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언 토요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선언 토요일은 2011년 6월 4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1990년부터 시작된 KBS 토요일 저녁 예능 프로그램의 계보를 잇는 것으로, 이전의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 《자유선언 토요대작전》등과 유사한 제목을 사용했다. 1, 2부로 나뉘어 방송되었으며, 주요 코너로는 연예인들의 비밀을 다룬 '시크릿', 동물 공감 버라이어티 '가족의 탄생', 그리고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가 있었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는 독립 프로그램으로 분리되어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선언 토요일 - 현아
현아는 2007년 원더걸스로 데뷔 후 포미닛 활동과 솔로 활동, 유닛 활동을 통해 랩, 보컬, 댄스 실력을 갖춘 가수로, 독보적인 퍼포먼스와 섹시한 이미지로 사랑받고 있으며 큐브 엔터테인먼트 계약 해지 후 P NATION과 계약하여 활동 중이다. - 자유선언 토요일 - G.NA
캐나다 출신 대한민국 가수 G.NA(지나)는 2010년 데뷔하여 〈꺼져줄게 잘 살아〉, 〈Black & White〉, 〈2HOT〉 등의 히트곡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2016년 성매매 혐의 이후 활동을 중단했다. - 2012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2012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
제공된 정보가 없어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 섹션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SNL 코리아
SNL 코리아는 미국의 심야 코미디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한국판으로, tvN에서 시작해 쿠팡플레이에서 리부트되어 정치, 사회, 문화를 풍자하는 코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크루들의 활약과 정치 풍자로 화제를 모으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
제공된 정보가 없어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 섹션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자유선언 토요일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원제 | 자유선언 토요일 |
다른 이름 | 자유선언 토요일 |
장르 | 리얼리티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 |
창작자 | 알 수 없음 |
작가 | 알 수 없음 |
감독 | 알 수 없음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알 수 없음 |
개발자 | 알 수 없음 |
진행자 | 알 수 없음 |
출연 | 알 수 없음 |
목소리 출연 | 알 수 없음 |
내레이션 | 알 수 없음 |
주제곡 작곡가 | 알 수 없음 |
오프닝 테마 | 알 수 없음 |
엔딩 테마 | 알 수 없음 |
작곡가 | 알 수 없음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시즌 수 | 알 수 없음 |
에피소드 수 | 44 |
에피소드 목록 | 알 수 없음 |
책임 프로듀서 | 김충 |
프로듀서 | 권재영 |
편집자 | 알 수 없음 |
촬영 장소 | 알 수 없음 |
촬영 | 알 수 없음 |
카메라 | 알 수 없음 |
러닝 타임 | 회당 약 140분 |
방송 네트워크 | KBS2 |
관련 프로그램 | 해피선데이 |
추가 정보 | |
한국어 명칭 | 자유선언 토요일 |
로마자 표기 | Jayuseoneon toyoil |
매큔-라이샤워 표기 | Jayusŏnŏn t'oyoil |
방송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방송 시간 | 1부: 토요일 오후 5시 15분 2부: 토요일 저녁 6시 15분 |
방송 분량 | 1부: 60분 2부: 100분 |
방송 기간 | 2011년 6월 4일 ~ 2012년 3월 31일 |
방송 횟수 | 44부작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추가 편성 | KBS 월드 |
제작 | KBS 예능 제작국 |
연출 | 정희섭, 이재우 |
출연자 | 가족의 탄생(김병만, 이휘재, 노우진, 붐) 불후의 명곡 2(신동엽, 전현무, 문희준) |
음성 | 1채널 모노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모노 사운드를 2채널로 업믹스) 불후의 명곡 2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자유선언 토요일 |
2. 역사
