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은 1925년 2월 22일, 일본 내 12개 재일 조선인 노동 단체가 모여 도쿄에서 결성한 노동 단체이다. 3·1 운동 이후 일본으로 이주하는 조선인 노동자가 증가하고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는 가운데, 일본 노동 총동맹의 강령과 유사한 강령과 8시간 노동, 최저 임금 등을 요구하며 결성되었다. 김천해, 박상익 등이 중심 활동가로 활동했으며, 1927년 4월 3만 명 이상으로 조직이 확대되었다. 조선 공산당, 신간회 등과 연대하여 노동 운동과 독립 운동을 전개했으나, 1929년 일본 공산당의 지시로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로의 해소를 추진하면서 내부 갈등을 겪었다. 1930년 10월 해산되어 전협으로 재조직되었지만 조합원 수가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 한국인 단체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재일 한국인 단체 - 조선신보
조선신보는 조총련 중앙의 기관지로, 재일 조선인 사회 소식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를 다루며 김정남 암살 사건 등 국제 이슈에 대해 북한 시각을 반영하고 대한민국과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논조를 보인다.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
설립 장소 | 일본 |
해산 | 1930년 |
목적 | 조선인 노동환경 개선 |
본부 | 일본 |
2. 결성 배경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본 내지(內地)로의 도항을 제한했다. 그러나 1922년 이 제한이 해제되자 조선 농촌에서 일본으로 일하러 가는 도항자가 급증하여, 1920년 약 4만 명이었던 재일 조선인 인구는 1925년에는 약 20만 명에 달할 기세였다.[1][2] 당시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면서, 1922년 11월 도쿄 조선 노동 동맹회, 다음 해 12월 오사카 조선 노동 동맹회가 결성되는 등 노동 운동과 노동자의 조직화가 진전되었다.[1][2]
이러한 상황에서, 1925년 2월 22일 여러 지역의 재일 조선인 노동 단체들이 모여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결성하게 된다.
2. 1. 일제강점기 재일 조선인 노동자의 증가
1919년 3·1 운동 이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제한했으나, 1922년 이 제한이 해제되면서 일본으로 일하러 가는 조선인들이 급증했다. 1920년 약 4만 명이었던 재일 조선인 인구는 1925년 약 20만 명에 달할 정도로 크게 늘었다.[1][2] 이러한 배경에는 조선 농촌의 어려운 경제 상황과 사회주의 운동의 확산이 있었다.2. 2. 사회주의 운동 확산과 노동 운동 조직화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제한했으나, 1922년 이 제한이 해제되면서 일본으로 일하러 가는 조선인들이 급증했다. 1920년 약 4만 명이었던 재일 조선인 인구는 1925년 약 20만 명에 달할 정도로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면서, 1922년 11월 도쿄 조선 노동 동맹회, 1923년 12월 오사카 조선 노동 동맹회가 결성되는 등 노동 운동과 노동자의 조직화가 진전되었다.[1][2]1925년 2월 22일, 오사카 7개, 도쿄 3개, 교토 1개, 고베 1개의 재일 조선인 노동 단체가 참가하여 도쿄에서 창립 대회를 열고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약칭 노총)을 결성했다. 대회에서는 일본 노동 총동맹의 1922년 강령과 거의 같은 취지의 강령과, 8시간 노동제, 최저 임금제 등 5개 항목의 주장을 채택했다. 초대 위원장은 이헌[4]이었으며, 중심 활동가로는 공산주의자 김천해[3]와 박상익 등이 있었다.
3. 결성과 주요 활동
1925년 2월 22일 도쿄에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약칭 노총) 창립 대회가 열려, 일본 노동 총동맹 (총동맹)의 1922년 강령과 거의 같은 취지의 강령과, 8시간 노동제·최저 임금제 등 5개 항목의 주장을 채택했다. 초대 위원장은 이헌[4]이었으며, 중심 활동가로는 공산주의자 김천해[3]와 박상익 등이 있었다.
같은 해 7월, 노총의 지방 조직으로 가나가와 조선 합동 노동회가 결성되었다. 1928년 5월, 김천해가 중앙 집행 위원장 겸 쟁의 부장에 취임했다.
