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1371년에 태어나 1419년에 사망한 부르고뉴 공작이다. 그는 1384년 네베르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고, 1385년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와 결혼했다. 1396년 십자군에 참전하여 오스만 제국군의 포로가 되었으며, 1404년 부르고뉴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와 대립하다가 1407년 루이를 암살했고, 이후 아르마냐크파와의 내전에서 승리했으나, 1419년 몽테로 다리에서 암살당했다. 그의 죽음은 백년 전쟁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그의 아들 필리프 3세는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고뉴파 - 선량공 필리프
필리프 3세는 부르고뉴 공작으로서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넘겼지만,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으며, 영토 확장과 예술 후원에 힘썼고,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 플란데런 백작 - 보두앵 6세 드 에노
보두앵 6세 드 에노는 에노 백작이자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9세로, 제4차 십자군 원정 후 라틴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사망 후 가짜 보두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플란데런 백작 - 선량공 필리프
필리프 3세는 부르고뉴 공작으로서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넘겼지만,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으며, 영토 확장과 예술 후원에 힘썼고,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 아르투아 백작 - 루이 8세
루이 8세는 필리프 2세의 아들로 1223년부터 1226년까지 프랑스 왕으로 재위하며 잉글랜드 침공과 알비 십자군을 지원하고 푸아투를 점령했으며, 몽팡시에 성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 아르투아 백작 - 선량공 필리프
필리프 3세는 부르고뉴 공작으로서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넘겼지만,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으며, 영토 확장과 예술 후원에 힘썼고,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 상 푀르 (Jean sans Peur) |
네덜란드어 이름 | 얀 존더르 프레스 (Jan zonder Vrees) |
출생일 | 1371년 5월 28일 |
출생지 | 부르고뉴 공국, 디종 |
사망일 | 1419년 9월 10일 (48세) |
사망지 | 몽테로폴티온 |
매장지 | 디종, 샹몰 수도원 |
![]() | |
통치 정보 | |
작위 | 부르고뉴 공작 |
재위 기간 | 1404년 4월 27일 - 1419년 9월 10일 |
이전 통치자 | 필리프 2세 |
다음 통치자 | 필리프 3세 |
가문 정보 | |
가문 | 발루아-부르고뉴 가문 |
아버지 | 용담공 필리프 |
어머니 | 플랑드르 여백 마르그리트 3세 |
배우자 | 마르그리트 드 바이에른 (1385년 4월 12일 결혼) |
자녀 | 마르그리트, 프랑스 왕태자비 마리, 클레베 공작부인 필리프 3세, 부르고뉴 공작 안, 베드포드 공작부인 아녜스, 부르봉 공작부인 |
2. 생애
1371년 5월 28일 디종에서 필리프 2세 드 부르고뉴와 마르그리트 3세 드 플랑드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쪽 할아버지인 장 2세의 이름을 따랐다.[5] 1384년 외할아버지 플랑드르 백작 루이 2세가 사망하자 네베르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1385년 캉브레에서 부르고뉴 가문을 위한 이중 결혼식이 열렸다. 장 1세는 마르가레테(알브레히트 1세의 딸)와 결혼했으며, 그의 여동생 마르가레테는 알브레히트의 아들 빌헬름 2세와 결혼하여 저지대 국가에서 장 1세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를 도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와 전쟁을 벌이기 위해 파견된 프랑스 군대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396년 9월 25일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군과 싸우면서 용기를 보여 '공포를 모르는 자'라는 별명(Sans-Peur)을 얻었다.[5] 그러나 그의 성급한 지도력은 유럽 원정의 재앙으로 끝났다.[4] 포로가 되었지만, 부친이 20만 플로린에 달하는 막대한 몸값을 지불하여 석방되었다.[6]
