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구석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 구석기 시대는 약 260만 년 전부터 30만 년 전까지의 시기로, 인류가 최초의 석기를 제작하고 사용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시작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호모 하빌리스가 올도완 석기를 제작하여 사용했고, 호모 에렉투스는 수렵 채집 생활을 통해 유라시아로 이주하며 뇌의 발달과 사회적 변화를 겪었다. 유럽에서는 올도완 전통이 클락토니아와 아슐리아로 나뉘고 르발루아 기법이 발전했으며, 한반도에서는 단양 금굴과 검은모루 동굴 유적 등에서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집단 수렵 채집의 발달은 기술, 언어, 인지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구석기 시대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전기 구석기 시대 - 올도완 문화
올도완 문화는 약 330만 년 전부터 25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간단한 석기를 제작하고 사용한 초기 석기 시대 문화로, 호미닌의 기술 발전과 사회적 행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을 남겼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전기 구석기 시대 |
---|
2. 전기 구석기 시대 (약 260만 년 전 ~ 30만 년 전)
호모 하빌리스의 유적인 올두바이 협곡에서는 석기 사용의 흔적이 발견된다. 이들은 약 250만 년 전에 석기를 개발하여 15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올도완 석기를 사용한 호모 하빌리스는 수렵과 채집을 위해 불을 제어하는 방법을 익혔다.[5]
구석기 시대 초기는 세계 최초의 석기 출현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호모 하빌리스와 관련이 있었지만, 2000년대 초의 발견으로 이 시기는 상당히 앞당겨졌다.[5] 올두완 석기는 약 260만 년 전부터 발달한 것으로 여겨지며, 아마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와 같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조상이 처음 사용했을 것이다.
2015년 케냐의 로멕위 3 유적지에서는 33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더 오래된 도구가 발견되었다.[1] 이 도구들은 플리오세 후기에 속한다.
초기 호모 속 구성원들은 올두완 기술로 대표되는 원시적인 도구를 만들었으며, 이 기술은 약 250만 년 전부터 170만 년 전까지 약 100만 년 동안 지배적이었다. 호모 하빌리스는 주로 청소 동물로 생활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도구를 사용하여 썩은 고기에서 살을 발라내거나 뼈를 깨뜨려 골수를 꺼냈다.
호미닌의 과일을 먹는 식단에서 초기 호모의 육식성 청소 동물 생활 방식으로의 전환은 동아프리카의 제4기 빙하기와 관련된 기후 변화로 설명된다. 해양 증발량 감소는 더 건조한 기후와 삼림을 대체하는 사바나의 확장을 초래했다. 과일의 가용성 감소는 일부 원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더 건조한 사바나 생태계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식량 자원을 찾도록 자극했다. 데렉 비커턴은 이 시기에 큰 사체를 청소하기 위해 그룹 구성원을 "모집"해야 할 필요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 초기 상징적 의사소통 체계로의 전환이 있었다고 주장했다.[6]
호모 에렉투스는 약 180만 년 전에 전이 형태인 호모 에르가스터를 통해 나타났다. 이들은 청소부 생활에서 사냥으로 전환하여 수렵 채집 생활 방식을 발전시켰다. 수렵 채집 생활이라는 새로운 틈새 건설을 개척함으로써 여러 가지 행동적 및 생리적 변화가 일어났고, 약 80만 년 전~60만 년 전에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처럼 호모는 잡식성 포식자의 계급에 올랐다. 활동적인 사냥꾼으로서, 그들은 다른 네발 동물 포식자들과 대립하여 대규모 집단으로 생활하기 시작했다.
호모 에렉투스는 아프리카에서 이주하여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된 석기는 183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된다.[7] 1929년에 발견된 베이징 원인 화석은 약 70만 년 전 것이다.
