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 레이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투기 레이더는 전투기의 핵심 장비로, 종류에 따라 기계식, PESA, AESA 레이더 등으로 구분된다. 각국은 자체 개발 또는 수입을 통해 다양한 전투기 레이더를 운용하며, 미국은 레이시온과 노스롭 그러먼을 중심으로, 러시아는 파조트론과 NIIP, 유럽은 BAE 시스템즈, 탈레스, ELTA 등에서 레이더를 개발한다. 일본은 세계 최초로 AESA 레이더를 실전 배치했으나 초기 기술적 한계를 보였으며, 중국은 자체 개발한 레이더를 전투기에 장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기 레이더 - 에리아이
에리아이는 에릭슨이 개발한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탑재한 조기경보통제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종에 탑재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며 400km 이상의 탐지 범위와 다양한 작전 모드를 제공한다. - 항공기 레이더 - AN/APG-77
AN/APG-77은 노스럽 그루먼과 레이시온이 개발한 AESA 방식의 항공 레이더로, 저피탐지 성능과 다목표 동시 추적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개량형인 AN/APG-77(v)1은 지상 공격 능력을 향상시켰다. - 군용 레이더 - AN/SPY-1
AN/SPY-1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핵심인 록히드 마틴의 3차원 대공 레이다로, S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상 배열 레이다이며, 함정에 고정된 4개의 안테나로 다수의 목표물을 탐지, 추적, 요격할 수 있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군용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 전투기 레이더 | |
|---|---|
| 개요 | |
![]() | |
| 유형 | 항공기 탑재 레이더 |
| 용도 | 공대공 전투, 공대지 공격, 기상 감지 |
| 기술적 특징 | |
| 주파수 대역 | X대역 Ku대역 |
| 스캔 방식 | 기계식 스캔 능동 위상 배열 (AESA) |
| 탐지 거리 | 수십에서 수백 킬로미터 |
| 표적 추적 능력 | 다중 표적 동시 추적 |
| 기타 기능 | 지상 이동 표적 지시 (GMTI) 합성 개구 레이더 (SAR) 도플러 빔 샤프닝 (DBS) |
| 주요 전투기 레이더 | |
| 미국 | AN/APG-63 AN/APG-65 AN/APG-66 AN/APG-68 AN/APG-73 AN/APG-77 AN/APG-79 AN/APG-81 AN/APG-82 |
2. 레이더의 종류
2. 1. 기계식 레이더
2. 2. PESA 레이더
2. 3. AESA 레이더
3. 국가별 레이더
3. 1. 미국
## 레이시온- AN/APG-63 : F-15C/D 전투기에 탑재되는 공대공 레이더이다.
- AN/APG-63v1/v3 : F-15K(v1, 기계식, 펄스도플러방식, 최대 161km), F-15 F-15SG (v3 AESA방식, 약 1500개 소자)에 탑재되는 공대공/공대지 레이더이다. v2는 알래스카 배치 F-15 기체에만 시험적으로 소량 장착되었으며, 소자 1500개로 사각형 모양이다. v3는 F-15C/D 미군 기체에만 현재 장착 중이며, 소자 수는 약 1500개이고 다각형 모양이다. v4는 v3 이후 나온 것으로 82v(1)일 것으로 추정된다.
- AN/APG-65 : F/A-18C/D, AV-8B+, F-4F ICE에 탑재되는 다중모드 화력통제 레이더이다.
- AN/APG-70(AN/APG-63SAR) : F-15C/D/E에 탑재되는 AN/APG-63 개량형으로, NCTR(표적식별)기능이 추가되었다. AN/APG-63 v1/v2 보다는 하위의 레이더이다. 지형추적기능의 공대지모드, 자동포착수색범위 18.5km(2.6m급 목표식별), 지상매핑 수색범위 92km, 공대공 185km, 해상수색범위 최대 37km(10m급 목표식별) 기능을 제공한다.
- AN/APG-71 : F-14D에 탑재되는 AN/AWG-9 개량형 레이더이다.
