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룡상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룡상목은 두궁류에 속하는 파충류의 한 분류군으로, 뱀, 도마뱀, 투아타라 등을 포함한다. 수컷은 반음경을 가지며, 꼬리 자절 능력을 보이는 종이 많다. 비늘은 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탈피를 한다. 인룡류는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보이며, 초식, 잡식, 곤충, 육식을 하는 종이 존재한다. 인간의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가죽 사용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른 보존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룡상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epidosauria |
명명자 | 에른스트 헤켈 |
명명 년도 | 1866년 |
화석 범위 | 삼첩기 중기 - 현재 |
분류 | |
하위 분류군 | 무카시도마뱀목 Vellbergia? Pan-Squamata (전-유린목) Sophineta? Megachirella? Marmoretta? Tamaulipasaurus? Hongshanxi Bellairsia Oculudentavis Huehuecuetzpalli 뱀목 |
2. 특징
인룡상목 파충류는 다른 파충류와 구별되는 여러 특징을 가진다.[26] 사다리뼈에 소라가 발달하여 귀에 고막이 발달했고(투아타라는 소실), 두개골 전두골에 하비설 돌기가 발달하여 원시 렙토사우로모르프와 구별된다.[9][27] 두개골 측두창 수도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투아타라 등 일부는 관골과 사다리뼈/사다리관골 뼈 융합으로 하부 측두창을 닫는 완전한 하부 측두골을 가진 뻣뻣한 두개골을 가지는데, 이는 초기 두궁류와 유사하다. 그러나 초기 주둥이이빨류와 렙토사우로모르프는 완전한 측두골 없이 열린 하부 측두창을 가졌기에, 이는 복귀로 추정된다. 측두골은 물 때 두개골 안정에 기여한다.[31]
이러한 특징들은 "생물학적 특징"과 "일반적인 형태"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생물학적 특징
인룡류는 다른 파충류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음경: 수컷 인룡류는 악어, 새, 포유류, 거북에서 볼 수 있는 발기되는 음경 대신 반음경을 가지고 있다. 반음경은 꼬리 시작 부분에서 볼 수 있다. 투아타라는 반음경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지만, 총배설강 뒤쪽에 한 쌍의 얕은 주머니를 가지고 있어 이것이 반음경의 기원으로 여겨진다.[49]
- 꼬리 자절: 대부분의 인룡류는 스스로 꼬리를 자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능력은 일부 현대 종에서는 사라졌다. 도마뱀은 꼬리뼈 안에 쪼개짐면이 있어 꼬리를 떼어낼 수 있다. 어떤 도마뱀은 여러 개의 쪼개짐면을, 어떤 도마뱀은 하나만 가지고 있다. 꼬리 재생은 항상 완벽하지 않으며, 척추 대신 연골로 된 막대로 구성된다.[49] 뱀은 꼬리가 척추뼈 사이에서 분리되며 다시 자라지 않는다.[49]
- 비늘: 인룡류의 비늘은 케라틴으로 된 상피 조직으로, 허물을 벗을 수 있게 한다. 이는 다른 파충류에서 볼 수 있는 인갑(scute)과는 다르다.[49] 탈피는 종에 따라 다른 주기로 이루어진다. 도마뱀은 대개 조각조각 허물을 벗지만 뱀은 통째로 벗는다. 인룡류의 비늘은 기와처럼 겹쳐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 두개골: 현생 파충류는 무궁류와 이궁류 두 계통군으로 나뉜다. 무궁류는 측두창이 없고, 이궁류는 머리뼈 양쪽에 각각 두 개씩 측두창을 가지고 있다.[50] 인룡류는 이궁류에 속하며, 뱀목과 스페노돈티드과로 나뉜다.
- 뱀목(Squamata)의 특징:
- 뱀, 도마뱀, 지렁이도마뱀을 포함하며, 다리가 줄어들거나 없는 것이 특징이다.
- 피부는 비늘로 덮여 있다.
- 위턱은 머리뼈와 별도로 움직일 수 있는 무정위 운동성(cranial kinesis)을 가지고 있다.[51] 투아타라는 이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 지렁이도마뱀은 대부분 다리가 없거나 작다. 세 종은 앞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땅을 파고 들어간다.[52]
- 스페노돈티드과(Sphenodontidae)의 특징:
- 투아타라와 멸종한 근연종을 포함하며, 뉴질랜드 근처 섬에서만 발견된다.
