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도마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옛도마뱀과는 인룡상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뱀목의 초기 분기군 중 하나이다. 2013년 피론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뱀목을 포함하며 장님도마뱀과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훼두목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수염고래
수염고래는 이빨 대신 케라틴 수염판을 가진 고래류 아목으로, 플랑크톤 등을 걸러 먹고, 저주파음을 내며 장거리 회유를 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곡경아목
곡경아목은 머리를 옆으로 구부려 껍질 속으로 넣는 특징을 가지며, 잠경아목과 구분되고, 경추 구조, 두개골 절흔, 껍질의 각질판 배열 등에서도 차이를 보이며, 남미늪거북과를 포함한 일부 종은 흡입 섭식을 하고, 주로 강, 호수, 늪 등에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옛도마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옛도마뱀과 | |
![]() | |
![]() | |
과 | 옛도마뱀과 (Sphenodontidae) |
명명자 | Cope, 1870 (보유명) |
모식종 | Hatteria punctata |
모식종 명명자 | Gray, 1842 |
하위 분류군 | † Eilenodontinae? † Opisthias? † Trullidens? † Ankylosphenodon? † Derasmosaurus? † Pamizinsaurus † Zapatadon † Sphenovipera † Alamitosphenos 옛도마뱀아과 (Sphenodontinae) † Cynosphenodon † Tika † Sphenofontis † Navajosphenodon † Kawasphenodon † Notosphenos Sphenodon |
이명 | Hatteriidae Cope, 1864 (폐기명) Rhynchocephalidae Hoffmann, 1881 (폐기명) |
계통 분류 | |
![]() | |
![]()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옛도마뱀목 |
과 | 옛도마뱀과 (Sphenodontidae) |
과 명명 | Cope, 1870 (보유명) |
모식종 | Hatteria punctata |
모식종 명명 | Gray, 1842 |
하위 분류 | 속 |
하위 | † Cynosphenodon † Oenosaurus 옛도마뱀속 (Sphenodon) † Zapatadon |
이명 | Hatteriidae Cope, 1864 (폐기명) Rhynchocephalidae Hoffmann, 1881 (폐기명) |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9]
{| class="wikitable"
|-
! 인룡상목
|-
|
{| class="wikitable"
|-
| 옛도마뱀과
|-
! 뱀목
|-
| 장님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도마뱀붙이하목
|-
|
{| class="wikitable"
|-
! 뱀붙이도마뱀군
|-
| 돌도마뱀붙이과
|-
|
|}
|-
! 도마뱀붙이군
|-
|
{| class="wikitable"
|-
| 표범도마뱀붙이과
|-
! 도마뱀붙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땅딸이도마뱀붙이과
|-
|
|}
|}
|}
|-
|
{| class="wikitable"
|-
! 도마뱀상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밤도마뱀과
|-
|
|}
|-
| 도마뱀과
|}
|-
! Episquamata
|-
|
{| class="wikitable"
|-
! 장지뱀상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지렁이도마뱀류
|-
|
{| class="wikitable"
|-
|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쿠바지렁이도마뱀과
|-
|
|}
|}
|}
|}
|-
| 장지뱀과
|}
|-
! Toxicofera
|-
|
{| class="wikitable"
|-
|
무족도마뱀류 |
이구아나류 |
|-
| 뱀아목
|}
|}
|}
|}
|}
|}
|}
|}
2. 1. 인룡상목
인룡상목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뱀목을 포함한다.[9] 장님도마뱀과는 뱀목의 하위 분류군이다.2. 1. 1. 옛도마뱀과
인룡상목에서 뱀목으로 갈라져 나온 초기 분류군 중 하나이다.[9]2. 1. 2. 뱀목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9]장님도마뱀과를 포함하여 하위 분류군으로 나뉜다.
참조
[1]
저널
A basal sphenodontian (Lepidosauria) from the Jurassic of Patagonia: new insights on the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Gondwanan rhynchocephalians
[2]
저널
Sphenodontian phylogeny and the impact of model choice in Bayesian morphological clock estimates of divergence times and evolutionary rates
2020-12-00
[3]
웹사이트
A Middle Jurassic Sphenodon-like sphenodontian (Diapsida: Lepidosauria) from Huizachal Canyon, Tamaulipas, Mexico
https://www.research[...]
1996-00-00
[4]
저널
Shearing mechanics and the influence of a flexible symphysis during oral food processing in ''Sphenodon''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2012-07-00
[5]
저널
An exceptionally preserved Sphenodon-like sphenodontian reveals deep time conservation of the tuatara skeleton and ontogeny
2022-03-03
[6]
저널
Sphenofontis velserae gen. et sp. nov., a new rhynchocephalian from the Late Jurassic of Brunn (Solnhofen Archipelago, southern Germany)
2021-05-03
[7]
문서
보유명(保有名, conserved name)
[8]
문서
폐기명(廢棄名, rejected name)
[9]
저널
http://www.biomedcen[...]
[10]
저널
A New Rhynchocephalian from the Late Jurassic of Germany with a Dentition That is Unique amongst Tetrapo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