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연은 398년부터 410년까지 존속했던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국가이다. 후연의 모용덕이 건국하여 400년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남연으로 정했다. 모용덕은 청주와 연주 북부를 지배하며 내치를 다졌으나, 동진을 정벌하려던 계획은 번번이 무산되었다. 모용덕 사후 조카 모용초가 즉위했으나, 사치와 폭정으로 민심을 잃고 동진의 침공을 받아 410년에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연 - 모용납
전연 황족 출신으로 전진의 광무태수를 지낸 모용납은 관직에서 물러난 후 동생 모용덕과 함께 장액으로 이주했으며, 모용덕이 남연을 건국한 뒤 그의 아들 모용초에 의해 목황제로 추존되었다. - 5세기에 멸망한 나라 -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서쪽 지역으로, 내외부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476년에 멸망했지만, 법, 문화, 종교 등은 서유럽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5세기에 멸망한 나라 - 수아송 왕국
5세기 후반 갈리아 북서부에 존재했던 수아송 왕국은 서로마 제국의 잔존 세력이었으나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며 아이기디우스와 그의 아들 시아그리우스가 통치했으나, 486년 프랑크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하고 프랑크 왕국에 병합되었다.
남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토착 이름 | 연(燕) |
통칭 | 남연 |
존속 기간 | 398년 ~ 410년 |
![]() | |
수도 | 활대 (398년 ~ 399년) 광고 (399년 ~ 410년) |
역사 | |
성립 | 398년 |
주요 사건 | 광고 점령 (399년) |
멸망 | 410년 |
이전 | 후연 |
이후 | 동진 (266-420)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국가 원수 | 황제 |
주요 지도자 | 모용덕 (398년 ~ 405년) 모용초 (405년 ~ 410년) |
기타 | |
현재 국가 | 중국 |
2. 역사
남연의 역사는 건국, 전성기, 멸망의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396년 북위가 후연을 침공하자, 398년 모용덕은 활대에서 연왕(燕王)을 자칭하며 남연을 건국했다. 399년 광고로 천도하고, 400년 황제에 즉위하여 내치를 다졌다. 405년 모용덕 사후, 조카 모용초가 즉위했으나 폭정을 일삼았다. 결국 409년 동진의 유유가 침공을 시작하여 410년 남연은 멸망했다.
2. 1. 건국기
396년 말부터 북위가 후연을 침공하여 하북 일대가 북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모용덕은 후연의 승상·령기주목(丞相·領冀州牧)에 임명되어 업에서 장기간 농성을 하였다. 그러나 397년에 후연의 수도 중산이 함락되고 모용린이 중산에서 도망쳐 오자, 모용덕은 북위의 위협을 느끼고 활대(滑臺)로 근거지를 옮겼다.[1] 398년, 모용덕은 활대에서 연왕(燕王)을 자칭하였으니, 이때부터 남연이 건국된 것으로 본다.2. 2. 전성기
399년, 모용덕은 근거지를 광고(廣固)로 옮겼다. 400년에는 그곳에서 황제에 즉위하며 국호를 '연(燕)'이라 하고 연호를 건평(建平)으로 정했다. 모용덕은 청주와 연주 북부 일대를 다스리며 내치를 다졌고, 동진이 환현의 찬탈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장쑤성 일대를 점령하려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황제 즉위 직후, 장액(張掖)에 두고 온 가족들이 몰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충격으로 병에 걸렸다. 모용덕은 나이가 많아 병이 계속 재발하였고, 이로 인해 남연은 동진 정벌을 여러 차례 추진했으나 번번이 무산되었다.남연은 영토가 산둥반도뿐인 소국으로 인구도 적었기 때문에, 모용덕은 호적을 정비하고 인재 등용을 추진하는 내정 개혁을 실시했다. 당시 동진에서는 황제의 권력이 약화되어 환현이 초나라를 세우고 황제에게 선양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유유가 동진을 옹호하여 환현을 패사시키는 내분도 일어났다. 이러한 내란으로 동진 국내에서 남연으로 망명하는 유민이 잇따라 인구가 증가한 것은 매우 좋은 기회가 되었다.
