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기 분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 분해는 전기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1800년 윌리엄 니콜슨과 앤서니 카라일에 의해 물 분해 실험으로 처음 성공했다. 험프리 데이비는 전기 분해를 통해 칼륨, 나트륨, 칼슘 등 다양한 원소를 발견했으며, 마이클 패러데이는 전기 분해 법칙을 발견하여 전기화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전기 분해는 양극에서 산화 반응, 음극에서 환원 반응을 통해 진행되며, 전극 재질, 전압, 전해질 등에 따라 다양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수소와 산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알루미늄 생산을 위한 홀-에루 공정, 염소 및 수산화나트륨 생산을 위한 염소알칼리 공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최근에는 탄소-물 공동 전기 분해, 이산화탄소 전기분해 등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해 수소 생산 및 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분해 - 암흑 산소
    암흑 산소는 생물학적 과정 없이 생성되는 비생물적 암흑 산소 생성과 미생물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생물적 암흑 산소 생성으로 구분되며, 지구 시스템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전기 분해 -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은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극에 석출되거나 해리되는 물질의 양이 통과한 전하량에 비례하고, 직렬로 연결된 전해질에서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은 화학 당량에 정비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기 화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원리이다.
  • 전기화학 -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류 전기로 변환 후 교류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 간헐성, 환경적 영향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전기화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전기 분해
개요
정의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질 내에서 자발적이지 않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과정
응용 분야금속 제련
염소 생산
수산화 나트륨 생산
알루미늄 생산
구리 생산
전기 도금
전기분해 정련
전기분해 중합
상세 정보
전해질이온을 함유하여 전기를 전도하는 물질 (액체, 용액, 또는 이온성 화합물)
전극양극 (+):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음극 (-):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이온 이동양이온: 양극으로 이동
음이온: 음극으로 이동
산화 환원 반응산화: 전자를 잃는 반응 (양극에서 발생)
환원: 전자를 얻는 반응 (음극에서 발생)
에너지 변환전기 에너지 → 화학 에너지
관련 법칙
패러데이 전해 법칙전기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의 양은 통과하는 전하량에 비례함
제1 법칙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은 통과한 전기량에 비례함
제2 법칙동일한 전기량에 의해 석출되는 여러 원소의 질량비는 그들의 화학 당량비와 같음

2. 역사

알레산드로 볼타볼타 전지를 발명하면서 화학 반응에 전기를 이용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00년 윌리엄 니콜슨과 앤서니 카라일은 볼타 전지를 이용하여 물을 수소산소로 분해하는 실험에 최초로 성공하였다.[2]

험프리 데이비볼타 전지를 통해 얻은 전기를 이용하여, 1807년에 수산화칼륨의 전기 분해를 통해 칼륨을, 수산화나트륨의 전기 분해를 통해 나트륨을 분리해 냈다. 또한, 칼슘, 스트론튬, 바륨, 마그네슘도 같은 방법으로 발견하였다.[59]

마이클 패러데이는 험프리 데이비의 연구를 이어받아 전기 분해 연구를 계속하였고, 패러데이의 전기 분해 법칙을 발견하여 전기화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59]

이후에도 전기분해를 통해 여러 원소들이 발견되었는데,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연도발견자원소비고
1821윌리엄 토마스 브란데리튬산화 리튬 전기분해
1875폴 에밀 르코크 드 보아보드랑갈륨수산화 갈륨 전기분해[10]
1886앙리 무아상불소무수 불화 수소 전기분해[11]



1886년에는 찰스 마틴 홀과 폴 에루가 알루미늄 제련법인 홀-에루 공정을 개발하여 알루미늄 생산 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하였다.[15] 1890년에는 수산화나트륨 제조를 위한 캐스트너-켈러 공정이 개발되었다.

3. 원리

전기 분해는 직류전해질에 통과시켜 전극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고 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전기 분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해질, 전극, 직류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전해질은 자유 이온을 포함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이온 전도성 물질이다. 금속, 흑연, 반도체 전극 등이 사용되며, 전극은 전극 간 화학 반응, 전해질, 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 분해의 핵심 과정은 외부 회로를 통해 전자가 공급되거나 제거되면서 원자와 이온 사이에 전자가 전달되는 것이다. 전기 분해를 통해 생산하고자 하는 물질은 전해질과 다른 물리적 형태를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금물 전기 분해는 수소염소를 생산하는데, 생산물은 기체 형태이며 별도로 수집된다.

