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 라스파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라스파유(Jean Raspail)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탐험가이다. 1925년 7월 5일에 태어나 2020년 6월 13일에 사망했다. 그는 전 세계를 여행하며 탐험가로 활동했고, 1981년 소설 《나는 파타고니아의 왕, 앙투안 드 투넨스다》로 프랑스 아카데미의 그랑프리 뒤 로망을 수상했다. 라스파유는 전통 가톨릭 사상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썼으며, 대표작인 《성도들의 진영》(1973)은 서구 문명의 붕괴를 예측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일부는 영화와 만화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문체에서 평이한 문체로 변화하며 사막,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이주, 생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독특한 문학 세계를 구축했지만, 사회적 논란을 겪기도 했다.
  • 프랑스의 군주주의자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프랑스의 군주주의자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 프랑스의 작가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작가 -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로, 탈구조주의의 주요 인물이며 서구 철학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을 해체하려 했으며,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 바깥은 없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장 라스파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의 라스파유
2010년의 라스파유
본명장 라스파유
출생1925년 7월 5일
출생지슈밀레쉬르뎀, 앵드르에루아르주, 프랑스
사망2020년 6월 13일(94세)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
직업탐험가, 소설가, 여행 작가
활동 기간해당 사항 없음
작품
대표 작품성자들의 진영; 나, 앙투안 드 투르넹, 파타고니아의 왕
수상
수상 내역프랑스 아카데미 소설 대상 (1981년)
메종 드 라 프레스 상 (1995년)
프랑스 아카데미 문학 대상 (2003년)
탐험 금메달 (2007년)
콩부르-샤토브리앙 상 (2008년)

2. 생애와 경력

장 라스파유는 탐험가이자 소설가로 활동했다. 경력 초기에는 탐험가로서 활동하며 티에라델푸에고에서 알래스카까지 이어지는 자동차 여행을 이끌고 잉카 문명 연구 탐험대를 지휘했으며, 아라우카니아 파타고니아 왕국의 영사로도 활동했다.[3]

이후 소설가로 활동하며 1981년 ''나는 파타고니아의 왕, 앙투안 드 투넨스다''로 프랑스 아카데미 소설 대상을 수상했다.[4][5]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73년작 ''성도들의 진영''으로, 이 소설은 제3세계 이민으로 인한 서구 문명 붕괴를 그려[6]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다.[7] 그의 작품 세계에는 전통 가톨릭교 신념과 가톨릭 군주제 복원 열망이 나타나며, 이민 문제에 대해 매우 보수적이고 배타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이러한 그의 견해는 르 피가로 기고 등을 통해 표출되었고[8][10], 프랑스 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 1. 초기 생애

1925년 7월 5일 프랑스 앵드르에루아르주 셰미예쉬르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공장 관리자인 옥타브 라스파유였고, 어머니는 마르그리트 셰였다. 그는 파리에 있는 생장 드 파시 가톨릭 사립학교, 오트드센주 안토니의 생트마리 당토니, 그리고 베르뇌유쉬르아브르의 로슈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2. 2. 탐험가로서의 활동

라스파유는 경력 초반 20년 동안 전 세계를 여행하며 탐험가로서 활동했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는 티에라델푸에고에서 알래스카까지 이어지는 자동차 여행을 이끌었고, 1954년에는 잉카 문명의 땅으로 프랑스 연구 탐험대를 이끌었다. 또한, 아라우카니아 파타고니아 왕국의 영사로 활동하기도 했다.[3] 이러한 탐험 활동을 포함한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2007년 프랑스 지리학회로부터 탐험 및 발견 여행 그랑 메달 도르를 수여받았다.[12]

2. 3. 작가로서의 활동

1981년, 소설 ''나는 파타고니아의 왕, 앙투안 드 투넨스다''로 프랑스 아카데미의 소설 대상을 수상했다.[4][5] 이는 그가 젊은 시절 아라우카니아 파타고니아 왕국의 영사로 활동했던 경험과 연관된다.[3]

그의 작품 세계는 전통 가톨릭교 사상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공산주의자유주의의 실패를 지적하고 가톨릭 군주제의 복원을 주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1990년 소설 ''시르''는 마지막 프랑스 왕의 직계 후손인 18세 필리프 파라몽 드 부르봉가가 1999년 랭스에서 즉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1973년에 발표된 ''성도들의 진영''이다. 이 소설은 압도적인 제3세계 이민 물결로 인해 서구 문명이 붕괴하는 미래를 극단적으로 묘사하여[6] 출간 당시부터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 책은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아프리칸스어, 체코어, 네덜란드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2006년까지 5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7]