1404년 아버지 필리프 2세가 사망하자 부르고뉴 공작령을 상속받았고, 1405년 어머니 마르그리트 3세가 사망하자 부르고뉴, 플랑드르, 아르투아 백국을 상속받았다. 그는 즉시 샤를 6세의 남동생인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와 권력 다툼을 벌였다.[2] 두 사람은 모두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샤를 6세의 권력 공백을 노렸다.[2]
루이 1세는 이자보 왕비의 환심을 사려 했으며, 그녀의 연인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루이 1세의 사위 도팽 루이가 양측에 의해 납치되었다가 돌아오는 사건 이후, 장은 왕실 칙령을 통해 도팽과 왕실 자녀들의 후견인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장과 루이 1세의 갈등을 심화시켰다.[2] 1407년 11월 23일 루이 1세는 파리 거리에서 암살당했다.[2]
암살 배후는 장으로 밝혀졌고, 그는 이를 "참주 살해"라며 정당화했다. 1409년 3월 9일 샤르트르 조약을 통해 국왕은 장의 죄를 사면했고, 장과 루이 1세의 아들 샤를은 화해를 약속했다. 이후 칙령으로 장의 도팽 후견인 자격이 갱신되었다.[2]
1409년 10월 17일, 장은 프랑스 원수이자 샤를 6세의 총신이었던 장 드 몽테귀를 체포하고 약식 재판을 거쳐 몽포콩의 교수대에서 참수함으로써 섭정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3]
샤를은 살해된 오를레앙 공작의 아들로, 그의 장인인 아르마냐크 백작 베르나르 7세와 동맹을 맺었다.[7] 아르마냐크파는 부르고뉴파에 대항하여 내전을 일으켰다. 1413년 잉글랜드 왕 헨리 5세가 프랑스 영토를 침공하여 파리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으나, 그의 군대는 1415년 아쟁쿠르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의 형제들 중 두 명인 브라반트 공작 앙투안과 네베르 백작 필리프 2세는 전투 중에 프랑스를 위해 싸우다 사망했다.[9]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 암살 이후, 장은 샤르트르 조약을 통해 국왕의 용서를 받고 도팽의 후견인 자격을 갱신받았다.[3] 1413년, 잉글랜드 왕 헨리 5세의 침공 위협 속에서 장은 아르마냐크파와 동맹을 맺었으나, 아쟁쿠르 전투에는 참전하지 않았다.
1418년 5월 30일, 장은 파리를 점령했지만, 도팽 (훗날 프랑스 국왕 샤를 7세)은 도주했다. 이후 장은 잉글랜드와 직접적인 동맹은 맺지 않았지만, 1419년 루앙 함락을 막지 못했다. 도팽은 장과의 화해를 시도했고, 푸이-르-포르 조약을 맺었으나, 추가적인 회담이 몽테로 다리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장은 도팽의 측근들에게 암살당했다.[5]
이 사건으로 장의 아들 필리프 3세는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어 백년 전쟁이 장기화되고 프랑스에 큰 피해를 입혔다.[5]
2. 1. 초기 생애 및 캉브레 이중 결혼
장 1세는 1371년 5월 28일 디종에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 드 부르고뉴와 플랑드르 백작 마르그리트 3세 드 플랑드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아버지 쪽 할아버지인 프랑스 왕 장 2세에서 유래했다.[5] 1384년 외할아버지 플랑드르 백작 루이 2세가 사망하자 네베르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다.1385년, 캉브레에서 부르고뉴 가문을 위한 이중 결혼식이 열렸다. 장 1세는 마르가레테, 홀란트 백작 알브레히트 1세의 딸과 결혼했으며, 동시에 그의 여동생 마르가레테는 알브레히트의 아들 빌헬름 2세와 결혼하여 저지대 국가에서 장 1세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 이 이중 결혼을 통해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은 북쪽으로 진출할 발판을 마련했다. 이 결혼은 장 1세가 당시 어린 나이였던 프랑스 국왕 샤를 5세의 딸이자 사촌인 카트린과의 약혼을 취소한 후에 이루어졌다.