- 앞뒤가 모두 움푹 들어간 척추뼈를 가지고 있다.[51]
- 꼬리를 스스로 자를 수 있다.
- 정수리에 잘 발달된 솔방울눈(pineal eye)을 가지고 있고, 이빨은 상대적으로 크다.[49]
- 생식:
- 뱀목은 태생, 난태생, 난생 종으로 대표된다. 몇몇 종은 무성생식을 할 수 있다.[32]
- 투아타라는 알을 낳으며, 부화하는 데 약 14개월이 걸린다.[28]
- 뱀목 배아는 알에서 나오도록 돕는 란치를 전상악골에 발달시킨다.[33]
- 방어:
- 대부분의 인룡류는 위장을 주요 방어 수단으로 사용한다.
- 꼬리 자절은 흔한 방어 수단이다.
- 에키노사우루스와 같은 일부 종은 죽은 척하는 방어를 한다.[33]
- 섭식:
- 살무사는 머리 피부의 신경 종말을 통해 먹이의 적외선 복사를 감지한다.[33]
- 살무사와 일부 보아뱀은 열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33]
- 많은 뱀은 수축을 통해 먹이를 잡는다.[33]
- 일부 뱀은 독이 있는 이빨을 가지고 있다.[33]
- 카멜레온은 혀를 발사하여 먹이를 잡는다.[33]
- 인룡류에는 초식 동물, 잡식 동물, 곤충 식성 동물, 육식 동물이 있다.
- 투아타라는 턱을 닫은 후 아래턱이 앞으로 움직이는 특수한 전단 메커니즘으로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35]
- 포식자:
- 조류와 포유류가 파충류를 잡아먹지만, 주요 포식자는 다른 파충류이다.
- 일부 파충류는 파충류 알을 먹는다.[33]
- 작은 파충류는 더 큰 파충류에게 잡아먹힌다.[33]


2. 2. 일반적인 형태
현생 파충류는 무궁류와 이궁류 두 계통군으로 나뉜다. 각 계통군의 이름은 머리뼈에 있는 측두창의 개수에 따라 지어졌는데, 무궁류는 측두창이 없고 이궁류는 머리뼈 양쪽에 각각 두 개씩 측두창을 가지고 있다.[50] 무궁류에는 거북과 멸종한 근연종들만이 속하며, 이궁류는 인룡류와 자매 분류군인 지배파충류로 구성된다.[49]인룡류는 뱀목과 스페노돈티드과로 나뉜다. 뱀목은 뱀, 도마뱀, 그리고 지렁이도마뱀을 포함하며, 다리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특징이 있다. 뱀, 어떤 도마뱀,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지렁이도마뱀은 다리를 완전히 잃었다. 모든 뱀목의 피부는 비늘로 덮여 있다. 뱀목의 위턱은 머리뼈와 별도로 움직일 수 있는 무정위 운동성(cranial kinesis)를 가지고 있는데,[51] 이는 방형골(quadrate)과 그 이웃한 뼈 사이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57] 투아타라는 다른 인룡류와 달리 이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지렁이도마뱀은 뱀처럼 거의 대부분 다리가 없거나, 보통 훨씬 작다. 지렁이도마뱀 중 세 종은 앞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땅을 파고 들어가 생활한다.[52]



스페노돈티드과는 투아타라와 멸종한 근연종을 포함하며 뉴질랜드 근처의 작은 섬들에서만 발견된다. 투아타라는 앞뒤가 모두 움푹 들어간 척추뼈를 가지고 있고,[51] 꼬리를 스스로 잘라내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투아타라는 정수리의 마루뼈 부근에 잘 발달된 솔방울눈 (pineal eye)을 가지고 있고, 이빨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49]
3. 화석 기록
뱀은 화석 기록이 그리 많지 않은 편이지만, 가장 오래된 뱀 화석은 백악기의 것이다.[49] 에오세 말기에 멸종한 3기의 뱀 화석이 몇 종류 발견되었다. 최초의 뱀과 역시 에오세에 나타났다.[49] 도마뱀은 쥐라기에 처음 출현했고, 이때 도마뱀류(scincomorph)과 무족도마뱀류(anguimorph)가 처음 발견된다. 도마뱀붙이류(gekko)는 후기 쥐라기에 나타나고, 이구아나류는 후기 백악기에 처음 나타났다. 백악기의 도마뱀들은 거의 대부분 멸종한 속 및 종들에 속한다.[53] 다수의 지렁이도마뱀류는 초기 신생대에 처음 나타난다.[52] 스페노돈티드목의 화석 기록은 하부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 처음 발견되는데, 이것이 인룡류 최초의 화석기록이다. 투아타라는 현재 뉴질랜드에서 조금 떨어진 작은 섬들에서만 발견된다. 하지만 화석 기록에 의하면 뉴질랜드 본섬 뿐 아니라 전세계에 걸쳐 살았던 것을 알 수 있다.[51]
