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생포선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었던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태화강역에서 장생포역까지 이어졌으나 2024년 6월 28일에 폐선되었다. 1952년 야음역과 장생포역 간 노선으로 시작하여 울산 도심 구간 철도 이설, 역명 변경, 열차 운행 종료 등의 변화를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생포선 - 태화강역
태화강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21년 울산역으로 시작하여 2010년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동해선, 동해선 광역전철, ITX-마음, KTX-이음 열차가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장생포선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195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하쿠신선
하쿠신선은 JR 동일본과 JR 화물이 운영하는 니가타현 니가타시와 시바타시를 잇는 27.3km의 전철화된 철도 노선으로, 1952년 개통되어 1956년 연장되었고, 일부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되며, IC 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 195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울산선
울산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울산광역시 남구의 달리역과 야음역을 연결했던 표준궤 단선 철도 노선이다.
장생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장생포선 |
소재지 | 울산광역시 남구 |
기점 | 태화강역 |
종점 | 장생포역 |
역 수 | 2역 |
개업 | 1952년 9월 25일 |
폐지일 | 2024년 6월 28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거리 | 3.6 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수 | 1 |
전철화 구간 | 없음 |
폐색 방식 | 통표폐색식 |
한국어 정보 | |
한글 | 장생포선 |
한자 | 長生浦線 |
로마자 표기 | Jangsaengpo Line |
2. 연혁
- 1952년 9월 25일 : 야음 ~ 장생포 간 노선 신설[4][1]
- 일자 불명 : 울산 ~ 장생포 간으로 변경
- 1968년 1월 21일 : 야음 ~ 장생포 간으로 변경[5]
- 일자 불명 : 울산 ~ 장생포 간으로 변경[6]
- 1992년 8월 20일 : 울산도심구간 철도이설 완공으로 인해 이설, 달리역 및 야음역 폐지[7], 동해남부선의 노선 변경에 따라 기점을 울산역으로 변경하고 야음역에서부터의 노선은 폐지.
- 2017년 12월 18일 : ''' 울산역'''에서 '''태화강역'''(太和江驛)으로 변경[8][2]
- 2018년 1월 19일 : 열차 운행 종료
- 2018년 5월 18일 : 일부 구간 선로 철거 완료[9]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104'''로 변경[10][3]
- 2024년 6월 28일: 폐선[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