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국명
- 3. 역사
- 3.1. 기원
- 3.2. 딩 왕조 (丁朝)와 전 레 왕조 (前黎朝) (968년–1009년)
- 3.3. 리 왕조 (李朝) (1009년–1225년)
- 3.4. 쩐 왕조 (陳朝) (1225년–1400년)
- 3.5. 호 왕조 (胡朝) (1400년–1407년)
- 3.6. 명나라의 지배 (1407년–1427년)
- 3.7. 후 레 왕조 (後黎朝) (1428년–1788년)
- 3.8. 막 왕조 (莫朝) (1527년–1592년)
- 3.9. 레-찐 시대 (黎鄭時代) (1593년–1788년)
- 3.10. 떠이선 왕조 (西山朝) (1788년–1802년)
- 3.11. 응우옌 왕조 (阮朝)와 대월의 종말 (1802년–1804년)
- 4. 정치 구조
- 5. 경제
- 6. 예술과 종교
- 7. 지도
- 8. 왕조 연표
- 참조
1. 개요
대월은 1054년 리 성종에 의해 명명된 베트남의 옛 국명이다. 968년 딘보린이 대구월을 건국한 이후, 리 왕조 시기 대월로 변경되었다. 대월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월'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딘 왕조,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호 왕조, 후 쩐 왕조, 레 왕조, 막 왕조, 서산 왕조 등을 거치며 베트남의 역사를 대표하는 중요한 국명으로 사용되었다. 15세기 레 성종의 개혁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으며, 농업 중심의 경제 체제를 유지했다. 불교가 융성했고, 1802년 응우옌 왕조가 건국되면서 대월은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월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호 (968–1054) | 대구월 (베트남어: Đại Cồ Việt Quốc, 大瞿越國) |
국호 (1054–1400, 1428–1804) | 대월 (베트남어: Đại Việt Quốc, 大越國) |
일반 명칭 | 대월 |
시대 | 고전 이후 시대 ~ 후기 근대 |
존속 기간 | 968년 – 1400년, 1428년 – 1804년 |
성립 | 딘 보 린에 의해 건국 |
멸망 | 자롱제가 국호를 베트남으로 변경 |
이전 국가 | 제3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종식 |
주요 사건 | 리 성종이 국호를 대구월에서 대월로 단축 (1054년) 호 꾸이 리의 대우 왕조 (1400–1407) 명나라의 지배 (1407–1427) 레 성종의 통치 및 확장 (1460–1497) 북부 및 남부 왕조 (16세기 – 1802년) |
현재 국가 | 베트남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
수도 (968–1010) | 호아르 |
수도 (1010–1398, 1428–1789) | 하노이(탕롱/동경) |
수도 (1398–1407) | 떠이도 |
수도 (1789–1804) | 푸쑤언 |
공용어 | 베트남어 문언 (1174년부터 공식 문자) |
통용 언어 | 비엣-므엉어군 (북부 비엣어) 크라-다이어족 기타 동남아시아 언어 |
종교 | 불교 (968년부터 1400년까지 국교) 유교 도교 다오르엉 힌두교 이슬람교 가톨릭교 |
정치 체제 (968–1533, 1788–1804) | 절대 군주제 |
정치 체제 (1533–1788) | 군주제 봉건제 군사 독재 |
군주 | 황제 |
초대 군주 | 딘 보 린 (968–980) |
마지막 군주 | 자롱제 (1802–1804) |
군사 독재자 및 섭정 | 응우옌낌 (1533–1545) 찐 주 (1545–1786) 응우옌 후에 (1786–1788) |
이전 국가 | 응오 왕조/정해군 |
계승 국가 | 응우옌 왕조/응우옌 왕조의 베트남 |
통계 | |
인구 (1200년) | 1,200,000명 |
인구 (1400년) | 1,600,000명 |
인구 (1539년) | 5,625,000명 |
통화 | 베트남 문, 지폐 |
지도 | |
![]() | |
![]() |
2. 국명
딘보린(정선황)이 966년 스스로 황제라 칭하며 대구월(大瞿越)이라는 국호를 정했다.[37] 이 국호는 베트남 토착 지명인 Cự Việt(거월)이나 Kẻ Việt(월 지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한월어로 '대'(大)를 뜻하는 Đại(대)가 접두어로 사용되었다.[37] 13세기와 14세기의 기록인 월사략에는 대구월이 등장하지 않다가 15세기의 대월사기전서에서 이 이름이 등장하는데, 모모키 시로는 대구월이 기록상 실수가 있었거나 옛 기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진 단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이후 1054년 리 성종이 즉위하면서 국호를 대월(大越)로 바꾸었다.[37]
2. 1. 월/비엣 (越)
