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발루아 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발루아 기법은 구석기 시대에 처음 나타났으며, 중석기 시대의 네안데르탈인과 관련이 깊은 석기 제작 기술이다. 이 기술은 석재의 부피를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핵 효율을 극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르발루아 기법은 아프리카, 아시아, 남캅카스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각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에서 르발루아 기법으로 제작된 석기들이 확인되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르발루아 기법의 효율성이 입증되었으며, 선사 시대 사람들의 이동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도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고고학 -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는 구석기 시대 그라베트 문화의 여성 조각상으로, 다산과 출산을 상징하는 과장된 신체, 묘사되지 않은 얼굴, 띠로 덮인 머리가 특징이며,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이탈리아 북부에서 온 돌로 만들어졌다.
  • 유럽의 고고학 - 할슈타트 문화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유럽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시대 후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문화로, 소금 광산 덕분에 발전했으며 그리스와의 교역, 요새화된 정착지를 중심으로 사회가 구성되었고, 매장 방식과 예술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서부와 동부 지역으로 나뉜다.
  • 네안데르탈인 - 구인류와 현생인류의 혼혈
    구인류와 현생인류의 혼혈은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그리고 아직 알려지지 않은 고대 인류와의 유전적 혼합을 포함하며, 유라시아인, 멜라네시아인, 동남아시아인 등에게서 혼혈의 흔적이 발견된다.
  • 네안데르탈인 - 무스티에 문화
    무스티에 문화는 르발루아 기법을 포함한 석기 제작 기술과 매장 풍습을 특징으로 하는 구석기 시대 문화로, 네안데르탈인과 해부학적 현대 인류가 제작한 석기가 유럽, 근동, 북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 석기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석기 - 반달돌칼
    반달돌칼은 신석기 시대 말기부터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수확 도구로, 중국 화북 지방에서 기원하여 한반도로 전래되었으며, 돌날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초기 철기 시대에 쇠퇴했으나 농업 기술 및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박편
르발루아 박편
유형석기 제작 기술
시대구석기 시대 중기
사용 문화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
특징돌핵에서 미리 형태를 만든 박편을 떼어내는 기법
주요 사용 시기약 30만 년 전부터 약 3만 년 전까지
발견 지역아프리카, 유럽, 중동, 아시아
상세 정보
기술미리 형태를 잡은 돌핵에서 박편을 떼어내는 기술
돌핵을 정교하게 다듬어 원하는 형태와 크기의 박편을 제작
각 박편은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짐
제작 과정돌핵 표면을 평평하게 다듬고 가장자리를 정비
돌핵 중심부에서 박편을 떼어낼 준비
망치돌을 이용하여 박편을 떼어냄
떼어낸 박편을 원하는 도구 형태로 가공
장점효율적인 석기 제작 기술
예측 가능하고 일정한 모양의 박편 생산
다양한 용도의 도구 제작 가능
기술 발전초기 석기 제작 기술에서 발전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석기 제작 기술에 영향
르발루아 핵심특정 모양과 크기의 박편을 생산하기 위해 준비된 돌덩어리
르발루아 박편르발루아 핵심에서 떼어낸 박편,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짐
르발루아 첨두기르발루아 기법으로 만든 창촉이나 칼날
역사적 의미
고고학적 중요성석기 제작 기술의 중요한 진화 단계
당시 인류의 인지 능력과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석기 시대 연구에 필수적인 요소
연구 가치인류의 기술 발전과 진화 연구에 기여
고고학적 유물 분석을 통해 당시 인류 생활 방식 복원
발견 장소르발루아-페레 (Levallois-Perret) 지역: 르발루아 기법의 이름이 유래
전 세계 다양한 구석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
관련 용어
석기 제작석기를 만드는 기술 또는 과정
박편돌을 깨뜨려 만든 얇은 조각
돌핵박편을 떼어내는 데 사용되는 돌덩어리
구석기 시대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시기