유럽에서는 올두바이 전통이 클락토니아와 아슐리아라는 두 가지 평행적인 전통으로 나뉘었다. 이 시기에 르발루아 기법이 발전했다.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이주한 종은 호모 에렉투스였다. 이 유형의 인류는 조각 전통과 더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통은 남유럽을 통해 발칸 반도로 퍼져 동남아시아에 상대적으로 밀집하여 나타났다. 중석기 시대의 많은 무스테리안 유물이 르발루아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에렉투스로부터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이탈리아 포르리 근처의 몬테 포지올로는 180만 년 전부터 110만 년 전까지의 아슐리아 연안대 찍개 석기 기술이 발견된 곳이다.[8]
집단 수렵 채집으로의 전환으로 인한 기술과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출현은 더 큰 인지 능력을 가져왔다. 나중에, 더욱 발전된 사회 생활, 불확실한 식량 분포, 그리고 호모에 의해 초래된 생태적 변화에 대한 행동적 적응은 문제 해결, 기억 등의 영역에서 뇌의 추가적인 확장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인류의 뛰어난 행동적 유연성, 고도로 효율적인 의사소통, 생태적 지배력으로 이어졌다. 유인원과 초기 영장류의 생물학적 사전 적응은 플라이스토세의 단 200만 년에서 230만 년 만에 뇌가 3배로 확장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사회와 변화하는 서식지에 대한 반응이었다.[9][10]
2. 1. 최초의 인류와 석기
최초의 석기는 약 330만 년 전 동아프리카에서 나타났으며,[1]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앞선 시기이다. 호모 하빌리스는 약 260만 년 전부터 올도완 석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5] 주로 썩은 고기를 먹거나 골수를 채취하는 데 사용했다. 호모 에렉투스는 약 180만 년 전에 호모 에르가스터를 거쳐 나타났으며,[21] 수렵 채집 생활을 시작했다. 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된 석기는 183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26]2. 2. 지역별 발전
올도완 석기를 만든 문화는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유럽에서는 아브빌 문화를 거쳐 클락토니안 전통과 아슐리안 전통으로 분화되었다. 뗀석기 제작 기술인 르발루아 기법은 이 시기에 발전하였다.호모 에렉투스는 아프리카에서 이주하여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된 석기는 183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26]
2. 2. 1. 한반도
- 단양 금굴: 현재 한반도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곳으로 약 7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 약 60만 년 전 내지 4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구석기 유적이다.

- 연천 전곡리: 동북아시아 최초로 주먹도끼가 발견된 유적이다. 이 유적을 통해, 이전까지 유럽과 아프리카, 인도 부근까지는 아슐리안계 양날 주먹 도끼 문화권으로, 중국,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은 동아시아식 찍개 문화권으로 분류하던 모비우스 학설(할램 L. 모비우스 주장)이 뒤집혔다.
- 공주 석장리: 남한 최초[27]로 제대로 발굴된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서 공주시 석장리[28]에서 발견되었다. 예술품이 발견되었다.
2. 2. 2. 인도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인 가이 엘콕 필그림은 150만 년 전 구인류의 치아와 턱뼈 일부를 발견했는데, 이는 호미닌이 150만 년 전 아슐리안 시대에 찬디가르 근처 핀조레 지역에 살았음을 나타낸다.[12] 하리아나주 핀조레에서부터 히마찰프라데시주 솔란 지구의 날라가르까지 이르는 지역에서 사암으로 만든 구석기 시대 초기 도구들이 발굴되었다.[14]3. 중기 구석기 시대 (약 30만 년 전 ~ 5만 년 전)
약 30만 년 전부터 기술, 사회 구조, 행동이 복잡해졌다. 준비된 핵석기 기술, 초기 매장 예시, 생계 유지를 위한 수렵 채집 패턴 변화 등이 나타났다. 호모 사피엔스는 모로코 제벨 이르후드에서 발견된 화석 증거[11],[24]에 따르면 약 30만 년 전에 처음 등장했다.
3. 1.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새로운 인류의 출현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약 60만 년 전에 나타났으며, 호모 로데시엔시스, 호모 체프라넨시스와 같은 새로운 인류 출현의 시초가 되었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초기 형태의 상징적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는 후보로 거론된다.