'월(越)'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처음에는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거주하는 다양한 민족들을 지칭했다. 상나라 후기(기원전 1200년경)의 갑골과 청동 비문에서 도끼를 뜻하는 표의 문자로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越'로 표기되었다.[30] 기원전 8세기 장강 중류의 민족을 양월이라고 불렀으며, 이후 이 용어는 장강 이남 지역의 민족으로 확대되었다.[31]기원전 3세기부터 월은 민월, 우월, 락비엣 등 화난과 중국 남서부, 그리고 베트남 북부에 거주하는 비한족 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으며, 이들을 통틀어 백월(百越)이라고 불렀다.[30][31] 처음에 월은 중국인과는 다른, 화전 재배를 하고 초가집에서 생활하는 모든 남방 민족을 지칭했지만, 이들은 다양한 민족 언어학적 복합체에 속하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독립적인 부족 사회였다. 중국이 점차 남쪽으로 영역을 확장함에 따라 베트남 북부의 민족을 월, 락월, 우월 등으로 통일해서 부르기 시작했다.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월'은 민족이 아닌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었고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용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오늘날 비엣족의 조상인 비엣어파 사용자들이 당나라 시기 베트남에 '월'이라는 용어를 들여왔을 때, 이 타칭 지명은 점차 현지화하여 베트남인의 토착 지명이 되었다.[36] 베트남인들은 중세 동안 자신들을 고대 백월과 연관시키려고 노력했다. 베트남인을 가리키는 비엣(월, 越), 킨(Kinh, 京) 등의 명칭은 모두 고대 중국의 지리적 상상에 기반을 둔 것이며, 비엣어족 사람들은 자신들을 다른 민족과 구별하기 위해 "ta"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ta는 '우리', '나'를 의미하며, 식민지 시기에는 "nước ta"(우리나라), "tiếng ta"(우리 언어)와 같이 사용했다.
2. 2. 대구월 (大瞿越)
딘보린이 966년 스스로를 황제로 칭하고 자신의 왕국을 세우면서 대구월(大瞿越)이라는 국호를 정했다.[37] 이 국호는 베트남 토착 지명인 Cự Việt(거월)이나 Kẻ Việt(월 지방)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한월어로 '대'(大)를 뜻하는 Đại(대)가 접두어로 사용되었다.[37]13세기와 14세기의 기록인 월사략에는 대구월이 등장하지 않다가 15세기의 대월사기전서에서 이 이름이 등장하는데, 모모키 시로는 대구월이 기록상 실수가 있었거나 옛 기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진 단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2. 3. 대월 (大越)
리 성종이 1054년 왕위에 올랐을 때, 나라 이름을 "대월"(Đại Việt)이라고 정했다.[37] "대월"이라는 표현은 1054년 이전에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있다.[37]“월(Việt)”(Yue)이라는 용어는 초기 중국에서 상나라 말기(기원전 1200년경)의 갑골문과 청동기 문자에 처음 등장하며, 처음에는 도끼를 뜻하는 글자로, 나중에는 "越"로 쓰였다.[4] 당시에는 상나라 북서쪽의 월방(Yuefang)과 같은 민족이나 족장을 가리켰을 가능성이 있다.[5][6] 기원전 8세기 초, 중국 양자강 중류의 부족이 “양월(Yangyue)”이라고 불렸고, 이 용어는 나중에 더 남쪽의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5] 기원전 7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월/Việt”은 양자강 하류 유역의 월(Yue)나라와 그 백성을 가리켰다.[4][5]
기원전 3세기부터 이 용어는 중국 남부와 남서부, 그리고 베트남 북부의 한족이 아닌 인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민월(Minyue), 오월(Ouyue), 낙월(Luoyue, Lạc Việt) 등 특정 민족 집단을 통칭하여 백월(Baiyue)(百越|바이위에|Bách Việt중국어)이라고 불렀다.[4][5] “백월(Baiyue)” 또는 “Bách Việt”이라는 용어는 기원전 239년경에 편찬된 《여씨춘추》에 처음 등장한다.[8]
중국 제국의 세력이 남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중국 자료들은 당시 베트남 북부의 부족들을 월(Yue) 또는 낙월(Luoyue)과 오월(Ouyue) (Lạc Việt과 Au Viet)로 일반화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월(Yue)”이라는 용어는 민족 집단을 위한 용어라기보다는 지정학적 명칭으로 변형되었고, 야만성과 관련된 의미보다는 역사적, 정치적 용어가 되었다. 중국 통치 기간 동안, 이전 월 지역(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의 많은 국가와 반란은 민족명이라기보다는 오래된 지정학적 이름으로 “월(Yue)”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월(Yue)”(중국어 중세: ''ɦʉɐt̚'')이라는 단어는 당나라 말기(618~907)에 오스트로아시아어 계열의 월-무어어를 사용하는 민족들(현대 베트남의 경족(Kinh people)의 조상)에 의해 베트남어로 차용되었을 때, 이 외래어는 점차 현지화되어 베트남인의 자칭이 되었다. 베트남 엘리트들은 중세 후기에 구성된 전통을 통해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고대 월과 연결하려고 노력했음이 분명하다.[10]
