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촌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인구와 주택이 드물고 외진 곳을 의미하며, 농업, 어업, 임업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농촌은 인구 감소, 고령화, 빈곤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 경제학, 농촌 계획, 농촌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농촌 지역을 연구하며, 도시화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도시로의 인구 이동(농촌 유출)과 귀농·귀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촌경제학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농촌경제학 - 농노제
농노제는 중세 유럽에서 발전한 사회 경제 제도로, 농민이 토지에 예속되어 영주에게 노동력과 생산물을 제공하고 보호를 받는 체제이며, 거주 이전의 자유가 제한되고 각종 의무를 부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농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 및 농촌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 연구, 계획 수립, 정책 분석 등을 수행하고 정부기관에 정책 자료를 제공하는 농업 정책 연구 기관이다. - 농촌 - 소농
소농은 가족 노동에 의존하며 낮은 기술 수준을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농가를 의미하며, 식량 안보와 지역 경제에 기여하지만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여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인간 거주지 - 슬럼
슬럼은 열악한 주거 환경과 빈곤이 연관된 밀집 주거 지역으로, 낮은 주택 품질, 부족한 기반 시설,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사회 문제들을 야기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이 제시되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 - 인간 거주지 - 메가시티
메가시티는 인구 천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대규모 도시로, 도시화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며 경제, 사회,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인구 과밀, 환경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농촌 | |
---|---|
지도 정보 | |
정의 | |
설명 | 도시나 마을 외곽의 지리적 영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농업, 임업, 목축업, 광업 등 1차 산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지역을 말한다. |
특징 | |
경제 | 농업 임업 목축업 광업 등 1차 산업 중심 |
사회 | 낮은 인구 밀도 도시보다 느린 생활 방식 공동체 중심의 사회 전통 문화 보존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 |
문화 | 농업, 수렵, 어업 관련 전통 문화 발달 고유한 방언 및 문화유산 존재 |
환경 | 상대적으로 깨끗한 자연 환경 다양한 생물종 서식 토지, 물, 자원 관리 중요 |
유형 | |
농업 지역 | 농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 |
임업 지역 | 임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 |
목축 지역 | 목축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 |
어업 지역 | 어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 |
광업 지역 | 광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 |
한국의 농촌 | |
특징 | 전통적인 농경 문화 보존 고령화와 인구 감소 문제 심각 농업 소득 감소와 생활 기반 시설 부족 문제 귀농, 귀촌 인구 증가 |
정책 | 농촌 생활 여건 개선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 농촌 지역 공동체 활성화 노력 농업 경쟁력 강화 및 농가 소득 증대 정책 추진 |
관련 주제 | |
관련 분야 | 농업 경제학 농촌 사회학 지역 개발 지속 가능한 개발 |
문제점 | 지방 소멸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 환경 문제 경제적 불평등 |
관련 직업 | 농부 목축업자 어부 임업 종사자 지역 개발 전문가 |
2. 정의
농촌은 국가별, 학문 분야별로 다양하게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인구 밀도, 경제 활동, 토지 이용 등을 기준으로 도시와 구분된다.
「시골」, 「벽촌」, 「향촌」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땅을 의미하며[16], 인구와 주택이 드문드문하고 외진 지역을 가리킨다. 농촌, 어촌, 산촌, 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시골」은 고향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본어의 「田舎(いなか)」는 『한서』 등에 나오는 한자 표현 田舎(음독: 덴샤)에 일본어의 「いなか」 음을 붙인 것이다. 『일본서기』, 『색엽자류초』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만엽집』에서는 「居中」으로 훈독되었다.[17]
「鄙」는 훈독으로 「히나」라고 읽으며, 「벽촌인 지역」, 「벽촌에 드문」과 같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아스카 시대부터 나라 시대에 걸쳐 후지와라쿄, 헤이조쿄 등 대규모 도시가 처음 건설되었다. 귀족층을 중심으로 도시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고, 도시 이외 지역과 주민에 대한 우월 의식(도시부 우선 의식)이 『만엽집』 등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시 이외 지역을 다른 세계, 즉 「시골」로 여기는 개념이 발생했다.