라스파유는 ''성도들의 진영'' 이후 ''노르'', ''시르'', ''어부의 반지'' 등의 소설을 발표했으며, 1985년에는 르 피가로 잡지에 공동으로 기고한 글("2015년에 프랑스는 여전히 프랑스일까?")을 통해 프랑스 내 비유럽계 이민 인구 증가가 전통적인 프랑스 문화와 가치, 정체성을 위협할 것이라는 주장을 반복했다.[8]

2000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 후보로 올라 가장 많은 표를 얻었으나, 선출에 필요한 과반수를 넘지 못해 회원 등극에는 실패했다.[9]

2004년 6월 17일, 르 피가로에 다시 기고한 "공화국에 배반당한 조국"이라는 글[10]에서 프랑스의 이민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글로 인해 인종 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국제 연맹으로부터 인종 혐오 조장 혐의로 고소당했으나, 법원은 같은 해 10월 28일 해당 소송을 기각했다.

한편, 라스파유는 1970년 프랑스 아카데미로부터 전체 작품 활동을 인정받아 장 발터 상을 받았고,[11] 2007년에는 프랑스 지리학회로부터 탐험 및 발견 여행 그랑 메달 도르를 수상했다.[12]

3. 사상과 논란

장 라스파유는 그의 전통 가톨릭교 신념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이는 그의 여러 작품 세계관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공산주의자유주의에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며 가톨릭 군주제의 복원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1973년에 출간된 소설 ''성도들의 진영''이다. 이 작품은 제3세계로부터 밀려드는 대규모 이민의 물결이 결국 서구 문명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는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그린다.[6] 이 소설은 출간 이후 내용의 인종주의적 함의와 외국인 혐오를 조장한다는 점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극우 성향의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얻었다.

라스파유는 ''성도들의 진영'' 이후에도 꾸준히 유사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1985년 르 피가로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는 프랑스 내 비유럽계 이민자 인구 증가가 프랑스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8] 2004년 같은 신문에 실린 "공화국에 배반당한 조국"이라는 제목의 글에서는 프랑스 정부의 이민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10] 이 글로 인해 인종 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국제 연맹(LICRA)으로부터 인종 혐오 조장 혐의로 고발당하기도 했으나, 법원은 해당 소송을 기각했다.

3. 1. 전통 가톨릭 사상

그의 전통 가톨릭교 사상은 많은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라스파유는 공산주의자유주의를 실패한 유토피아로 보았으며, 가톨릭 군주제의 복원을 지지했다. 1990년에 발표한 소설 ''시르''에서는 이러한 사상이 반영되어, 1999년 2월 랭스에서 프랑스 마지막 왕의 직계 후손인 18세 필리프 파라몽 드 부르봉가가 프랑스 왕으로 즉위하는 가상의 역사를 그렸다.

3. 2. 《성자들의 진영》과 인종주의 논란

라스파유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1973년에 출간된 소설 ''성도들의 진영''이다.[7] 이 책은 제3세계에서 밀려드는 대규모 이민의 "해일"로 인해 서구 문명이 결국 붕괴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작품 속에서는 이민자들을 세상의 "무리"로 묘사하며, 이들이 일어나 "백인을 파괴"할 것이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사용되었다.[6]

이러한 자극적이고 비관적인 내용은 출간 직후부터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제3세계 이민자 집단을 문명 파괴의 위협으로 규정하는 시각은 명백한 인종주의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도들의 진영''은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2006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50만 부 이상 판매될 정도로[7] 널리 읽혔다. 이 책은 극우 세력에게 영감을 주고 반이민 정서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라스파유는 자신의 작품이 인종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부인하며, 문명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려는 의도였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이후에도 비슷한 문제의식을 꾸준히 드러냈다. 1985년 르 피가로 잡지에 공동 기고한 글("2015년에 프랑스는 여전히 프랑스일까?")에서는 "프랑스의 비유럽 이민 인구 비율이 증가하여 전통적인 프랑스 문화, 가치 및 정체성의 생존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8] 2004년 같은 신문에 기고한 "공화국에 배반당한 조국"이라는 글에서는 프랑스의 이민 정책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10] 이 글로 인해 인종 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국제 연맹(LICRA)으로부터 "인종 혐오 조장" 혐의로 고소당하기도 했으나, 법원은 해당 소송을 기각했다.

