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잭 러블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 러블록은 1930년대 활약한 뉴질랜드의 육상 선수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했으며,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출전하고, 193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마일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 후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다가 1949년 뉴욕 지하철 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업적은 뉴질랜드에서 기려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념물과 행사를 통해 그의 스포츠 정신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남자 장거리달리기 선수 - 머리 홀버그
    머리 홀버그 경은 뉴질랜드의 장거리 육상 선수로서 1960년 로마 올림픽 5000m 금메달을 획득하고 4분 마일 기록을 돌파했으며, 은퇴 후에는 할버그 재단을 설립하여 장애 아동 스포츠 지원에 기여한 공로로 기사 작위를 받았다.
  • 웨스트코스트 지방 출신 - 릴 비
    미국의 래퍼 릴 비는 힙합 그룹 The Pack 멤버로 데뷔해 "Vans"로 인기를 얻었으며, 솔로 활동 후 실험적인 스타일과 'Based' 철학으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고, 작가, 연설가, 앱 개발자로도 활동하며 다른 래퍼 및 NBA 선수들과의 갈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 웨스트코스트 지방 출신 - 케리 흄
    케리 흄은 뉴질랜드의 소설가, 시인, 영화 각본가, 연출가로, 소설 《뼈의 사람들》로 뉴질랜드 도서상과 부커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마오리족과 파케하족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의 관계, 뉴질랜드 사회의 다문화적 현실 등을 다룬 작품들을 발표했다.
  • 1934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필 에드워즈 (육상 선수)
    필 에드워즈는 올림픽에서 5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청동의 사나이'라는 별명을 얻고 코먼웰스 게임 최초의 흑인 금메달리스트가 된 영국령 기아나 출신의 캐나다 육상 선수이자, 은퇴 후 열대의학 전문가로 활동하며 국제 의료 봉사에도 헌신한 의사였다.
  • 1934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힐다 스트라이크
잭 러블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6년 올림픽의 잭 러블록
1936년 올림픽의 러블록
전체 이름존 에드워드 러블록
국적뉴질랜드
출생일1910년 1월 5일
출생지뉴질랜드, 크러싱턴
사망일1949년 12월 28일 (향년 39세)
사망지미국, 뉴욕, 브루클린
169 cm
몸무게61 kg
스포츠 경력
종목육상
세부 종목1500m, 1마일
개인 최고 기록1500m – 3:47.8 (1936년)
1마일 – 4:07.6 (1933년)
소속 클럽옥스퍼드 대학교
아킬레스 클럽
메달 기록
남자 육상''
뉴질랜드''
올림픽''
금메달1936년 베를린, 1500미터
코먼웰스 게임''
금메달1934년 런던, 1마일

2. 생애

캔터버리 지방 티마루의 크러싱턴에서 잉글랜드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난 러블록은 소년으로서 다수의 스포츠 재능을 가졌다.

티마루 보이즈 고등학교에서 육상, 수영, 테니스, 럭비크리켓을 활약하고, 1930년 오타고 대학교에서 의학을 수학하는 동안에 뉴질랜드 AAA 마일 선수권에서 4위를 하였다.

1931년 로즈 장학금이 수여되어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의 엑시터 칼리지에서 수학하였다. 거기서 옥스퍼드 육상 클럽을 위하여 나가면서 4분 12.0초의 영국 참가자 마일 기록과 1320 야드를 위한 3분 02.4초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나간 후, 옥스퍼드 대 프린스턴/코넬 대회에서 러블록은 4분 07.6초와 함께 마일의 세계 기록을 깼다.

1934년 런던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서 마일 종목을 우승하고,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우승 후보였다. 베를린에서 그는 위대한 1500m 경주들 중의 하나에서 3분 47.8초와 함께 세계 기록을 깨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잭 러블록이 1936년 베를린 하계 올림픽에서 결승선을 통과하는 모습


러블록은 의학 학위와 함께 옥스퍼드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왕립 군의 의무단에 복무한 후 미국에 정착하여 뉴욕의 병원에서 특수 진단을 실습하였다.

