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월드컵경기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주종합경기장의 별칭인 전주성을 이어받아 전주성으로도 불린다.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 등 한국 전통미를 살린 디자인이 특징이다. 2011년과 2013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평가전이 개최되었고, AFC 챔피언스리그, K리그 챔피언 결정전, FA컵 등 다양한 경기가 열렸다. 4만 2천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전주 나들목과 호남제일문 인근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FA U-20 월드컵 경기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IMF 외환 위기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2001년 개장하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수원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과 '빅버드 폭포' 현상으로 유명하다. - FIFA U-20 월드컵 경기장 - 제주월드컵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1999년 착공되어 2001년 개장한 경기장으로, 월드컵 경기 개최 후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2017년 FIFA U-20 월드컵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IMF 외환 위기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2001년 개장하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수원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과 '빅버드 폭포' 현상으로 유명하다. - 2017년 FIFA U-20 월드컵 - 제주월드컵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1999년 착공되어 2001년 개장한 경기장으로, 월드컵 경기 개최 후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전주시의 축구 경기장 - 전주종합경기장
전주종합경기장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축구와 육상 경기를 위한 주경기장은 30,000명을 수용하며, 과거 전북 현대 모터스와 쌍방울 레이더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고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전주시의 축구 경기장 - 전주삼천남초등학교
전주삼천남초등학교는 1992년 개교하여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목련을 교화, 소나무를 교목, 까치를 교조로 삼고, 2014년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고 2023년 제 30회 졸업식을 거행했다.
전주월드컵경기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주 월드컵 경기장 |
별칭 | 전주성 (Jeonjuseong), 전주 캐슬 |
로마자 표기 | Jeonju Woldeukeop Gyeonggijang |
위치 |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1055 (반월동 763-1번지) |
착공 | 1999년 2월 19일 |
개장 | 2001년 11월 8일 |
운영 | 전주시시설관리공단 |
소유 | 전주시청 |
건설 비용 | 1331억 원 |
수용 인원 | 50,000명 |
좌석 | 36,781석 |
표면 | 천연잔디 |
경기장 크기 | 105 × 68 미터 |
건설 | |
건축가 | 포스에이씨종합건축사사무소 (심성보) 등 |
건설사 | 성원컨소시엄 (성원건설, 동부건설, 쌍용건설) |
사용 팀 및 대회 | |
홈 경기장 | 전북 현대 모터스 FC (2002년~현재) |
주요 대회 | 2002년 FIFA 월드컵 2003년 전국체육대회 2003년 피스컵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7년 FIFA U-20 월드컵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2004년~2024년) AFC 챔피언스리그 투 (2024년~2025년) 코리아컵 (현재) K리그 챔피언십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24년) K리그1 (2002년~현재) |
이미지 | |
![]() |
2. 역사
2002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주종합경기장의 별명인 '전주성'(한옥식 디자인과 성문 형태의 입구에서 유래)을 이어받아 '전주성'이라 불린다. 경기장은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이 지붕을 받치고 있다. 관중들은 하천 위의 다리를 건너 경기장에 입장하도록 설계되었다.
1999년 2월 19일에 착공하여 2001년 11월 8일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공식 개장하였다. 2011년 6월 7일과 2013년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가나전과 크로아티아전 평가 경기가 열렸다. 경기장 근처에는 전주 나들목(전주IC) 및 호남제일문 고속/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2. 1. 건설 배경
2002 FIFA 월드컵을 개최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주월드컵경기장 이전에 사용되던 전주종합경기장의 별명인 '전주성'(한옥식으로 디자인된 부분이 있고 입구가 성문으로 되어있어서 붙여진 별명)을 이어받아 '전주성'이라 불린다. 경기장은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관중들이 하천 위의 다리를 건너 경기장에 입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경기장 건설은 1999년 2월 19일에 시작되어 2년 후인 2001년 11월 8일에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에 의해 공식 개장하였다.
2. 2. 2002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였다. 전주월드컵경기장은 이 대회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1999년 2월 19일에 착공하여 2년 후인 2001년 11월 8일에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공식 개장되었다.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는 조별 리그 2경기와 16강전 1경기, 총 3경기가 개최되었다.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2002년 6월 7일 | 스페인 | 3 - 1 | 파라과이 | B조 2차전 |
2002년 6월 10일 | 포르투갈 | 4 - 0 | 폴란드 | D조 2차전 |
2002년 6월 17일 | 멕시코 | 0 - 2 | 미국 | 16강전 5경기 |
2. 3. 전북 현대 모터스 홈구장
2002 FIFA 월드컵 개최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주종합경기장의 별명인 전주성(한옥식 디자인과 성문 형태의 입구에서 유래)을 이어받아 전주성이라 불린다.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이 지붕을 받치고 있다. 관중들은 하천 위의 다리를 건너 경기장에 입장하도록 설계되었다.2011년 6월 7일과 2013년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평가전(가나전, 크로아티아전)이 각각 개최되었다.