4. 개인사

1925년 7월 5일 앵드르에루아르주 셰미예쉬르뎀에서 공장 관리자 옥타브 라스파유와 마르그리트 셰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파리의 생장 드 파시 사립 가톨릭 학교, 오트드센주 안토니의 생트마리 당토니, 베르뇌유쉬르아브르의 로슈 학교를 다녔다.

그는 뇌이쉬르센에 살았으며, 파리 근교에 거주했다. 2020년 6월 13일, 앙리 뒤낭 병원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3]

5. 작품 목록


  • ''불의 땅 – 알래스카''(Terre de feu – Alaska) (1952) – 모험 소설
  • ''잉카의 땅과 사람들''(Terres et Peuples Incas) (1955)
  • ''환영합니다, 존경하는 방문객''(Le Vent des Pins) (1958), 진 스튜어트가 번역 (Putnam, 1960)
  • ''성스럽고 세속적인 땅''(Terres Saintes et Profanes) (1960)
  • ''산티아고의 미망인들''(Les Veuves de Santiago) (1962)
  • ''홍콩, 유예된 중국''(Hong-Kong, Chine en sursis) (1963)
  • ''코코넛 나무를 흔들자''(Secouons le cocotier) (1966) – 여행기
  • ''코코넛 나무를 흔들자: 2, 카리브해 펀치''(Secouons le cocotier : 2, Punch Caraïbe) (1970) – 여행기
  • ''환영합니다, 존경하는 방문객''(Bienvenue Honorables Visiteurs (le Vent des pins)) (1970) – 소설
  • ''조나단의 북''(Le Tam-Tam de Jonathan) (1971) – 단편 소설
  • ''마지막 기회의 함대''(L'Armada de la Dernière Chance) (1972)
  • ''성도들의 수용소''(The Camp of the Saints) (1973), 노먼 샤피로가 번역 (Scribner, 1975; The Social Contract Press, 1995, 1-881780-07-4) – 소설
  • ''스텝 도끼''(La Hache des Steppes) (1974)
  • ''레드스킨 저널''(Journal Peau Rouge) (1975)
  • ''하얀 구름과 오늘의 레드스킨''(Nuage Blanc et les Peaux-Rouges d'aujourd'hui) (1975) – 알리에트 라스파유와 장 라스파유 공저
  • ''왕의 게임''(Le Jeu du Roi) (1976) – 소설
  • ''라스파유 대로''(Boulevard Raspail) (1977) – 칼럼
  • ''오늘날의 레드스킨들''(Les Peaux-rouges aujourd'hui) (1978)
  • ''북방''(Septentrion) (1979), 번역본 ''북방''(Sunny Lou Publishing, 2022, 978-1-95539-223-5) – 소설
  • ''카리브해의 파란색과 라임: 안틸레스 제도에 대한 나의 마지막 여행''(Bleu caraïbe et citrons verts : mes derniers voyages aux Antilles) (1980)
  • ''안틸레스 제도, 섬에서 섬으로''(Les Antilles, d'île en île) (1980)
  • ''나, 파타고니아 왕 안투안 드 투넨''(Moi, Antoine de Tounens, roi de Patagonie) (1981) – 소설
  • ''후사르''(Les Hussards : histoires exemplaires) (1982)
  • ''이렌의 눈''(Les Yeux d'Irène) (1984) – 소설
  • ''대통령''(Le Président) (1985) – 소설
  • ''사람들을 기억할 자는 누구인가...''(Qui se souvient des hommes...) (1986), J. 레갓이 번역 (Mercury House, 1988, 0-916515-42-7) – 소설. 영국 페이퍼백은 ''사람들''(The People)이라는 대체 제목으로 출판됨(1988).
  • ''푸른 섬''(L'Île bleue) (1988), J. 레갓이 번역, ''푸른 섬''(Blue Island): A Novel (Mercury House, 1991, 0-916515-99-0)
  • ''달고기 잡이''(Pêcheurs de Lune) (1990)
  • ''(Sire) (1990) – 소설
  • ''베니스 만세''(Vive Venise) (1992) – 알리에트 라스파유와 장 라스파유 공저
  • ''7명의 기사가 황혼에 더 이상 지켜지지 않는 서쪽 문을 통해 도시를 떠났다''(Sept cavaliers quittèrent la ville au crépuscule par la porte de l'Ouest qui n'était plus gardée) (1993) – 소설 (일반적으로 ''7명의 기사...''로 불림)
  • ''어부의 반지(L'Anneau du pêcheur) (1995) – 소설
  • ''만세 자라!''(Hurrah Zara !) (1998) – 소설
  • ''바다 너머의 왕(Le Roi au-delà de la mer) (2000) – 소설
  • ''안녕, 불의 땅(Adiós, Tierra del Fuego) (2001) – 여행기
  • ''눈 위의 북소리와 다른 곳의 소식''(Le son des tambours sur la neige et autres nouvelles d'ailleurs) (2002)
  • ''보레 왕국들(Les Royaumes de Borée) (2003) – 소설
  • ''왕의 수로를 따라 카누를 타고, 아메리카에서의 모험(En canot sur les chemins d'eau du roi, une aventure en Amérique) (2005) – 여행기
  • ''자비(La Miséricorde) (2019) – 소설

