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영은 선사 시대부터 존재해 온 활동으로, 인류가 물에서 이동하고 생존하기 위해 발전시켜 왔다. 수영은 레크리에이션, 건강 증진, 스포츠, 생존, 직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크롤, 평영, 배영, 접영의 네 가지 주요 영법이 존재한다. 수영은 전신 근육 발달과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며, 부상 재활에도 사용되지만, 익사 위험이 존재하므로 안전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수영 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생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영 - 해수욕
    해수욕은 바닷물에서 수영하거나 몸을 담그는 활동으로, 17세기 유럽에서 건강을 위해 시작되어 철도 발달과 함께 대중화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6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여름철 오락으로 자리 잡았으나 최근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다.
  • 수영 - 이언 소프
    이언 소프는 22개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수영계의 전설적인 오스트레일리아 경영 선수로, 은퇴 후에는 방송, 사업, 자선 활동을 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수영
개요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남자 200m 자유형 경기에서 수영하는 선수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남자 200m 자유형 경기에서 수영하는 선수
기본 정보
정의물속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몸을 움직이는 행위
설명인간이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팔과 다리를 사용하여 몸을 움직이는 것
관련 스포츠수영 (스포츠)
역사
기원선사 시대부터 존재
초기 형태생존 수단, 사냥 및 어업과 관련된 활동으로 시작
초기 기록기원전 9000년경 리비아 사막 동굴에서 발견된 수영하는 사람들의 그림
고대 문명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수영은 군사 훈련 및 오락 활동으로 활용
19세기근대 스포츠로 발전, 수영 협회 설립 및 경쟁 규칙 형성
수영의 유형
영법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횡영
기타구조 수영
인명 구조 수영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수구
교육 및 훈련
교육 목적물에 대한 적응력 향상 및 안전 확보
교육 방법유아 수영
초급 수영
고급 수영
선수 훈련
교육 기관학교
수영 클럽
개인 강습
생리학
운동 효과전신 근육 운동
심폐 지구력 강화
유연성 향상
스트레스 해소
호흡법수영 중 효율적인 호흡법은 매우 중요함
에너지 소모수영은 칼로리 소모량이 높은 운동
기타 정보
안전수영장 안전 규칙 준수
안전 요원 배치
구조 장비 사용
수영 능력 이상의 활동 자제
수영의 중요성건강 증진
레저 활동
생존 기술
스포츠 활동
세계적 참여
참여 수준많은 국가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
주요 국가미국, 영국, 호주, 일본, 중국
국제 대회올림픽,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등

2. 역사

수영은 선사 시대부터 기록된 매우 오래된 활동으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7,000년 전 석기 시대의 동굴 벽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4] 고대 문명에서도 수영은 중요한 활동이었으며, 길가메시 서사시,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성경 등 여러 고대 문헌에 수영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84][10]

경기 수영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1896년 제1회 근대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84] 한국에서는 1916년 수영 강습회가 열린 것을 시작으로 수영이 보급되었고, 1929년에는 제1회 전조선수영대회가 개최되었다.[84] 이후 1970년 아시안 게임에서 조오련 선수가 금메달 2개를 획득하는 등 아시아 무대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왔다.[84]

2. 1. 세계의 수영 역사

티무르 제국(Timurid dynasty) 정복자 바부르(Babur)의 군대가 강을 헤엄쳐 건너는 모습.


수영은 선사 시대부터 행해졌으며, 가장 오래된 증거는 약 7,000년 전 석기 시대의 동굴 벽화에서 발견된다.[84] 문자로 기록된 것은 기원전 2000년경부터 나타나는데, 길가메시 서사시, 호메로스일리아스오디세이아, 성경(에스겔 47:5, 사도행전 27:42, 이사야 25:11), 베오울프 등 여러 고대 문헌에서 수영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84][10]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시대에는 수영이 신체 단련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으며, 글을 읽는 능력과 함께 수영 능력이 교양인의 기본 조건으로 간주되기도 했다.[44] 아시리아 왕국 유적에서 발굴된 부조에는 병사들이 강을 헤엄쳐 건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44]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문서(기원전 2000년), 아시리아 님루드에서 출토된 병사 그림(기원전 9세기), 고대 중국의 장자, 렬자, 회남자 등에서도 수영 관련 기록이 발견된다.[44] 기원전 450년경, 역사가 헤로도토스다리우스 1세의 조카 마르도니우스가 이끈 해상 원정의 실패를 기록하며 "...헤엄칠 줄 모르는 자들은 그 때문에, 다른 자들은 추위 때문에 죽었다"고 썼다.[10] 로마 시대에는 저지대에 살던 해안 부족들이 뛰어난 수영 실력으로 알려졌다. 특히 바타비족은 완전 무장 상태로 대열을 유지하며 라인강을 건널 수 있었다고 타키투스는 기록했다.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는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가 켈트족과의 메드웨이 전투에서 바타비족을 활용한 기습 전술을 묘사하기도 했다.[11] 서기 500년경 편찬된 유대 율법서 탈무드에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수영을 가르쳐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12]

중세까지의 수영은 주로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한 개헤엄이나 평영의 초기 형태와 비슷했다.[44] 1538년, 스위스-독일어 교수 니콜라우스 빈만(Nikolaus Wynmann)은 수영 기술에 관한 최초의 전문 서적인 Colymbetes, sive de arte natandi dialogus et festivus et iucundus lectu|콜림베테스, 시베 데 아르테 나탄디 디알로구스 에트 페스티부스 에트 유쿤두스 렉투la("수영 선수, 또는 수영 기술에 대한 대화, 읽기에 즐겁고 유쾌함")를 저술했다.[13][10]

경기 수영은 1800년경 유럽, 특히 영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평영을 사용했는데, 현재의 평영 팔 동작과 접영 다리 동작(돌핀킥)이 결합된 형태였다.[14][44] 19세기에 들어 스포츠의 근대화와 함께 더 빨리 헤엄치기 위한 영법 개발이 이루어졌다. 양손으로 동시에 물을 젓고 양발을 벌렸다가 모으면서 추진력을 얻는 현재의 평영(웨지킥)이 완성되었다.[44] 1837년에는 영국에서 최초의 공식 수영 대회가 열렸고,[46] 1873년 존 아서 트러드겐(John Arthur Trudgen)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영법을 변형한 트러드겐 영법을 서양 수영계에 소개했다.[14] 1875년 매슈 웹이 인류 최초로 도버 해협을 헤엄쳐 건너는 데 성공하면서 수영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47]

수영은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근대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84] 여성의 수영 참여는 20세기에 들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부터 여자 수영 종목이 포함되었다.[48] 접영은 1930년대에 평영에서 파생되어 개발되었고, 1953년에 이르러 별도의 영법으로 공식 인정받았다.[15]

2. 2. 한국의 수영 역사

한국에서는 1916년에 처음으로 수영 강습회가 열렸으며, 일제강점기였던 1929년에는 제1회 전조선수영대회가 개최되었다. 1970년 제6회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조오련 선수가 자유형 400m와 1500m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며 '아시아의 물개'라는 별명을 얻는 등 한국 수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이후 한국 수영은 세계 무대에서는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아시아 무대에서는 일본, 중국에 이어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해 왔다.[84]

아시안 게임에서의 주요 메달 획득 기록은 다음과 같다.