전해질에 잠긴 한 쌍의 전극에 전위가 가해지면, 각 전극은 반대 전하를 띠는 이온을 끌어당긴다. 양전하를 띤 이온은 전자를 공급하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전하를 띤 이온은 전자를 회수하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 반응에서 전자는 흡수되거나 방출된다. 중성 원자는 전자를 잃거나 얻으면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된다. 이온이 전자를 얻거나 잃으면 전하를 띠지 않는 원자가 되어 전해질에서 분리된다. Cu2+와 같은 양전하를 띤 금속 이온은 음극 표면에 Cu로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전기도금, 전해 채취, 전해 제련이라고 한다.

화학에서 전자를 잃는 경우를 산화, 전자를 얻는 경우를 환원이라고 한다. 전기 분해 과정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 및 시스템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론적으로는 0에 가까울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반응의 엔탈피 변화보다 많은 양의 전기가 공급되어 일부 에너지가 열 형태로 방출될 수 있다.

3. 1. 전극 반응

구분환원 전극 (음극, Cathode)산화 전극 (양극, Anode)
반응식2H2O(l) + 2e- → H2(g) + 2OH-(aq)H2O(l) → ½O2(g)+ 2H+(aq) + 2e-
발생하는 기체수소산소
주위의 액성OH-이 생성되므로 염기성 용액H+이 생성되므로 산성 용액



하지만 환원전극에서는 전해질의 음이온이 환원되고 산화전극에서는 양이온이 산화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환원 전극 주위의 액성은 염기성, 산화 전극은 산성 용액이 된다.[64]

이온 또는 중성 분자의 산화는 양극(Anode)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양극에서는 제1철 이온을 제2철 이온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21]

:Fe2+(aq) → Fe3+ (aq) + e

이온 및 중성 분자의 환원은 음극(Cathode)에서 일어난다. 음극에서는 페리시안 화합물을 페로시안 화합물로 환원시킬 수 있다.[21]

:Fe(CN)3- + e → Fe(CN)4-

중성 분자는 양극 또는 음극 모두에서 반응할 수 있다.

수소 이온(H+)은 용액의 산(acid) 뿐만 아니라 물과 메타놀과 같은 용매 자체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전기 분해 과정에서 수소 이온이 생성되는 경우는 산성 용액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며, 알칼리 용액에서는 수산화 이온(OH-)을 포함하는 반응이 빈번하게 일어난다.[21]

물과 같은 용매는 전극에서 산화와 환원이 일어난다. 기체확산전극을 사용하는 경우 기체를 활용한 전기 분해가 일어나기도 한다.

4. 종류

전기 분해의 핵심 과정은 전압에 의해 전자가 제거되거나 추가되면서 원자와 이온이 상호 교환되는 것이다.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된 물질은 원래의 전해질과 다른 물리적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체를 모으거나 침전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생성물의 양은 전류에 비례하며, 여러 개의 전해 전지가 직렬로 연결되었을 때 각 전지에서 생성되는 물질의 양은 당량에 비례한다. 이를 패러데이 전기 분해 법칙이라고 한다.

각 전극은 반대 전하를 띤 이온을 끌어당긴다. 양이온은 전자를 제공하는 음극으로, 음이온은 전자를 빼앗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전자는 음극에서 반응물로 도입되고 양극에서 생성물로 제거된다. 전자를 잃는 것을 산화, 얻는 것을 환원이라고 한다.

전극 표면의 중성 원자나 분자는 전자를 얻거나 잃어 이온이 된 후 전해질에 용해되어 다른 이온과 반응한다. 이온이 전자를 얻거나 잃어 중성이 되면 전해질에서 분리되는 화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Cu2+와 같은 양의 금속 이온은 음극에 층으로 쌓이는데, 이를 전기도금, 전해채취, 전해정련이라고 한다. 이온이 중성이 되지 않고 전자를 얻거나 잃으면 전자 전하가 변한다.

