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량은 397년 저거몽손이 후량으로부터 독립하여 건국한 오호십육국 시대의 국가이다. 저거몽손은 사촌 형제 저거남성과 함께 건강 태수 단업을 옹립하여 북량을 건국하고, 399년 단업이 양왕을 자칭하며 국호를 양으로 정했다. 이후 저거몽손은 남량, 후진, 북위 등 주변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으며 세력을 확장, 421년 서량을 멸망시키고 하서 회랑을 장악하여 전성기를 맞았다. 433년 저거몽손 사후 아들 저거목건이 즉위하였으나, 북위의 침공으로 439년 멸망했다. 북량 멸망 후 저거목건의 동생 저거무휘가 고창에서 고창 북량을 세웠으나 460년 유연에게 멸망했다. 북량은 불교를 장려하여 간쑤성에 불교 동굴 사당 유적을 남겼다.
저거몽손은 후량의 무장으로, 397년 후량으로부터 자립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사촌 형제인 저거남성과 힘을 합쳐 감숙성 주천시 일부 지역인 건강(建康)의 태수 단업을 건강공(建康公)으로 추대하였으며, 저거몽손은 장액 태수로, 저거남성은 보국장군(輔國將軍)으로 임명되었다. 399년 단업은 국호를 양(凉)으로 정하고 양왕을 자칭하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저거남성과 저거몽손이 쥐고 있었다. 401년 5월, 단업은 저거남성을 모살하였으며, 저거몽손은 반란을 일으켜 단업을 살해하고 장액공을 자칭하였다.
천새(天璽) 399–401
2. 역사
저거몽손은 남량과 손을 잡고 후량을 압박하여 멸망에 이르게 하였으며, 이후 남량과 대립하였다. 411년, 저거몽손은 남량의 주요 거점인 고장(감숙성 무위시)을 점령하여 남량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으며, 412년에는 고장으로 천도하여 하서왕(河西王)을 자칭하였다. 414년 이후 남량을 멸망시킨 서진과 대립하는 한편 서량과도 대립하여 421년에 서량을 멸망시키고 돈황 일대를 장악하였다. 저거몽손은 서진과 맞서기 위해 하나라·북위와 연합하는 한편 동진·송나라에도 복종하여 양주자사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431년 서진과 하나라가 멸망하고 북위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북위에 인질을 보내고 양왕에 봉해졌다. 433년 저거몽손이 병사하고 아들 저거목건이 뒤를 이었다.
저거목건은 하서왕을 자칭하고 문치주의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439년에 북위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다. 북량의 멸망으로 오호십육국 시대는 끝나게 된다.
북량 멸망 후, 저거목건의 동생 저거무휘가 주천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서쪽으로 천도하여 고창에서 자립하여 송나라로부터 하서왕에 봉해졌으나 460년, 유연의 공격을 받아 2대 만에 멸망하였다.
2. 1. 건국 배경
저거몽손은 후량의 무장이었으며, 397년 후량으로부터 자립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사촌 형제인 저거남성과 힘을 합쳐 건강(建康, 지금의 감숙성 주천시 일부 지역) 태수 단업을 건강공으로 추대하였으며, 저거몽손은 장액 태수로, 저거남성은 보국장군(輔國將軍)이 되었다. 단업은 399년에 국호를 양(凉)으로 정하고 양왕을 자칭하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저거남성과 저거몽손이 쥐고 있었다.
북량의 실질적인 건국자인 저거몽손은 처음에는 후량에 속해 있었으며, 흉노계 또는 월지계라는 설이 있다. 397년 4월, 후량의 천왕 여광은 서진 토벌에 실패했고, 그 책임을 상서인 거거라구와 삼하군 태수 거거국숙 형제에게 물어 처형했다. 이에 격분한 형제의 조카 저거몽손은 두 사람의 장례식에 모인 일족 만여 명 앞에서 후량으로부터 자립을 선언하고, 임송군(현재의 간쑤성민러현)을 함락시키고 금산에 주둔했다. 여광은 토벌군을 보냈으나, 저거몽손은 패배했다. 하지만 주천에 주둔하고 있던 저거몽손의 종형인 저거남성이 호응하여 세력을 회복, 5월에는 낙관에 육박하여 후량으로부터 건강군 태수로 임명되었던 한족 단업을 양주목·건강공으로 옹립하여 신새로 건원하고, 사실상의 북량 건국을 이루었다. 건국자는 옹립된 단업이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저거몽손과 저거남성이 장악했다.
저거몽손은 398년 4월에 서군(현재의 간쑤성 융창현·산단현)과 진창군(현재의 간쑤성 과저우현·위먼시)·둔황군 등을 함락시키고, 6월에는 저거남성이 장예를 함락시켜 이곳을 북량의 수도로 삼았다. 이로써 북량은 후량의 서부를 거의 지배하에 두게 되었고, 단업은 399년 2월에 양왕을 칭했다.