3. 목적

사람들이 수영을 하는 이유는 레크리에이션 활동부터 직업이나 다른 활동의 필수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단순히 즐거움을 얻거나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수영을 하기도 하고, 건강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운동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심혈관근육 부상과 같은 문제 발생 시 재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영은 생존 기술로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해난사고나 물에 빠졌을 때 자신을 보호하고 타인을 구조하는 데 필수적이다. 선박이 없거나 이용할 수 없을 때 강이나 바다를 건너는 이동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5][26]

수영 분야의 전문적인 기회는 경영 선수, 코치, 구조대원, 수중 치료사 등으로 다양하며, 해녀특수부대 요원처럼 특정 직업 수행을 위해 수영 능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안전 교육의 일환으로 수영 강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3. 1. 레크리에이션

사람들이 수영을 하는 이유는 레크리에이션 활동부터 직업이나 다른 활동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수영을 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수영은 특히 심혈관근육 부상과 같은 부상의 재활에도 사용될 수 있다.

1905년 일리노이주 시카고 링컨 공원의 어린이 수영장


수영복을 입고 편안하게 평영을 즐기는 여성.


많은 사람들이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수영을 하며, 수영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신체 활동 중 하나로 꾸준히 순위에 오른다. 레크리에이션 수영은 운동, 휴식 또는 재활에도 사용될 수 있다.[16] 물의 지지력과 충격 감소 효과는 달리기와 같은 활동을 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도 수영을 가능하게 한다. 수영은 가장 편안한 활동 중 하나이며, 물은 사람을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착의수영 훈련을 받는 미군 병사. 평상복을 입은 채로 물에 빠지거나 수영을 해야 할 때 생존하기 위한 훈련.


인류는 예로부터 즐거움을 위해, 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수영을 해왔다. 주로 여름철 바다나 강에서 사람들이 수영을 즐긴다. 또한, 다리가 없는 강을 건너야 할 때 배를 만들 시간이나 비용이 부족하다면 수영해서 건너기도 했다. 고대나 중세에도 전 세계적으로 군인들은 전쟁 시 무기를 착용한 채 강을 헤엄쳐 건너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낙수 사고나 전복 사고(해난사고)를 당했을 때, 수면에 떠서 살아남기 위한 수영 능력은 생사와 직결된다. 예를 들어 어부는 종종 수영을 익힌다. 집단 어업 중에는 각자 자신의 일에 집중하느라 동료의 상황까지 신경 쓰기 어려워 어부의 낙수가 간과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익사를 피하기 위해 수영을 배운다. 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영이나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수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영은 전신의 근육과 종합적인 신체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운동이며, 수압에 의한 마사지 효과로 전신의 혈행이 촉진되어 건강 유지에 효과적이다. 수영은 물속에서 이루어지므로 부력 덕분에 하지무릎관절에 부담이 적다. 따라서 이러한 부위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위한 유산소 운동으로 우수하며, 재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된다.[41] 열사병 위험이 낮아 더운 날에 적합한 운동으로 선택되기도 하지만,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영 중에도 미리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2]

경기로서의 수영은 경영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강, 연못, 호수, 바다 등의 수면을 로프 등으로 구획하여 간이 코스를 만들어 경기를 치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점차 인공적인 수영장에서의 경기가 보급되었다. 처음에는 수영장에 지붕이 없었지만, 야외의 먼지나 낙엽 등으로 인한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실내 수영장이 보급되었고, 수온 조절도 가능해졌다. 현재 대부분의 수영 경기는 실내 수영장에서 열린다. 한편, 수영장이 아닌 바다나 호수 등 자연 수면(오픈워터)에서 장거리를 수영하는 경기는 "오픈워터 수영"이나 트라이애슬론의 수영 종목이다.

수영은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프로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도 레크리에이션으로, 또 건강을 목적으로 수영을 즐기고 있다. 스스로 하는 운동으로서의 수영은 특히 시설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 인기가 높다.[72] 일본에서도 수영 인구가 많아, 2012년 조사에서는 1년 이내에 수영을 한 사람 수가 1,200만 명에 달하며, 걷기볼링에 이어 실시 인구가 많았다.[43]

싱가포르에서는 대부분의 수영 학교가 싱가포르 체육위원회(Singapore Sports Council)의 지원을 받아 2010년 7월 싱가포르 국가 수상 안전 위원회(Singapore National Water Safety Council)가 도입한 "수영 안전 계획"을 가르친다. 이 계획은 어린이들에게 수영 방법과 물속에서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어린이들은 수상 안전 일반, 수영장 이용 방법, 물속에서 앞뒤로 이동하는 방법 등을 배우며, "수영 안전 단계 3: 개인 수상 생존 및 자유형 발전 기술"에서는 물속 생존법과 다양한 구조 기술을 배우고 100m를 수영한다. 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수영 안전 골든: 고급 개인 수상 생존 및 수영 기술 숙련"이다.

3. 2. 건강

수영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장시간 운동 시 지속적인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17] 단, 근육이 무산소적으로 작용하는 단거리 스프린트는 예외이다. 수영은 전신의 근육을 긴장시키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18] 종합적인 신체 능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다. 규칙적인 수영은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되고 건강한 체중 유지에 기여한다. 또한 수압에 의한 마사지 효과로 전신의 혈행이 촉진되어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

2012년 해병대 시합에서 연습 중인 부상 전사 출신 척 스케치. 수영은 부상 재활에도 활용된다.


수영은 물속에서 이루어지므로 부력 덕분에 하지무릎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다. 이 때문에 관절염 환자가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고 관절을 운동할 수 있으며,[19] 관절 질환이나 부상이 있는 사람들에게 종종 권장된다. 특히 심혈관 및 근육 손상과 같은 부상의 재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된다.[41] 다만, 관절염이 있는 경우 부적절한 기술로 배영을 하면 무릎 통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9]

물속 운동은 노년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장애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폐경 후 여성의 골 건강을 개선하거나 유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23] 수영은 충격이 적어 부상 위험이 매우 낮기 때문에 노년층에게 이상적인 운동으로 꼽힌다. 물속 운동은 모든 근육 그룹을 단련하여 노인에게 흔한 근감소증과 같은 질환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되며, 관절염 통증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유산소 운동처럼 수영은 스트레스의 해로운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심혈관 질환 및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개선하고, 임산부와 산모의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은 기분을 좋게 하는 효과도 있다.[20] 열사병 위험이 낮아 더운 날에 적합한 운동으로 여겨지지만,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영 중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가 권장된다.[42]

그러나 수영은 골밀도 개선에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수영의 저강도 특성 때문에 연구에 따르면 골량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 청소년 운동 선수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21]

2010년부터 미국 내 수영장은 미국 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에 따라 장애인 수영 이용자에게 접근 가능해야 한다.[22]

3. 3. 스포츠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서 열린 남자 4 × 100m 계주 경기 시작


수영 경기는 주로 참가자들이 정해진 시간 안에 특정 거리를 가장 빨리 헤엄쳐서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경쟁 수준에 따라 선수들은 다양한 거리를 헤엄친다. 예를 들어 수영은 1896년부터 올림픽 종목이었으며, 현재 프로그램에는 네 가지 주요 영법과 혼영을 포함하여 50m에서 1500m까지의 경기가 포함된다. 시즌 중 경쟁 수영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지구력과 힘을 향상시키고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여러 번, 일주일에 여러 번 훈련한다. 또한 훈련 주기가 끝나면 선수들은 경기 시즌을 대비하여 강도를 줄이는 테이퍼 단계를 거치는데, 이 기간에는 파워와 물살 감각에 중점을 둔다.

이 스포츠는 국제적으로 국제수영연맹에 의해 규정되었다. 2022년 12월 FINA는 세계 수영 연맹으로 브랜드를 변경했다. 세계 수영 연맹은 국제 대회를 위해 25m와 50m 풀의 경기를 인정한다. 미국에서는 특히 대학 수준에서 25야드 길이의 풀이 경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수영 및 수상 관련 스포츠 종목에는 장거리 수영, 다이빙, 아티스틱 수영, 수구, 트라이애슬론, 그리고 근대5종이 있다.