KBS 토요일 저녁 예능 프로그램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90년 6월 16일 《쇼 토요특급》을 시작으로, 《토요 대행진》, 《전원집합 토요대행진》, 《토요일 7시가 좋다》, 《출발 토요대행진》, 《토요일 전원출발》,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 《쇼 여러분의 토요일》, 《자유선언 토요대작전》, 《천하무적 토요일》, 그리고 《자유선언 토요일》까지 다양한 제목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 11월 1일 《자유선언 토요대작전》이 종영된 후 한동안 KBS 토요일 예능 프로그램은 폐지되었다가,[2] 2009년 4월 25일 《천하무적 토요일》로 부활했으나,[3] 2010년 12월 25일 다시 폐지되었다.[3] 이후 2011년 6월 4일 《자유선언 토요일》로 다시 부활하였다.[4]
2. 1. 역대 프로그램
기수 | 타이틀 | 방송 기간 |
---|---|---|
1기 | 쇼 토요특급 | 1990년 6월 16일 ~ 1991년 5월 18일 |
2기 | 토요 대행진 | 1991년 5월 25일 ~ 1992년 10월 3일 |
3기 | 전원집합 토요대행진 | 1992년 10월 10일 ~ 1993년 10월 16일 |
4기 | 토요일 7시가 좋다 | 1994년 10월 15일 ~ 1995년 4월 29일 |
5기 | 출발 토요대행진 | 1995년 5월 6일 ~ 1996년 3월 2일 |
6기 | 토요일 전원출발 | 1996년 3월 9일 ~ 1998년 2월 14일 |
7기 |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 | 1998년 10월 17일 ~ 2001년 4월 28일 |
8기 | 쇼 여러분의 토요일 | 2001년 5월 5일 ~ 2001년 11월 3일 |
9기 | 자유선언 토요대작전 | 2001년 11월 10일 ~ 2003년 11월 1일 |
10기 | 천하무적 토요일 | 2009년 4월 25일 ~ 2010년 12월 25일 |
11기 | 자유선언 토요일 | 2011년 6월 4일 ~ 2012년 3월 31일 |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은 1998년 10월 17일부터 2001년 4월 28일까지 방송되었다.[2] 《자유선언 토요일》 이전에도 유사한 제목의 프로그램들이 있었다. 2001년 5월 5일부터는 《쇼 여러분의 토요일》이, 2001년 11월 10일부터 2003년 11월 1일까지는 《자유선언 토요대작전》이 방송되었다. 이후 KBS의 토요일 프로그램은 폐지되었다.[3] 2009년 4월 25일 《천하무적 토요일》로 부활하여 2010년 12월 25일까지 방송된 후 다시 폐지되었다.[3] 2011년 6월 4일, 《자유선언 토요일》이 다시 부활했다.
2. 2. 《자유선언 토요일》의 시작과 변화
2011년 6월 4일, 《자유선언 토요일》이 다시 부활했다.[4] 그 이전에도 유사한 제목의 프로그램들이 방송되었는데, 1998년 10월 17일부터 2001년 4월 28일까지는 《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이, 2001년 5월 5일부터는 《쇼 여러분의 토요일》이, 2001년 11월 10일부터 2003년 11월 1일까지는 《자유선언 토요대작전》이 방송되었다.[2] 2009년 4월 25일에는 《천하무적 토요일》이 부활하여 2010년 12월 25일까지 방송되었으나, 이후 KBS의 토요일 프로그램 라인업은 다시 폐지되었다.[3]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2011년 9월 10일부터 《자유선언 토요일》은 1부 오후 5시 15분 (KST), 2부 오후 6시 15분 KST로 나누어 방송되었다.[4]
3. 방송 시간
KBS 2TV에서 방송된 《자유선언 토요일》은 2011년 6월 4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 방송 시간 변동이 있었다. 초기에는 2시간 20분 동안 방송되었으나, 2011년 6월 18일부터 2시간 5분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9월 10일부터는 1, 2부로 나뉘어 총 2시간 40분 동안 방송되었으며, 1부는 1시간, 2부는 1시간 40분 동안 진행되었다.[1]
3. 1. 본방송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2TV | 2011년 6월 4일 ~ 6월 11일 | 토요일 17:35 ~ 19:55 (140분) |
2011년 6월 18일 ~ 8월 27일 | 토요일 17:50 ~ 19:55 (125분) | |
2011년 9월 3일 | 토요일 17:40 ~ 19:45 (125분) | |
2011년 9월 10일 | 1부: 토요일 17:00 ~ 18:15 (75분) | |
2부: 토요일 18:15 ~ 19:55 (100분) | ||
2011년 10월 8일 | 1부: 토요일 17:30 ~ 18:15 (45분) | |
2부: 토요일 18:15 ~ 19:55 (100분) | ||
2011년 9월 17일 ~ 10월 1일, 2011년 10월 15일 ~ 2012년 3월 31일 | 1부: 매주 토요일 17:15 ~ 18:15 (60분) | |
2부: 매주 토요일 18:15 ~ 19:55 (100분) |
3. 2. 재방송
8월 6일, 8월 13일, 8월 27일10월 29일 ~ 11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