예를 들어, 식염수의 전기 분해는 수소와 염소 기체를 생성하며, 이 기체들은 전해질에서 기포 형태로 발생하여 수집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22]

:2 NaCl + 2 H2O → 2 NaOH + H2 + Cl2


  • 양극: 2 Cl → Cl2 + 2 e
  • 음극: 2 H2O + 2 e → H2 + 2 OH


음극에서 생성된 OH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전해질이 염기성을 띨수록, 수산화물과 반응하여 용액에서 Cl2가 적게 발생하고 양극에서 차아염소산염(ClO)이 생성된다.

:Cl2 + 2 NaOH → NaCl + NaClO + H2O

Cl2가 NaOH와 상호 작용할 기회가 많을수록, 용액 표면에서 Cl2 발생이 줄고 차아염소산염 생성이 빨라진다. 이는 용액 온도, Cl2 분자와 용액의 접촉 시간, NaOH 농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차아염소산염 농도가 증가하면 염소산염이 생성될 수 있다.

: 3 NaClO → NaClO3 + 2 NaCl

물의 자체 이온화 및 음극에서의 차아염소산염 분해와 같은 반응도 일어날 수 있으며, 후자의 속도는 확산 및 전해질과 접촉하는 음극 표면적 등에 영향을 받는다.[23]

맥동 전류는 직류와 다른 생성물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묽은 황산 수용액을 전기 분해할 때 양극에서 생성되는 오존과 산소의 비율을 높인다.[25] 에탄올을 맥동 전류로 전기 분해하면 주로 산 대신 알데히드가 생성된다.[26]

갈바니 전지전지는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차 전지가 충전될 때, 산화환원 반응이 역으로 일어나며 전해 전지로 간주될 수 있다.

4. 1. 수전해 (물 전기분해)

물의 전기 분해는 물에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는 친환경적인 수소 생산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물의 전기 분해는 수소와 산소를 각각 2:1의 비율로 생성한다.[43]

:2 H2O → 2 H2 + O2 ''E''° = +1.229 V

을 전기 분해할 때 +극과 -극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성질을 확인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64]을 조금 넣은 물에 전류를 흘려 준 후 생성 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물의 공유 결합이 끊어지면서 물은 수소와 산소로 전기 분해된다. 수전해는 수소 발생 반응(HER, 2H+ (aq) + 2e- → H2 (g))과 산소 발생 반응(OER, 2 H2O (l) → 4e- + 4H+ (aq)+ O2 (g))의 두 가지 반쪽 반응(half-reaction)으로 구성된다.

수전해는 알칼라인 수전해, 고분자 전해질막 전해(PEM) 수전해, 고체 산화물 수전해(SOEC) 등으로 구분된다.

;각 전극에서 일어나는 반응

구분환원 전극산화 전극
반응식2H2O(l) + 2e- → H2(g) + 2OH-(aq)H2O(l) → \frac {1} {2}O2(g)+ 2H+(aq) + 2e-
발생하는 기체수소산소
주위의 액성OH-이 생성되므로 염기성 용액H+이 생성되므로 산성 용액



환원 전극에서는 전해질의 음이온이 환원되고 산화 전극에서는 양이온이 산화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환원 전극 주위의 액성은 염기성, 산화 전극은 산성 용액이 된다.

; 전체 반응

:2H2O(''l'') → 2H2(''g'') + O2(''g'')

H2와 O2의 계수비가 2:1이므로 발생하는 수소:산소 기체의 부피비 = 2:1

물의 전기 분해 에너지 효율은 매우 다양하다. 전기 분해조의 효율은 수소에 포함된 엔탈피(산소 또는 다른 후속 반응과의 연소를 위해)와 입력 전기에너지를 비교한 척도이다. 수소의 열/엔탈피 값은 144 MJ/kg(40 kWh/kg)이다. 이 반응에서 일부 에너지는 열로 손실된다. 일부 보고서는 알칼리성 전기 분해조의 효율이 50%~70%(50 kWh/kg) 사이라고 언급하지만,[40] 고분자 전해질막 전해 및 촉매 기술을 사용하면 95%의 더 높은 실제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41][42]