경기로서의 수영을 경영이라고 한다. 초기에는 강, 연못, 호수, 바다 등의 수면을 로프 등으로 구획하여 간이 코스를 만들어 경기를 치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점차 인공적인 수영장에서의 경기가 보급되었다. 처음에는 수영장에 지붕이 없었으나, 야외의 먼지나 낙엽 등에 의한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실내 수영장이 보급되었고, 수온도 조절되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수영 경기 대회는 실내 수영장에서 열린다. 한편, 수영장이 아닌 바다나 호수 등 자연 수면(오픈워터)에서 장거리를 수영하는 경기는 오픈워터 수영이나 트라이애슬론의 수영 부문이다.

수영은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프로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도 레크리에이션으로, 또 건강을 목적으로 수영을 즐기고 있다. 스스로 하는 운동으로서의 수영은 특히 시설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 인기가 높다. 반대로, 개발도상국의 대부분에서는 수영장을 건설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 경기 환경이 갖춰지지 않아 경기 수영을 하는 사람 수가 늘기 어렵다. 일본에서도 수영을 하는 사람이 많고, 2012년 조사에서는 일본에서 1년 이내에 수영을 한 사람 수가 1200만 명에 달하며, 걷기와 볼링에 이어 실시 인구가 많았다.[43]

3. 4. 생존



인류는 예로부터 생존을 위해 수영 기술을 사용해왔다. 다리가 없는 강을 건너야 할 때 배를 만들 시간이나 여유가 없다면 직접 헤엄쳐 건너는 것이 유일한 방법일 수 있다. 고대나 중세 시대의 군인들은 전쟁 중에 무기를 착용한 채 강을 헤엄쳐 건너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물에 빠지는 사고(낙수)나 배가 뒤집히는 전복 사고(해난사고)를 당했을 때, 수영 능력은 생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물 위에 떠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스스로 헤엄쳐 나오는 능력은 생존에 직결된다. 예를 들어, 어부들은 바다에서 일하는 특성상 낙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집단 조업 중에는 동료의 사고를 즉시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어, 스스로 익사하지 않기 위해 수영을 익히는 경우가 많다.

현대 사회에서도 자신의 몸을 지키거나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영 교육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평상복을 입은 상태로 물에 빠졌을 때를 대비한 착의수영 훈련은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실제로 다른 이동 수단이 없을 때 짧은 거리를 헤엄쳐 이동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 발트 해를 헤엄쳐 탈출한 난민들의 사례[25]나, 침몰하는 배에서 뛰어내려 해안까지 헤엄쳐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26]는 수영이 극한 상황에서 생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5. 직업

수영은 단순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넘어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요구되거나, 직업 활동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전문적인 수영 관련 직업으로는 경영 선수, 코치, 구조대원, 수상 구조사, 수중 치료사 등이 있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선수들은 전문적으로 올림픽과 같은 국제 대회에 출전하여 명성을 얻기도 하며, 기업의 후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아쿠아틱 발레 공연처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일부 직업은 작업 환경 자체가 물속이어서 수영 능력이 필수적이다. 한국의 해녀나 진주 채취 어민, 잠수총을 이용한 사냥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어부 역시 해난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생존 기술로서 수영을 익히는 경우가 많다.

수영은 인명 구조 활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전 세계의 많은 수영장과 해변에는 물에 빠진 사람이나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구조대원이나 자원봉사 수상 구조사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구조 수영 선수와 마찬가지로 구조 목적에 특화된 수영 영법을 사용한다.

과학 연구 분야에서도 수영이 활용된다. 해양 생물학자들은 자연 서식지에서 식물과 동물을 관찰하기 위해 수영하며, 동물 행동학자인 콘라드 로렌츠는 거위와 함께 수영하며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기도 했다.

군사적인 목적에서도 수영은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네이비 실이나 미 육군 특수 부대와 같은 특수부대는 수영을 통해 특정 위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수집하거나, 파괴 행위, 전투 임무를 수행하고 철수한다. 공중에서 물로 침투하거나 잠수한 잠수함에서 탈출하는 상황에서도 수영 능력이 요구된다. 미국 해군, 해병대, 해안 경비대 등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군대의 모든 신병은 기본적인 수영 또는 수상 생존 훈련을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수영은 부상, 특히 심혈관 및 근육 손상 재활에도 사용될 수 있다.[41]

4. 기법

호수에서 수영을 즐기는 아이들.


수영은 다양한 스타일, 즉 '영법'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이러한 영법은 경영과 같은 경쟁 수영에서 종목을 구분하거나, 레크리에이션, 인명 구조, 훈련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사용된다. 반드시 정해진 영법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영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네 발 달린 동물이 헤엄치는 방식과 유사하게 팔다리를 움직이는 '개헤엄'을 사용하기도 한다.[65]

경영에서는 주로 다음 네 가지 영법이 공식적으로 사용된다.[63]

이 외에도 경쟁 목적이 아닌 수영에서는 다른 영법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측영은 과거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인명 구조나 레크리에이션 수영에 활용된다.[67] 또한, 일본 영법처럼 특정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계승되어 온 전통적인 영법들도 존재한다.[63][64]

훈련, 학교 수업, 구조 활동 등 특별한 목적을 위해 기존 영법을 변형하기도 한다. 특정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팔이나 다리만 사용하거나,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람을 위해 영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대의 주요 영법들은 역사적으로 발전해왔다. 유럽에서는 오랫동안 평영이 주류였으나,[67] 19세기 아서 트루전이 팔을 물 위로 교차하는 트러전 영법을 도입하고,[68][64] 20세기 초 호주에서 발차기가 결합되어 크롤이 완성되는 등[69] 점진적인 기술 개발과 도입을 통해 현재의 영법들이 정립되었다. 접영은 비교적 최근인 1930년대에 평영에서 파생되어 개발되었고 1952년에 독립된 영법으로 인정받았다.[71][72]

4. 1. 주요 영법

수영은 다양한 스타일, 즉 '영법'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물속에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정해진 영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수영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네 발 달린 동물이 헤엄치는 방식과 유사하게 팔다리를 움직이는 '개헤엄'을 사용하기도 한다.[65]

경기 수영이나 레크리에이션 수영에서는 주로 네 가지 영법이 사용된다: 자유형(일반적으로 크롤), 평영, 배영, 접영.[44][63] 이 영법들은 역사적으로 발전해왔다. 크롤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영법으로 추정되지만,[66] 근대 서양에서는 평영이 주된 영법이었다.[67] 유럽의 수영 경기는 1800년경 주로 평영으로 시작되었다. 1873년 영국의 아서 트루전이 팔을 물 밖으로 빼는 기술을 도입한 트러전 영법을 선보였고,[68][64] 1902년 호주의 딕 캐빌이 여기에 발차기(플러터킥)를 결합하여 현재의 크롤 영법이 완성되었다.[69] 배영은 15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나, 팔 동작과 발차기가 현대적으로 개선되어 1912년에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70] 접영은 평영에서 파생되어 1930년대에 개발되었고, 1952년에 별도의 영법으로 공식 인정받았다.[71][72] 접영은 배우기 어려운 영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전신 근육 발달에 효과적이고 칼로리 소모가 가장 많으며, 능숙해지면 두 번째로 빠른 영법이 될 수 있다.