2. 기원

이 기법은 구석기 시대 초기에 처음 발견되지만, 중석기 시대 네안데르탈인의 무스테리안 문화와 가장 흔히 연관되어 있다. 레반트 지역에서는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도 중석기 시대에 르발루아 기법을 사용했다. 북아프리카에서는 중석기 시대에 르발루아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아테리안 문화에서 매우 작은 투사체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르발루아 핵은 플랫폼에 약간의 변화를 보이지만, 조각 생산 표면은 놀라울 정도로 균일하다. 르발루아 기법은 반직관적이므로, 그 과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언어가 그러한 기술 전수의 전제 조건일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오누마, 아오키, 아카자와 (1997)는 현생 인류에게 언어적 교육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로 비언어적인 방식으로도 르발루아 기법을 가르칠 수 있음을 발견했다.[4][5]

3. 발전

은 석기 핵을 형태를 만들어 석기를 제작하는 것으로 시작한다.(삽화를 위해 석기들을 재조립함), 보케르 타크티트, 네게브, 이스라엘, 약 4만 년 전


르발루아 기법은 아프리카에서 나온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확산과 함께 나타난 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넓은 지역과 시간에 걸쳐 분포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은 맞지 않게 되었다. 애들러(Adler) 등은 르발루아 기술이 서로 다른 집단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으므로, 구석기 시대 인구 변화와 확장의 지표로 사용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한다.[6]

르발루아 복합체의 가장 큰 공통점은 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는 점이다. 리셋(Lycett)과 본 크라몬-타우베델(von Cramon-Taubedel, 2013)은 여러 지역에 걸쳐 핵의 형태와 기하학적 관계의 변동성을 측정했는데, 석기 제작자가 특정 표면 형태를 가진 평면도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즉, 르발루아 석기 제작자는 핵의 전체 윤곽이나 형태에는 덜 신경 쓰고 타격면에 더 신경 썼다는 것이다. 이는 복잡한 사전 계획과 "이상적인 형태"의 르발루아 핵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된다.[4]

리셋(Lycett)과 에렌(Eren, 2013)의 연구는 르발루아 기술의 효율성을 통계적으로 보여준다. 이들은 텍사스 처트 덩어리 25개로 75개의 르발루아 석편을 만들고, 3957개의 석편을 4단계로 나누어 효율성을 측정했는데, 각 단계에서 효율성이 점차 증가했다.[7] 567개의 부산물 석편과 75개의 우선적인 르발루아 석편을 비교한 결과, 우선적인 르발루아 석편에서 두께가 더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변동성이 적었다. 이는 두께가 효율성과 손질 가능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8] 이 실험은 르발루아 핵이 원료(석재) 사용의 경제적으로 최적의 전략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원료 무게 단위당 가장 긴 절삭날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7] 이는 르발루아 기술을 적용할 때 선사 시대 사람들의 이동성이 더 높았음을 의미한다. 르발루아 핵을 사용하면 같은 양의 핵으로 다른 석편 제작 기술보다 더 긴 절삭날을 만들 수 있어 도구 제작에 필요한 원료 부족을 걱정할 필요 없이 더 넓은 지역을 탐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3. 1. 르발루아 기법의 정의

르발루아 기법은 석기를 제작하는 방법 중 하나로, 석재의 부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두 개의 교차하는 평면을 이용한다. 이 두 평면은 서로 계층적인 관계를 가지는데, 하나는 석기를 떼어낼 때 타격을 가하는 타격면(striking platform)이고, 다른 하나는 석기가 떼어내지는 주된 면(primary reduction surface)이다.

주요 감소면은 떼어내고자 하는 석기의 형태를 미리 결정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주로 측면과 원위 볼록면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미리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주요 생성물을 떼어낼 때 두 표면의 교차면과 거의 평행하게 파절이 일어나도록 한다. 타격면의 크기와 모양은 이러한 파절이 평행하게 일어나도록 조정되는데, 보통 수정하거나 패싯팅(facetting, 면을 다듬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9]