3. 역사
938년 오권이 박당강에서 남한(南漢) 군대를 격파하고 독립을 쟁취한 후, 968년 딘보린(Đinh Bộ Lĩnh)이 대구월(大瞿越)을 건국했다.[11] 이는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1009년에는 리꽁우언(리 태조)이 리 왕조를 건국했다.[21][22] 리 왕조는 불교를 장려하고, 주변 지역과의 관계를 통해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1225년에는 쩐투도(陳守度)가 쩐 왕조(陳朝)를 건국했다.[22] 쩐 왕조는 몽골 제국의 침입을 세 차례나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법률을 정비하는 등 내치에도 힘썼다.[22]
1400년, 호뀌리(胡季犛)가 호 왕조를 건국했으나,[20] 1407년 명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하고 명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2]
1428년, 레 태조가 후 레 왕조(後黎朝)를 건국하여 명나라로부터 독립을 되찾았다.[11] 레 성종 (재위 1460년–1479년) 시기에는 중앙집권화, 법전 정비, 참파 정벌 등 여러 개혁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11]
1527년, 막당중이 막 왕조를 세우면서 후 레 왕조와 대립하는 혼란기가 시작되었다.[11] 이후 후 레 왕조가 부흥했지만, 실권은 정씨(鄭氏) 가문이 장악했고, 남쪽에서는 응우옌씨(阮氏) 가문이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20]
1771년, 떠이선 삼형제가 떠이선 왕조(西山朝)를 세워 혼란을 수습하고, 청나라의 침입을 격퇴했다.[1]
1802년,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이 응우옌 왕조(阮朝)를 건국하고 국호를 베트남(越南)으로 바꾸면서 대월(大越)이라는 국호는 사라졌다.[12]
3. 1. 기원
고대 베트남 북부, 특히 홍강 삼각주는 몽-미엔어족, 티베트-버마어족, 크라-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등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이 거주하던 곳이었다.[11] 기원전 111년 한나라의 정복 이전에는 풍응우옌 문화와 동선 문화와 같은 초기 사회가 존재했다.[11] 이들은 제련술과 정교한 청동 주조 기술을 사용했다.중국인들은 이들을 월(越) 또는 오랑캐로 불렀으며, 통틀어 중국인이 아닌 것으로 간주했다.[11] 고대 중국 문서는 각 부족을 구분하지 않았고, 베트남 북부에서 어떤 언어나 부족과 교류했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11] 제국 통치하의 모든 사람들은 "사람"(''ren'' 人) 또는 "신민"(''min'' 民)으로 불렸고, "베트남인"이라는 분류나 구분은 없었다.[11] 따라서 고대부터 현대 민족성을 정확히 추론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혼합된 다언어 공동체는 식민 정부와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후임 정부가 민족 분류 노력을 시행하기 전까지는 현대적인 민족 의식 없이 현재까지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11] 이 기간 동안 지속적인 "베트남 민족" 정체성은 존재하지 않았다.[11]
베트남 공식 역사 교과서는 중국 지배하의 베트남 북부 사람들을 'Việt/Yue'로 간주한다.[19] 월(越)은 남쪽의 중국인이 아닌 광범위한 집단으로, 특정한 관습을 공유하는 여러 민족 언어 집단을 포함했다.[18] 1세기경 중국 기록에서 백월과 락월이 사라진 후, 리-라오라는 새로운 토착 부족 집단이 등장했을 수 있다.[18] 리-라오 사람들은 북 주조 전통으로 유명했으며, 헤거 2형 북을 생산했다. 반면 이전 락월의 동선 문화는 헤거 1형 북을 생산했다.[18]
3. 2. 딩 왕조 (丁朝)와 전 레 왕조 (前黎朝) (968년–1009년)