경기 외적인 목적의 수영에서는 다른 영법들도 사용된다. 옆으로 누워 헤엄치기는 19세기 말에 한 팔씩 번갈아 물 위로 올리는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오늘날에도 인명 구조나 레크리에이션 수영에 사용된다.[67]

또한, 훈련, 학교 수업, 구조 등 특별한 목적을 위해 기존 영법을 변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신체 부위(팔 또는 다리)만 사용하여 운동 강도를 높이거나, 절단 장애가 있거나 마비가 있는 사람이 수영할 수 있도록 영법을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영법과 같이 각 지역의 독자적인 전통 영법도 존재하며, 때로는 이러한 전통 영법의 기술이 현대 영법에 도입되기도 한다.[63][64]

4. 2. 기타 영법

개헤엄. 많은 네 발 동물이 이 방법으로 헤엄친다. 사람의 경우에도 수영을 배운 적이 없는 사람이나 초보자는 순간적으로 본능적으로 이 수영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수영에는 크롤, 배영, 평영, 접영과 같은 주요 경쟁 영법 외에도 다양한 목적과 상황에 맞는 여러 영법이 존재한다. 물속에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정해진 영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은 네 발 동물이 헤엄치는 방식과 유사하게 팔다리를 움직이는 '개헤엄'을 사용하기도 한다.[65] 초심자가 본능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비경쟁 수영에서는 몇 가지 다른 영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측영이다. 19세기 말에는 한 팔을 먼저 물 위로 올리고 다음 다른 팔을 올리는 식으로 번갈아 움직이는 방식으로 발전했다.[67] 이 영법은 오늘날에도 인명 구조나 레크리에이션 수영에서 활용된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영법으로는 트레지언 스타일이 있다. 1873년 영국의 존 아서 트루젠이 서양 수영 대회에 도입한 이 영법은[68][64], 팔 넣기 기술을 경영에 처음으로 가져왔다. 다만 이때 발차기는 평영과 유사한 가위차기 방식이었다.[69]

또한 훈련, 학교 수업, 구조 활동 등 특별한 목적을 위해 기존 영법을 변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팔이나 다리만 사용하거나, 절단 장애인이나 마비 환자처럼 신체 일부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맞춰 영법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영법처럼 특정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전통 영법도 존재한다. 일본 영법은 주로 에도 시대에 무술의 일환으로 발생하고 전승된 기술들이다.[40] 단순히 헤엄치는 기술을 넘어 자기 수련의 의미를 가지며, 원양 수영이나 한중 수영 같은 전통 행사를 통해 계승되기도 한다. 일본 영법은 경기로도 치러지는데, 영법 기술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채점 경기, 무게를 지고 서서 헤엄치기로 지구력을 겨루는 지중 경기, 옆으로 누워 헤엄치는 경영 경기 등이 있다. 매년 일본 수영 연맹이 공인하는 13개 유파가 모여 일본 영법 대회를 개최한다.[40] 세계 각지의 전통 영법 중 일부 기술(남미 전통 영법의 팔 동작, 호주 전통 영법의 발차기 등)은 현대 경영 영법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64]

4. 3. 경기 규칙 (경영)

경영 경기의 스타트 장면.


경영은 정해진 거리를 특정 영법으로 헤엄쳐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다. 종목별 세부 거리와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경영 종목 및 거리
영법거리
자유형50m, 100m, 200m, 400m, 800m, 1500m
평영50m, 100m, 200m
접영50m, 100m, 200m
배영50m, 100m, 200m
개인혼영200m, 400m (접영 → 배영 → 평영 → 자유형 순서)
계영400m, 800m (4명 전원 자유형)
혼계영400m (4명이 각 100m씩 배영 → 평영 → 접영 → 자유형 순서)



경영 경기 중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실격 처리될 수 있다.[83]


  • 출발: 출발 신호 전에 부정 출발(플라잉)을 3회 이상 혼자서 하면 실격된다.
  • 코스: 배정된 자신의 코스(레인, 폭 2m)를 벗어나거나 다른 선수의 경기를 방해하면 실격된다.
  • 턴: 턴 지점에서는 반드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벽에 닿아야 한다.
  • 레인 배정: 예선 기록이 가장 빠른 선수가 가운데 레인을 배정받는다.
  • 영법: 각 영법별로 정해진 규칙(수영법, 턴 방식 등)을 지켜야 하며, 이를 어기면 실격된다.

5. 과학적 원리

수영은 물 속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다루는 활동으로, 여러 과학적 원리가 적용된다. 핵심 원리로는 물이 몸을 뜨게 하는 부력, 물 속에서 나아갈 때 방해가 되는 저항, 그리고 이 저항을 이겨내고 효율적으로 나아가기 위한 유체역학적 기술 등이 있다.

인체는 평균적으로 물보다 밀도가 약간 낮아 자연스럽게 물에 뜨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부력이라고 한다. 하지만 개인의 체성분, 폐 속 공기량 등에 따라 부력은 달라진다. 물 속에서 움직일 때는 물의 밀도와 점성 때문에 저항을 받게 된다. 수영 영법은 이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동시에, 몸이 받는 저항(항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따라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영하기 위해서는 유체역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몸의 자세나 팔다리 움직임을 통해 저항을 줄이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학적 원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5. 1. 부력

수영은 인체의 거의 중성 부력에 의존한다. 평균적으로 인체는 물에 비해 상대 밀도가 0.98로, 이로 인해 몸이 뜨게 된다. 그러나 부력은 신체 구성, 폐의 팽창 정도, 근육과 지방 함량, 무게중심 및 물의 염도에 따라 달라진다. 체지방이 많고 물의 염도가 높을수록 신체의 상대 밀도가 낮아지고 부력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무게중심이 낮고 근육량이 많은 남성은 부력을 유지하거나 뜨기가 더 어렵다. (수중 체중 측정 참고)

인체는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은 수영 중에 신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영은 달리기와 같은 육상 활동에 비해 "저충격"이다. 물의 밀도와 점도는 또한 물속을 이동하는 물체에 저항을 만든다. 수영 영법은 이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생성하지만, 이러한 저항은 신체에 항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유체역학은 더 빠르게 수영하기 위한 영법 기술에 중요하며, 더 빠르게 수영하거나 덜 지치려는 수영 선수는 물속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항력을 줄이려고 한다. 유체역학적으로 더 효율적이 되기 위해 수영 선수는 영법의 힘을 증가시키거나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저항 감소와 같은 효과를 얻으려면 힘은 3배 증가해야 한다.[7] 물의 저항을 줄여 효율적인 수영을 하려면 수평으로 물에 위치하고, 신체의 너비를 줄이기 위해 신체를 회전시키고, 파도 저항을 줄이기 위해 팔을 최대한 뻗어야 한다.[7]

5. 2. 저항

수영은 인체가 거의 중성 부력을 가지는 특성에 기반한다. 평균적으로 인체의 상대 밀도는 물에 비해 0.98 정도로, 이 때문에 몸이 물에 뜨게 된다. 하지만 실제 부력은 개인의 신체 구성, 폐에 들어있는 공기의 양, 근육과 지방의 비율, 무게 중심, 그리고 물의 염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체지방 비율이 높거나 물의 염도가 높을수록 부력은 커진다. 일반적으로 무게중심이 낮고 근육량이 많은 남성은 부력을 유지하거나 뜨기가 더 어렵다. (관련 정보: ''수중 체중 측정'')

인체는 물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물은 수영하는 동안 몸의 무게를 상당 부분 지탱해준다. 이 때문에 수영은 달리기와 같은 지상 운동에 비해 관절에 부담이 적은 "저충격" 운동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물의 높은 밀도와 점성은 물속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상당한 저항을 발생시킨다. 수영 영법은 이 저항을 이용하여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추진력을 만들지만, 동시에 몸 전체가 받는 저항, 즉 항력(drag)을 극복해야 한다.