4. 지역별 유적

르발루아 기법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 아프리카
  • '''케냐''': 보고리아 호와 바링고 호 근처 카프투린 지층 유적지에서 르발루아 석편들이 발견되었으며, 리키 헨드액스 지역과 공장 유적지에서는 지름 10cm~20cm의 큰 석편들이 40만 년 전으로 연대 측정되었다.[1][10]
  • '''모로코''': 제벨 이르후드에서 발견된 르발루아 석기들은 약 315,000년 전으로 연대 측정되었으며,[11] 이는 이 기법과 초기 인류의 발전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2]
  • '''이집트''': 나일 강 유역 약 9.14m, 약 4.57m, 약 3.05m 고지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초기 무스테리안 문화로 여겨졌으나 나중에 발전된 르발루아 문화로 재분류되었다.[13]
  • 아시아
  • '''시리아/이스라엘''': 르발루아 문화 도구가 포함된 지층 단면에서 발굴되었다.[13]
  • '''인도''': 아티람파캄(Attirampakkam) 유적지에서는 아슐리안 문화의 종말과 중기 구석기 문화의 출현을 나타내는 과정이 385,000 ± 64,000년 전에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4]
  • '''이란''': 자그로스 지역 비시툰 동굴(Bisitun cave), 와르와시(Warwasi), 다라이(Darai), 쿤지(Kunji), 도-아슈카프트(Do-Ashkaft) 등 중기 구석기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5][16][17]
  • '''아프가니스탄''': 하이바크(Haibak) 계곡에서 발견되었다.[13]
  • '''동북아시아''': 몽골과 알타이-시베리아 수이둥거우(Shuidonggou)(중국 북부)에서 발견된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 증거를 통해 이 지역으로 확산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 '''홍콩''': 사이쿵(Sai Kung)구 왕테이퉁(Wong Tei Tung)에서 발견되었다.[19]
  • '''파키스탄''': 소안 계곡(Soan Valley) 소아니안(Soanian) 기술 복합체는 모드 3 르발루아 복합체로 확인되었다.[20]
  • '''중국''': 관음동(Guanyindong) 동굴 유적지 석기 집합체에서 증거가 제시되었으며,[21] 수이둥거우(Shuidonggou) 유적지는 1923년에 발견되어 12개 유적지가 발굴되었고, 약 40,000~10,000년 전으로 추정된다.[22]

4. 1. 아프리카


  • '''케냐''': 케냐 서부 보고리아 호와 바링고 호 근처 카프투린 지층 유적지에서 거대한 핵석에서 떼어낸 큰 르발루아 석편들이 발견되었다. 가장 초기의 예시는 리키 헨드액스 지역과 공장 유적지에서 나왔다. 두 경우 모두 지름 10cm~20cm의 큰 석편들이 특징이며, 40만 년 전으로 신뢰할 수 있게 연대 측정되었다.[1][10]
  •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서쪽으로 100km 떨어진 바라이트 광산이었던 제벨 이르후드에서 르발루아 석기들이 발견되었다. 2017년에 약 315,000년 전으로 연대 측정[11]된 이 발견은 이 기법과 초기 인류의 발전에 대한 이해에 매우 중요했다. 사우샘프턴 대학교의 고고학자인 존 맥냅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벨 이르후드 사람들이 만들었던 도구들은 르발루아라는 석기를 만드는 정교한 기법을 기반으로 했다. 315,000년 전의 연대는 르발루아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이전에 시작되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제벨 이르후드는 이 새로운 기술이 현생 인류로 이어지는 호미닌 계보의 출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일까? 새로운 발견은 당시 아프리카에 하나 이상의 호미닌 계보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할까? 정말로 상황을 뒤흔드는 발견이다."[12]
  • '''이집트''': 나일 강 유역에서 발굴 작업을 통해 약 9.14m, 약 4.57m, 약 3.05m 고지대에서 르발루아 문화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약 9.14m 고지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원래 초기 무스테리안 문화로 여겨졌지만, 나중에 재분류되었다. 약 4.57m와 약 3.05m 고지대에서 발견된 유물들 역시 처음에는 이집트 무스테리안 문화로 분류되었지만, 나중에 발전된 르발루아 문화로 분류되었다.[13]