2. 3. 멸망기
405년 모용덕이 사망하자, 형 모용납(慕容納)의 아들이자 조카인 모용초(慕容超)가 뒤를 이었다. 모용초는 남연으로 오기 전 후진(後秦)에서 거지 생활을 하다가, 광고(廣固)에 도착하자마자 황태자가 되었다. 즉위 후, 모용초는 남연의 옛 신하들과 대립하여 자신의 측근인 공손오루(工孫五樓)를 중용하는 측근 정치를 펼쳤다. 이로 인해 406년 모용법(慕容法), 모용종(慕容鐘), 단굉(段宏) 등이 모반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이들은 모두 북위(北魏)에 항복하였다.모용초는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치와 폭정을 일삼았다. 407년에는 후진에 있던 생모 단씨(段氏)와 부인 호연씨(呼延氏)를 송환받기 위해 후진에 신속하고 태악(太樂)을 바치기도 하였다. 409년에는 없어진 태악을 다시 구하기 위해 동진(東晉)을 공격하여 악공과 백성들을 약탈하였다.
이에 동진의 유유(劉裕)가 북벌군을 일으켜 남연을 침공하였다. 모용초는 험한 곳을 지키자는 신하들의 의견을 물리치고 영내로 유유의 군대를 끌어들여 단기 결전을 벌이려 했으나, 전투에서 패배하고 수도 광고에서 6개월 여를 농성하였다. 하(夏)와의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던 후진은 남연에 지원군을 보낼 수 없었고, 결국 410년 성이 함락되면서 남연은 멸망하였다. 모용초는 포로로 잡혀 건강(建康)으로 연행되어 처형되었다.
3. 정치
남연은 황제를 중심으로 한 중앙 집권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399년 8월, 모용덕은 산둥성 광고로 천도하고, 400년 1월에 황제에 즉위했다. 그러나 남연은 국내에서는 전진의 잔당 부광의 반란, 국외에서는 북위와 동진의 압박을 받아 고통받았다.
남연은 영토가 산둥반도뿐인 소국으로 인구도 적었기 때문에, 모용덕은 호적을 정비하고 인재 등용을 추진하는 내정 개혁을 실시했다. 당시 동진에서는 황제의 권력이 약화되어 중신 환현이 초를 세우고 황제에게 선양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유유가 동진을 옹호하여 환현을 패사시키는 내분도 일어났지만, 이 내란으로 동진 국내에서 남연으로 망명하는 유민이 잇따라 인구가 증가한 것은 매우 좋은 기회가 되었다.
4. 외교
남연은 생존을 위해 주변국들과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북위와는 대립 관계에 있었으며, 동진과 후진 사이에서는 줄타기 외교를 펼쳤다.[1]
북위의 침공으로 후연이 멸망 위기에 처하자, 모용덕은 398년 활대에서 연왕을 자칭하며 남연을 건국했다. 이후 북위의 위협을 피해 광고로 천도했다. 406년에는 모용초의 독재에 반발한 세력들이 북위에 투항하기도 했다.
동진과는 초기에 적대적 관계였으나, 동진 내부의 혼란을 틈타 장쑤성 일대를 공략하려 시도했다. 409년 모용초는 동진을 공격하여 백성들을 약탈하였고, 이에 유유가 이끄는 동진군의 반격을 받아 410년 멸망했다.
후진과는 모용초가 자신의 어머니와 부인을 송환받는 대가로 후진에 신하로서 복속하는 등 굴욕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
4. 1. 북위와의 관계
396년 말부터 북위가 후연을 침공하여 하북 일대가 북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모용덕은 업에서 농성하였으나, 397년 후연의 수도 중산이 함락되고 모용린이 도망쳐 오자 북위의 위협을 느껴 활대(滑臺)로 근거지를 옮겼다.[1] 398년 모용덕은 활대에서 연왕(燕王)을 자칭하고 남연을 건국했다. 399년에는 근거지를 잃고 남하하여 연주(兗州) 북부를 장악하고, 동쪽의 청주(靑州)를 지배하던 군벌 벽려혼을 격파하고 광고를 수도로 정하였다.406년에는 모용초의 독재에 불만을 품은 모용법, 모용종, 단굉 등이 모반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이들은 모두 북위에 항복하였다.