따라서 더 빠르게 수영하거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체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영 선수는 물속에서 몸이 받는 항력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수영을 위해서는 추진력을 높이거나 저항을 줄여야 하는데,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저항을 줄이는 것보다 힘을 3배 더 키워야 한다.[7] 물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7]

  • 몸을 최대한 수평으로 유지한다.
  • 몸통을 회전시켜 물과 닿는 단면적을 줄인다.
  • 팔을 앞으로 최대한 길게 뻗어 파도 저항을 줄인다.

5. 3. 유체역학

수영은 인체의 거의 중성 부력에 의존한다. 평균적으로 인체는 물에 비해 상대 밀도가 0.98로, 이로 인해 몸이 뜨게 된다. 그러나 부력은 신체 구성, 폐의 팽창 정도, 근육과 지방 함량, 무게중심 및 물의 염도에 따라 달라진다. 체지방이 많고 물의 염도가 높을수록 신체의 상대 밀도가 낮아지고 부력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무게중심이 낮고 근육량이 많은 남성은 부력을 유지하거나 뜨기가 더 어렵다. 참고: ''수중 체중 측정''

인체는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은 수영 중에 신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영은 달리기와 같은 육상 활동에 비해 "저충격" 운동이다. 물의 밀도와 점도는 또한 물속을 이동하는 물체에 저항을 만든다. 수영 영법은 이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생성하지만, 이러한 저항은 신체에 항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유체역학은 더 빠르게 수영하기 위한 영법 기술에 중요하며, 더 빠르게 수영하거나 덜 지치려는 수영 선수는 물속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항력을 줄이려고 한다. 유체역학적으로 더 효율적이 되기 위해 수영 선수는 영법의 힘을 증가시키거나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저항 감소와 같은 효과를 얻으려면 힘은 3배 증가해야 한다.[7] 물의 저항을 줄여 효율적인 수영을 하려면 수평으로 물에 위치하고, 신체의 너비를 줄이기 위해 신체를 회전시키고, 파도 저항을 줄이기 위해 팔을 최대한 뻗어야 한다.[7]

6. 안전

수영 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위험으로는 익수가 있으며, 이는 수영 미숙이나 피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24] 이 외에도 물 속에서는 공황, 탈진, 저체온증, 탈수, 둔상 등 여러 위험 요소가 존재하며, 외골증이나 감염, 수생 생물과의 만남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이 있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구역에서 수영하며, 해류나 수중 장애물과 같은 잠재적 위험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친구와 함께 수영하고 기본적인 수상 안전 기술 및 응급 상황 대처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 대부분의 공공 수영 시설에서는 안전 장비를 갖추고 구조 인력의 감독을 요구한다.[28]

6. 1. 익사 방지

수영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영하는 사람이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이 있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구역에서 수영하며, 해류나 수중 장애물과 같은 잠재적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레저 활동인 수영의 주요 위험 중 하나는 익수이다. 익수는 수영으로 인한 피로부터 단순한 수영 미숙까지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에서는 평균 3,536건의 치명적인 우발적 익수 사고가 발생하여 하루 평균 약 10명이 사망했다.[24]

익수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공공 수영장, 워터파크, 호수 및 해변과 같은 수영 장소에는 종종 안전요원이 배치된다. 안전요원은 고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른 훈련을 받는다. 예를 들어, 해변 안전요원은 수영장 안전요원보다 더 엄격한 훈련을 받는다. 잘 알려진 수상 안전 훈련 기관으로는 북미 지역에서 안전요원을 훈련하는 데 특화된 [https://www.lifesavingsociety.com/home.aspx 미국 전국 수상 구조 협회(National Lifesaving Society)]와 캐나다 적십자사가 있다.

친구와 함께 수영하고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아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수상 안전 기술을 배우는 것은 모든 수준의 수영자에게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국가별 교육 외에도, 수상 스포츠의 대부분이 수영을 기본 기술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포츠의 레슨이나 강습에서는 수영 방법도 가르친다. 예를 들어 라이프세이빙, 서핑, 스쿠버다이빙, 핀수영은 기본 기술로 수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수영 방법에 대한 레슨이 이루어진다.

6. 2. 기타 위험 요소

수영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려면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이 있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구역에서 수영하며, 해류나 수중 장애물과 같은 잠재적 위험을 인지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레저 활동인 수영의 주요 위험 중 하나는 익수이다. 익수는 수영 중 피로부터 단순한 수영 미숙까지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에서는 연평균 3,536건의 치명적인 우발적 익수 사고가 발생하여 하루 평균 약 10명이 사망했다.[24]

익수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공공 수영장, 워터파크, 호수 및 해변과 같은 수영 장소에는 종종 안전요원이 배치된다. 안전요원은 근무 장소에 따라 다른 훈련을 받는데, 예를 들어 해변 안전요원은 수영장 안전요원보다 더 엄격한 훈련을 받기도 한다. 잘 알려진 수상 안전 훈련 기관으로는 북미 지역에서 안전요원을 훈련하는 데 특화된 미국 전국 수상 구조 협회(National Lifesaving Society)캐나다 적십자사가 있다.

친구와 함께 수영하고 응급 상황 대처법을 아는 등 기본적인 수상 안전 기술을 배우는 것은 모든 수준의 수영자에게 필수적이다.

물속에 사람이 있는 것 자체로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많은 위험이 따르며, 이는 직접 사망이나 익사 질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영은 레저 활동의 목표이기도 하지만, 사고 시 육지로 돌아가는 주요 수단이기도 하다.

기록된 대부분의 수중 사망 사고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 공황: 수영 경험이 부족하거나 수영을 못하는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정신적으로 압도되어 가라앉고 익사하는 경우이다. 때로는 얕은 물에서도 공황으로 인한 과호흡이 사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탈진: 수영하거나 물에 떠 있으려는 노력을 지속할 수 없게 되어 익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폐가 완전히 발달한 성인은 일반적으로 양성 또는 중립 부력을 가지므로, 침착하게 있으면 잔잔한 물에서 약간의 노력으로 뜰 수 있다. 반면 어린아이는 음의 부력을 가지므로 가라앉지 않으려면 계속 움직여야 한다.
  • 저체온증: 체온을 심하게 잃어 의식을 잃거나 심장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 탈수: 고장액 상태의 바닷물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발생한다. 드물게는 흡입한 바닷물이 폐에 거품을 만들어 호흡을 방해하는 염수 흡입 증후군으로 인해 신체 조절 능력을 잃거나, 익사하지 않고도 직접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저체온증과 탈수는 구명조끼를 착용했더라도 익사 없이 직접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 둔상: 빠르게 흐르는 홍수나 강물에서 입는 둔상은 즉각적인 사망이나 익사로 이어질 수 있다.


수영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외골증 (서퍼의 귀): 차가운 물이 귀에 자주 들어가거나 장시간 노출되어 외이도 뼈가 비정상적으로 자라 귀 통로가 좁아지는 증상이다.
  • 감염: 물을 매개로 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에 의한 감염.
  • 염소 흡입: (주로 수영장에서) 염소 가스를 흡입하는 경우.
  • 심장마비: 수영 중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트라이애슬론 참가자의 갑작스러운 사망 원인 중 가장 흔하며, 10만 명당 1~2명꼴로 발생한다.[27]
  • 수생 생물과의 위험한 만남:
  • * 쏘임: 바다이, 해파리, 일부 물고기, 조개껍질, 특정 산호 등에 쏘이는 경우.
  • * 찔림 또는 베임: 게, 바닷가재, 성게, 지중해담치, 가오리, 날치, 바닷새, 날카로운 파편 등에 찔리거나 베이는 경우.
  • * 출혈을 동반한 물림: 물고기, 해양 포유류, 해양 파충류에게 물리는 경우. 때로는 포식 행위로 인해 발생한다.
  • * 독성 물림: 바다뱀이나 특정 문어 종에게 물리는 경우.
  • * 감전: 전기뱀장어전기가오리로부터 감전되거나 가벼운 전기 충격을 받는 경우.