미국 재생에너지 연구소는 2006년에 풍력 전기 분해를 통해 1kg의 수소(에너지 측면에서 약 3kg 또는 4리터의 석유와 거의 동등함)를 단기적으로는 5.55달러, 장기적으로는 2.27달러에 생산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43]

4. 2. 유기물 수전해

유기물 수전해(organic solution assisted water electrolysis)는 알코올(에탄올,[66] 메탄올[67]), 글리세롤, 개미산[68] 등 유기물과 물을 혼합한 연료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기존 물 전기분해보다 낮은 과전압에서 수소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물의 공동전기분해와 함께 탄소(석탄), 알코올(탄화수소 용액), 유기 용액(글리세롤, 개미산, 에틸렌 글리콜 등)을 활용하는 방식이 에너지 투입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44][45] 수소 발생을 위한 탄소/탄화수소 보조 수전해(CAWE) 공정은 이러한 작동을 단일 전기화학 반응기에서 수행한다. 이 시스템의 에너지 수지는 탄소 또는 탄화수소의 화학 에너지에서 60%가 공급되고 약 40%만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다.[46] 이 공정은 슬러리 형태로 산/알칼리 전해질에 분산된 고체 석탄/탄소 입자 또는 분말을 연료로 사용하며, 탄소 함유원이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전체 반응에서 전기분해 과정을 보조한다.[47]

:탄소/석탄 슬러리 (C + 2H2O) → CO2 + 2H2 ''E''′ = 0.21 V (가역 전압) / ''E''′ = 0.46 V (열중성 전압)

또는

:탄소/석탄 슬러리 (C + H2O) → CO + H2 ''E''′ = 0.52 V (가역 전압) / ''E''′ = 0.91 V (열중성 전압)

CAWE 방식은 기존 수전해의 1.5 V와 비교하여 실제 전지 과전압을 1.0 V 이하로 크게 줄일 수 있다.

4. 3. 탄소-물 공동 전기분해 (CAWE)

탄소-물 공동 전기분해(CAWE)는 고체 탄소(주로 석탄)와 물을 함께 전기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탄소/석탄 보조 물전기분해 (Carbon/coal-assisted water electrolysis; CAWE)라고도 불린다.[69][70]

이 방식은 물 전기분해에서 탄소가 반응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수소 생산에 필요한 작동 전압을 낮춘다. 작동 전압은 이론적으로 25°C의 저온 수전해 방식에서는 약 0.46V, 827°C의 고온 수전해 방식에서는 약 0.26V까지 낮아진다. 이는 기존의 PEM 수전해 방식(25°C에서 1.48V)보다 전력 소비를 1/3가량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다.[69][70]

이 방법은 1979년 Coughlin과 Farooque가 Nature지에 발표했지만, 당시에는 수소생산보다는 석탄 개질 및 황 제거와 같은 다른 전기화학적 연구에 더 집중되었다. 최근에는 석탄 활용의 친환경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71]

CAWE 방식은 기존 수전해의 1.5V와 비교하여 실제 전지 과전압을 이하로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AWE 공정은 슬러리 형태의 산/알칼리 전해질에 분산된 고체 석탄/탄소 입자 또는 분말을 연료로 사용하며, 탄소 함유원이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전체 반응에서 전기분해 과정을 보조한다.[47]

:탄소/석탄 슬러리 (C + 2H2O) → CO2 + 2H2 ''E''′ = 0.21V (가역 전압) / ''E''′ = 0.46V (열중성 전압)

또는

:탄소/석탄 슬러리 (C + H2O) → CO + H2 ''E''′ = 0.52V (가역 전압) / ''E''′ = 0.91V (열중성 전압)

4. 4. 이산화탄소 전기분해

이산화탄소(CO2)의 전기화학적 환원 또는 전기촉매 전환은 메탄, 에틸렌, 에탄올 등과 같은 부가가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34][35][36] 이산화탄소 전기분해는 포름산염 또는 일산화탄소를 생성하지만, 때로는 에틸렌과 같은 보다 복잡한 유기 화합물을 생성하기도 한다.[37] 이 기술은 탄소 중립적인 유기 화합물 생산 경로로서 연구되고 있다.[38][39]