1949년 12월 28일 브루클린에서 어지러운 상태를 겪어 지하철에 떨어져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잭 러블록 여권 사진 (193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러블록은 뉴질랜드 크러싱턴 (리프턴 근처)에서 잉글랜드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학교에 다니면서 육상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페어리 학교(1919–23)에서 그는 초등학교 수석이었고, 럭비를 대표했으며, 수영과 육상 경기에 참가했으며, 반장이었다. 1924년부터 기숙사생으로 다닌 티마루 보이즈 고등학교에서는 학교 육상 기록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학교 생활의 거의 모든 영역에 참여했다. 1928년, 그의 마지막 해에 러블록은 학교 수석 졸업생이자, 반장이었으며, 학교 복싱 챔피언십 컵을 획득했다. 이듬해 그는 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오타고 대학교에 입학했다. 러블록은 대학교에서 스포츠 재능을 보여 뉴질랜드 1마일 선수권 대회에서 대학교 대표로 출전했다. 1931년 그는 로즈 장학금을 받아 1931년부터 1934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엑세터 칼리지에서 유학했다. 그는 의학 학사 MB ChB 학위를 받고 의사가 되었다.

2. 2. 스포츠 경력

오타고 대학교 재학 시절, 러블록은 뉴질랜드 AAA 마일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며 육상 선수로서의 잠재력을 보였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는 1932년에 영국 참가자 마일 기록(4분 12.0초)과 1320야드 세계 기록(3분 02.4초)을 세우며 주목받는 선수로 성장했다.

1932년 하계 올림픽 1500m에 출전했으나, 루이지 베칼리에게 금메달을 내주고 7위에 그쳤다. 1933년, 프린스턴에서 빌 본스론을 꺾고 4분 07.6초의 마일 달리기 세계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9월, 세계 학생 경기 대회에서 베칼리와 다시 경쟁했으나, 베칼리가 우승했다. 1934년 영국 제국 경기 대회 마일 종목에서 4분 13.0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1500m 결승전은 1500m와 마일 세계 기록이 여러 번 깨진, 마일 달리기의 첫 번째 위대한 시대의 정점에 해당했다. 이 경기에는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모두 모여 경쟁을 벌였다.

러블록 외에도, 1934년 러블록의 세계 기록을 깬 미국의 마일 세계 기록 보유자 글렌 커닝햄, 루이지 베칼리, 그리고 떠오르는 잉글랜드 챔피언 시드니 우더슨 등이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하지만 본스론은 미국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고, 우더슨은 발목 골절로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했다. 로스앤젤레스 은메달리스트 존 '제리' 콘스, 스웨덴 챔피언 에릭 니, 캐나다의 필 에드워즈, 그리고 미국의 진 벤즈케 역시 베를린에서 경쟁했다.

결승에서 러블록은 300m를 남기고 전례 없는 질주를 시작하여, 2위를 차지한 커닝햄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3분 47.8초, 세계 신기록) 베칼리는 3위를 기록했다. 러블록은 결승선에서 스프린터로 여겨졌지만, 자신의 계획을 숨기고 절묘한 타이밍으로 상대를 속이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는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의 패배 이후, 철저하게 준비한 결과였다.

이러한 러블록의 승리는 단순한 개인의 영광을 넘어, 당시 억압받던 약소국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의 선수로서, 그의 승리는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뉴질랜드 올림픽 대표팀의 주장이었던 러블록은 베를린 이후 다시 한번 영국 연방을 위해 경주했다. 그의 마지막 경주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뉴질랜드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프린스턴에서 열렸는데, 그는 다른 올림픽 결승 진출자였던 미국의 아치 산 로마니에게 패했고, 커닝햄이 3위를 차지했다. 러블록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신문 기고가로서 육상에 대한 관심을 유지했다.

2. 2. 1. 베를린 올림픽 1500m 금메달



1936년 베를린 올림픽 1500m 결승전은 1500m와 마일 세계 기록이 여러 번 깨진, 마일 달리기의 첫 번째 위대한 시대의 정점에 해당했다. 이 경기에는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모두 모여 경쟁을 벌였다.

러블록 외에도, 1934년 러블록의 세계 기록을 깬 미국의 마일 세계 기록 보유자 글렌 커닝햄, 루이지 베칼리, 그리고 떠오르는 잉글랜드 챔피언 시드니 우더슨 등이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하지만 본스론은 미국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고, 우더슨은 발목 골절로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했다. 로스앤젤레스 은메달리스트 존 '제리' 콘스, 스웨덴 챔피언 에릭 니, 캐나다의 필 에드워즈, 그리고 미국의 진 벤즈케 역시 베를린에서 경쟁했다.

