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기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기빈은 인동 장씨이며, 대한민국의 부통령·국무총리 장면, 화가 장발, 항공공학자 장극의 아버지이다. 평안남도 중화에서 출생하여 관립영어학교를 졸업하고 탁지부 방판, 인천 해관 주사를 역임했다. 한일 병합 이후 관직을 버리고 사업에 종사했으며, 해방 후에는 미 군정청 재무부 고문과 부산세관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성관립영어학교 동문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한성관립영어학교 동문 - 윤치성
    윤치성은 1875년에 태어나 게이오 의숙 유학 후 대한제국 군인, 을사조약 반대 운동 참여, 일본 무관 활동, 사업가 변신, 독립운동 참여, 해방 후 교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대한제국의 시인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제국의 시인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장기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장기빈
원래 이름張箕彬
출생일1874년 9월 9일
출생지조선 평안도 중화군
사망일1959년 7월 24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거주지조선 평안도 중화
조선 한성
대한제국 경기도 인천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
대한민국 서울
학력한성관립영어학교 졸업
한성관립일어학교 졸업
정당무소속
종교유교(성리학) → 천주교(세례명: 레오)
배우자황루시아
부모장치응(부)
진주 강씨 측실(생모)
박 구네곤다(적모)
자녀슬하 3남 4녀
장남장면(정치인)
차남장발(서양화가)
3남장극(항공공학자)
친인척장한후(할아버지)
장치목(작은아버지)
양근 함씨 부인(이복 형수)
강화석(외숙부)
황성집(장인)
김옥윤(장자부)
장진(손자)
장익(손자)
형제장규빈(이복 형)
공직 경력
직책 (대한민국 재무부)前 대한민국 재무부 특임행정촉탁위원
직책 (영문)前 大韓民國 財務部 特任行政囑託委員
임기 (대한민국 재무부)1948년 8월 17일 ~ 1949년 1월 6일
대통령 (대한민국 재무부)이승만
후임 (대한민국 재무부)차균상
부통령 (대한민국 재무부)이시영
총리 (대한민국 재무부)이범석
장관 (대한민국 재무부)김도연 (재무부 장관)
차관 (대한민국 재무부)장희창 (재무부 차관)
직책 (대한제국 탁지부)前 대한제국 탁지부 방판
직책 (영문)前 大韓帝國 度支部 幇辦
임기 (대한제국 탁지부)1900년 6월 1일 ~ 1905년 11월 1일
군주 (대한제국 탁지부)대한제국 고종 이형
섭정 (대한제국 탁지부)윤용선 (대한제국 총리대신)
이근명 (대한제국 총리대신)
경력

2. 생애

인동 장면(張勉)의 아버지이다. 평안남도 중화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태암(太巖)이고 천주교 영세명은 '레오'이다.

장기빈은 관료,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1910년 한일 합방으로 관직을 버리고 사업에 종사하였다. 1939년까지 스탠더스 석유회사(Townsend & Co.) 한국지사에서 무역업무와 보험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1945년 해방 이후 미 군정청 재무부 고문, 부산세관장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인동 장면(張勉)의 아버지이다. 평안남도 중화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태암(太巖)이고 천주교 영세명은 '레오'이다.

1895년 한성부 관립영어학교에 입학하여 영어를 배웠고, 밤에는 일어학교도 다니며 외국어를 익혔다. 1896년 천주교에 귀의하였으며, 1897년 외숙부 강화석의 중매로 평안도의 천주교 신자인 황성집의 차녀 황루시아와 결혼하였고, 영어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2. 2. 대한제국 시기 관료 생활

1895년 한성부 관립영어학교(官立英語學校)에 입학하여 영어를 배웠으며 동시에 밤에는 일어학교도 다니며 외국어를 습득하다가 1896년 천주교에 귀의하여 교인이 되었다. 1897년 외숙부 강화석의 중매로 평안도의 천주교 신자인 황성집(黃聖集, 영세명:베드로)의 차녀 황루시아(黃-,1878~1954)와 결혼하였으며, 영어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직후 영어와 일어회화 능력을 인정받아 관료가 되어 탁지부(度支部) 방판(幇辦)을 거쳐 1905년 주사(主事)로 승진하였으며, 인천 해관(海關)에서 근무하였다.

2. 3. 일제 강점기 기업 활동

1910년 한일 합방으로 관직을 버리고 사업에 종사하였다. 이후 1939년까지 스탠더스 석유회사(Townsend & Co.) 한국지사에서 무역업무와 보험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1]

2. 4. 해방 이후 활동

해방 이후 미 군정청 재무부 고문, 부산세관장을 지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할아버지장한후
할머니진주 강씨
숙부장치목
아버지장치응
적모박 구네곤다(춘천 박씨)
이복 형장규빈
이복 형수양근 함씨
친어머니진주 강씨
부인황루시아 (1878년 11월 9일 ~ 1954년 2월 15일)
장남장면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
차남장발 (루수,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
3남장극 (발로, 1913년 4월 8일 ~ 2008년 2월 21일)
장녀장정혜 (1904년 2월 19일 ~ 1975년 9월 26일)
차녀장정온 (1906년 10월 18일 ~ 1950년 10월 4일)[2]
3녀장정량 (1910년 3월 17일 ~ ?)
4녀장정순 (1916년 4월 10일 ~ ?)


참조

[1] 문서 본관
[2] 문서 한국 전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