9세기 후반, 베트남 북부는 당나라에 의해 안남으로 지배되었다. 860년대에 안남 서쪽 산악 지대의 수장들이 남조(南詔)와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866년 당나라에 의해 진압되고 정해군(靜海軍)으로 개명되었다. 9세기 말, 군사 반란으로 당나라가 철수하면서 10세기 초 홍강 삼각주에는 khúc 가문이 이끄는 지역 정권이 형성되었다. 907년부터 917년까지 khúc효와 khúc승미는 중국 왕조들에 의해 ''절도사(節度使)''(조공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나, 독립 정체를 만들려고 하지는 않았다.[11] 930년, 남한(南漢)이 안남을 침략하여 khúc씨를 몰아냈지만, 931년 양정예(Dương Đình Nghệ)가 반란을 일으켜 남한을 축출했다.[11] 937년, 양정예는 구공전에 의해 암살되었고, 938년 남한의 유공(劉龑) 황제가 침략했으나, 양정예의 사위 오권(Ngô Quyền)이 박당강에서 남한 함대를 격파했다.[11]939년, 오권은 왕을 칭하고 고뢰(Cổ Loa)에 도읍을 정했으나, 그의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 944년 오권 사후, 양탐가(Dương Tam Kha)(양정예의 아들)가 권력을 잡았으나, 파벌 분열을 일으켰다. 오권의 아들들인 오창문(Ngô Xương Văn)과 오창읍(Ngô Xương Ngập)이 950년에 공동으로 왕이 되었으나, 954년 오창읍이 죽고, 963년 오창문 마저 살해되면서 혼란이 발생했다.[11]
968년, 딘보린(Đinh Bộ Lĩnh)이 12명의 군벌을 물리치고 나라를 통일한 후, 대구월(大瞿越, Đại Cồ Việt)을 건국했다.[11] 979년 딘보린과 그의 아들 딘리엔이 암살당한 후,[11] 레호안(Lê Hoàn)이 권력을 잡고 전 레 왕조를 세웠다. (980-1009) 레호안은 송의 침입을 격퇴하고 참파를 공격하는 등 대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11]
3. 3. 리 왕조 (李朝) (1009년–1225년)
1009년 11월, 리꽁우언(리 태조)은 승려들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이로써 리 왕조가 시작되었다.[21][22] 초기 대월(1200년 이전) 시대에 베트남 왕조는 "헌장 국가" 또는 "만달라 국가" 형태로 존재했다. 사쿠라이 유미오(Yumio Sakurai)는 리 왕조를 지역 왕조로 재구성했는데, 이는 몇몇 내륙 지역만 통제할 수 있었고, 외곽 지역(''phu'')은 다양한 민족언어적 배경을 가진 지역 씨족들이 불교 동맹(예: 사찰)을 통해 왕족에게 충성하면서 자치적으로 통치했음을 의미한다. 베트남 왕은 지역 영주들과의 불교 동맹을 통해 홍강 삼각주를 넘어 영향력을 행사한 만달라 구조의 중심이었으며, 관료제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Hà Giang에서 1107년에 제작된 비문에는 능족 Hà 씨족과 왕조 간의 종교적·정치적 관계가 기록되어 있고, 1100년에 제작된 또 다른 비문에는 리상결(Lý Thường Kiệt)이 Thanh Hoá의 영주였음을 기념하고 있다.3. 4. 쩐 왕조 (陳朝) (1225년–1400년)
쩐투도(陳守度)가 리 왕조를 무너뜨리고 쩐 왕조(陳朝)를 건국하여, 1225년부터 1400년까지 존속했다. 쩐 왕조는 몽골 제국의 침입을 세 차례(1258, 1285, 1288)나 격퇴하며 국력을 과시했다.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법률을 정비하는 등 내치에도 힘썼다. 14세기 후반, 쩐 왕조는 기근, 전염병, 참파의 침입 등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22]쩐 왕조는 왕과 상왕의 관계를 채택하여 모계 씨족이 왕실을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 황제는 장남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나 권력을 유지했고, 근친혼을 하였다. 모계 가문의 영향을 막기 위해 왕비는 왕조의 혈통에서만 맞이했다. 국가는 중앙집권화되었고, 세금과 관료제가 등장했으며, 역사서가 기록되었다. 대부분의 권력은 황제와 왕족에게 집중되었다. 쩐 왕조는 저지대에서 쩐씨가 아닌 자치 귀족 씨족을 권력에서 제거하고 쩐 왕족을 임명하여 국가와 지역 주민 간의 관계를 강화했다. 쩐 왕족의 토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토지와 노예를 소유하지 못한 가난한 농민인 농노였다. 홍강 삼각주의 제방 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수리 시설이 건설되어 강을 관개에 이용하여 왕국의 쌀 중심 농업 경제와 인구를 유지하고 증가시켰다.[22] 쩐 군주들은 유교를 불교에 이어 두 번째 신앙으로 확립하여, 문인 계급을 탄생시켰고 이들은 나중에 기존 불교 성직자들과 경쟁하게 되었다.[22]
이 기간 동안 베트남 왕조는 원나라와 참파의 침략, 정치적 불안, 기근, 재난 및 질병에 직면하여 1300년대 후반에는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호뀌리는 쩐 귀족을 제거하고 승려의 수를 제한하며 중국 고전 학문을 장려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이는 정치적 재앙으로 이어졌다.[22]
3. 5. 호 왕조 (胡朝) (1400년–1407년)
1400년, 호뀌리(胡季犛)가 쩐 왕조를 무너뜨리고 호 왕조를 건국했다. 호뀌리는 화폐 개혁, 토지 제도 개혁 등 일련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명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했다.[20]3. 6. 명나라의 지배 (1407년–1427년)