4. 2. 아시아


  • '''시리아/이스라엘''': 르발루아 문화의 도구가 포함된 지층 단면에서 발굴되었다.[13]
  • '''인도''': 아티람파캄(Attirampakkam)이라는 야외 다층 선사 유적지에서는 아슐리안 문화의 종말과 중기 구석기 문화의 출현을 나타내는 과정이 385,000 ± 64,000년 전에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4]
  • '''이란''': 비시툰 동굴(Bisitun cave), 와르와시(Warwasi), 다라이(Darai), 쿤지(Kunji), 도-아슈카프트(Do-Ashkaft)를 포함한 자그로스 지역의 중기 구석기 유적지에서 르발루아 기법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중앙 이란에는 미락(Mirak), 니아사르(Niasar), 파르바데(Parvadeh)를 포함하여 르발루아 석편과 석기를 산출한 여러 중기 구석기 유적지가 있다.[15][16][17]
  • '''아프가니스탄''': 하이바크(Haibak) 계곡에서 발견된 도구들.[13]
  • '''동북아시아''': 최근 몽골과 알타이-시베리아의 수이둥거우(Shuidonggou)(중국 북부)에서 발견된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증거를 통해 이 지역으로 르발루아 기법이 확산되었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18]
  • '''홍콩''': 사이쿵(Sai Kung)구의 사이쿵에 위치한 왕테이퉁(Wong Tei Tung).[19]
  • '''파키스탄''': 파키스탄 북부에 위치한 소안 계곡(Soan Valley)의 소아니안(Soanian) 기술 복합체는 모드 3 르발루아 복합체로 확인되었다.[20]
  • '''중국''': 약 170,000~80,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남서부(southwest China)의 관음동(Guanyindong) 동굴 유적지의 석기 집합체에서 르발루아 기술의 증거가 제시되었다.[21] 중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석기 유적지는 1923년 빈센트와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Pierre Teilhard de Chardin)에 의해 수이둥거우(Shuidonggou)에서 발견되었다. 그들이 발굴한 결과 12개의 유적지가 발견되었고, 연대는 약 40,000~10,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12개 유적지 중 SDG1이 독특하고 길쭉한 석편과 르발루아식 핵이 다수 발견되어 가장 중요한 유적지로 판명되었다.[22]

참조

[1] 논문 Predetermined Refinement: The Earliest Levallois of the Kapthurin Formation
[2] 서적 The World Before Us: How Science is Revealing a New Story of Our Human Origins Penguin Viking
[3] 논문 Mode 3 technologies and the evolution of modern humans
[4] 논문 A 3D morphometric analysis of surface geometry in Levallois cores: patterns of stability and variability across regions and their implications
[5] 논문 Transmission of Tool-making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reliminary Experiments in Levallois Flake Production https://www.jstage.j[...]
[6] 논문 Early Levallois technology and the Lower to Middle Paleolithic transition in the Southern Caucasus https://www.science.[...]
[7] 논문 Levallois economics: and examination of 'waste' production in experimental produced Levallois reduction sequences.
[8] 논문 Why Levallois? A Morphometric Comparison of Experimental 'Preferential' Levallois Flakes versus Debitage Flakes
[9] 논문 Constraints on Levallois Core Technology: A Mathematical Model
[10] 논문 Levallois Lithic Technology from the Kapthurin Formation, Kenya: Acheulian Origin and Middle Stone Age Diversity
[11] 논문 Oldest Homo sapiens fossil claim rewrites our species' history https://www.nature.c[...]
[12] 뉴스 Oldest Homo sapiens bones ever found shake foundations of the human sto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6-07
[13] 서적 An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14] 논문 Early Middle Palaeolithic culture in India around 385–172 ka reframes Out of Africa models
[15] 논문 The Mousterian Industry from Bisitun Cave (Iran)
[16] 서적 The Middle Paleolithic Industries of Warwasi University Museum Symposium Series, Volume 5, University of Pennsylvania
[17] 간행물 Approvisionnement et utilisation des matières premières au Paléolithique moyen dans la plaine de Kermanshah (Iran) : le cas de la Grotte Do-Ashkaft, Aires d'approvisionnement en matières premières et aires d'approvisionnement en ressources alimentaires, Approche intégrée des comportements BAR International Series 1725
[18] 논문 Levallois and non-Levallois blade production at Shuidonggou in Ningxia, North China
[19] 웹사이트 中國評論學術出版社 http://hk.crntt.com/[...]
[20] 논문 Is the Soanian tech-complex a Mode 1 or Mode 3 phenomenon? A morphometric assessment
[21] 논문 Late Middle Pleistocene Levallois stone-tool technology in southwest China 2018-11-19
[22] 논문 Blade production of Shuidonggou Locality (Northwest China): A technological perspective
[23] 논문 Early Levallois technology and the Lower to Middle Paleolithic transition in the Southern Caucasus 2014-09-26
[24] 뉴스 Prehistoric Stone Tools Evolved Independently Within Local Populations, Say Researchers http://popular-archa[...] Popular Archaeology 2014-09-01 # 추정 날짜. 월 정보만 제공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