5. 산업적 응용


  • '''전기야금'''(Electrometallurgy)은 전기분해를 통해 금속 화합물에서 금속을 환원시켜 순수한 금속을 추출하는 공정이다. 알루미늄,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구리 등이 전기야금법으로 생산된다.[13]
  • '''클로로 알칼리(Chlor-alkali) 공정'''을 통해 염소와 수산화나트륨을 생산한다.
  • 염소산나트륨 및 염소산칼륨 생산
  • Electrofluorination을 통한 과불소화 유기화합물 생산
  • 저순도의 구리를 양극으로 사용하여 고순도의 구리 생산[13]


전기분해는 그 외에도 다른 사용처가 존재한다.

  • 핵잠수함 및 우주비행기에서의 산소 생산[13]
  • 저렴한 전기를 이용한 수소 생산
  • 전기도금: 지지 물질 위에 금속 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실용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 전기화학적 기계가공(Electrochemical machining)
  • 고고학적 유물들을 세척 및 보호. 비금속 물질에서 금속 물질을 분리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오래된 동전에서부터 자동차 엔진 부품 등을 세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6.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주요 쟁점

더불어민주당은 전기 분해 기술을 탄소 중립 및 수소 경제와 연관시켜 주요 쟁점으로 다루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수소 경제를 미래 성장 동력이자 탄소 중립 달성의 핵심 수단으로 보고,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인 투자를 지지한다. 그러나 경제성 확보 및 대규모 상용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및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전기분해 기술 발전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에너지 운반체로 주목받는 수소에너지 관련 산업의 인력 양성 및 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기 분해는 도금, 전해정련 등의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중금속, 시안화물 등의 유해 물질 사용과 환경 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전기분해 기술의 안전성 및 환경 문제에도 주목하고 있다.

6. 1. 수소 경제 활성화와 전기분해

더불어민주당은 수소 경제를 미래 성장 동력이자 탄소 중립 달성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수전해 기술은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물의 전기 분해는 다음과 같이 수소와 산소를 각각 2:1의 비율로 생성한다.[23]

:2 H2O → 2 H2 + O2 ''E''° = +1.229 V

이렇게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얻어진 수소는 연료 전지에서 발전에 이용함으로써,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미국 재생에너지 연구소는 2006년에 풍력 전기 분해를 통해 1kg의 수소(에너지 측면에서 약 3kg 또는 4리터의 석유와 거의 동등함)를 단기적으로는 5.55USD, 장기적으로는 2.27USD에 생산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43]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수소 가스의 약 4%는 전기 분해로 생성되며, 하버-보슈법을 통해 비료용 암모니아를 만들거나 수소화 분해를 통해 중질 석유 원료를 경질 분획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43]

더불어민주당은 수전해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인 투자를 지지하지만, 경제성 확보 및 대규모 상용화에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및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6. 2. 전기분해와 일자리 창출

더불어민주당은 전기분해 기술 발전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에너지 운반체(energy carrier)로 주목받는 수소에너지 관련 산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인력 양성 및 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소는 공기 중에서 연소될 때 산소와 반응하여 물만 방출하므로 매우 친환경적이다. 또한, 물을 원료로 하므로 무한한 자원으로 여겨진다. 수소의 질량당 에너지 밀도는 142kJ/g으로 휘발유의 4배, 천연가스의 3배 수준으로 고효율이며, 다양한 형태로 저장이 용이하다.[22]

물의 전기 분해는, 장래적인 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수소의 생산 수단의 하나로서 연구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수력 발전, 풍력 발전 등에서 얻어진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하고, 얻어진 수소를 연료 전지에서 발전에 이용함으로써,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3. 전기분해 기술의 안전성 및 환경 문제

전기 분해 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안전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도금 과정에서는 전해액으로 사용되는 중금속이나 시안화물 수용액의 독성에 주의해야 한다.[58] 광업에서 광석을 전기 분해하여 금속을 얻는 전해정련 과정에서도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에루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 용융염 전해로 알루미늄 금속을 얻거나, 조동을 양극, 순동을 음극으로 하여 황산구리 수용액에서 전기 분해하여 순도 높은 구리(전기 구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환경 오염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58]