1407년, 명나라 영락제는 대월을 침략하여 점령하고, 교지성을 설치했다.[12] 명나라는 베트남의 문화를 말살하고 유교를 강요하는 등 가혹한 통치를 펼쳤다.3. 7. 후 레 왕조 (後黎朝) (1428년–1788년)
레 태조는 1418년 람선(Lam Sơn)에서 봉기하여 명나라에 대항, 9년간의 독립전쟁을 벌였다.[11] 1428년, 응우옌짜이 등 탕화 가문들의 도움으로 명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후 레 왕조(後黎朝)를 건국, 새로운 대월의 황제로 즉위했다.[11] 그는 하노이를 동경(Đông Kinh, 동쪽 수도), 람선을 서경(Tây Kinh, 서쪽 수도)으로 삼았다.[11]레 러이 사후, 그의 아들 레 응우옌 롱(재위 1433년–1442년)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레 삿이 섭정을 맡았다.[11] 그러나 레 삿은 권력을 남용했고, 레 타이 통은 정 카와 동맹하여 레 삿을 제거했다.[11] 1442년 레 타이 통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그의 어린 아들 레 방 거(재위 1442년–1459년)가 즉위했다.[11] 권력은 정 카와 응우옌 티 안에게 넘어갔고, 이들은 참파를 공격하기도 했다.[11] 1459년, 레 응이 딘이 쿠데타를 일으켜 레 인 텅과 응우옌 티 안을 살해했으나, 곧 응우옌 시와 딩 리엣에게 축출되고 레 하오가 즉위했다.[11]
레 성종(재위 1460년–1479년)은 중앙집권적 정부를 수립하고, 관료제를 정비하고, 교육, 무역, 법률을 제도화하는 등 개혁을 실시하여 짧은 황금기를 이끌었다.[11] 하노이 문묘는 11세기부터 18세기까지 왕립학교로 사용되었다. 그는 1471년 참파를 침공하여 카우타라 잔여 국가를 속국으로 만들었고, 1479년에는 루앙프라방을 함락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11] 레 성종은 유교 군주로서 국제주의와 외국 무역을 제한하고, 노예 제도를 금지했다.[11] 1462년에 발표된 레 법전(Lê Code)은 1803년까지 시행되었다.[11]
15세기 대월의 사회 계층은 다음과 같았다.[11]
계층 | 설명 |
---|---|
vua / hoàng đế | 황제(Emperor) |
hoàng tử | 황태자(Crown prince) |
vương | 일반 왕자 |
công | 공작(Duke) |
hầu | 후작(Marquis) |
bá | 백작(Count) |
비왕족 귀족 | 설명 |
tử | 자작(Viscount) |
nam | 남작(Baron) |
1497년 레 성종 사후, 대월은 다시 내전에 휘말렸다.[11] 농업 실패, 인구 증가, 부패, 파벌주의 등으로 왕국은 쇠퇴했고, 여러 무능한 왕들이 즉위했다.[11] 레 우 묵 치세에는 정씨와 응우옌씨 가문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11] 1516년에는 쩐까오의 반란으로 수도가 함락되기도 했다.[11]
1527년, 막당중이 레 왕조를 무너뜨리고 막 왕조를 세웠다.[11] 이후 60년간 레 왕조 충신들과 막씨 세력 간의 내전이 이어졌고, 정씨와 응우옌씨는 레 왕조를 지원했다.[11] 1592년, 막씨가 축출되고 레 왕조가 부흥했지만, 정씨와 응우옌씨가 실권을 장악하여 1627년부터 1672년까지 다시 내전을 벌였다.[11]
북쪽의 정씨는 레 왕조의 섭정을 자처하며 북부를 통치했고, 남쪽의 응우옌 왕조는 1558년부터 '주(Chúa)'를 칭하며 남부를 통치했다.[11] 두 세력은 왕국을 분할하여 경쟁했지만, 레 왕조에 대한 명목상의 충성은 유지했다.[11]
3. 8. 막 왕조 (莫朝) (1527년–1592년)
혼란 속에서 유교 경전에 정통한 무관 막당용(Mạc Đăng Dung)은 질서를 회복하려 했다. 1522년까지 그는 효과적으로 두 개의 대립하는 세력을 정복하고 반란을 진압했으며, 자신의 일족과 지지자들을 정부에 배치했다.[1] 1527년, 막당용은 어린 레 왕을 폐위시키고 자신을 황제로 선포하여 막 왕조를 열었다.[1] 6년 후, 레 왕조에 충성하는 응우옌 귀족 응우옌 김(Nguyễn Kim)은 막 왕조가 옹립한 레 뢰의 후손 레 유이 닌(Lê Duy Ninh)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라오스에서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1] 1542년, 그들은 "남쪽 조정"이라는 명칭으로 남쪽에서 다시 나타나 베트남 왕위를 주장하며 막 왕조("북쪽 조정")에 맞섰다. 이로써 베트남은 3세기에 걸쳐 지속된 장기간의 분권화, 혼란 및 내전의 시대에 접어들었다.[1]응우옌 김의 지원을 받는 레 왕조와 막 왕조의 충신들은 정통 베트남 왕위를 되찾기 위해 싸웠다. 1545년 응우옌 김이 죽자 레 왕조의 권력은 신속하게 정검(Trịnh Kiểm)의 정씨 정권 지배 아래 들어갔다. 응우옌 김의 아들 중 한 명인 응우옌 황(Nguyễn Hoàng)은 왕국의 남부 지역 통치자로 임명되어 응우옌 가문의 당중(Đàng Trong) 통치를 시작했다.[1]
3. 9. 레-찐 시대 (黎鄭時代) (1593년–1788년)
