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연대대조표
2. 1. 장락 원년 (399년)
후연의 건평 2년 1월 26일 (399년 3월 19일)에 소문제 모용성이 연호를 장락(長樂)으로 개원하였다.[1][2]장락 원년(399년)은 육십간지 중 기해(己亥)년에 해당한다. 이 시기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호를 사용하였다.
국가 | 연호 |
---|---|
동진 | 융안(隆安) 3년 |
후진 | 황초(皇初) 6년, 홍시(弘始) 원년 |
서진 | 태초(太初) 12년 |
후량 | 용비(龍飛) 4년, 함녕(咸寧) 원년 |
북량 | 신새 3년, 천새(天璽) 원년 |
남량 | 태초(太初) 3년 |
북위 | 천흥(天興) 2년 |
고구려 | 영락(永樂) 9년 (광개토대왕) |
2. 2. 장락 2년 (400년)
wikitext
2. 3. 장락 3년 (401년)
서력 401년, 간지로는 신축년에 해당한다. 이 해에 후량에서는 함녕咸寧|함녕중국어 연호를 3년까지 사용하다가 신정神鼎|신정중국어으로 개원하였고, 북량에서는 천새天璽|천새중국어 연호 3년에 이어 영안永安|영안중국어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같은 시기 주변 국가들의 연호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연호 |
---|---|
동진 | 융안隆安|융안중국어 5년 |
후진 | 홍시弘始|홍시중국어 3년 |
후량 | 함녕咸寧|함녕중국어 3년, 신정神鼎|신정중국어 원년 |
북량 | 천새天璽|천새중국어 3년, 영안永安|영안중국어 원년 |
남량 | 건화建和|건화중국어 2년 |
남연 | 건평建平|건평중국어 2년 |
서량 | 경자庚子|경자중국어 2년 |
북위 | 천흥天興|천흥중국어 4년 |
고구려 | 영락永樂|영락한국어 11년 |
장락 연호가 사용되던 399년부터 401년까지는 오호십육국시대의 혼란 속에서 여러 국가들이 난립하며 경쟁하던 시기였다. 후연뿐만 아니라 동진, 후진, 서진, 후량, 북량, 남량, 남연, 서량, 북위 등 수많은 나라가 각자의 정통성을 내세우며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2]
3. 동시대 다른 국가의 연호
예를 들어, 강남의 동진은 융안 연호를 지속적으로 사용했고, 관중 지역을 차지한 후진은 황초에 이어 홍시 연호를 제정했다. 북방의 강자로 떠오르던 북위는 천흥 연호를 사용했으며, 한반도의 고구려는 광개토대왕의 영락 연호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천하관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을 과시했다.[2] 이 외에도 서진, 후량, 북량, 남량, 남연, 서량 등 여러 세력이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하며 존속하거나 새롭게 등장하였다.[2] 이처럼 다양한 연호가 병존했던 사실은 당시 동아시아의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 세력 간의 치열한 경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3. 1. 동진 (東晉)
(399년)장락 2년
(400년)장락 3년
(401년)동진(東晉) 융안(隆安) 3년 융안 4년 융안 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