2. 2. 니코폴리스 전투 참전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 (훗날 신성 로마 황제)를 도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와 전쟁을 벌이기 위해 파견된 프랑스 군대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396년 9월 25일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군과 싸우면서 엄청난 열정과 용기를 보여 '공포를 모르는 자'라는 별명(Sans-Peur)을 얻었다.[5] 그의 개인적인 용기에도 불구하고, 그의 성급한 지도력은 유럽 원정의 재앙으로 끝났다.[4] 니코폴리스 전투의 대패로 포로가 되었지만, 부친이 20만 플로린에 달하는 막대한 몸값을 지불했기 때문에 석방되었다.[6]2. 3. 오를레앙 공작과의 갈등
1404년 아버지 필리프 2세가 사망하자 부르고뉴 공작령을 상속받았고, 1405년 어머니 마르그리트 3세가 사망하자 부르고뉴, 플랑드르, 아르투아 백국을 상속받았다. 그는 즉시 샤를 6세의 남동생인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와 권력 다툼을 벌였다.[2] 두 사람은 모두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샤를 6세의 권력 공백을 노렸다.[2]장은 자신의 딸 부르고뉴의 마르그리트를 선량공 필리프와 결혼할 예정이었던 발루아의 미셸과 교환하는 정략결혼을 추진했다. 마르그리트는 1401년부터 1415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 왕위 계승자였던 기엔 공작 루이와 결혼했다. 장은 귀족 정치에 집중했지만, 상인 계급이나 파리 대학교의 중요성을 간과하기도 했다.[2]
루이 1세는 샤를 6세의 왕비 이자보의 환심을 사려 했으며, 그녀의 연인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루이 1세의 사위 도팽 루이가 양측에 의해 납치되었다가 돌아오는 사건 이후, 장은 왕실 칙령을 통해 도팽과 왕실 자녀들의 후견인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장과 루이 1세의 갈등을 심화시켰다.[2] 두 사람은 공공연히 위협을 가했고, 베리 공작 장이 1407년 11월 20일 중재하여 화해 서약을 맺었지만, 3일 후인 11월 23일 루이 1세는 파리 거리에서 암살당했다.[2]
암살 배후는 장으로 밝혀졌고, 그는 이를 "참주 살해"라며 정당화했다. 토마스 월싱엄에 따르면, 오를레앙 공작은 "창녀, 매춘부, 근친상간"과 쾌락을 즐겼으며, 부르고뉴 공작의 보호를 받는 익명 기사의 아내와 간통을 저질렀기 때문에 정당한 대가를 받았을 뿐이라고 한다.[2] 장은 파리에서 탈출해 오를레앙파와 교전 후, 국왕의 신임을 회복했다. 1409년 3월 9일 샤르트르 조약을 통해 국왕은 장의 죄를 사면했고, 장과 루이 1세의 아들 샤를은 화해를 약속했다. 이후 칙령으로 장의 도팽 후견인 자격이 갱신되었다.[2]
1409년 10월 17일, 장은 프랑스 원수이자 샤를 6세의 총신이었던 장 드 몽테귀를 체포하고 약식 재판을 거쳐 몽포콩의 교수대에서 참수함으로써 섭정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3]
2. 4. 아르마냐크파와의 내전
샤를은 살해된 오를레앙 공작의 아들로, 그의 장인인 아르마냐크 백작 베르나르 7세와 동맹을 맺었다.[7] 아르마냐크파는 부르고뉴파에 대항하여 내전을 일으켰다. 1413년 잉글랜드 왕 헨리 5세가 프랑스 영토를 침공하여 파리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그의 군대는 1415년 아쟁쿠르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그의 형제들 중 두 명인 브라반트 공작 앙투안과 네베르 백작 필리프 2세는 전투 중에 프랑스를 위해 싸우다 사망했다.[9]2. 5. 도팽과의 갈등 및 암살