경기장 근처에는 전주 나들목(전주IC) 및 호남제일문 고속/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날짜 | 홈팀 | 스코어 | 원정팀 | 비고 | 관중수 |
---|---|---|---|---|---|
2006년 11월 1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0 | 알카라마 | AFC 챔피언스리그 2006 결승전 1차전 | 25,830 |
2009년 12월 6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3 - 1 | 성남 일화 천마 |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9 2차전 | 36,246 |
2010년 8월 25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0 - 3 | FC 서울 | 리그컵 2010 결승전 | 15,891 |
2011년 11월 5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2 | 알사드 | AFC 챔피언스리그 2011 결승전 | 41,805 |
2011년 12월 4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울산 현대 |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11 2차전 | 33,554 |
2013년 10월 19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1 - 1 | 포항 스틸러스 | FA컵 2013 결승전 | 23,477 |
2016년 11월 19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알아인 | AFC 챔피언스리그 2016 결승전 1차전 | 36,158 |
2. 4. 기타 주요 경기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2003년 7월 16일 | Los Angeles Galaxy|로스앤젤레스 갤럭시영어 | 0 - 0 | Club Nacional de Football|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es | B조 |
2003년 7월 19일 | 올랭피크 리옹 | 1 - 0 | 성남 일화 천마 | A조 |
2005년 8월 1일 | 대한민국 | 2 - 0 | 중국 | 1차전 |
2005년 8월 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0 | 일본 | 1차전 |
2005년 8월 4일 | 대한민국 | 0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차전 |
2006년 11월 1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0 | 알카라마 SC | AFC 챔피언스리그 2006 결승전 1차전 |
2009년 12월 6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3 - 1 | 성남 FC |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9 2차전 |
2010년 8월 25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0 - 3 | FC 서울 | 리그컵 2010 결승전 |
2011년 11월 5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2 | 알사드 SC | AFC 챔피언스리그 2011 결승전 |
2011년 12월 4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울산 현대 |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11 2차전 |
2013년 10월 19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1 - 1 | 포항 스틸러스 | FA컵 2013 결승전 |
2016년 11월 19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알아인 FC | AFC 챔피언스리그 2016 결승전 1차전 |
3. 시설
2002 FIFA 월드컵 개최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주종합경기장의 별명인 '전주성'(한옥식 디자인과 성문 형태의 입구)을 이어받아 '전주성'이라 불린다.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이 특징이다. 관중들은 하천 위 다리를 건너 입장한다.
2011년 6월 7일과 2013년 9월 10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가나전과 크로아티아전 평가전이 이곳에서 열렸다.
경기장 근처에는 전주 나들목(전주IC) 및 호남제일문 고속/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건설 비용은 1.45조원이다.
3. 1. 디자인
부채처럼 곡선을 그리며 크게 펼쳐진 지붕 디자인은 전주의 공예품인 합죽선을 이미지한 것이며, 부채꼴 지붕을 지탱하는 네 개의 기둥은 풍년과 마을의 안전을 기원하는 솟대를 형상화한 것이다. 기둥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가야금이라는 전통 악기의 현을 이미지하여 한국 고유의 전통미를 표현한 경기장이다.
관중석이 그라운드에 가깝고 높이도 있어 臨場感(임장감)이 뛰어나다. 2층석과 1층석 전면을 제외하고는 지붕이 덮여 있어 비가 와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다. 그라운드 내부의 우수 배수 시설이 훌륭하여 비가 오지 않을 때와 같은 환경에서 축구를 할 수 있다.
3. 2. 관람 환경
관중석이 그라운드에 가깝고 높이도 있어 임장감이 뛰어나다. 2층석과 1층석 전면을 제외하고는 지붕이 덮여 있어 비가 와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다. 그라운드 내부의 우수 배수 시설이 훌륭하여 비가 오지 않을 때와 같은 환경에서 축구를 할 수 있다.[1]
4. 교통
경기장 근처에는 전주 나들목(전주IC) 및 호남제일문 고속/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 서울에서 자동차로 약 3시간, 부산에서 자동차로 약 5시간 거리이다.
- 시내 순환 버스 1번을 타고 월드컵경기장 남문에서 하차한다. 기린대로 전주시청 버스 정류장, 버스터미널과 가까운 금암1동 주민센터 버스 정류장 등에서 승차할 수 있다. 1번 버스는 한 방향 순환이며, 돌아오는 반대 방향 버스는 2번이다.
- 전주역에서 시내버스 337번(우석대학교행)을 타고 금암1동 주민센터에서 하차하여 위 버스로 갈아타거나, 조촌초등학교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1.5km 이동한다.
- 전주역에서는 536, 542, 545, 546, 552번 버스를 타고 국민은행 금암지점에서 하차하여, 도로 반대편 전북일보사 버스 정류장에서 1번 버스로 갈아탈 수도 있다.
- 전주시 시내버스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으므로, 관광 사이트 등에 게시된 정보와 다를 수 있다.
- 택시를 이용하면 전주 시내에서 15분 거리이다.
5. 기타
2002 FIFA 월드컵을 개최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2년부터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주월드컵경기장 이전에 사용되던 전주종합경기장의 별명인 '전주성'(한옥식으로 디자인된 부분이 있고 입구가 성문으로 되어있어서 붙여진 별명)을 이어받아 '전주성'이라 불린다. 경기장은 합죽선을 형상화한 지붕, 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하는 케이블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관중들이 하천 위의 다리를 건너 입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11년 6월 7일과 2013년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평가전인 가나전과 크로아티아전이 각각 개최되었다.
경기장 근처에는 전주 나들목(전주IC) 및 호남제일문 고속/시외버스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derdogs Al Sadd crowned Asian champions
https://www.aljazeer[...]
2023-09-02
[2]
뉴스
2002년 전주월드컵경기장 기공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2-02
[3]
서적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17년말 기준)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4]
백과사전
전주월드컵경기장
http://www.doopedia.[...]
두산
[5]
웹인용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조직
https://web.archive.[...]
전주시시설관리공단
2019-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