1592년, 후 레 왕조의 찐뚱(鄭松)이 막 왕조를 하노이에서 몰아내고 레 왕조를 부흥시켰다.[20] 그러나 이후 레 왕조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했고, 실권은 찐씨(鄭氏) 가문이 장악했다. 남쪽에서는 응우옌호앙(阮潢)이 응우옌씨(阮氏) 가문의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20]찐씨 가문이 지배하는 북부 대월은 탕어이(바깥쪽)로, 응우옌씨 가문이 지배하는 남부는 탕장(안쪽)으로 불렸다. 1627년부터 1672년까지 찐씨 가문과 응우옌씨 가문은 50년간 전쟁을 벌였으나, 결국 무승부로 끝나고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20]
3. 10. 떠이선 왕조 (西山朝) (1788년–1802년)
1771년, 떠이선(西山) 삼형제(응우옌냑(阮岳), 응우옌후에(阮惠), 응우옌르(阮侶))가 농민 혁명을 일으켜 응우옌(阮)씨, 정(鄭)씨, 레(黎) 왕조를 무너뜨렸다.[1] 1789년 서산(西山)은 레 왕조를 복원하려는 청(清)의 개입을 물리쳤다.[1]응우옌 냑은 1778년(태덕)에 왕조를 세웠고, 그의 동생 응우옌후에(광중제, 재위 1789년–1792년)와 조카 응우옌 꽝 또안(경성제, 재위 1792년–1802년)이 뒤를 이었다.[1]
3. 11. 응우옌 왕조 (阮朝)와 대월의 종말 (1802년–1804년)
응우옌 왕조(阮朝)를 세운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 阮福暎)은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떠이선 왕조(西山朝)를 무너뜨리고 1802년에 황제가 되었다.[12] 1804년, 응우옌푹아인은 국호를 베트남(越南)으로 바꾸었고, 이로써 대월(大越)이라는 국호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4. 정치 구조
대월은 초기에는 느슨한 형태의 국가였으나, 점차 중앙 집권적인 체제로 발전했다. 13세기와 14세기 쩐 왕조는 왕과 상왕의 관계를 채택하고, 근친혼을 통해 왕실의 권력을 강화했다. 또한, 세금 제도를 도입하고 관료제를 정비하여 국가를 중앙집권화했다.[1]
15세기 레 성종은 명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다. 6부 6청을 설치하고, 1471년까지 대월을 12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군사 지휘관, 민정 관리, 사법관을 파견했다. 또한, 1462년에 새로운 법전인 레 법전을 발표하여 1803년까지 시행했다.[2]
레 성종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국제주의와 외국 무역을 억제하고, 노예 제도를 금지했다. 또한, 자급자족 농업과 국가 독점 수공업을 장려했다.[3]
15세기 대월의 사회 계층은 다음과 같았다.[4]
1497년 레 성종 사후, 대월은 혼란스러운 붕괴 시대에 접어들었다. 1527년 막 당 용이 레 왕조를 무너뜨리고 막 왕조를 세웠으나, 레 왕조 충신들과의 내전으로 국가는 황폐화되었다. 이후 정씨와 응우옌씨가 레 왕조를 부흥시켰으나, 두 세력은 다시 내전을 벌였다.[5]
1592년 이후, 정씨는 북부를, 응우옌씨는 남부를 통치하며 대월은 사실상 분열되었다. 정씨는 '주(Chúa)'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레 왕을 명목상의 지도자로 만들었고, 응우옌씨도 '주(Chúa)'를 칭하며 남부를 독립적으로 통치했다. 그러나 응우옌 주군은 여전히 정씨의 감독하에 있는 레 왕조에 복종하는 형식을 취했다.[6]
18세기 후반, 떠이선 형제들이 봉기하여 대월을 세 개의 독립 영역으로 나누었다.[7]
5. 경제
중세(900년~1500년) 대월은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주로 농업 국가였다.[24] 이 시기 경제 관련 비석 비문들은 대부분 토지 개간, 홍강 관개 시스템 유지, 논밭 관리, 수확, 왕의 불교 승려 토지 기증 등에 관한 내용이다.[24] 15세기에 도자기 수출이 급증하기도 했지만, 대월에서 무역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다.[24] 레타인똥은 참파 정복 후 "뿌리(농업)를 버리고 하찮은 무역/상업을 추구하지 마라"라고 말했는데, 이는 무역과 상업에 대한 그의 부정적 견해를 보여준다.[25]
번성달(范成大)(1126–1193)은 1176년 중세 베트남 경제를 기록했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안남(대월) 특산물은 금, 은, 청동, 주사, 진주, 조개껍데기, 코뿔소 뿔, 코끼리, 물총새 깃털, 대합조개, 다양한 향신료, 소금, 칠기, 목화솜 등이었다.[26] 또한, 남부 지방(중국 남부) 여행객들이 사람들을 유혹해 안남에서 여성 노예와 남성 운반꾼으로 일하게 하다가, 만(蠻) 현과 정착지에서 묶어 팔았다는 기록도 있다. 노예 한 명은 금 냥 두 냥, 교지(하노이)에서는 금 세 냥에 팔렸다. 매년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노예로 팔렸으며, 기술이 있는 사람들은 금값이 두 배였다.[27]
하롱베이 근처 대월의 유일한 항구 도시 반돈[28]은 주요 해상 항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마르코 폴로는 몽골인들로부터 얻은 정보로 대월에서 금과 향신료가 많이 나지만, 바다에서 멀어 상품 가치가 낮다고 설명했다.[29] 대부분의 동남아시아와 인도 상선들은 남중국해 베트남 해안을 따라 항해하며 참파 항구 도시에 정차하고, 대월과 통킹만을 지나 중국 남동부로 향했다.