「시골」이라는 개념은 도시가 생겨나면서 (대조적으로)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아닌 곳, 인구와 주택이 적은 지역이 시골로 여겨진다. 그러나 「시골(지방)」과 「도시」를 이분하더라도 명확한 경계선은 없으며, 구분 방법은 다양하고 애매하다.
2. 1. 캐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인구의 50% 이상이 농촌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지역을 "주로 농촌 지역"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농촌 지역 사회"는 150km2 미만의 인구 밀도를 가진 지역을 의미한다. 캐나다에서는 통계구(census division)가 "지역"을, 통계구 소구역(census consolidated sub-division)이 "지역 사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중간 지역은 인구의 15~49%가 농촌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지역이다. 주로 도시 지역은 인구의 15% 미만이 농촌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지역이다.[1]주로 농촌 지역은 필립 에렌샤프트(Philip Ehrensaft)와 제니퍼 비먼(Jennifer Beeman)(1992)의 분류에 따라 농촌 대도시 인접 지역, 농촌 비대도시 인접 지역, 농촌 북부 지역으로 분류된다. 농촌 대도시 인접 지역은 대도시 중심지와 인접한 주로 농촌 지역인 통계구이다. 농촌 비대도시 인접 지역은 대도시 중심지와 인접하지 않은 주로 농촌 지역인 통계구이다. 농촌 북부 지역은 각 주의 다음 위도선 이상에 전체적으로 또는 대부분 위치한 주로 농촌 지역인 통계구이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50도), 매니토바주(53도), 앨버타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온타리오주, 퀘벡주, 서스캐처원주(54도). 또한 농촌 북부 지역에는 유콘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 전체가 포함된다.[1]
캐나다 통계청은 인구 수를 기준으로 농촌 지역을 정의한다. 과거에는 1,000명 이하의 주민이 거주하는 정착지 외부에 거주하는 인구를 의미했다. 현재 정의에 따르면, 센서스 농촌 지역은 1,000명 미만의 주민과 400km2 미만의 인구 밀도를 가진 정착지 외부에 거주하는 인구이다.[1]
2. 2. 미국

2. 3. 브라질
브라질에서는 "농촌 지역"과 "시골"에 대한 개념이 서로 다르다. 농촌 지역은 시정촌의 도시 개발 지역(건물, 도로) 외부의 모든 지역을 의미하며,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시골(포르투갈어로는 ''interior'')은 주/영토 수도의 대도시권 외부에 있는 모든 시정촌으로 공식적으로 정의된다. 마투그로수두술주(Mato Grosso do Sul)와 같은 일부 주에는 대도시권이 없으므로, 수도를 제외한 주 전체가 공식적으로 시골이다. 리우데자네이루주(Rio de Janeiro (state))는 브라질에서 독특한 경우인데, 인구의 약 70%가 그랑 리우(Greater Rio)에 거주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대도시 주이다. 브라질 연방구(Federal District (Brazil))에는 이러한 구분이 적용되지 않으며, 전체가 연방 수도로 간주되기 때문에 시골이 없다. 브라질리아는 명목상 수도이지만, 브라질은 사실상 수도를 시정촌으로 정의하고, 시정촌 문제에 있어서 연방구는 하나의 시정촌으로 취급되고 통치되므로(브라질리아, DF), 수도 기능은 연방구 전체에 공유된다. 시국(city-state)과 유사하다.2. 4. 유럽
유럽 각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농촌 지역을 정의하며, 농촌 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2. 4. 1. 프랑스
프랑스 인구의 15%가 국토의 90%에 달하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정부는 2019년 노란 조끼 운동이 한창일 때 농촌 지역을 위한 "농촌 어젠다"(Agenda Rural)라는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2] 농촌 지역 재활성화를 위해 권고된 많은 계획 중 하나는 에너지 전환이다. 농촌 지역의 새로운 프로젝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3]2018년 프랑스 정부는 전국 도시 중심지 활성화를 위한 "도시 중심 활성화 계획"(Action Cœur de Ville)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222개 도시가 선정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 중 하나는 도시를 매력적으로 만들어 인근 지역도 투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4]
2. 4. 2. 독일