수영장 주변의 안전 장비는 중요하며,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주택 수영장에 대해 법적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28] 대부분의 수영 대회나 공공 수영장에서는 구조 기술에 능숙한 인력의 감독이 요구된다.

이러한 안전 교육 외에도, 대부분의 수상 스포츠는 수영을 기본 기술로 포함하므로 관련 강습에서 수영법을 함께 가르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라이프세이빙, 서핑, 스쿠버다이빙, 핀수영 등은 수영을 기본 기술로 하며, 각 종목에 맞는 수영 강습이 이루어진다.

7. 교육

인간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약 10개월까지 선천적인 수영 또는 잠수 반사 능력을 보인다.[9] 이 잠수 반응에는 무호흡, 반사성 서맥, 말초 혈관 수축 등이 포함되어, 물에 잠기면 아기는 본능적으로 숨을 참고 심박수를 늦추며 말초 부위로 가는 혈액 순환을 줄인다.[9] 이러한 유아의 본능적인 수영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지역에서는 생후 약 6개월부터 참여할 수 있는 수영 강습을 제공하며, 이는 근육 기억 형성과 조기 수영 능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과거에는 아이들이 4세가 되기 전까지는 스스로 수영하기 어렵다고 여겨졌으나,[29] 현재는 익사 사고 예방을 위해 유아 수영 강습이 권장되고 있다.[30] 여러 국가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 수영 교육을 포함시켜 아이들이 수영 기술과 물에서의 안전 수칙을 배우도록 하고 있다.

수영 강습은 주로 지방 자치 단체나 민간 레저 회사가 운영하는 수영장에서 제공되며, 많은 학교에서도 체육 교육 과정의 일부로 수영 강습을 포함시켜 학교 수영장이나 인근 공공 수영장을 이용한다. 다만,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등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아이가 4세까지는 수영 능력을 제대로 습득하기 위한 인지 능력을 갖추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교육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49]

7. 1. 한국의 수영 교육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

7. 2. 외국의 수영 교육

인간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약 10개월까지 선천적인 수영 또는 잠수 반사 능력을 보인다.[9] 다른 포유류에게서도 이 현상이 나타난다(포유류 잠수 반사 참조). 잠수 반응에는 무호흡, 반사성 서맥, 말초 혈관 수축이 포함된다. 즉, 물에 잠긴 아기는 본능적으로 숨을 참고 심박수를 늦추며, 손가락과 발가락 같은 말초 부위로 가는 혈액 순환을 줄인다.[9]

유아는 본능적인 수영 행동을 보이므로, 이러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규 교육이 권장된다. 많은 지역에서는 생후 약 6개월 된 아기를 위한 수영 강습을 제공하며, 이는 근육 기억 형성에 도움을 주고 어릴 때부터 능숙한 수영 능력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준다.

과거에는 아이들이 4세가 되기 전까지 스스로 수영할 수 없다고 여겨졌으나,[29] 현재는 익사 예방을 위해 유아 수영 강습이 권장되고 있다.[30]

여러 나라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 수영 교육을 포함하고 있다.

  • 북유럽: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에서는 5학년(11세), 에스토니아에서는 4학년 교육과정에 모든 어린이가 수영을 배우고 물가에서의 응급 상황 대처법을 배우도록 명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깊은 물에 빠져 머리가 물에 잠긴 후 200m를 수영해야 하며, 이 중 최소 50m는 배영으로 해야 한다. 스웨덴 학생의 약 95%가 수영을 할 줄 알지만, 익사는 여전히 어린이 사망 원인 중 세 번째로 흔하다. 스코틀랜드에서는 8~9세 학생이 수영 수업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STA(수영 교사 협회) 또는 ASA(아마추어 수영 협회)의 두 가지 방식의 제도에 따라 우수한 교육과정에는 수영 가능 거리에 대한 규정은 없다.
  • 베네룩스: 네덜란드벨기에에서는 정부 지원 하에 학교 수영(schoolzwemmen) 강습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영 강습을 제공하며,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평영을 뜻하는 네덜란드어 'schoolslag'는 '학교 영법'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수영이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이다. 아이들은 보통 CP/CE1/CE2/CM1(1~4학년) 동안 매년 한 학기씩 수영을 배운다.
  • 영국: 영국에서는 "Top-ups scheme" 제도를 통해 11세까지 수영을 못하는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매일 수영 강습을 제공한다. 초등학교 졸업 시 국가 교육과정 기준인 25m 수영을 달성하지 못한 어린이는 학기 중 2주 동안 매일 30분씩 강습을 받는다.[31]
  • 북미: 캐나다멕시코에서는 공립학교 교육과정에 수영을 포함시키자는 요구가 있었다.[32] 미국에는 유아가 물에 빠지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돕는 Infant Swimming Resource (ISR)[33] 프로그램이 있다. 아이들은 옷을 입었을 때와 입지 않았을 때 모두 물속에서 숨을 참고 뒤로 돌아 누워 뜨는 방법(숨 참고 뒤로 돌아 떠서 쉬며 숨쉬기)을 배운다. ISR은 아이들이 걷거나 기어가다 물에 빠지는 실제 상황을 가정하여 옷을 입고 구르는 방법을 가르친다.
  • 스위스: 스위스에서는 아기들이 다른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돕기 위한 아기 수영 강습이 인기가 있다. 경쟁 수영에서는 다른 영연방 국가들과 달리 수영 팀이 학교(고등학교, 대학교)가 아닌 도시나 지역과 연계된다. 수영 능력 테스트(Schwimmtests)는 기술별로 개별 평가하며, 여러 테스트 증명서를 그룹으로 묶는다. 기본 레벨 그룹에는 게(Krebs), 수달(Seepferd), 개구리(Frosch), 펭귄(Pinguin), 오징어(Tintenfisch), 악어(Krokodil), 북극곰(Eisbär) 7가지 테스트가 있다. 한편,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은 일반적으로 아이가 4세까지는 수영 능력을 습득하기 위한 인지 능력을 갖추지 못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다.[49]
  • 독일/오스트리아: 독일오스트리아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아동의 약 90%가 초보 수영자(Frühschwimmer) 자격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오스트리아 수난구조 작업 위원회(Arbeitsgemeinschaft Österreichisches Wasserrettungswesen)가 자격을 정했다. 다음 단계인 자유 수영자(Freischwimmer)는 15분간 자유형 수영, 1m 높이 다이빙, 수영 규칙 10개 항 숙지가 필요하다. 만능 수영자(Allroundswimmer)는 크롤과 배영 각 100m 메들리, 100m 자유형 2분 30초 미만 완주, 수평 잠영 10m, 2.5kg 추를 달고 2m 수직 잠수(물건 줍기), 배영 50m, 비슷한 체중의 사람과 함께하는 구조 수영 20m, 수영 규칙 10개 항 숙지가 요구된다. 독일에서는 수영 훈장(Schwimmabzeichen)이 초보, 동, 은, 금의 4단계로 나뉜다. 은 배지는 400m 자유형 12분 이내 완주, 2m 이상 수직 잠수(물건 줍기), 다이빙, 10m 수평 잠영 등이 필요하다. 인명 구조 자격증은 별도로 제정되어 있다.
  • 일본: 일본에서는 9년 의무교육 과정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수영 교육이 필수이며, "체육" 수업으로 진행된다(초등학교 저학년은 "물놀이").[51] 1960년대 이후 문부성의 보조금 지원으로 학교 수영장 설치가 확대되었다.[52] 여름방학 중 수영 지도를 하는 학교도 많다. 2012년 이후 학습지도요령은 초중학교 수업에서 다이빙 지도를 금지하고 있다. 학교나 지역에 따라 수난사고 대비를 위한 구명조끼 수영(착의수영)도 실시한다. 일본 수영법(日本泳法)이나 고식 수영법(古式泳法) 전승, 바다 장거리 수영(원영), 동계 수영(한중수영) 등을 교육이나 훈련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학교도 있다. 학교 주최 여행이나 자연 체험 활동 중 물놀이도 이루어진다. 자위대원이나 소방대원 등 특정 직업군은 일정 수준 이상의 수영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받는다.[53] 수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신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어릴 때부터 수영을 배우는 것이 효과적으로 여겨지며, 학교 외 수영 교습소 등에서 취미로 배우는 아이들이 많다(2015년 조사 37.9%).[54] 성인들도 수영 교습소, 피트니스 클럽, 공영 수영장 등에서 일상적으로 수영을 즐긴다.[55] 수영 교습소나 스포츠 클럽은 선수 육성에도 기여하지만, 지도 과정이나 레벨 인정 기준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학교에 설치된 25m 야외 수영장의 건설 비용은 대략 1억이다.[56][57][58] 수영장을 한 번 채우는 데 드는 상수도 요금은 약 27만이다. 학교 야외 수영장은 약 2만 8천 곳(2007년 기준)에 설치되어 있다.[59] 수영장이 없거나 기상 조건으로 수업 시간 확보가 어려우면 연중 이용 가능한 시설을 빌려 수업하기도 한다.[60] 최근에는 학생뿐 아니라 일반 시민도 이용 가능한 학교 내 수영장도 있다. 일본 적십자사는 물과 친숙해지고 사고를 예방하며 수영 기본과 자기 보호법, 구조법, 응급처치법 등을 배우는 강습을 실시하고 있다.[50] 구조원 I과 구조원 II 강습이 있다.[50]