불의 사용과 매장 풍습이 이 시기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중기 구석기 시대에 나타났다는 주장도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유럽에서는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사피엔스''의 중간 형태를 띤 인류가 나타났는데, 이들은 구석기 시대 ''호모 사피엔스''로 불리기도 한다. 스완스컴, 슈타인하임, 토타벨, 베르테슈졸로시(''호모 팔레오훈가리쿠스'')에서 발견된 화석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에 주먹도끼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 중간 형태의 인류는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일 가능성이 있으며, 60만 년 전 이후 아프리카에서 발달한 '모드 2' 아슐리안 도구 유형 제작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편과 도끼는 유럽에서, 때로는 같은 유적지에서 함께 발견되기도 했다. 그러나 도끼 전통은 동쪽의 다른 지역, 즉 아라비아와 인도까지는 퍼져나갔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2. 기술, 사회 구조, 행동의 변화
약 30만 년 전부터 기술, 사회 구조, 행동이 더욱 복잡해진 것으로 보인다. 준비된 핵석기(prepared-core technique) 기술, 초기 매장 풍습, 그리고 생계 유지를 위한 수렵 채집 패턴의 변화 등이 나타난다.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드에서 발견된 화석 증거에 따르면 약 30만 년 전에 처음 등장했다.[11][24]참조
[1]
논문
3.3-million-year-old stone tools from Lomekwi 3, West Turkana, Kenya
https://academiccomm[...]
2015-05-21
[2]
웹사이트
Early Stone Age Tools
http://humanorigins.[...]
Smithsonian Institution
2014-09-29
[3]
서적
The First Africans: African Archaeology from the Earliest Toolmakers to Most Recent Foragers
https://archive.org/[...]
Cambridge
[4]
웹사이트
Lower Paleolithic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2016-12-30
[5]
논문
2.6-Million-year-old stone tools and associated bones from OGS-6 and OGS-7, Gona, Afar, Ethiopia
[6]
서적
Adam's Tongue: How Humans Made Language, How Language Made Humans
Farrar, Straus and Giroux
2009
[7]
뉴스
Malaysian scientists find stone tools "oldest in Southeast Asia"
https://www.tehranti[...]
2009-02-01
[8]
논문
Lower and Middle Pleistocene human settlements recorded in fluvial deposits of the middle Loire River Basin, Centre Region, France
2011-06
[9]
논문
Phase transitions of brain evolution that produced human language and beyond
2020-12
[10]
논문
Linking ecology and cognition: does ecological specialisation predict cognitive test performance?
2020-12
[11]
논문
Oldest members of our species discovered in Morocco
2017-06-09
[12]
논문
Early Pleistocene Presence of Acheulian Hominins in South India
2011-03-25
[13]
서적
New Siwalik Primates and Their Bearing on the Question of the Evolution of Man and the Anthropoidea
1915
[14]
웹사이트
Revenue and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Haryana | India
http://revenueharyan[...]
[15]
서적
Stone Age and Pleistocene Chronology in Gujarat
https://books.google[...]
Deccan College, Postgraduate and Research Institute
[16]
논문
Archaeology of Early Historic Gujarat
http://shodhganga.in[...]
1999-08-31
[17]
논문
3.3-million-year-old stone tools from Lomekwi 3, West Turkana, Kenya
2015-05-21
[18]
웹사이트
Early Stone Age Tools
http://humanorigins.[...]
Smithsonian Institution
2014-09-29
[19]
서적
The First Africans: African Archaeology from the Earliest Toolmakers to Most Recent Foragers
Cambridge
[20]
웹사이트
Lower Paleolithic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2016-12-30
[21]
서적
Adam's Tongue: How Humans Made Language, How Language Made Humans
Hill and Wang
[22]
뉴스
マレーシアの科学者「東南アジア最古の」石器発見
https://archive.fo/h[...]
[23]
웹사이트
. Location of Acheulian handaxes industries (Mode 2) and... - study of Early and Lower Palaeolithic lithic industries. The most ancient European prehistoric sites, dated from 1.8 to 1.1 Ma, have been discovered in a variety of contexts: fl uvio- lacustrine (Dmanisi, Georgia; Orce, Spain), littoral (Monte Poggiolo, Italy)
https://www.research[...]
researchgate
2016-12-28
[24]
뉴스
World’s oldest Homo sapiens fossils found in Morocco
http://www.sciencema[...]
2017-06-06
[25]
서적
생각의 역사1
들녘
[26]
뉴스
Malaysian scientists find stone tools 'oldest in Southeast Asia'
[27]
문서
1964년
[28]
문서
현재 공주시 월송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