인룡상목은 고룡류의 조상으로부터 페름기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8] 인룡상목의 가장 초기의 구성원은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해당한다. 초기 트라이아스기의 ''소피네타''는 가장 오래된 렙토사우루스류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분류는 불확실하다.[9] 가장 초기의 두개목인 ''뷔르템베르기아''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알려져 있다.[10] 렙토사우루스류인 ''메가키렐라''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의 원시 계통 뱀목을 나타낼 수 있지만,[11] 이 그룹의 가장 초기의 현생 구성원은 중생대 쥐라기에 알려져 있다.[12] 뱀목은 백악기에 큰 방산(radiation)을 겪었고,[13] 두개목은 같은 기간 동안 쇠퇴했다.[14]
4. 진화
인룡류는 원래 이구아니아와 스클레로글로사 두 개의 계통군으로 나뉘었다. 뱀과 지렁이도마뱀은 스클레로글로사 계통군에 속한다. 이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이구아니아는 카멜레오니드과와 아가미드과 두 개의 자매분류군으로 나뉜다.[49] 뱀은 인룡류 그룹 내부의 한 가지이다. 실제로 왕도마뱀류와 같은 일부 도마뱀은 다른 도마뱀들보다 뱀과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 왕도마뱀류는 반수생이며 큰 몸집을 가진 육식성 도마뱀으로 호주에 산다.[54]
뱀은 현재 약 3070개의 현생 종을 가지고 있으며 스콜레코피디안과 알레티노피디안으로 나뉜다.[52] 스콜레코피디안에는 370종 정도가 속하며 입을 그리 크게 벌릴 수 없는 작은 뱀들로 대표된다.[52] 뱀은 작은 입을 가진 스콜레코피디안으로부터 입이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이로 인해 큰 먹이감을 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독사는 약 2500종 정도가 있으며 모두 뱀상과에 속한다.[52]
지렁이도마뱀류는 거의 대부분 다리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세 종은 조그마한 앞다리를 가지고 있다. 형태학적 자료에 의하면 앞다리를 가진 종들은 다리가 없는 종류의 자매그룹이다. 이것은 지렁이도마뱀의 진화과정에서 다리를 잃어버리는 사건이 한 번만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52]
투아타라는 트라이아스기에 기원하여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었다. 후기 백악기에 모두 멸종하고 두 종만이 현재 뉴질랜드에 살아남아 있다. 이들의 멸종은 대형 포유류의 출현과 시기를 같이 한다. 현생 투아타라의 골격 구조는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종의 구조와 거의 유사하다. 투아타라의 야생 개체군은 32개의 섬에서 발견되며 추가로 세 개의 섬에 이주한 것이 알려져 있다.[55]
인룡상목은 고룡류의 조상으로부터 페름기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8] 인룡상목의 가장 초기의 구성원은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해당한다. 초기 트라이아스기의 ''소피네타''는 가장 오래된 렙토사우루스류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분류는 불확실하다.[9] 가장 초기의 두개목인 ''뷔르템베르기아''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알려져 있다.[10] 렙토사우루스류인 ''메가키렐라''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의 원시 계통 뱀목을 나타낼 수 있지만,[11] 이 그룹의 가장 초기의 현생 구성원은 중생대 쥐라기에 알려져 있다.[12] 뱀목은 백악기에 큰 방산(radiation)을 겪었고,[13] 두개목은 같은 기간 동안 쇠퇴했다.[14]
5. 계통 분류
6. 생태
인룡류는 초식, 잡식, 충식, 육식을 하는 종류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초식 동물은 이구아나류, 아가미드류, 그리고 일부 도마뱀들이다.[53] 대부분의 도마뱀과 어떤 뱀들은 곤충을 주로 먹는다. 그 외의 뱀, 투아타라, 지렁이도마뱀은 육식성이다. 어떤 뱀은 특정한 종류의 먹이만을 먹는데, 예를 들어 살바도라 속의 뱀은 도마뱀만을 먹는다.[53] 나머지 도마뱀들은 잡식성이며 식물이나 곤충을 먹을 수 있다.