독일은 402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는데, 295개의 농촌 지역과 107개의 도시 지역이 있다.[5] 유럽 연합 최대 농산물 생산국 중 하나인 독일은 영토의 절반 이상(약 19억ha)이 농업에 이용되며, 이는 대부분 농촌 지역에 위치한다.[6] 독일 인구의 약 10%가 농업, 임업, 어업 관련 일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약 5분의 1이 1차 생산 부문에 종사한다. 균등한 생활 조건을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농촌 지역을 도시 지역과 동등하게 여긴다. 농촌 지역 재생은 시골 지역을 개발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2. 4. 3. 영국

영국은 농촌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7] 영국 환경식품농촌부(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DEFRA)는 2001년 영국 인구조사와 같은 최신 인구조사의 인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농촌"을 정의한다.[8] 이러한 정의에는 여러 등급이 있지만, 상위 기준은 인구의 26% 이상이 농촌 정착지 또는 장터 마을(재래시장을 개최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은 모든 정착지)에 거주하는 모든 지방자치구역이다. 영국 시골을 보호하기 위해 그린벨트를 포함한 여러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2. 5. 아시아
아시아 각국은 농촌 지역의 특성과 경제 발전 수준에 따라 다양한 농촌 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전통적으로 농업 국가였으나, 최근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농촌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농촌 진흥 전략'을 통해 농업 현대화, 농촌 주민 소득 증대, 농촌 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인도''': "마을"은 정착지와 주변 농경지를 모두 포함하는 작은 시골 지역을 의미하며, 인도에는 약 50만 개의 마을이 있다. 농업, 어업[9], 가내 수공업 등이 주요 생계 수단이다. 인도 인구의 약 70%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농촌 지역은 인도 GDP에 상당 부분을 기여한다.
- '''일본''': 농촌 지역을 "이나카(田舎)"라고 부르며, 이는 "시골" 또는 "고향"을 의미한다.[11][12] 「시골」, 「벽촌」, 「향촌」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땅」을 의미하며[16], 인구와 주택이 드문드문하고 외진 지역을 가리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농촌·어촌·산촌·섬 등이 된다. 또한, 「시골」은 고향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파키스탄''':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64%가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 대부분의 농촌 지역은 도시 근처에 위치하며, 도시 외곽 지역에 속한다.[13] 농촌 주민들은 주로 벽돌, 진흙, 흙으로 지은 집에 거주하며, 사회경제적 지위는 농지(agricultural land) 소유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가축 사육은 농촌 주민 대다수의 생계 수단이자 파키스탄 국내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2. 5. 1. 중국
중국은 전통적으로 농업 국가였으며, 농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농촌 사회는 큰 변화를 겪고 있다.중국 정부는 농촌 지역의 발전을 위해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및 보급, 농촌 인프라 개선, 농촌 교육 및 의료 서비스 확대, 농촌 지역 빈곤 퇴치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정부는 '농촌 진흥 전략'을 통해 농촌 지역의 경제, 사회, 문화적 발전을 총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 전략은 농업의 현대화, 농촌 주민의 소득 증대, 농촌 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5. 2. 인도

인도에서 "마을(village)"은 정착지 자체만을 의미하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정착지와 그 주변 농경지를 모두 포함하는 작은 시골 지역을 의미한다. 인도에는 최대 50만 개의 마을이 있다고 한다. 시골 지역에서는 농업이 어업,[9] 가내 수공업, 도자기 제작 등과 함께 주요 생계 수단이다.