오를레앙 공작 루이 1세 암살 이후, 장은 샤르트르 조약을 통해 국왕의 용서를 받고 도팽의 후견인 자격을 갱신받았다.[3] 그러나 루이 1세의 아들 샤를은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르마냐크 백작 베르나르 7세와 동맹을 맺고 아르마냐크파를 결성하여 부르고뉴파와 대립했다.1413년, 잉글랜드 왕 헨리 5세의 침공 위협 속에서 장은 아르마냐크파와 동맹을 맺었으나, 아쟁쿠르 전투에는 참전하지 않았다. 그의 형제 브라반트 공작 앙투안과 네베르 백작 필리프 2세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4]
1418년 5월 30일, 장은 파리를 점령했지만, 도팽 (훗날 프랑스 국왕 샤를 7세)은 도주했다. 이후 장은 잉글랜드와 직접적인 동맹은 맺지 않았지만, 1419년 루앙 함락을 막지 못했다. 도팽은 장과의 화해를 시도했고, 푸이-르-포르 조약을 맺었으나, 추가적인 회담이 몽테로 다리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장은 도팽의 측근들에게 암살당했다.[5]
이 사건으로 장의 아들 필리프 3세는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어 백년 전쟁이 장기화되고 프랑스에 큰 피해를 입혔다.[5]
3. 유산
그의 암살 배후에는 당시 왕세자였던 샤를 7세의 지지자들이 있었기에, 장 1세의 아들 선량공 필리프는 영국의 헨리 5세와 손을 잡고 샤를 7세에 대항하게 되었다.
4. 가족 관계
마르그리트 드 바이에르와의 사이에서 1남 7녀를 두었다.[5]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마르그리트 | 1393년 - 1442년 | 1404년 프랑스 왕세자 기옌 공작 루이와 결혼, 1423년 리슈몽 백작 아르튀르와 재혼 |
마리 | 1394년 - 1463년 | 1406년, 클레베 공작아돌프 1세와 결혼 |
이자벨 | 1395년 - 1412년 | 1406년, 방티에브르 백작 올리비에 (샤티용 가문)와 결혼 |
필리프 3세 | 1396년 - 1467년 | 부르고뉴 공작 |
잔 | 1399년 - 1406년 | |
카트린 | 1400년 - 1414년 | |
안 | 1404년 - 1432년 | 1423년, 베드퍼드 공작 존과 결혼 |
아녜스 | 1407년 - 1476년 | 1425년, 부르봉 공작 샤를 1세와 결혼 |
애첩 마르하레타 판 볼세렌과의 사이에 2남 1녀(기, 앙투안, 필리포)의 서자를 두었다.
애첩 장 1세 드 크루이의 딸 아녜스 드 크루아와의 사이에 서자 장 드 부르고뉴 (1480년 사망, 캉브레 주교)를 두었다.
참조
[1]
서적
The Artillery of the Dukes of Burgundy, 1363–1477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5
[2]
서적
Lancaster against York : the Wars of the Roses and the foundation of modern Britai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8
[3]
웹사이트
La Vie de Jean de Montagu (9)
https://vieux-marcou[...]
Dagnot, Jean-Pierre
2020-07-12
[4]
브리태니커백과사전
John duke of Burgundy
https://www.britanni[...]
[5]
문서
堀越1984、P63、清水、P60、P71 - P73、城戸、P93、P97、Pn57
[6]
문서
堀越1984、P66 - P70、清水、P73 - P75、城戸、P93 - P95
[7]
문서
堀越1984、P70 - P76、清水、P78 - P86、カルメット、P125 - P139、P143 - P147、城戸、P93 - P98
[8]
문서
堀越1984、P71、清水、P84 - P85、カルメット、P139 - P143
[9]
문서
堀越1984、P76 - P88、清水、P86 - P94、カルメット、P147 - P167、城戸、P98 - P102、P106 - P120
[10]
문서
堀越1984、P89 - P98、清水、P94 - P103、カルメット、P172 - P182、城戸、P121 - P125
[11]
문서
堀越1984、P98 - P106、清水、P104 - P110、城戸、P125 - P129
[12]
문서
カルメット、P168 - P172、P190 - P1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