2. 2. 저거몽손 시대
저거몽손은 후량의 무장이었다. 397년 후량으로부터 자립하여 군사를 일으켰고, 사촌 형제인 저거남성(沮渠男成)과 힘을 합쳐 건강(建康, 지금의 감숙성 주천시 일부 지역) 태수 단업을 건강공(建康公)으로 추대하였다. 저거몽손은 장액태수로, 저거남성은 보국장군(輔國將軍)으로 임명되었다. 단업은 399년에 국호를 양(凉)으로 정하고 양왕을 자칭하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저거남성과 저거몽손이 쥐고 있었다. 401년 5월, 단업은 저거남성을 모살하였고, 저거몽손은 반란을 일으켜 단업을 살해하고 장액공을 자칭하였다.[11]
저거몽손은 남량과 손을 잡고 후량을 압박하여 멸망에 이르게 하였으며, 이후 남량과 대립하였다. 411년, 저거몽손은 남량의 주요 거점인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을 점령하여 남량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으며, 412년에는 고장으로 천도하여 하서왕(河西王)을 자칭하였다. 414년 이후 남량을 멸망시킨 서진과 대립하는 한편 서량과도 대립하여 421년에 서량을 멸망시키고 돈황 일대를 장악하였다. 저거몽손은 서진과 맞서기 위해 하나라·북위와 연합하는 한편 동진·송나라에도 복종하여 양주자사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431년 서진과 하나라가 멸망하고 북위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북위에 인질을 보내고 양왕에 봉해졌다. 433년 저거몽손이 병사하고 아들 저거목건이 뒤를 이었다.[11]
2. 3. 저거목건 시대와 북량의 멸망
433년 저거몽손이 병사하고 아들 저거목건이 뒤를 이었다. 저거목건은 하서왕을 자칭하고 문치주의적인 정책을 펼쳤다.[12] 그는 북위와 혼인 동맹을 맺어, 누이동생인 흥평공주(興平公主)를 북위 태무제에게 시집보내는 한편, 자신은 태무제의 누이동생인 무위공주와 결혼하고, 북위로부터 하서왕(河西王)의 작위를 받았다. 동시에 그는 유송의 신하가 되었으며, 각자의 영토에서 문학 작품을 교환하는 등 문화 교류를 했다.[12]
그러나 439년 9월, 화북(華北) 통일을 목표로 하던 북위의 태무제는 친정하여 북량의 수도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에 육박했고, 그 압력에 굴복한 저거목건은 북위에 항복하여 북량은 멸망했다. 이로써 오호십육국 시대는 끝나게 된다.
2. 4. 고창 북량
저거몽손은 후량의 무장으로, 397년 후량으로부터 자립하였다. 사촌 형제인 저거남성과 힘을 합쳐 태수 단업을 공(建康公)으로 추대하였으며 저거몽손은 장액태수로, 저거남성은 보국장군(輔國將軍)이 되었다. 단업은 399년에 국호를 양(凉)으로 정하고 양왕을 자칭하였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저거남성과 저거몽손이 쥐고 있었다. 401년 5월, 단업은 저거남성을 모살하였고, 저거몽손은 반란을 일으켜 단업을 살해하고 장액공을 자칭하였다.
저거몽손은 남량과 연합하여 후량을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으나, 이후 남량과 대립하였다. 411년, 저거몽손은 남량의 주요 거점인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을 점령하여 남량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으며, 412년에는 고장으로 천도하여 하서왕(河西王)을 자칭하였다. 414년 이후 남량을 멸망시킨 서진과 대립하는 한편 서량과도 대립하여 421년에 서량을 멸망시키고 돈황 일대를 장악하였다. 저거몽손은 서진과 맞서기 위해 하나라, 북위와 연합하는 한편 동진, 송나라에도 복종하여 양주자사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431년 서진과 하나라가 멸망하고 북위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북위에 인질을 보내고 양왕에 봉해졌다. 433년 저거몽손이 사망하고 아들 저거목건이 뒤를 이었다.
저거목건은 하서왕을 자칭하고 문치주의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439년에 북위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다.
북량 멸망 후, 저거목건의 동생 저거무휘가 주천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서쪽으로 이동하여 고창에서 자립하여 송나라로부터 하서왕에 봉해졌으나 460년, 유연의 공격을 받아 2대 만에 멸망하였다.[5]
3. 역대 군주
태조 무선 거거몽손 401–433 영안(永安) 401–412
현시(玄始) 412–428
승현(承玄) 428–430
의화(義和) 430–433— 애 거거목건 433–439 영화(永和) 433–439 고창 북량(442–460) — 거거무회 442–444 승평(承平) 443–444 — 거거안주 444–460 승평(承平) 444–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