오늘날 거의 모든 인도 경제 기관은 각자 인도 시골 지역에 대한 정의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기관 | 정의 |
---|---|
계획위원회 | 최대 1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 이러한 지역에서는 판차야트(Panchayat raj)가 모든 결정을 내리며, 판차야트는 5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됨. |
국가표본조사기구(NSSO) | |
인도준비은행(RBI) | 인구가 4만 9천 명 미만인 지역(3단계~6단계 도시)[10] |
일반적으로 인도 인구의 최대 70%가 시골 지역에 거주한다. 인도 시골 지역은 농업, 자영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을 통해 인도 GDP에 상당한 부분을 기여한다. 국가표본조사의 63차 조사에서 사용된 엄격한 기준인 월별 1인당 지출에 따르면, 시골 지역 지출은 총 국가 월별 지출의 55%를 차지한다. 현재 시골 인구는 인도 전체 FMCG 판매의 3분의 1을 차지한다.[10]
2. 5. 3. 일본
일본에서는 농촌 지역을 "이나카(田舎)"라고 부르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시골" 또는 "고향"으로 번역된다.[11][12] 「시골」,「벽촌」,「향촌」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땅」을 의미하며[16], 인구와 주택이 드문드문하고 외진 지역을 가리키는 개념 및 용어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농촌·어촌·산촌·섬 등이 된다. 또한, 「시골」은 고향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일본어의 「田舎(いなか)」는 『한서』 등의 한적에 있던 한자 표현의 田舎(음독하면, 덴샤)에 훈독으로 일본어의 「いなか」의 음을 붙인 것이다. 『일본서기』와 『색엽자류초』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만엽집』에서는 「居中」이라는 훈의 사용이 확인된다.[17]
「鄙」라는 글자는 훈독으로는 「히나」라고 읽고, 「벽촌인 지역」, 「벽촌에 드문」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아스카 시대부터 나라 시대에 걸쳐 후지와라쿄나 헤이조쿄 등의 대규모 도시가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귀족층을 중심으로 이들 도시 주민들 사이에 도시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고, 그 이면으로서 도시 이외의 지역과 주민에 대한 우월 의식(도시부를 우선하는 의식)이 『만엽집』 등에서 읽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이외의 지역을 다른 세계, 즉 「시골」로 여기는 개념이 발생했다고 생각된다.
「시골」이라는 개념은 도시라는 것이 생겨서야 비로소(대조적으로)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아닌 곳, 인구와 주택이 적은 지역이 시골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시골(지방)」과 「도시(도시)」로 이분하더라도, 명확하게 그러한 경계선이 있는 것은 아니고, 선을 긋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애매하다.
2. 5. 4. 파키스탄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 인구의 약 64%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파키스탄의 대부분 농촌 지역은 도시 근처에 위치하며, 도시 외곽 지역에 속한다. 이는 파키스탄에서 농촌 지역을 도시 경계 내에 포함되지 않는 지역으로 정의하기 때문이다.[13]
파키스탄의 오지 농촌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벽돌, 진흙 또는 흙으로 지은 집에 거주한다. 파키스탄 농촌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는 종종 농지(agricultural land) 소유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마을 문화에서 사회적 명망을 제공하기도 한다. 파키스탄 농촌 주민 대다수의 생계는 가축 사육에 의존하며, 이는 파키스탄 국내총생산에서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파키스탄 농촌 주민들이 사육하는 가축에는 소와 염소가 포함된다.
2. 6.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농촌은 특유의 자연환경과 사회문화를 가지고 있다.뉴질랜드에서는 뉴질랜드 인구 조사에 따라 지역을 농촌 정도로 분류한다. 그러나 교통법에서는 농촌 지역을 "도시 교통 지역이 아닌 도로 또는 지리적 지역으로, 보통 농촌 속도 제한이 적용되는 지역"으로 다르게 정의한다.[14]
2. 6. 1.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뉴질랜드 인구 조사 지역을 농촌 정도에 따라 분류한다. 그러나 교통법은 다르게 해석하여, '''농촌 지역'''을 "도시 교통 지역이 아닌 도로 또는 지리적 지역으로, 보통 농촌 속도 제한이 적용되는 지역"으로 정의한다.[14]3. 경제
농촌 경제는 주로 농업, 임업, 어업 등 1차 산업을 기반으로 하며, 최근에는 관광,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주변의 농촌 지역도 도시 문화에 흡수되는 경향을 보인다.[2]
3. 1. 농촌 경제학
농촌 경제학은 농촌 지역의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농촌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 분야이다.3. 2. 농촌 개발
농촌 개발은 농촌 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및 사업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농촌 지역의 소득 증대, 생활 환경 개선,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한 다양한 농촌 개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3. 3. 농촌 전기화
는 농촌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여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4. 인구 이동
세계적으로 도시 인구가 급증하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주변의 '시골'도 도시 문화에 흡수되는 등 다양한 문화가 단일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1]
유엔 조사에 따르면, 1900년대에는 세계 총 인구의 10분의 1만이 1,500명 이상의 도시에 거주했지만, 2000년대에는 세계 총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거주하게 되었고, 2025년에는 세계 총 인구의 3분의 2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1]