살무사는 머리 피부의 맨살 신경 종말을 통해 먹이의 적외선 복사를 감지할 수 있다.[33] 또한 살무사와 일부 보아뱀은 먹이의 열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열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33] 많은 뱀은 수축을 통해 먹이를 얻는데, 먼저 먹이를 물고 몸을 먹이 주변에 감아 뱀의 죄는 힘을 조여 질식시킨다.[33] 독사의 뱀들은 머리의 피부에 노출되어 있는 신경말단으로 먹잇감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53] 또, 독사아과와 보아뱀과의 어떤 뱀들은 열을 감지하여 먹잇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53] 어떤 뱀들은 독을 낼 수 있는 이빨을 가지고 있어 뱀이 의식이 없거나 심지어 죽은 먹이를 소비할 수 있으며, 일부 독에는 소화를 돕는 단백질 분해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33] 카멜레온은 혀를 발사하여 먹이를 잡는데, 이는 설골 근육의 수축, 즉 혀끝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설골 메커니즘에 의해 가능하다.[33]
투아타라의 광범위한 육식성 식단은 턱을 닫은 후 아래턱이 앞으로 움직이는 특수한 전단 메커니즘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35]
맹금류, 물새, 로드러너를 포함한 조류와 포유류가 파충류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주요 포식자는 다른 파충류이다. 일부 파충류는 파충류의 알을 먹는데, 예를 들어 나일 모니터의 식단에는 악어 알이 포함되어 있으며, 작은 파충류는 더 큰 파충류에게 잡아먹힌다.[53]
6. 1. 분포
도마뱀 종은 매우 넓게 분포하여 극단적으로 추운 지역을 제외하면 전 세계에 분포한다. 지렁이도마뱀은 플로리다, 멕시코 본토와 바하 캘리포니아, 지중해, 중동, 북아프리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해 지역에 산다.[57] 투아타라는 뉴질랜드의 몇몇 돌섬에만 산다.[51]
7. 생활사와 행동
뱀목은 태생, 난태생, 난생을 모두 보여주는 종들을 포함한다. 태생은 암컷이 새끼를 낳는 것이고, 난태생은 알이 암컷의 몸속에서 새끼로 자라는 것이며, 난생 종들은 암컷이 알을 낳는다. 뱀목의 몇몇 종들은 무성생식을 할 수 있다.[54][32] 투아타라는 약 2.54cm 정도의 알을 낳는데, 이 알은 14개월 후에 부화한다.[51][28]
뱀목은 알 속에 있을 때 전상악골에 난치(卵齒; egg tooth)가 발달하여 부화 시 알을 깨고 나오는 것을 돕는다.[53][33] 파충류는 부화 후 성체가 될 때까지 세 배에서 스무 배까지 성장한다.[53][33] 인룡류의 생활사에는 크게 부화/탄생, 성적 성숙, 생식능력 상실의 세 가지 중요한 사건이 있다.[53][33]
대부분의 인룡류는 보호색을 주요 방어 수단으로 사용한다. 어떤 종들은 생태계에 잘 섞여 들어갈 수 있는 피부색을 진화시켰고, 어떤 종들은 현재 환경에 맞게 피부색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꼬리 자절 능력은 인룡류에서 흔한 방어 수단이다. 에키노사우루스 같은 종류는 죽은 척하는 방어 기작을 진화시켰다.[53][33]
8. 보존
렙토사우루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두발류는 플로리다, 멕시코 본토(바하칼리포르니아 포함), 지중해 지역, 중동,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해에 서식한다.[29] 투아타라는 뉴질랜드의 몇몇 바위섬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며, 굴을 파서 주로 곤충을 잡아먹는다.[28]
8. 1. 보존 노력
뱀은 흔히 공포의 대상이 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방울뱀 라운드업이 열리곤 한다. 1959년부터 1986년 사이에 스위트워터, 텍사스에서 열리는 방울뱀 라운드업 때문에 매년 5,563 마리의 방울뱀이 죽임을 당했다는 자료가 있다. 이때문에 그 지역의 방울뱀 개체군이 쇠퇴하고 특히 조지아의 동부다이아몬드방울뱀이 부분적으로 자생지가 절멸했다고 한다.[49]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가 파충류에게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사람들은 계속해서 인룡류의 중요한 서식지였던 땅을 개발한다. 땅을 정비하는 것 역시 서식지의 축소를 가져온다. 어떤 뱀과 도마뱀들은 설치류와 곤충이 풍부한 인간의 거주지로 이주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파충류들은 해충으로 간주되어 박멸의 대상이 된다.[49]
사람들은 인룡류의 서식지에 다른 종들을 데리고 들어오면서 파충류가 먹잇감이 되는 일이 많아졌다. 자메이카의 사탕수수밭에 창궐하는 쥐를 잡기 위해 인도에서 몽구스를 데리고 들어온 것이 대표적인 예다. 그 결과 몽구스는 자메이카의 도마뱀 개체군을 먹이로 삼았고 많은 도마뱀 종들이 절멸되거나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49]