노총은 조선 공산당 일본 총국, 신간회 지회 (도쿄, 교토, 오사카, 나고야) 및 일본의 좌익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 운동뿐만 아니라 독립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했다.[2] 조선어 기관지 『조선 노동』, 『현 단계』 등을 발행했다.[1]
3. 1. 결성
1919년 3월 서울에서 일어난 3·1 운동을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같은 해 4월부터 조선인의 일본 내지(內地)로의 도항을 제한했다. 그러나 1922년에 이 제한이 해제되자 조선의 농촌에서 일본으로 일하러 가는 도항자가 급증하여, 1920년 약 4만 명이었던 재일 조선인인구는 1925년에는 약 20만 명에 달할 기세였다. 때마침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면서, 1922년 11월 도쿄 조선 노동 동맹회, 다음 해 12월 오사카 조선 노동 동맹회가 결성되는 등 노동 운동과 노동자의 조직화가 진전되었다.[1][2]이러한 상황 속에서, 1925년 2월 22일, 오사카 7개, 도쿄 3개, 교토 1개, 고베 1개의 재일 조선인노동 단체가 참가하여, 도쿄에서 창립 대회를 개최하고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을 결성했다. 대회는 일본 노동 총동맹 (총동맹)의 1922년 강령과 거의 같은 취지의 강령과, 8시간 노동제·최저 임금제 등 5개 항목의 주장을 채택했다. 위원장은 이헌[4], 중심 활동가로는 공산주의자 김천해[3] 와 박상익 등이 있었다.
같은 해 7월, 노총의 지방 조직으로 가나가와 조선 합동 노동회가 결성되었다. 1928년 5월, 김천해가 중앙 집행 위원장 겸 쟁의 부장에 취임했다.
결성된 1925년 10월의 조직 인원은 1220명이었으나, 1927년 4월의 제3회 대회에는 3만 명을 넘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쇼와 금융 공황 하에서의 일련의 쟁의를 지도했다. 한편, 노총은 조선 공산당 일본 총국, 신간회 지회 (도쿄, 교토, 오사카, 나고야) 및 일본의 좌익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 운동뿐만 아니라 독립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했다.[2] 최성기에는 4만 명이 넘는 노동자를 조직했고,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민족 운동의 중심이었다. 조선어의 기관지 『조선 노동』, 『현 단계』 등을 발행했다.[1]
3. 2. 강령 및 주장
1925년 2월 22일 도쿄에서 열린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약칭 노총) 창립 대회에서는 일본 노동 총동맹(총동맹)의 1922년 강령과 거의 같은 취지의 강령 및 8시간 노동제, 최저 임금제 등 5개 항목의 주장을 채택하였다.[4]3. 3. 조직 확장과 쟁의 지도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제한했으나, 1922년 이 제한이 해제되면서 재일 조선인 인구가 급증했다. 1920년 약 4만 명이던 재일 조선인은 1925년 약 20만 명으로 늘어났다. 이 시기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면서 노동 운동과 노동자 조직화가 진전되었다.[1][2]1925년 2월 22일, 오사카 7개, 도쿄 3개, 교토 1개, 고베 1개의 재일 조선인 노동 단체가 참가하여 도쿄에서 창립 대회를 개최하고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약칭 노총)을 결성했다. 대회에서는 일본 노동 총동맹의 강령과 거의 같은 취지의 강령과, 8시간 노동제, 최저 임금제 등 5개 항목의 주장을 채택했다. 위원장은 이헌[4], 중심 활동가로는 공산주의자 김천해[3]와 박상익 등이 있었다.
1928년 5월, 김천해가 중앙 집행 위원장 겸 쟁의 부장에 취임했다. 노총은 결성 당시인 1925년 10월 1,220명의 조직원으로 시작했으나, 1927년 4월 제3회 대회에는 3만 명을 넘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쇼와 금융 공황 하에서 일련의 쟁의를 지도했다. 한편, 노총은 조선 공산당 일본 총국, 신간회 지회 (도쿄, 교토, 오사카, 나고야) 및 일본의 좌익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 운동뿐만 아니라 독립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했다.[2] 최성기에는 4만 명이 넘는 노동자를 조직했고,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민족 운동의 중심이었다. 조선어 기관지 『조선 노동』, 『현 단계』 등을 발행했다.[1]
3. 4. 민족 운동 전개
1919년 3·1 운동 이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제한했으나, 1922년 이 제한이 해제되면서 일본으로 건너가는 조선인 노동자들이 급증했다. 1920년 약 4만 명이던 재일 조선인 인구는 1925년 약 20만 명에 달할 정도로 늘어났다.[1][2]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주의 운동이 확산되고, 노동 운동과 노동자 조직화가 진전되었다.1925년 2월 22일,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노총)이 결성되면서,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과 민족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노총은 일본 노동 총동맹의 강령과 유사한 강령을 채택하고, 8시간 노동제, 최저 임금제 등을 주장했다. 공산주의자 김천해[3] 등이 중심 활동가로 참여했다.
노총은 조선 공산당 일본 총국, 신간회 지회, 일본 좌익 단체 등과 협력하여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2] 조선어 기관지 『조선 노동』, 『현 단계』 등을 발행하며, 최성기에는 4만 명이 넘는 노동자를 조직하여 재일 조선인 노동 운동과 민족 운동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1]
1928년 프롤레타리아 국제 노동 운동 제4차 대회에서 일본 노동 조합 평의회와 노총의 합동 권고가 있었다.[4] 1929년에는 일본 공산당 지도 하에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전협)로의 통합이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총 해소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었고, 내게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1929년 12월 14일 전국 대표자 회의에서 전협과의 통합이 결정되었다.