- AN/APG-73 : F/A-18C/D/E/F에 탑재되는 AN/APG-65 개량형 레이더이다.
- AN/APG-79 : F/A-18E/F 슈퍼호넷에 탑재되는 1100개 모듈 AESA 방식 레이더이다. 실전배치된 AESA 중 최초로 공대지, 공대공 동시추적이 가능하다. AN/APG-73 RUG 3의 개량형이며, AN/APG-77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2005년에 4세대 소자로 테스트되었다.
- RACR(Raytheon Advanced Combat Radar) : AESA 방식으로, APG-79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F-16 및 F/A-18A+/C/D를 위해 개발 중이며, 경쟁사의 SABR보다 빠른 개발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KF-16에 제안되었으며, 한국 공군 장교와 실무자들에게 기밀 브리핑까지 마쳤다.
- AN/APG-82 : F-15SE에 탑재가 예상되는 AESA 레이더이다. APG-63v3의 안테나와 APG-79의 신형 back-end processor를 통합했다. 2009년 9월 F-15E에도 장착할 레이더로 AN/APG-82v(1)이 선정되었으며, 2014년 초기운용능력 확보 예정이다.
## 노스롭 그러먼
- AN/APG-66 : F-16A/B(95km), F-4EJ 호크200(단좌모델)에 탑재되는 소형 화력통제 레이더이다. AIM-120 공대공미사일에도 직경 15cm 공간에 휴즈사에 의해 축약되어 탑재되었다.
- AN/APG-68 : F-16C/D에 탑재되는 AN/APG-66 개량형이다. F-16K 블록32(초기형) 115km, KF-16(v5)(v7) 129km의 탐지 거리를 갖는다. 가장 최신형은 SAR 기능이 추가된 AGP-68(v9)이며, 이스라엘 F-16에 미국의 압력으로 EL/M-2032 대신 68v(9)가 장착되었다.
- AN/APG-76 : 이스라엘의 F-4 팬텀 2000 업그레이드용 레이더이다.
- AN/APG-77 : F/A-22에 탑재되는 AESA 방식 레이더이다. 모든 방향에 대해 탐색할 수 있도록 여러 개로 구성되어 기수뿐 아니라 동체 다른 부분에도 장착된다. 초기 2001년경 1~2세대 소자는 1500개였으나 이후 2000개를 거쳐 2200개까지 증가하였다. 원형 모양이다.
- AN/APG-80 : F-16E/F에 탑재되는 1000개 모듈 AESA 방식 레이더이다. AN/APG-68의 주요 부분을 재설계했으며 원형 모양이다. AN/APG-68(v)7의 거의 2배의 공대공 탐지거리를 제공한다.
- AN/APG-81 : F-35A/B/C에 탑재되는 AN/APG-77에서 소자만 1200개로 줄인 축소형 레이더이다. 3세대 소자를 사용하며 원형 모양이다. 아직 개발 중인 F-35와 달리 81 레이더는 이미 실전배치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되었으나, 82 레이더보다 숫자가 하나 적어 마케팅상의 문제를 겪고 있다.
- SABR(확장식 고속빔레이더) : AN/APG-81을 변형한 형태이며, -81의 다운그레이드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AN/APG-80에 기반하고 있다. F-16의 레이더 개량 시장에 대한 수출형 모델로 아직 개발 중이다. 14kg의 중량, 기존 F-16의 구조, 전력, 냉각장치 개조 없이 탑재 가능하며, 가격도 기존 AESA보다 낮고 기존 기계식 레이더와 동일 가격 판매를 선언했다. KFX나 F-50에도 장착 가능하다고 2009 서울에어쇼(ADEX)에서 언급하였으나, 한국에 대한 기술이전은 매우 제한될 것으로 복수의 미국 현지 소식통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TA-50, FA-50에의 장착도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SABR 레이더의 안테나와 백엔드 부분은 F-16보다 크거나 작은 항공기를 위해 크기 조정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미국 내 F-16 시장도 바라보고 있다. AN/APG-80보다 적은 공간, 전력, 냉각 장치로 설치될 수 있다고 홍보되고 있다. 노스럽 그러먼이 미 공군 훈련기 도입 사업인 T-X 사업용으로 M-346에 장착을 위해 이탈리아와 접촉 중이다. 2010년 2월 2일, 오랫동안 미국 정부의 수출 허가가 나지 않다가 수출 상담용 기술 정보 제공 허가가 떨어졌다.