하지만,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은 칠레의 캄파멘토(Campamento)나 브라질의 파벨라(Favela)처럼 도시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슬럼가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1] 이집트 최대 도시인 카이로에서는 수십만 명이 교외의 묘지에서 생활하고 있다.[1]
일본에서는 1980년대 이후 U턴, I턴 현상 및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근무 확산으로 인한 인구 이동이 나타났는데, 이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농촌 유출
농촌 유출은 전 세계적으로 도시 인구가 급증하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이다. 도시 거주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 주변의 '시골'도 도시 문화에 흡수되는 등 다양한 문화가 단일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1]도시는 시골 마을과 달리 자급자족으로 생활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없기 때문에, 교외의 시골을 도시에 통합하면서 증가할 수밖에 없다.[1] 이러한 도시화로 인해 기존에 존재하던 문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다양성 없는 획일적인 문화가 등장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
4. 2. 귀농, 귀촌
1980년대 후반 일본에서는 가치관의 다양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시골 생활의 장점을 재평가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1990년대 후반에는 시골 생활을 "일시적으로 체험"하는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 운동이 나타났는데, 이는 도시로 유출된 인구를 관광 형태로 일시적으로 시골로 불러들이려는 시도였다.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도시 주민들이 여름에 장기 휴가(바캉스)를 얻어 시골에서 생활하는 방식이 정착되어 있었는데, 일본의 그린 투어리즘은 이러한 유럽의 생활 방식을 뒤늦게 도입하려는 움직임이었다.[19]1980년대경부터 일본에서는 도시에서 시골로 "귀환"하는 U턴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도시 생활자들이 출신지가 아닌 다른 시골로 이주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났는데, 이를 I턴 현상이라고 불렀다. 최근에는 "이주"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정년퇴직 후 시골에서 농업을 경영하거나, 20~50대에 임업, 어업, 농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증가했다.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방 자치 단체들은 이주 희망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이주를 장려하고 있으며, 성과를 내는 곳도 많다. 도시에서 자란 젊은 부부가 육아를 위해 시골로 이주하는 경우도 증가했다.[19]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원격 근무가 확산되면서, 도시의 좁은 공간보다 시골의 넓은 주택에서 원격 근무를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여 시골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일본에서 증가했다. 이들은 농업, 어업, 임업 외에도 IT업무(웹사이트 제작, 시스템 개발, 프로그래밍 등)를 하는 경우도 많다. 2021년부터 NHK는 시골 이주를 다루는 프로그램 "좋은 이주!!"를 방송하고 있다.[19]
5. 빈곤
농촌 지역은 도시 지역에 비해 빈곤율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소득 불균형, 교육 기회 부족, 사회적 서비스 접근성 제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농촌 빈곤은 사회적 불평등의 한 형태이며, 농촌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과 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6. 보건
농촌 지역은 의료 시설과 인력 부족, 고령화 등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농촌 주민들의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농촌 보건은 농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을 의미한다.
7. 학술 연구
농촌 사회의 고유한 역동성으로 인해, 농촌 공동체를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학문 분야가 발전해 왔다. 농촌 경제학은 농촌 지역의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농촌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농촌 계획은 도시 계획, 지역 계획, 도시주의 분야와 함께 존재하는 학문 분야이다. 농촌 사회학은 농촌 사회의 구조, 문화, 사회 문제 등을 연구한다.
7. 1. 경제학
부분은 제거해야 할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농촌 경제학은 농촌 지역의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농촌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7. 2. 농촌 계획
농촌 계획은 도시 계획, 지역 계획 또는 도시주의 분야 ''내부에서'' 또는 ''함께'' 존재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러한 분야의 정의는 언어와 맥락에 따라 다르다. 때로는 이 용어들이 서로 바꿔서 사용되기도 한다.7. 3. 사회학
구문은 제거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농촌 사회학은 농촌 사회의 구조, 문화, 사회 문제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농촌 공동체의 변화,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 농촌 사회 문제 해결 방안 등을 연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ordNet Search - 3.1
http://wordnetweb.pr[...]
Wordnetweb.princeton.edu
2013-04-25
[2]
웹사이트
Nos campagnes, territoires d'avenir
https://www.cohesion[...]