는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태양광 발전, 수력 발전, 풍력 발전 등에서 얻은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를 얻고, 이를 연료 전지 발전에 이용하면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58] 그러나 수소는 폭발 위험성이 있으므로 생산, 저장, 운송 과정에서 철저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The Faraday-Whewell correspondence concerning electro-chemical terms 1937
[2] 논문 Oxygen Evolution Reaction—The Enigma in Water Electrolysis 2018-10-05
[3] 웹사이트 Martinus van Marum - Scientist of the Day https://www.lindahal[...] 2015-03-20
[4] 서적 The Development of Modern Chemistry Harper & Row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Electrochemistry: From Volta to Edison https://www.electroc[...] 2019-10-11
[6] 서적 Humphry Davy, Poet and Philosopher https://www.gutenber[...] Macmillan & Co., Limited 1896
[7] 웹사이트 Lithium - periodicstats.com https://www.periodic[...]
[8] 웹사이트 Today in Science History - January 12 - Johan August Arfwedson and Lithium https://sciencenotes[...] 2018-01-11
[9] 서적 A History of Science in Socie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7
[10] 웹사이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 Gallium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North Texas
[11] 논문 Henri Moissan: The discoverer of fluorine http://revistas.unam[...] 2018-08-26
[12] 웹사이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Fluorine and Henri Moissan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North Texas
[13] 웹사이트 ECS Classics: Hall and Héroult and the Discovery of Aluminum Electrolysis https://www.electroc[...] Interface 2015-08-21
[14] 서적 Hall Process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luminum - National Historic Chemical Landmark https://www.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7
[15] 웹사이트 Paul Héroult and Charles M. Hall https://www.scienceh[...] 2016-06-01
[16] 웹사이트 Bohaterski naukowiec upamiętniony na kieleckim deptaku https://radiokielce.[...] 2019-09-18
[17] 웹사이트 De Verbno Łaszczyńscy » Stanisław Ignacy Łaszczyński https://laszczynski.[...]
[18] 웹사이트 Wyborcza.pl https://wyborcza.pl/[...]
[19] 간행물 The Supplement (1803 edition) to Encyclopædia Britannica 3rd edition (1797) Encyclopædia Britannica
[20] 논문 On certain properties of gallium https://books.google[...]
[21] 서적 Experimental Researches In Electricity http://www.gutenberg[...] The University of London
[22] 서적 Understanding solids: the science of materi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11-10-22
[23] 서적 Applied Electrochemistry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24] 논문 The Definition of Polarization, Overvoltage and Decomposition Potential
[25] 논문 Über den Einfluss der Natur des Elektrolyten und des Elektrodenmaterials auf die Ozonbildung. https://books.google[...] Metzger & Wittig 2019-09-12
[26] 서적 The Manufacture of Chemicals by Electrolysis https://archive.org/[...] D. Van Nostrand Co. 2019-09-12
[27] 논문 Surface Chemistry of Ruthenium Dioxide in Heterogeneous Catalysis and Electrocatalysis: From Fundamental to Applied Research
[28] 논문 Anodic Chlorate Formation on Platinized Titanium Chapman and Hall Ltd.
[29] 서적 Handbook of Heterogeneous Catalysis
[30] 서적 Handbook of Heterogeneous Catalysis
[31] 서적 Physical Chemistry W.H. Freeman and Company
[32]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http://www.hbcpnetba[...] Chemical Rubber Company
[33] 논문 A Textbook of Quantitative Inorganic Analysis (Vogel, Arthur I.)
[34] 논문 Sustainable production of formic acid by electrolytic reduction of gaseous carbon dioxide
[35] 논문 Prospects of CO2 Utilization via Direct Heterogeneous Electrochemical Reduction
[36] 논문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gas at Sn based gas diffusion electrode
[37] 서적 Modern Aspects of Electrochemistry Springer
