며 주변국과 교류한 참파 왕국의 군주였으나, 자야 하리데바에 의해 암살당했다.
  • 참파 국왕 - 인드라바르만 5세
    인드라바르만 5세는 자야 인드라바르만 6세를 살해하고 참파의 왕위를 찬탈하여 대월과 원나라에 조공하며 외교적 균형을 추구했지만, 원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 따르면 고령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야 심하바르만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
''
칭호참파 국왕
별칭쁘 체이 (왕자) 하리짓 파라마뜨마자, 자야 심하바르만
재위 기간1288년 – 1307년
이전인드라바르만 5세
이후쩨 찌
배우자바스카라데비
따빠시
빠라멕바리
자녀쩨 찌
쩨 낭
아버지인드라바르만 5세
어머니가우렌드락스미
출생지참파
사망1307년
사망지참파
종교힌두교

2. 원나라의 침공 (1283년 ~ 1285년)

1282년, 쿠빌라이 칸은 사절단을 참파에 보내려 했으나,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이들을 포로로 잡았다. 쿠빌라이 칸은 쩐 왕조대월에게 참파로 가는 길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2] 1283년, 쿠빌라이 칸은 소게투에게 100척의 군함을 주어 참파를 침략하게 했다. 원나라 군대는 비자야를 점령했지만, 인드라바르만 5세와 왕세자 하리지트는 산으로 도망쳐 게릴라전을 펼쳤다. 몽골군은 더위, 질병, 습도, 보급품 부족, 탈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소게투는 증원군을 요청했다. 1284년, 2만 명의 병력과 200척의 군함을 갖춘 원나라 증원 함대가 도착했지만, 소게투는 이미 북쪽으로 진군하여 현재의 후에에 도착했고, 참파 항구 도시를 파괴했다. 인드라바르만 5세는 쿠빌라이 칸의 요구를 계속 거부했다.[2]

쿠빌라이 칸은 아들 토곤에게 대월을 거쳐 참파를 육로로 침략하게 했다. 대월은 참파와 동맹을 맺고 1285년 쯩즈엉 전투에서 원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몽골 지도자 소게투의 죽음으로 참파와 안남에 대한 몽골 침략은 끝났다.[2]

2. 1. 원나라의 침공과 참파의 저항

1282년, 쿠빌라이 칸은 자신의 사절단을 참파를 통해 지나가게 하려 했지만,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그들을 포로로 잡았다. 쿠빌라이 칸은 쩐 왕조대월에게 참파로 들어가는 길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2] 1283년 초, 쿠빌라이는 소게투가 이끄는 100척의 군함을 파견하여 참파를 침략했다.[2] 해군력과 갑옷의 우위를 가진 숙련된 원나라 군대는 곧 참족을 비자야의 수도에서 몰아냈다. 인드라바르만 5세와 왕세자 하리지트는 산으로 도망쳐 적에 대한 게릴라 저항을 벌이며 항복을 거부했고, 몽골군은 더위, 질병, 습도, 보급품 부족, 탈영으로 고통받았다. 소게투는 쿠빌라이에게 증원군과 보급품을 요청했다.[2] 2만 명의 병력과 200척의 군함을 갖춘 원나라의 보급 및 증원 함대는 1284년 4월 참파에 도착했다. 조정 부족으로 인해 원나라 함대는 소게투의 군대를 따라잡아야 했는데, 소게투는 이미 북쪽으로 진군하여 현재의 후에에 도착했고, 북쪽으로 가는 길에 참파 항구 도시를 파괴했다.[2] 한편, 인드라바르만과 하리지트는 여전히 쿠빌라이의 요구를 거부하고 칸에게 핑계를 댔고, 쿠빌라이는 이를 불명예스럽게 여겼다.[2]

예상치 못한 참족의 저항에 직면한 쿠빌라이는 자신의 열한 번째 아들인 토곤 왕자에게 대월을 통해 참파를 육로로 침략하라고 명령했다.[2] 대월 왕은 참파와 동맹을 맺었다. 그들은 1285년 6월 쯩즈엉 전투에서 원나라 군대를 격파했다.[2] 몽골 지도자 사가투의 죽음은 참파와 안남에 대한 몽골 침략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었다.[2]