1930년 10월, 노총은 해산하고 전협으로 재조직되었으나, 조합원 수는 2600명으로 크게 줄었다.
4. 일본 노동조합 전국협의회(전협)로의 통합
1928년 3~4월 프롤레타리아 국제 노동 운동 제4차 대회에서 일본 노동 조합 평의회(평의회)와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 (노총)의 합동 권고가 있었다.[4] 이에 따라 1929년 일본 공산당 지도 하의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전협)로의 통합이 논의되었다.
4. 1. 통합 논의
1928년 3~4월 프롤레타리아 국제 노동 운동 제4차 대회에서 일본 노동 조합 평의회(평의회)와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 (노총)의 합동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1929년 일본 공산당 지도 하의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전협)로 해소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4] 김두용 등 공산주의자들은 "노동자는 조국을 갖지 않는다"는 입장에 따라 민족적 투쟁을 포기하고 노동자 고유의 운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며 노총 해소를 추진했다. 한편, 같은 해 7월, 재일 조선 노총 간토 협의회에서 가와사키와 요코하마 대표는 해소에 반대했고, 이후 도쿄의 노총과 가와사키·요코하마의 노총 간에 내게바 사건이 발생했다. 같은 해 12월 14일, 전국 대표자 회의는 전협과의 합동 방침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노총은 해체되고 공장을 기반으로 조합을 산업별로 재조직화하여 산업별 투쟁을 진행하는 동시에, 전협 내에 설치될 조선인 위원회가 조선인 문제에 대한 지도를 담당하게 되었다.4. 2. 내분과 통합 결정
1928년 3~4월 프롤레타리아 국제 노동 운동 제4차 대회에서 일본 노동 조합 평의회(평의회)와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 (노총)의 합동 권고가 있었다. 이에 따라 1929년 일본 공산당 지도 하의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전협)로의 통합이 제기되었다.[4] 공산주의자 김두용 등은 "노동자는 조국을 갖지 않는다"는 입장에 따라 민족적 투쟁을 포기하고 노동자 고유의 운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며, 노총 해소를 추진했다. 한편, 같은 해 7월, 재일 조선 노총 간토 협의회에서 가와사키와 요코하마 대표는 해소에 반대했고, 그 후 도쿄의 노총과 가와사키·요코하마의 노총 간에 내게바 사건이 일어났다. 같은 해 12월 14일, 전국 대표자 회의는 전협으로의 합동 방침을 결정했다. 노총을 해체하고, 공장을 기반으로 조합을 산업별로 재조직, 산업별 투쟁을 진행하는 동시에 전협 내에 설치될 조선인 위원회가 조선인 문제에 대한 지도를 담당하도록 했다.1930년 10월, 노총은 해산하고 전협으로 재조직되었지만, 조합원 수는 2600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4. 3. 통합 이후
1928년 3~4월 프롤레타리아 국제 노동 운동 제4차 대회에서 일본 노동 조합 평의회(평의회)와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 (노총)의 합동 권고가 있었다. 이에 따라 1929년 일본 공산당 지도 하에 일본 노동 조합 전국 협의회(전협)로 해소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4] 김두용 등 공산주의자들은 "노동자는 조국을 갖지 않는다"는 입장에 따라 민족적 투쟁을 포기하고 노동자 고유의 운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며 노총 해소를 추진했다.한편, 같은 해 7월, 재일 조선 노총 간토 협의회에서 가와사키와 요코하마 대표가 해소에 반대했고, 그 후 도쿄의 노총과 가와사키·요코하마의 노총 간에 내게바 사건이 일어났다. 같은 해 12월 14일, 전국 대표자 회의는 전협으로의 합동 방침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노총은 해체되고 공장을 기반으로 조합을 산업별로 재조직하며, 산업별 투쟁을 진행하는 동시에 전협 내에 설치될 조선인 위원회가 조선인 문제에 대한 지도를 담당하게 되었다.
1930년 10월, 노총은 해산하고 전협으로 재조직되었지만, 조합원 수는 2600명으로 크게 줄었다.
5.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평가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戦前期における在日朝鮮人メディアの形成と展開 : 内務省警保局資料を中心に
https://doi.org/10.1[...]
一橋大学
2002-03
[2]
백과사전
朝鮮独立運動(ちょうせんどくりつうんどう)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3]
백과사전
金天海(きんてんかい)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4]
웹사이트
大原クロニカ 『社会・労働運動大年表』解説編 在日朝鮮労働総同盟[労]1922.5.22
https://oisr-org.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