## 기타
- AN/APG-153 : F-5E 타이거1에 탑재된 레이더.
- AN/APG-157 : F-5F 타이거1에 탑재된 레이더.
- AN/APG-159 : KF-5E/F 타이거2에 탑재된 레이더 (타이거1에 비해 탐색거리 2배 증가).
- AN/APG-67 : 록히드 마틴(LM)에서 제작. F-20, F-CK-1(GD53)(105km), TA-50(v4) 시제기(80km)에 탑재되는 소형 화력통제 레이더이다. 정확하게는 AN/APG-67은 LMMSS 제작으로 LM과 동일 회사는 아니라고 함(관계회사인 듯). (v4)는 옵션으로 SAR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3. 1. 1. 레이시온
(빈칸)3. 1. 2. 노스롭 그러먼
(내용 없음)3. 1. 3. 기타
(빈칸)3. 2. 러시아
- 자슬론(나토명 플래쉬댄스) 파조트론 MiG-31B/M PESA 방식 레이더. 사거리는 139km이다.
- N-019(나토명 슬롯백) 파조트론 MiG-29, J-8IIM 다중모드 화력통제 레이더. 탐지거리는 100km이며, HMS 기능이 있다.
- N-019M Mig-29S(펄크럼-C)
- N001 NIIP Su-27 다중모드 화력통제 레이더. 탐지거리는 127km이다.
- N011M NIIP Su-30, Su-35, Su-30MKI PESA 방식.
- Zhuk-AE Phazotron MiG-29M/33/35 러시아의 첫 번째 AESA 레이더. 공대공 탐지거리는 120km, 공대함 탐지거리는 300km이다.
- Irbis-E Tikhomirov NIIP Su-35BM PESA방식.
- SH121 AESA Tikhomirov NIIP T-50(PAK-PA, Su-50) 러시아의 2번째 AESA 레이더. 1520여개 모듈, 오토파일럿 기능 포함. 기체 다른 부위에도 레이더 장착(AFAR방식-총5개, X밴드3개 L밴드2개)
3. 2. 1. 파조트론
(내용 없음)3. 2. 2. NIIP
(내용 없음)3. 3. 유럽
3. 3. 1. 영국
- BAE 시스템즈 폭스헌터 : BAE 시스템즈 토네이도 F.3 다중모드 화력통제 레이더이다.
- BAE 시스템즈 블루빅슨 : BAE 시스템즈 시해리어 FA.2 다중모드 화력통제 레이더이다. 성능이 우수해 유로파이터 레이더의 모체가 된다.
- Selex ES VIXEN-500E : AESA 1200여개 모듈,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들어간 CAPTOR 레이더의 축소형이다. 미국제 AN/APG-65의 기술이 들어가 있어 미국의 반대로 한국 수출이 좌절된 레이더이다. M-346 경공격기형에 탑재가 결정된 바 있다. 그리펜NG 역시 프랑스제 레이더의 수출 허가 문제로 빅센 500으로 레이더를 바꿔 달 예정이다.
- Selex ES Vixen 1000E/ES-05 Raven : AESA방식 그리펜 Demo 기체로 2009년 10월에 첫 테스트, 회전식AESA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념은 이후 유로파이터용 레이더에도 적용이 관심사이다. 타이푼은 CAPTER-E AESA레이더도 있지만, Selex ES에 의해 Vixen 1000E/ES-05 Raven AESA레이더 역시 제공되고 있다.
3. 3. 2. 스웨덴
스웨덴은 사브(SAAB)에서 개발한 전투기 레이더를 사용한다.- PS-05/A는 에릭슨(Ericsson)에서 개발한 JAS 39 그리펜에 탑재되는 다중모드 화력통제 기계식 레이더이다.