6. 예술과 종교
불교는 1세기경 한나라의 지배 시대에 오늘날 베트남에 전파되었다.[1] 8세기까지 대승불교는 홍강 삼각주 지역의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대승불교의 발전은 대월을 지배할 여러 불교 왕조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580년에는 비니타루치(Vinītaruci)라는 인도 승려가 베트남 북부에 와서 선종(Thiền) 선불교 종파를 창시했고,[2] 820년에는 오염통(Wu Yantong)이라는 중국 승려가 베트남 북부에 와서 두 번째 선종을 창시했는데,[3] 이는 1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1293년에 철인종(Trần Nhân Tông) 황제는 죽림파(Trúc Lâm)라는 새로운 선종을 직접 개척했는데,[4]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
중세 시대에 베트남 불교는 절정에 달했다. 왕, 궁정, 그리고 사회는 깊이 종교적이었다. 딘 리엔(Đinh Liễn)의 Ratnaketu Dhāraṇī 비문(약 973년)에 따르면, 대승불교와 일부 밀교 요소가 황제와 왕족에 의해 장려되었다.[5] 그러나 레 대행(Lê Đại Hành)의 비문(약 995년)은 선불교를 왕실 종교로 언급하고 있다. 11세기 초, 대승불교, 힌두교, 민간 신앙, 영적 예배가 융합되어 리(Ly) 왕조에 의해 새로운 신앙으로 형성되었고, 리 왕조는 빈번히 불교 의식, 혈맹, 그리고 영적 신들을 위한 기도를 올렸다. 이 종교 혼합은 불교, 인도 불교 신인 인드라(Indra)와 브라마(Brahma), 그리고 참(Cham) 민간 전설인 포 나가 여신(Lady Po Nagar)의 혼합된 예배를 포괄한다.[6][7] 황제는 1016년, 1057년, 그리고 1134년에 인드라와 브라마를 모신 사찰과 조각상을 건립했고,[8] 베트남 전설을 위한 사찰들도 함께 건립했다. 장례식에서 황제의 시신은 불교 전통에 따라 장작더미에 놓여 태워졌다. 베트남 불교의 주요 특징은 대부분 중국 선불교의 영향을 받았다.[9]
왕족이 후원하는 불교 승가는 대부분의 농지와 왕국의 부를 소유했다. 1209년에 세워진 비석에는 왕족이 사찰에 126에이커의 토지를 기증했다는 기록이 있다.[10] 베트남 불교 사찰은 종종 목재로 지어졌고, 벽돌이나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탑/스투파가 있었다. 베트남 불교 예술은 참파 예술, 특히 조각상과 유사점을 공유한다.[11] 용 보리수 잎 조각상은 황제를 상징하는 반면, 봉황 보리수 잎은 왕비를 상징한다.[12] 불교는 대월 리 왕조 시대에 사회와 법을 형성했다. 왕자와 왕족은 불교 사찰에서 자랐고 승려가 되었다.[13]
명나라 중국의 신유학적 반불교 정책과 후대 레 왕조의 불교 경시로 인해 15세기에 베트남 불교는 쇠퇴했지만, 16세기~18세기에 왕실에 의해 부흥되어 오늘날 베트남이 불교 국가가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14] 남부에서는 1694년~1695년 중국 승려 시련다산(Shilian Dashan)의 노력으로 응우옌(Nguyễn) 가문 전체가 속세에서 불교로 개종했다. 응우옌 가문은 또한 베트남 남부 불교에 지역 참(Cham) 신들을 통합했다.[15] 15세기부터 지속된 정(Đình) (마을 사찰)은 마을 행정의 중심지였고 불교 기반 종교 의식과 지역 신들을 금지했다.[16]
7. 지도
8. 왕조 연표
왕조 | 기간 |
---|---|
응오 왕조 | 939년 ~ 968년 |
딘 왕조 | 968년 ~ 980년 |
전 레 왕조 | 980년 ~ 1009년 |
리 왕조 | 1009년 ~ 1225년 |
쩐 왕조 | 1225년 ~ 1400년 |
호 왕조 | 1400년 ~ 1407년 |
후 쩐 왕조 | 1407년 ~ 1413년 |
명 지배 | 1413년 ~ 1427년 |
전 레 왕조 | 1428년 ~ 1527년 |
막 왕조 | 1527년 ~ 1592년 |
후 레 왕조 | 1533년 ~ 1788년 |
남북조 시대 | |
북조 (막 왕조) | 1533년 ~ 1592년 |
남조 (정씨 정권) | 1545년 ~ 1787년 |
남조 (응우옌씨 정권) | 1558년 ~ 1777년 |
서산 왕조 | 1778년 ~ 1802년 |
응우옌 왕조 | 1802년 ~ 1883년 |
참조
[1]
문서
大瞿越
[2]
문서
大虞
[3]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
저널
The Austroasiatics in Ancient South China: Some Lexical Evidence
[5]
저널
Defining the Hundred Yue
https://web.archive.[...]