많은 지역에서 수영 강습은 지방 자치 단체나 민간 레저 회사가 운영하는 수영장에서 제공된다. 많은 학교에서도 체육 교육 교육과정의 일부로 수영 강습을 포함시키며, 학교 자체 수영장이나 인근 공공 수영장을 이용한다.

8. 복장 및 장비

수영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수영복을 착용하며, 필요에 따라 웨트슈트나 다양한 보조 장비를 사용한다. 수영 장비에는 수경, 수영모, 킥판, 오리발 등이 있으며, 훈련이나 안전을 위해 사용된다.

8. 1. 수영복

보드 쇼츠, 남성용 캐주얼 수영복의 한 종류


일상복은 수영에 적합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위험할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수영할 때 수영복을 입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남성용 수영복은 일반적으로 반바지 또는 수영팬티와 비슷하다. 남성용 캐주얼 수영복(예: 보드 쇼츠)는 자머나 다이브스킨과 같은 경기용 수영복과 달리 몸에 달라붙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남성과 소년들은 상반신을 드러낸 채 수영하지만, 관습이나 법률로 공공장소에서 상반신 노출을 금지하거나, 자외선 차단과 같은 실용적인 이유로 상반신을 가리는 경우도 있다.

현대 여성용 수영복은 일반적으로 몸에 밀착되며, 음부유방을 가린다(비키니 참조). 여성용 수영복은 복부까지 가리는 경우도 있다. 여성용 수영복은 종종 패션을 표현하는 도구이며, 노출 수준은 종교적, 세속적 여러 집단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문화권마다 수영복에 대한 기준이 다르다. 무슬림 공동체에서는 여성들이 히잡을 변형한 수영복, 일명 부르키니를 착용하기도 한다.


경기용 수영복은 수영선수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현대 경기용 수영복은 몸에 달라붙고 가볍다. 각 성별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경기용 수영복이 있으며, 수구, 수영 경주, 다이빙, 조정과 같은 수상 경기에 사용된다.

웨트슈트는 열 절연과 부력을 모두 제공한다. 많은 수영 선수들은 다리에 부력이 부족한데, 웨트슈트는 낮은 밀도로 추가적인 부피를 제공하여 수영 시 부력과 자세를 향상시킨다. 또한 피부와 물 사이에 단열층을 만들어 열 손실을 줄인다. 웨트슈트는 오랫동안 차가운 물에서 수영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선택되는데, 저체온증의 위험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일부 사람들은 수영할 때 아무것도 입지 않기를 선택하기도 한다. 일부 유럽 국가의 공공 수영장에서는 알몸 수영을 허용하며, 많은 국가에는 알몸 수영을 할 수 있는 해변이 있다. 영국 해변에서는 바다에서 알몸 수영이 합법이다. 20세기 초까지 공공장소에서 남성이 알몸으로 수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오늘날 알몸 수영은 사회 규범에 대한 도전적인 행위이거나 단순히 개인의 선택일 수 있다.

8. 2. 기타 장비


  • 귀마개는 물이 귀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 코마개는 물이 코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하지만 경영 수영에서 코마개를 사용하면 불리할 수 있어 많은 경영 수영 선수들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코마개는 주로 아티스틱 스위밍과 레크리에이션 수영에 사용된다.
  • 수경은 염소 처리된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수중 시야를 개선한다. 색이 들어간 수경은 수영장 바닥에서 반사되는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수영모는 몸을 유선형으로 유지하고 염소 처리된 물로부터 머리카락을 보호하지만,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완전히 막아주지는 못한다.
  • 킥판은 하체 운동을 하는 동안 상체를 물에 뜨게 하는 데 사용된다.
  • 풀 부이는 상체 운동을 하는 동안 하체를 물에 뜨게 하는 데 사용된다.
  • 오리발은 킥 동작을 길게 하고 기술과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훈련 중에 사용된다. 오리발은 종아리 근육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오리발은 발보다 훨씬 크고 효율적으로 근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며, 강력한 다리 근육을 물속에서 추진력을 내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수영 교육, 학습 및 연습에서 오리발의 보조 도구로서의 가치는 오랫동안 인정받아 왔다. 미국에서는 1947년 초에 수영을 꺼리는 초보자들의 자신감을 키우기 위해 실험적으로 사용되었으며,[34] 1950년 YMCA 구조 및 수상 안전 매뉴얼에서는 수영 강사들에게 "오리발은 물 위에 뜨기, 표면 다이빙, 견인, 수중 탐색 및 지친 수영 선수를 지지하는 데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35] 1967년에는 자유형 교육에서 오리발 사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36] 1970년대에는 소위 "오리발-부력" 방법이 유럽에서 유행하여 초보자가 더 빠르고 안전하게 수영을 배우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37]
  • 핸드 패들은 팔 동작 중 물의 저항을 증가시켜 기술과 힘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 핑거 패들은 핸드 패들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지만, 크기가 작아 저항이 적다. 또한 수영 선수가 물을 잡는 동작인 '캐치'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스노클은 물속에서 좋은 머리 위치를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스노클은 물리 치료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 풀 누들은 물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물에 뜨도록 돕는 데 사용된다.
  • 안전 펜스 및 관련 장비는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주거용 수영장에 대해 공공 수영장 및 구역 설정 요건으로 의무화되어 있다.[38]
  • 수영 낙하산은 경쟁 훈련에서 사용되며, 물속에서 저항을 추가하여 선수가 스트로크 중심 동작의 힘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튜브(암튜브 포함)는 수영하는 사람이 부력을 얻도록 돕는 수영 보조 도구로, 착용자의 몸이 물에 뜨도록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조