CGET
[3]
서적
Energy Transition in Metropolises, Rural Areas and Deserts
http://www.iste.co.u[...]
Wiley - ISTE
[4]
웹사이트
Un plan national de revitalisation des centres-villes
https://www.banquede[...]
Banque des territoires
2020-08-12
[5]
웹사이트
BMELV - Agriculture and rural areas - Farming in Germany
http://www.bmelv.de/[...]
BMELV
2012-06-09
[6]
논문
Village renewal as an instrument of rural development: evidence from Weyarn, Germany
[7]
웹사이트
A Beginners Guide to UK Geography (2023)
https://geoportal.s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23-08-24
[8]
웹사이트
Local Authority Rural-Urban Classification
https://www.gov.uk/g[...]
UK Government
2011-06-24
[9]
웹사이트
Greening the Blue: End Child Labour in Agriculture
https://greeningtheb[...]
2018-07-24
[10]
웹사이트
In Focus
http://www.dhanbank.[...]
2010-12
[11]
웹사이트
Inaka: Moving from Scorn to Pride
http://www.discovern[...]
2017-02-10
[12]
뉴스
Exploring rural Japan from the comfort of your living room with 'The Inaka Project'
https://www.japantim[...]
2019-04-20
[13]
웹사이트
Rethinking urban and rural
https://www.dawn.com[...]
2017-08-29
[14]
웹사이트
Land Transport Rule: Setting of Speed Limits 2003, Rule 54001 - Part 2
https://www.nzta.gov[...]
Ministry of Transport
[15]
웹사이트
田舎(でんしゃ)とは?意味・読み方・使い方
https://dictionary.g[...]
[16]
문서
広辞苑 第六版「いなか(田舎)」
[17]
서적
あて字の素性 常用漢字表「付表」の辞典
風媒社
[18]
서적
邪馬台国の原像
学生社
[19]
웹사이트
いいいじゅー!! - NHK
https://www.nhk.jp/p[...]
[20]
웹사이트
プロヴァンス物語/マルセルの夏 の映画情報 - Yahoo!映画
https://movies.yahoo[...]
[21]
문서
만화 및 라이트 노벨의 지역 방송 실태
[22]
웹인용
WordNet Search - 3.1
http://wordnetweb.pr[...]
Wordnetweb.princeton.edu
2013-04-25
[23]
웹사이트
농촌
https://ko.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시골 곳곳 찾아가는 '이동 장터'…"민생지원금 쓰세요"
"지원금 쓰세요" 작은 구멍가게 '뚝딱'…찾아가는 '이동 장터'
“농촌에서 일하며 쉰다”···농식품부, 농촌 워케이션 전국 10곳서 운영
“춘천에 살아볼래요?”···산수리 일대 원룸형 복층형 주거시설 5동 조성
“소득 이렇게 줄어든다고?”…귀농 알아봤던 직장인들, 다시 출근한다는데
[단독] 전국 117개 면, 지역 화폐 가맹 마트·편의점·슈퍼 ‘0’
예산 봉산면에 충남형 공동생활홈 짓는다
“눈치껏 바꿔보지만”…해마다 널뛰는 작물 가격에 농민도 시름
농촌 치매 비율, 9년 만에 도시 앞질러…“고위험 노인일수록 조기검진 덜 받아”
청년농부 돈 관리 돕는 이 은행
“무료 라면·얼음물로 이웃과 정 나눠요”…주민이 직접 꾸리는 김제 무더위 쉼터
“귀농 공포증 사라졌다”…삶의 질 완전히 바꾼 ‘자율트랙터’의 정체는
[D리포트] 비닐하우스 41도…사망자 속출에 농촌 '비상'
대통령·총리 폭염 ‘총력 대응’···현장 중심 민관협력 신속대응팀 구성 지시
고령자·농가 많은 경북, 온열질환 피해 1위
“인구 절벽 막는다”···전북, 2026년 ‘농촌기본소득’ 시동
주민이 직접 귀농·귀촌인 유치한다
귀촌 늘고, 귀농 줄고…작년 귀농 1위는 경북 1948명
송미령 농식품부, “새정부 철학 맞게 농정 재설계” 농정 대전환 TF 발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