2014-02-28
[6]
웹사이트
Shang Dynasty – Political History
https://web.archive.[...]
2022-05-20
[7]
웹사이트
A Reevaluation of Early Chinese Script: The Case of Yuè 戉 and Its Cultural Connotations
https://web.archive.[...]
2022-07-19
[8]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Inscriptions of Campā based on the editions and translations of Abel Bergaigne, Étienne Aymonier, Louis Finot, Édouard Huber and other French scholars and of the work of R. C. Majumdar. Newly presented, with minor corrections of texts and translations, together with calculations of given dates
Shaker Verlag
[10]
저널
The Biography of the Hồng Bàng Clan as a Medieval Vietnamese Invented Tradition
https://online.ucpre[...]
2022-04-04
[11]
서적
Asian Expansions: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polity expansion in Asia
[12]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13]
웹사이트
Xuanzong A
https://web.archive.[...]
2021-08-15
[14]
웹사이트
Jiu Tangshu
https://web.archive.[...]
2021-08-15
[15]
저널
Ancient genomes document multiple waves of migration in Southeast Asian prehistor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18-05-17
[16]
저널
Dental phenotypic shape variation supports a multiple dispersal model for anatomically modern humans in Southeast Asia
[17]
웹사이트
Ancient Genomics Reveals Four Prehistoric Migration Waves into Southeast Asia
https://web.archive.[...]
2023-03-26
[18]
웹사이트
Data from Multiple Disciplines Connecting Vietic with the Dong Son Culture
https://web.archive.[...]
2022-01-29
[19]
웹사이트
Before Chinese and Vietnamese in the Red River Plain: The Han–Tang Period
https://web.archive.[...]
2021-03-09
[20]
논문
Lacquered Words: the Evolution of Vietnamese under Sinitic Influences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7th century CE
Cornell University
[21]
웹사이트
Investigation on 'Đại Cồ Việt' (Việt nation – Buddhist nation)
https://web.archive.[...]
2021-08-02
[22]
웹사이트
On the Existence of the Dai Co Viet State in Vietnam in the 10th – the Beginning of 11th Centuries
https://web.archive.[...]
2021-07-23
[23]
서적
The Fihrist of al-Nadim: A Tenth-Century Survey of Muslim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25]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26]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7]
서적
The unimagined community: Imperialism and culture in South Vietna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The Chams in Vietnam: a great unknown civilization
https://web.archive.[...]
2022-07-02
[29]
서적
Globalizing Political Theory
Taylor and Francis
[30]
저널
The Austroasiatics in Ancient South China: Some Lexical Evidence
[31]
저널
Defining the Hundred Yue
https://web.archive.[...]
2014-02-28
[32]
웹사이트
Shang Dynasty - Political History
https://web.archive.[...]
2022-05-20
[33]
웹사이트
A Reevaluation of Early Chinese Script: The Case of Yuè 戉 and Its Cultural Connotations
https://web.archive.[...]
2022-07-19
[34]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Inscriptions of Campā based on the editions and translations of Abel Bergaigne, Étienne Aymonier, Louis Finot, Édouard Huber and other French scholars and of the work of R. C. Majumdar. Newly presented, with minor corrections of texts and translations, together with calculations of given dates
Shaker Verlag
[36]
저널
The Biography of the Hồng Bàng Clan as a Medieval Vietnamese Invented Tradition
https://online.ucpre[...]
2022-04-04
[37]
서적
The Vietnamese empire and its expansion circa 980–18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