- NORA는 에릭슨에서 개발한 JAS 39NG (SuperGripen)에 탑재될 발전형 AESA 방식 레이더로, 약 1000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중)
3. 3. 3. 프랑스
- RBE2: 탈레스에서 개발한 라팔 전투기용 PESA 방식 레이더이다. 스위칭 노이즈 문제로 탐지 거리가 짧았다. 유로파이터에 쓰인 AMSAR 레이더의 파생형이다.
- RBE2AA: 탈레스에서 2003년 미국제 GaAs(갈륨비소) 반도체 소자(MMIC)를 수입하여 3시간 만에 기존 RBE2에 교체하여 만든 라팔의 AESA 방식 레이더이다. 탐지 거리가 크게 늘어났다. 추후 AlGaN/GaN(질화갈륨) 소자로 교체될 예정인데, 이는 더 물리적으로 견고하고 탐지 거리가 뛰어난(레이더파의 세기가 GaAs의 20배) 소자이다. RBE2 AESA 레이더는 라팔 F3 버전에 2012년 이후 장착될 예정이다.
- RDY-2: 탈레스에서 개발한 미라주 2000-5/-9 전투기용 레이더로, RDM을 개량한 것이다.
3. 3. 4. 이탈리아
- 그리포(Grifo)는 FIAR에서 제작한 다목적 레이더이다.
- 그리포(Grifo) 레이더는 F-5, F-7, 미라지III, L-159, JF-17등의 전투기에 사용된다.
3. 3. 5. 국제 공동
ECR-90 유로레이더(셀렉스+EADS)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의 블루빅슨 레이더를 개량한 것이다.AMSAR GTDAR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장착될 예정인 1,500개 모듈의 AESA 방식 레이더로,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에 완성될 예정이었다(GaAs).
CAESAR는 유로파이터 tranche3A에 장착될 AMSAR 레이더의 다른 이름으로, AESA 방식이며 2007년에 장착 비행 시험을 거쳤다.
CAPTER-E 유로레이더는 AESA 레이더 방식으로, 유로파이터 tranche3A에 2012년부터 장착될 예정이었으며, CAESAR와 아마도 같은 레이더로 추정된다.
CAPTER 유로레이더는 유로파이터 tranche1/2에 현재 사용 중인 기계식 레이더이다.
3. 4. 이스라엘
- EL/M-2022 ELTA F-16(이스라엘, 해상형)
- EL/M-2035 ELTA 라비(이스라엘,미국이 반대)
- EL/M-2032 ELTA F-16(이스라엘) F-5(칠레), F-4(터키), MiG-21(버마) FA-50 TA-50(양산기) 2035개량형 소형화력통제레이더. AN/APG-66을 바탕으로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 라비전투기에 장착하려 개발되었지만, 이후 이스라엘 F-16에 장착하려다가 미국의 반대로 이스라엘 F-16에는 AN/APG-68v(9)가 장착되었다.
- EL/M-2052 ELTA AESA방식, EL/M-2032에서 안테나와 트랜스미터만 교체해 2052 AESA 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3. 4. 1. ELTA
(내용 없음)3. 5. 아시아
3. 5. 1. 일본
미쓰비시 F-2 전투기에 탑재된 J/APG-1은 세계 최초로 실전배치된 AESA 레이더였다. 800개의 소자를 가진 이 레이더는 편대기로 동시 운용 시 한쪽 기체의 레이더가 먹통이 되거나 소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겪었다. 이는 초기 AESA 레이더 기술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일본의 기술적 자만심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평가되기도 한다.3. 5. 2. 중국
중국은 자체 개발한 레이더를 전투기에 장착하고 있다. JL-10(A) LETRI J-10은 주크 레이더의 파생형이다. KLJ-10은 FC-1 전투기(파키스탄 수출분 50대)에 탑재된다.4. 대한민국
4. 1. 운용 현황
4. 2. 개발 현황
5. 결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