2. 2. 원나라의 증원과 대월의 개입

1282년, 쿠빌라이 칸은 자신의 사절단을 참파를 통해 지나가게 하려 했지만,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그들을 포로로 잡았다. 쿠빌라이 칸은 쩐 왕조의 대월에게 참파로 들어가는 길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2] 1283년 초, 쿠빌라이는 소게투가 이끄는 100척의 군함을 파견하여 참파를 침략했다.[2] 해군력과 갑옷의 우위를 가진 숙련된 원나라 군대는 곧 참족을 비자야의 수도에서 몰아냈다. 인드라바르만 5세와 왕세자 하리지트는 산으로 도망쳐 적에 대한 게릴라 저항을 벌이며 항복을 거부했고, 몽골군은 더위, 질병, 습도, 보급품 부족, 탈영으로 고통받았다. 소게투는 쿠빌라이에게 증원군과 보급품을 요청했다.[2] 1284년 4월, 2만 명의 병력과 200척의 군함을 갖춘 원나라의 보급 및 증원 함대가 참파에 도착했다. 조정 부족으로 인해 원나라 함대는 소게투의 군대를 따라잡아야 했는데, 소게투는 이미 북쪽으로 진군하여 현재의 후에에 도착했고, 북쪽으로 가는 길에 참파 항구 도시를 파괴했다.[2] 한편, 인드라바르만과 하리지트는 여전히 쿠빌라이의 요구를 거부하고 칸에게 핑계를 댔고, 쿠빌라이는 이를 불명예스럽게 여겼다.[2]

예상치 못한 참족의 저항에 직면한 쿠빌라이는 자신의 열한 번째 아들인 토곤 왕자에게 대월을 통해 참파를 육로로 침략하라고 명령했다.[2] 대월 왕은 참파와 동맹을 맺었다. 그들은 1285년 6월 쯩즈엉 전투에서 원나라 군대를 격파했다.[2] 몽골 지도자 사가투의 죽음은 참파와 안남에 대한 몽골 침략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었다.[2]

3. 대월과의 관계 및 혼인 동맹

대몽골과의 상호 투쟁은 대월(大越)참파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대월 황제 쩐년통은 그의 딸 현진을 참파의 제만에게 시집보내고 그 대가로 오주(참파어:Vuyar)와 리주(참파어:Ulik)를 받았다. 제만은 자바의 공주 타파시와도 결혼했다.[2]

그러나 제만이 곧 사망하자, 현진 공주가 남편과 함께 죽기를 거부한 것은 참파에게 국가적 수치로 여겨졌다. 이에 제만의 아들 체치는 참파가 대월에 할양한 두 지역을 되찾고자 하였으나, 패배하여 대월에서 포로로 사망했다.[3]

3. 1. 현진 공주와의 결혼

쩐년통은 그의 딸 현진을 참파의 제만에게 시집보냈고, 그 대가로 오주(참파어:Vuyar)와 리주(참파어:Ulik)를 받았다.[2] 그러나 제만은 곧 사망했고, 현진 공주가 남편과 함께 죽기를 거부한 것은 참파에게 국가적 수치로 여겨졌다.[3]

3. 2. 혼인 동맹의 파탄과 갈등

쩐년통은 그의 딸 현진을 참파의 왕 제만에게 시집보냈고, 그 대가로 오주(참파어: Vuyar)와 리주(참파어: Ulik)를 받았다. 제만은 자바의 공주 타파시와도 결혼했다.[2]

그러나 제만이 곧 사망하자, 현진 공주가 남편을 따라 죽는 것을 거부한 일은 참파에게 국가적 수치로 여겨졌다. 이에 제만의 아들 체치는 참파가 대월에 할양한 두 지역을 되찾고자 하였으나, 패배하여 대월에서 포로로 사망했다.[3]

4. 사원 건설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냐짱의 포나가르 사원, 판랑의 포 클롱 가라이 사원, 중부 고원의 닥락성 이아 숩현에 위치한 양 프롱 등 여러 사원 건설에 기여했다.[4]

4. 1. 포나가르 사원

자야 심하바르만 3세가 왕자/부왕이던 1277년에 냐짱의 포나가르 사원에 카우타라 부인을 위한 사원 건설을 허가했다.[4]

4. 2. 포클롱가라이 사원과 양프롱 사원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왕자 또는 부왕 시절인 1277년에 냐짱의 포나가르 사원에 카우타라 부인을 위한 사원 건설을 허가했다.[4]

정식으로 왕위에 오른 후에는 판랑의 포 클롱 가라이 사원에 여러 구조물과 정자를 기증했다. 또한 중부 고원의 닥락성 이아 숩현에 위치한 양 프롱 사원 건설을 시작했다.

5. 각주

이 문서에는 주석이 필요한 내용이 없으므로, 빈 문서로 출력한다.

참조

[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3] 서적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u Duc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8-05-01
[4] 간행물 Po Nagar de Nha Trang, seconde partie : Le dossier épigraphique 2005
[5]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7] 웹인용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u Duc https://books.google[...] 2018-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