적절한 행동으로 멸종위기의 파충류를 도울 수도 있다. 어떤 종은 포획된 상태에서는 번식을 하지 못하지만 다른 종류들은 잘 번식해 왔다. 동물피난처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이 개념은 파충류를 특정 지역 안에서만 살게 해서 사람들의 거주지에 오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환경변화와 포식자의 공격은 피난처 안에서도 일어난다.[53]
불행히도, 파충류의 가죽은 계속해서 팔리고 있다. 신발, 부츠, 가방, 벨트, 버튼, 지갑, 그리고 전등갓 등의 악세사리를 만드는 데 파충류 가죽이 쓰인다.[49] 1986년에 세계자원기관(World Resource Institute)은 1050만 마리의 파충류 가죽이 합법적으로 거래되었다고 추산했다. 이것은 불법적인 거래는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49] 뿔도마뱀을 잡아서 박제로 만든 것이 인기가 많다.[49] 남아 있는 파충류 종들을 보존하기 위해 사람들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는 투아타라를 보존하기 위한 야생동물 관리의 필요성을 높였다. 투아타라는 더 서늘한 기후로 이주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보존론자들은 투아타라를 더 서늘한 기후에 있는 섬으로 강제이주 시키는 것의 가능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58] 투아타라의 서식범위는 이미 고양이, 쥐, 개, 그리고 족제비과 동물들이 들어오면서 크게 줄어들었다.[59] 투아타라가 아직 살아남아 있는 섬들에서 이들 포유류를 박멸한 것이 투아타라 개체군 회복에 도움이 되었다. 폴리네시아 쥐의 제거 이후 투아타라 개체군을 관찰한 바에 따르면 쥐가 없어진 후 그 섬에서만 개체군의 크기가 증가했다고 한다.[60] 하지만 이들 소형 포유류가 섬에 다시 서식하게 되는 것을 막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참조
[1]
논문
Integration of molecules and new fossils supports a Triassic origin for Lepidosauria (lizards, snakes, and tuatara)
2013-09-25
[2]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3]
논문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reptiles
2010-01-13
[4]
논문
Dentary Tooth Shape in Sphenodon and Its Fossil Relatives (Diapsida: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2009
[5]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taxonomy: a reassessment of species designation in tuatara (''Sphenodon'': Reptilia)
2010-06
[6]
논문
Tuatara
[7]
서적
New Aspects of Mesozoic Biodiversity
[8]
논문
Successive climate crises in the deep past drove the early evolution and radiation of reptiles
[9]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enigmatic diapsid Paliguana whitei and the early history of Lepidosauromorpha
2021-08-25
[10]
논문
The oldest known rhynchocephalian reptile from the Middle Triassic (Ladinian) of Germany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among Lepidosauromorpha
https://anatomypubs.[...]
2023-11-07
[11]
논문
The origin of squamates revealed by a Middle Triassic lizard from the Italian Alps
2018-05-30
[12]
논문
Mesozoic and Cenozoic squamates of Europe
https://link.springe[...]
2013-12
[13]
논문
Eco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of squamates in the Cretaceous
2021-03
[14]
논문
First rhynchocephalian (Reptilia, Lepidosauria) from the Cretaceous–Paleogene of India
2022-06-30
[15]
서적
The Vertebrate Body
Saunders
1986
[16]
서적
Herpetology
Prentice Hall
1998
[17]
논문
Integrated Analyses Resolve Conflicts over Squamate Reptile Phylogeny and Reveal Unexpected Placements for Fossil Taxa
2015-03-24
[18]
논문
Turtles as diapsid reptiles
http://doc.rero.ch/r[...]
