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지뱀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지뱀상과는 장지뱀아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장지뱀과, 안경도마뱀과, 채찍꼬리도마뱀과, 지렁이도마뱀류 등을 포함한다. 지렁이도마뱀류는 뱀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땅속 생활에 적응했다. 테이우상과는 채찍꼬리도마뱀과, 알로포글로수스과, 피그미테이우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지뱀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Lacertoidea
명명자Oppel, 1811
화석 범위캄파니아절-홀로세,
하위 그룹
절멸된 속†푸르비켈라?
†크립토라케르타
†슬라보이아
†에오라케르티다에
†바르바테이이다에
†폴리글리파노돈티아?
현존하는 그룹암피스바에나류
장지뱀과
김노프탈무스류
알로글로수스과
김노프탈무스과
테구과

2. 하위 분류

장지뱀아목에 속하는 하위 과(科) 수준의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8][6]

2. 1. 안경도마뱀과 (Gymnophthalmidae)

70 px
안경도마뱀과(피그미테이우과)(Gymnophthalmidaela)는 작은 크기의 도마뱀으로, 주로 열대 지역에 서식한다.[8][6]

2. 2. 장지뱀과 (Lacertidae)

장지뱀과(Lacertidaela)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도마뱀 과이다.[8][6]

2. 3. 채찍꼬리도마뱀과 (Teiidae)

테이우과(Teiidae)


채찍꼬리도마뱀과(Teiidae)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빠른 속도와 긴 꼬리가 특징인 도마뱀 과이다.[8][6]

2. 4. 지렁이도마뱀류 (Amphisbaenia)

지렁이도마뱀류는 뱀과 유사하게 긴 몸통과 퇴화된 눈을 가진 도마뱀류이다. 이들은 땅속 생활에 적응하였다.[8][6] 지렁이도마뱀류는 다음과 같은 과를 포함한다.

2. 4. 1. 지렁이도마뱀과 (Amphisbaenidae)

미미즈도마뱀과
[8][6]

2. 4. 2.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 (Bipedidae)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는 앞다리만이 존재하는 독특한 형태의 지렁이도마뱀이다.[8][6]

멕시코지렁이도마뱀

2. 4. 3.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 (Blanidae)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Blanidae)는 지렁이도마뱀류에 속하는 과이다. 지중해 연안에 서식하며, 작은 크기를 가진다.[8][6]
지중해지렁이도마뱀

2. 4. 4. 쿠바지렁이도마뱀과 (Cadeidae)

쿠바지렁이도마뱀류는 쿠바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지렁이도마뱀이다.[8][6]

2. 4. 5.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 (Rhineuridae)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Rhineuridaela)는 북미 지역에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8][6]

2. 4. 6. 트로고노피스과 (Trogonophidae)

트로고노피스과는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 서식하며, 특이한 머리 모양을 가진다.[8][6]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인룡상목의 계통 분류이다.[11]

3. 1. 장지뱀상과 (Lacertoidea)

'''장지뱀상과'''(Lacertoidea)는 장지뱀과, 채찍꼬리도마뱀과, 안경도마뱀과, 지렁이도마뱀류를 포함하는 상과이다.[11]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1]


3. 2. 테이우상과 (Teiioidea)

테이우상과(Teiioideala)는 테이우과, 알로포글로수스과, 피그미테이우과를 포함하는 도마뱀의 상과이다.[8][6]

이미지
테이우과
알로포글로수스과
피그미테이우과


참조

[1] 논문 The phylogeny of squamate reptiles (lizards, snakes, and amphisbaenians) inferred from nine nuclear protein-coding genes https://comptes-rend[...]
[2] 간행물 "Assembling the squamate tree of life: Perspectives from the phenotype and the fossil record."
[3] 간행물 Resolving the phylogeny of lizards and snakes (Squamata) with extensive sampling of genes and species.
[4] 간행물 The characteristics and affinities of the Amphisbaenia.
[5] 논문 A new lizard skull from the Purbeck Limestone Group (Lower Cretaceous) of England
[6] 서적 トカゲ大全 MPJ
[7] 논문 Integrated Analyses Resolve Conflicts over Squamate Reptile Phylogeny and Reveal Unexpected Placements for Fossil Taxa
[8] 간행물 “Combining phylogenomic and supermatrix approaches, and a time-calibrated phylogeny for squamate reptiles (lizards and snakes) based on 52 genes and 4162 species”
[9] 간행물 "Assembling the squamate tree of life: Perspectives from the phenotype and the fossil record."
[10] 간행물 Resolving the phylogeny of lizards and snakes (Squamata) with extensive sampling of genes and species.
[11] 저널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http://www.biomedc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