6. 각색


  • ''파타고니아의 왕'' (1990), 조르주 캄파나와 스테판 쿠르크 연출의 TV 미니시리즈[14]
  • ''왕의 게임'' (1991), 마크 에반스 연출의 TV 영화[15]
  • ''푸른 섬'' (2001), 나딘 트린티냥 연출의 TV 영화[16]
  • ''일곱 기사'' (2008–2010), 자크 테르팡의 3권 만화책
  • ''보레의 왕국'' (2011–2014), 자크 테르팡의 3권 만화책

7. 인용


  • "다른 사람의 존재를 인정하는 순간부터 완전한 인간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은 수십억 개의 예시에서 그려진 흐릿한 복사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 대해 아무것도 알면 안 된다. 적어도 무자비한 선택에 의해서라도 말이다. 만약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를 창조하는 방법을 아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 모든 것이 너무나 반복되었다."[17]
  • "그들에게 당신의 우주는 아무 의미가 없다. 그들은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지치고, 춥게 느껴질 것이며, 당신의 아름다운 참나무 문으로 불을 지필 것이다."[18]

참조

[1] 뉴스 La promotion de la Légion d'honneur du nouvel an HOMMAGE https://www.la-croix[...] 2004-01-02
[2] 웹사이트 "[LITTÉRATURE] Jean Raspail a 89 ans" https://web.archive.[...] 2021-04-14
[3] 웹사이트 Le camp des Saints, de Jean Raspail, un succès de librairie raciste? http://www.lexpress.[...] The Express 2017-08-22
[4] 서적 Le camp des Saints, de Jean Raspail, un succès de librairie raciste? http://www.lexpress.[...] L'Express 2011-04-06
[5] 웹사이트 Grand Prix du Roman | Académie française https://www.academie[...]
[6] 뉴스 Inside the World of Racist Science Fiction https://www.nytimes.[...] 2018-12-25
[7] 웹사이트 El desembarco | Ediciones áltera https://web.archive.[...] 2022-05-22
[8] 뉴스 French Article Sets Off Furor on Immigrants https://www.nytimes.[...] 2019-02-02
[9] 간행물 Releas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10] 뉴스 La patrie trahie par la république http://jeanraspail.f[...] Le Figaro 2004-06-17
[11] 간행물 Prix Jean Walter Lauréats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12] 웹사이트 GRANDE MÉDAILLE D'OR DES EXPLORATIONS ET VOYAGES DE DÉCOUVERTE (in French) https://web.archive.[...] Société de géographie 2014-12-01
[13] 웹사이트 Mort de Jean Raspail, écrivain et explorateur, auteur du "Camp des Saints" https://www.lefigaro[...] Le Figaro 2020-06-13
[14] 웹사이트 Le roi de Patagonie (TV Mini Series 1990– ) - IMDb https://www.imdb.com[...]
[15] 웹사이트 "Cinéma 16" le jeu du roi (TV Episode 1991) - IMDb https://www.imdb.com[...]
[16] 웹사이트 L'Île bleue (TV Movie 2001) - IMDb https://www.imdb.com[...]
[17] 서적 Septentrion https://sunnyloupubl[...] Sunny Lou Publishing 2022
[18] 서적 The camp of the saints Éditions Robert Laffo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