[19]
서적
Recent Advances in the Origin and Early Radiation of Vertebrates
Verlag Dr. Friedrich Pfeil
[20]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a clade of turtles
1999-10
[21]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uggests diapsid affinities of turtles
[22]
논문
Sister group relationship of turtles to the bird-crocodilian clade revealed by nuclear DNA-coded proteins
2004-12-29
[23]
논문
Extended mitogenomic phylogenetic analyses yield new insight into crocodylian evolution and their survival of the Cretaceous–Tertiary boundary
2007-11
[24]
논문
From reptilian phylogenomics to reptilian genomes: analyses of c-Jun and DJ-1 proto-oncogenes
2010-03-17
[25]
논문
MicroRNAs support a turtle + lizard clade
2012-02-23
[26]
논문
At the feet of the dinosaurs: the early history and radiation of lizards
http://pdfs.semantic[...]
[27]
간행물
The Lepidosaurian Ear: Variations on a Theme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1-08
[28]
서적
Reptiles life history, evolution, and structure.
Harper
1960
[29]
서적
The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tetrapods
Oxford
1988
[30]
논문
The molecular evolutionary tree of lizards, snakes, and amphisbaenians
https://comptes-rend[...]
2009-02
[31]
논문
An exceptionally preserved Sphenodon-like sphenodontian reveals deep time conservation of the tuatara skeleton and ontogeny
2022-03-03
[32]
논문
Survival estimation in a long-lived monitor lizard: radio-tracking of ''Varanus mertensi''
[33]
서적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1993
[34]
웹사이트
Functional morphology and evolution of aspiration breathing in tetrapods
https://www.brown.ed[...]
[35]
논문
Shearing mechanics and the influence of a flexible symphysis during oral food processing in Sphenodon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36]
논문
Integrating physiology into conservation: an approach to help guide translocations of a rare reptile in a warming environment
[37]
논문
Establishing a new wild population of tuatara (''Sphendon guntheri'')
[38]
논문
Eradication as reverse invasion: lesions from Pacific Rat (Rattus exulans) removals on New Zealand islands
[39]
논문
Integration of molecules and new fossils supports a Triassic origin for Lepidosauria (lizards, snakes, and tuatara)
2013-09-25
[40]
웹사이트
古生物学:鱗竜類の起源
https://www.natureas[...]
2021-08-26
[41]
논문
絶滅した生物“首長竜”:講演録
https://doi.org/10.2[...]
日本生物教育学会
2017
[42]
웹사이트
Lepidosauria
https://kotobank.jp/[...]
[43]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44]
논문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reptiles
2010-01-13
[45]
논문
Dentary Tooth Shape in Sphenodon and Its Fossil Relatives (Diapsida: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2009
[46]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taxonomy: a reassessment of species designation in tuatara (''Sphenodon'': Reptilia)
2010-06
[47]
논문
Tuatara
[48]
서적
New Aspects of Mesozoic Biodiversity
[49]
서적
Herpetology
Prentice-Hall
1998
[50]
서적
The Vertebrate Body.
Saunders
1985
[51]
서적
Reptiles
Harper&Brothers
1960
[52]
논문
The Molecular Evolutionary Tree of Lizards, SNakes, and Amphisbaenians.
2209
[53]
서적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Inc
1993
[54]
웹사이트
“Survival estimation in a long-lived monitor lizard: radio-tracking of Varanus mertensi.”
2011-04-27
[55]
웹사이트
“Genetic diversity and taxonomy: a reassessment of species designation in tuatara (Sphenodon: Reptilia).”
2011-04-27
[56]
웹인용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http://www.biomedcen[...]
[57]
서적
The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Tetrapods: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8]
웹사이트
“Integrating physiology into conservation: an approach to help guide translocations of a rare reptile in a warming environment.”
2011-04-27
[59]
웹사이트
“Establishing a New Wild Population of Tuatara (Sphendon guntheri).”
2011-04-27
[60]
웹사이트
“Eradication as reverse invasion: lesions from Pacific Rat (Rattus exulans) removals on New Zealand islands.”
2011-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