[1] 논문 Swimming behavior of the human infant
[2] 서적 Worldwide Experiences and Trends in Sport for All https://books.google[...] Meyer & Meyer Verlag
[3] 간행물 Adult participation in sport http://www.culture.g[...]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11-08-01
[4] 뉴스 Swimming remains England's most popular sport despite free scheme setback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6-18
[5] 웹사이트 America's Swim Team http://usaswimming.o[...] USA Swimming
[6] 웹사이트 Swimming Lessons in Educational Curriculum Across the World http://aquamobileswi[...] Aquamobile 2015-04-04
[7] 서적 Total Immersion https://archive.org/[...] Fireside, New York
[8] 서적 Swimming Anatomy Human Kinetics
[9] 논문 Bradycardic response during submersion in infant swimming 2002-01-01
[10] 논문 Cold water immersion: kill or cure? https://researchport[...] 2017-11-01
[11] 웹사이트 Cassius Dio — Book 60 https://penelope.uch[...]
[12] 웹사이트 Kiddushin 29a https://www.sefaria.[...]
[13] 논문 Swimming and Aquatic Activities: State of the Art 2012-05-30
[14] 웹사이트 History of Swimming Ramona Aquatics http://ramonaaquatic[...] 2017-02-25
[15] 서적 Swim Speed Strokes for Swimmers and Triathletes: Master Freestyle, Butterfly, Breaststroke and Backstroke for Your Fastest Swimming https://books.google[...] VeloPress 2014-10-01
[16] 서적 Your Water Workout Broadway Books
[17] 서적 Aerobics https://books.google[...] Bantam Books
[18] 웹사이트 Swimming - health benefits https://www.betterhe[...] 2018-09-11
[19] 웹사이트 How to Fix and Prevent Breaststroker's Knee https://www.yourswim[...] 2019-11-16
[20] 웹사이트 CDC - Health Benefits of Water-based Exercise - Healthy Swimming & Recreational Water - Healthy Water https://www.cdc.gov/[...] 2015-10-01
[21] 논문 Impact of Futsal and Swimming Participation on Bone Health in Young Athletes https://content.scie[...] 2017-12-28
[22] 웹사이트 ADA Requirements: Accessible Pools Means of Entry and Exit https://www.ada.gov/[...] 2012-05-24
[23] 웹사이트 Health Benefits of Water-based Exercise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07-15
[24] 웹사이트 Unintentional Drowning: Get the Facts | Home and Recreational Safety | CDC Injury Center https://www.cdc.gov/[...] 2020-10-07
[25] 웹사이트 Top athlete escaped the GDR using his aquatic talents http://www.dw-world.[...] Dw-world.de
[26] 웹사이트 Chronology of Albanian Immigration to Italy http://ccat.sas.upen[...] Ccat.sas.upenn.edu
[27] 논문 Sudden Death During the Triathlon http://jama.jamanetw[...]
[28] 웹사이트 Division of Code Enforcement and Administration http://www.dos.ny.go[...] Dos.ny.gov 2006-12-14
[29] 논문 Swimming lessons for infants and toddlers http://www.cps.ca/en[...]
[30] 웹사이트 Drowning Happens Quickly– Learn How to Reduce Your Risk https://www.cdc.gov/[...]
[31] 뉴스 Children unable to swim at 11 are given top-up lessons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6-06-14
[32] 뉴스 Federal minister calls for school swim lessons http://www.ctv.ca/se[...] CTV 2005-07-18
[33] 웹사이트 Infant Swimming Resource site http://www.infantswi[...] Infantswim.com
[34] 논문 Motivating Swimming Beginners with Swim Fins
[35] 서적 Manual of Life Saving and Water Safety Instruction Association Press
[36] 간행물 Use of fins to teach the crawl kick to beginners and intermediate swimmers 1967-07
[37] 서적 Schwimmen lernen - schnell + sicher blv Verlagsgesellschaft 1974
[38] 웹사이트 Pool safety equipment overview https://web.archive.[...] Swimmingpool.com 2014-04-13
[39] 사전 広辞苑【水泳】
[40] 웹사이트 日本の伝統的な泳法 https://www.gov-onli[...] Public Relation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Japan 2022-03-22
[41]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42] 웹사이트 水泳の水分補給「熱中症、熱射病、日射病のHP」 http://www.heat.jp/w[...]
[43]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44] 웹사이트 水泳の歴史 http://100.yahoo.co.[...] 2022-09
[45]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46]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47]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48] 웹사이트 スポーツにおける女性の活躍 https://www.gender.g[...] 日本国内閣府男女共同参画局 2022-03-29
[49] 웹사이트 Swimming lessons save lives: What parents should know https://www.health.h[...] Harvard Health 2018-06-15
[50] 웹사이트 水上安全法 https://www.jrc.or.j[...]
[51]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52] 웹사이트 三 学校体育施設の充実 https://www.mext.go.[...] 学制百二十年史編集委員会 2022-01-23
[53] 웹사이트 水泳 https://www.mod.go.j[...]
[54]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55]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56] 웹사이트 参考資料① (17645kbyte) - 富山市 http://www.city.toya[...]
[57] 웹사이트 平成 26 年度 七ヶ浜中学校プール改築工事基本設計及び実施設計業務委託 実施設計仕様書 https://www.shichiga[...]
[58] 웹사이트 初の学校プール完成 | 大磯・二宮・中井 | タウンニュース http://www.townnews.[...]
[59] 웹사이트 体育・スポーツ施設現況調査の概要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60] 웹사이트 多摩区で水泳の授業に温水プール利用、天候に左右されず水道代削減も/川崎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
[61] 웹사이트 Drowning Happens Quickly– Learn How to Reduce Your Risk http://www.cdc.gov/f[...] 疾病予防管理センター 2014-08-18
[62] 웹사이트 Swimming Lessons Information from the Canadian Red Cross – Canadian Red Cross http://www.redcross.[...] カナダ赤十字 2016-06-12
[63]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64]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65]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66]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67]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68]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69] 서적 なぜ人間は泳ぐのか? 水泳を巡る歴史、現在、未来 太田出版 2013-04-30
[70]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71] 서적 泳ぐことの科学 NHKブックス 2008-01-30
[72] 서적 スポーツの世界地図 丸善出版 2012-05-30
[73] 웹사이트 水泳・水球 https://www.joc.or.j[...] 2022-03-22
[74] 웹사이트 水泳・アーティスティックスイミング https://www.joc.or.j[...] 2022-03-22
[75] 웹사이트 水泳・競泳 https://www.joc.or.j[...] 2022-03-22
[76]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77]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78] 서적 健康・スポーツ科学における運動処方としての水泳・水中運動 杏林書院 2016-09-20
[79] 뉴스 スラップスケートOKで高速水着禁止の過去…ナイキ厚底シューズは“技術ドーピング”なのか、それとも技術革新なのか? https://news.yahoo.c[...] THE PAGE 2022-03-29
[80] 글로벌2 수영의 개요
[81] 서적 Your Water Workout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2003
[82] 서적 Aerobics http://books.google.[...] Bantam Books 1983
[83] 글로벌2 경기 종류 및 규칙
[84] 글로벌2 수영의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