[38] 논문 Frontier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Biochemical and Chemical Catalysis of CO2 Fixation
[39] 논문 A review of catalysts for the electro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produce low-carbon fuels
[40] 웹사이트 Green hydrogen {{!}} Which type of electrolyser should you use? Alkaline, PEM, solid oxide or the latest tech? https://www.hydrogen[...] 2023-07-05
[41]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n PEM water electrolysis
[42] 웹사이트 Chapter 3: Production of Hydrogen. Part 4: Production from electricity by means of electrolysis https://web.archive.[...] Ludwig-Bölkow-Systemtechnik GmbH 1996-07-08
[43] 웹사이트 Wind Energy and Production of Hydrogen and Electricity – Opportunities for Renewable Hydrogen – Preprint http://www.nrel.gov/[...] 2006-03
[44]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carbon and hydrocarbon assisted water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
[45] 논문 Electro-catalytic conversion of ethanol in solid electrolyte cells for distributed hydrogen generation
[46] 논문 Low emission hydrogen generation through carbon assisted electrolysis
[47] 논문 Role of iron species as mediator in a PEM based carbon-water co-electrolysis for cost-effective hydrogen production
[48] 논문 Superconductivity in an organic solid. Synthesis, structure, and conductivity of bis(tetramethyltetraselenafulvalenium) perchlorate, (TMTSF)2ClO4
[49] 서적 Inorganic Syntheses
[50] 논문 Life Cycle Assessment of an Integrated Steel Mill Using Primary Manufacturing Data: Actual Environmental Profile 2021-03-19
[51] 논문 Prospects and challenges of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iron oxides in alkaline media for steel production 2022
[52] 논문 Electrolysis of iron in a molten oxide electrolyte 2018-01-01
[53] 논문 Electrodeposition of Iron in Aqueous Alkaline Solution: An Alternative to Carbothermic Reduction https://iopscience.i[...] 2009-03-20
[54] 논문 Multicriteria analysis of seawater electrolysis technologies for green hydrogen production at sea https://linkinghub.e[...] 2020
[55] 서적 化学系学生にわかりやすい電気化学 コロナ社
[56] 간행물 特許庁 標準技術集 https://warp.da.ndl.[...]
[57] 서적 化学系学生にわかりやすい電気化学 コロナ社
[58] 웹사이트 デンケン「エネルギーカスケード利用型固体電解質水蒸気電解装置の開発」 http://www.denken-en[...] 2008-05-17
[59] 서적 化学系学生にわかりやすい電気化学 コロナ社
[60] 서적 化学系学生にわかりやすい電気化学 コロナ社
[61] 간행물 「エネルギー使用合理化ガス拡散電極食塩電解技術開発」 事後評価報告書(案)概要 http://www.nedo.go.j[...]
[62] 간행물 独立行政法人 物質・材料研究機構 エコマテリアル研究センター、『金属元素の精錬・精製段階における 環境負荷算定に関する調査』、平成15年3月 http://www.nims.go.j[...]
[63] 서적 化学系学生にわかりやすい電気化学 コロナ社
[64] 문서 순수한 물은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해질인 수산화나트륨이나 황산나트륨을 조금 넣어 전류를 잘 흐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황산구리(CuSO4)를 물에 넣으면 H+보다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작은 Cu2+이 먼저 전자를 얻어 Cu로 변한다. 따라서 CuSO4는 전해질이지만 물을 전기 분해할 때 넣어줄 수 없다.(마찬가지로 CuCl2, AgNO3 도 넣어 줄 수 없다. Cl,- Ag+이 존재하는 전해질을 물에 넣은 후 전류를 흘려 주면 전해질이 전기 분해되기 때문이다. 물을 전기 분해할 때에는 수산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이외에도 탄산나트륨, 황산, 질산칼륨 등의 전해질을 넣어줄 수 있다.
[65] 논문 Hydrogen production via solid electrolytic routes
[66] 논문 Electro-catalytic conversion of ethanol in solid electrolyte cells for distributed hydrogen generation
[67] 논문 Clean hydrogen production from methanol–water solutions via power-saved electrolytic reforming process
[68] 논문 Clean hydrogen generation through the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formic acid in a 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sis Cell (PEMEC)
[69]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carbon and hydrocarbon assisted water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
[70] 논문 Role of iron species as mediator in a PEM based carbon-water co-electrolysis for cost-effective hydrogen production
[71] 논문 Hydrogen production from coal, water and electrons https://www.natur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