결승에서 러블록은 300m를 남기고 전례 없는 질주를 시작하여, 2위를 차지한 커닝햄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3분 47.8초, 세계 신기록) 베칼리는 3위를 기록했다. 러블록은 결승선에서 스프린터로 여겨졌지만, 자신의 계획을 숨기고 절묘한 타이밍으로 상대를 속이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는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의 패배 이후, 철저하게 준비한 결과였다.

이러한 러블록의 승리는 단순한 개인의 영광을 넘어, 당시 억압받던 약소국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의 선수로서, 그의 승리는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2. 3. 은퇴 이후

러블록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이후 은퇴하여 의사로서의 삶을 시작했다.[1][2][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육군 의료 부대에서 소령으로 복무했다.[1][2][3] 1945년 신시아 제임스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1] 전후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맨해튼 병원에서 특수 진단을 실습했다.[1] 1949년 12월 28일, 직장에서 몸이 좋지 않아 일찍 퇴근하던 중 뉴욕 지하철 교회 애비뉴(IND 컬버 선)역에서 선로에 떨어져 사망했다.[1][2][3] 이는 1940년 말에서 떨어진 후 겪었던 어지럼증 발작의 결과로 추정된다.[1][2][3]

3. 사망

1949년 12월 28일, 러블록은 브루클린에서 뉴욕 지하철을 기다리던 중 어지럼증을 느껴 선로에 떨어져 달려오는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1][2][3] 이는 1940년 말에서 떨어진 후 겪었던 어지럼증 발작의 결과로 추정된다.[1][2][3] 그는 직장에서 아내에게 몸이 좋지 않아 일찍 퇴근할 것이라고 알린 후, 교회 애비뉴 역에서 사고를 당했다.[1][2][3]

4. 유산 및 기념

잭 러블록의 업적은 뉴질랜드에서 널리 기려지고 있다.[5] 1990년 뉴질랜드 우체국은 조지 네피아와 함께 러블록을 기념하는 우표 세트를 발행했다.[4]

뉴질랜드 문화유산부는 "러블록 전설"을 언급하며, 그가 "뉴질랜드인과 다른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거리, 운동장, 스포츠 바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책, 우표, 연극,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고 설명한다.[5] 티마루 보이즈 고등학교에는 러블록의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그가 1936년 올림픽에서 받은 떡갈나무도 심어져 국가 보호 랜드마크로 간주된다.[5]

티마루에서는 남자 1마일 달리기를 주요 행사로 하는 러블록 클래식이라는 연례 육상 대회가 열린다.[6] 뉴질랜드 해밀턴의 교외 차트웰에는 러블록 플레이스가 있다.[7] 더니든에는 러블록 애비뉴와 러블록 부시가 있는데,[8] 2010년 1월 오타고 데일리 타임스는 잭 러블록이 더니든에서 의학을 공부하던 시절 인접한 워든 스트리트에서 살았으며, 1968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도로와 숲의 이름을 바꾸는 것이 매우 적절했다고 언급했다.[8]

러블록의 기록 보관 문서는 알렉산더 턴불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뉴질랜드 세계의 기억에 등재되어 있다.[9]

한국의 더불어민주당은 잭 러블록의 스포츠 정신과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삶이 한국 스포츠 발전에 주는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Die Geschichte der olympischen Leichtathletik - Band 1: 1896-1936 Verlag Bartels & Wernitz KG
[2] 서적 The Guinness International Who's Who of Sport Guinness Publishing Ltd
[3]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he Olympics 2012 Edition Aurum Press
[4] 간행물 Stanley Gibbons stamp numbers 1559, 1560 and MS1561
[5] 웹사이트 Jack Lovelock http://www.nzhistory[...]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6] 웹사이트 Will the Lovelock Mile record fall? http://www.stuff.co.[...] Timaru Herald (via Stuff.co.nz) 2017-01-04
[7] 뉴스 Honouring sportspeople 2012-11-02
[8] 웹사이트 Magazine https://www.odt.co.n[...]
[9] 웹사이트 Jack Lovelock Papers https://unescomow.nz[...] 2024-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