4. 2. 동진과의 관계
399년 말, 모용덕은 동진의 혼란을 틈타 장쑤성 일대를 점령하려 했으나, 병으로 인해 여러 차례 정벌이 무산되었다. 400년에는 동진에서 환현(桓玄)의 찬탈 사건이 발생하여 혼란스러웠는데, 이 틈을 타 남연은 많은 동진 망명자들을 받아들였다. 모용덕은 동진의 상황을 이용하여 침략을 계획했지만, 405년에 사망했다.409년, 모용초는 후진에 바쳐 없어진 태악을 다시 구하기 위해 동진을 공격하여 악공과 백성들을 약탈하였다.[1] 이에 동진은 유유가 북벌군을 일으켜 남연을 침공하였다.[1] 모용초는 험한 곳을 지키자는 신하들의 의견을 물리치고 유유의 북벌군을 영내로 끌어들여 단기 결전을 벌이려고 하였다.[1] 그러나 전투에서 패하여 모용초는 수도 광고(廣固)에서 6개월 여를 농성하였다.[1] 410년에 성이 함락되어 남연은 멸망하였다.[1]
4. 3. 후진과의 관계
407년, 모용초는 후진의 군주 요흥(姚興)에게 자신의 생모 단씨(段氏)와 부인 호연씨(呼延氏)를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했다. 요흥은 이들을 송환하는 대가로 남연에게 후진에 신하로서 복속하고 태악(太樂)을 바칠 것을 요구했다. 모용초는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하여 후진에 신속했다. 이는 남연의 국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5. 역대 군주
묘호 | 시호 | 휘(본명) | 재위 기간 | 연호 |
---|---|---|---|---|
세종 | 선무 | 모용덕 | 398년 ~ 405년 | 燕王중국어 398년 ~ 400년 建平중국어 400년 ~ 405년 |
– | 모용초 | 405년 ~ 410년 | 太上중국어 405년 ~ 410년 |
모용덕은 398년부터 405년까지 재위했으며, 처음에는 연왕(燕王)을 칭하다가 400년에 황제에 즉위했다. 모용초는 405년부터 410년까지 재위했으며, 유유의 북벌로 인해 남연이 멸망하면서 재위에서 물러났다.
5. 1. 모용덕 (398년 - 405년)
398년, 모용덕은 활대에서 연왕(燕王)을 자칭하였으며, 이때부터 남연이 건국된 것으로 본다. 400년에는 광고에서 황제에 즉위하고 연호를 건평이라 하였다. 이름을 고쳐 모용비덕(慕容備德)이라 하였다.모용덕은 청주와 연주 북부 일대를 지배하면서 내치를 다졌다. 동진(東晉)이 혼란스러운 틈을 타 장쑤성 일대를 점령하려 하였으나, 가족들이 몰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충격으로 병을 얻었다. 나이가 많았던 모용덕은 병이 계속 재발하였고, 이로 인해 동진 정벌은 번번이 무산되었다.
405년에는 형 모용납(慕容納)의 유복자인 모용초(慕容超)를 찾아 태자로 삼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모용덕은 사망하였으며, 모용초가 뒤를 이었다.
5. 2. 모용초 (405년 - 410년)
모용초는 모용납(慕容納)의 아들로, 405년 숙부인 모용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남연의 황제 자리에 올랐다. 모용초는 남연으로 오기 전 후진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였으나, 광고(廣固)에 도착하여 모용덕에게 인정받아 곧바로 황태자가 되었다.즉위 후, 모용초는 공손오루 등 자신의 측근을 중용하고 모용법, 모용종, 단굉 등 기존 남연 신하들을 배척하거나 숙청하여 내부 갈등을 겪었다. 406년에는 이들의 모반이 있었으나 진압되었다.
407년, 모용초는 후진에 있던 생모 단씨와 부인 호연씨를 송환받기 위해 요흥에게 신하의 예를 갖추고 태악(太樂)을 바치는 등 외교적 굴욕을 감수했다.
409년, 모용초는 후진에 바친 태악을 보충하려고 동진을 공격하여 악공과 백성들을 약탈했다. 이는 유유가 이끄는 동진군의 북벌을 초래했다. 모용초는 임구 전투에서 패배하고 수도 광고에서 농성했으나, 410년 성이 함락되면서 남연은 멸망했다. 모용초는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
6. 멸망 이후
410년 유유가 이끄는 동진군에 의해 수도 광고(廣固)가 함락되면서 남연은 멸망하였다. 모용초는 건강(建康)으로 연행되어 처형되었다. 모용초는 자신의 측근인 공손오루(工孫五樓)를 중용하는 정치를 펼쳤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모용법(慕容法), 모용종(慕容鐘), 단굉(段宏) 등은 406년 모반을 일으켰으나 곧 진압되었고 이들은 모두 북위로 망명하였다.[1]
7. 평가
남연은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오호십육국시대의 혼란 속에서 국가의 생존을 위한 투쟁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남연의 역사를 통해 중소 국가가 외교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자주적인 생존 노력을 펼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남연은 제와 노의 땅을 지배한 작은 국가였으며, 인구도 적었다. 동진의 내분으로 유민을 받아들여 인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200만 명의 인구와 37만 명의 병력을 가진 소규모 국가였다.
남연이 동진에 멸망하고 산둥반도가 동진에 점령된 것은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동진과 삼한, 그리고 왜국과의 교통 상황을 개선하여 "왜의 5왕"의 대규모 파견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