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절연파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연 파괴는 절연체에 충분히 강한 전기장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절연체의 전하 운반자 수가 급증하여 전도체처럼 변하는 것이다. 이는 물질의 유전 강도를 초과하는 전기장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체, 액체, 기체에서 서로 다른 메커니즘으로 나타난다. 절연 파괴는 전기 회로에서 단락을 일으켜 장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스파크 갭과 같은 장치에서는 의도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관련 현상으로는 코로나 방전과 오존 생성이 있으며, 파괴 장치는 절연체의 파괴를 의도적으로 유도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절연파괴
개요
고체 절연체의 절연 파괴 시 빛을 내는 패턴
고체 절연체의 절연 파괴 시 빛을 내는 패턴. 절연체에 높은 전압이 가해지면 약한 지점에서 전류가 새어 나와 연면 방전이 발생하여 나뭇가지 모양의 플라스마 채널이 형성된다.
정의
정의절연체가 더 이상 전기 절연체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
설명충분히 높은 전압이 가해지면 절연체가 갑자기 전기를 통하게 되는 현상
추가 설명일반적으로 고체 또는 액체 절연체에 적용되지만, 진공기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
전기 장비의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
절연 파괴 강도
정의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전압을 절연체의 두께로 나눈 값.
단위V/m (볼트/미터)
중요성절연체의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
주어진 절연체 재료에 대한 절연 파괴 강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짐 (샘플의 기하학적 구조, 전극의 모양, 절연체의 온도, 습도 및 전압이 적용되는 속도 등)
메커니즘
고체 절연체전자 사태 (electron avalanche) 또는 열 파괴 (thermal breakdown)와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할 수 있음
전자 사태: 전자가 절연체를 통해 가속화되어 다른 원자와 충돌하여 더 많은 전자를 방출하는 연쇄 반응
열 파괴: 절연체가 과열되어 저항이 감소하고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더 많은 열이 발생하여 결국 파괴로 이어짐
액체 절연체기포 형성, 불순물 또는 전기수력학적 불안정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
기체 절연체전리 과정에 의해 발생하며, 여기서 기체의 원자는 충분한 에너지로 충돌하여 이온과 전자를 생성하여 전도성 플라즈마를 형성함
영향
영향전기 장비의 단락, 손상, 화재 또는 폭발을 포함한 광범위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전력 시스템의 정전 및 통신 네트워크의 중단을 초래할 수 있음
예방
예방 방법절연체의 적절한 선택 및 사용
과전압 보호 장치의 구현
전기 장비의 정기적인 검사 및 유지 보수
응용
응용 분야고전압 스위치 및 피뢰기
고의적인 파괴는 플라스마 스위치, X선관 및 핵융합과 같은 응용 분야에 사용됨
같이 보기
같이 보기디젤 엔진에서 연료 분사를 위해 압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압전 변환기
연면 방전

2. 절연 파괴의 원리

전류는 물질 내에서 전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흐름이며, 전압에 의해 생성된다. 전기 전류를 구성하는 이동 가능한 하전 입자를 전하 운반자라고 한다. 물질에 따라 전하 운반자 역할을 하는 입자가 다른데, 금속 및 일부 고체에서는 전자의 일부(전도 전자)가, 전해질 및 플라스마에서는 이온과 전자가 전하 운반자이다.[1]

유리나 세라믹과 같이 전하 운반자가 적은 물질은 전기 저항이 높아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데, 이를 전기 절연체 또는 유전체라고 한다. 그러나 충분히 큰 전기장을 가하면 특정 전계 강도에서 물질 내 전하 운반자 수가 급증하여 전도체가 되는데, 이를 절연 파괴라고 한다.[1]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물리적 메커니즘은 물질에 따라 다르다. 고체에서는 전기장이 원자가 전자를 원자에서 끌어내 이동 가능하게 만들고, 다른 원자와의 충돌로 인한 열이 추가 전자를 방출한다. 기체에서는 전기장이 자유 전자를 가속시켜 기체 분자와 충돌시키고, 이온화를 통해 더 많은 자유 전자와 이온을 생성하는 타운센드 방전이라는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1]

여러 형태의 전기적 절연 파괴를 보여주는 테슬라 코일.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전기장 강도(미터당 볼트)는 재료의 고유 특성으로, ''유전 강도''라고 한다. 절연 파괴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전압은 ''절연 파괴 전압''이며, 재료의 유전 강도 외에도 물체의 크기, 모양, 전압 인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두 평평한 금속 전극 사이의 평평한 절연 시트에서 전기장 E는 전압 V를 절연체 두께 D로 나눈 값에 비례하므로, 절연 파괴 전압 V_\text{b}는 유전 강도 E_\text{ds}와 절연 길이의 곱에 비례한다.

:V_\text{b} = D E_\text{ds}

도체 모양은 절연 파괴 전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돌출된 부분, 날카로운 점, 모서리에서 전기장이 가장 높기 때문에 균질한 절연체의 절연 파괴는 주로 이러한 지점에서 시작된다.

절연 파괴는 국부적인 과정으로, 전기장이 국부적인 유전 강도를 초과하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전압이 충분히 낮으면 부분 방전에 그칠 수 있지만, 균질한 고체 절연체에서는 한 영역이 파괴되면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에 더 높은 전기장이 생성되어 절연 파괴가 빠르게 확산된다. 또한, 전자기파로 인해 전압 없이도 전기적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2. 1. 전하 운반자와 전기 전도

전류는 물질 내에서 전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으로 하전 입자의 흐름이며, 일반적으로 물질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생성된다. 전기 전류를 구성하는 이동 가능한 하전 입자를 전하 운반자라고 한다. 서로 다른 물질에서 서로 다른 입자가 전하 운반자 역할을 한다. 금속 및 일부 다른 고체에서는 각 원자의 외부 전자 중 일부(전도 전자)가 물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전해질 및 플라스마에서는 이온, 즉 전기를 띤 원자 또는 분자, 그리고 전자가 전하 운반자이다.[1] 금속과 같이 전도에 사용할 수 있는 전하 운반자의 농도가 높은 물질은 주어진 전기장에서 큰 전류를 전도하므로 전기 저항이 낮다. 이를 전기 전도체라고 한다.[1] 유리나 세라믹과 같이 전하 운반자가 적은 물질은 주어진 전기장에서 전류를 거의 전도하지 않으며 저항이 높다. 이를 전기 절연체 또는 유전체라고 한다. 모든 물질은 하전 입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절연체의 일반적인 특징은 음전하인 궤도 전자가 양전하인 원자핵에 단단히 결합되어 쉽게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2. 절연 파괴 과정

절연체에 충분히 큰 전기장이 가해지면, 특정 전계 강도에서 물질 내의 전하 운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저항이 감소하고 전도체가 된다.[1] 이를 '''절연 파괴'''라고 한다.

절연 파괴를 일으키는 물리적 메커니즘은 물질에 따라 다르다. 고체에서는 전기장이 외부 원자가 전자를 원자에서 끌어낼 만큼 강해져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다른 원자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열이 추가 전자를 방출하면서 발생한다.

절연 파괴는 국부적인 과정이며, 고전압 차이가 가해지는 절연 매체에서 절연체의 어느 지점에서든 전기장이 재료의 국부적인 유전 강도를 처음 초과하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도체 표면의 전기장은 돌출된 부분, 날카로운 점, 모서리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공기나 기름과 같은 균질한 절연체에 잠긴 도체의 경우 절연 파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점에서 시작된다. 고체 절연체의 경우 절연 파괴는 종종 세라믹 절연체의 균열이나 기포와 같은 국부적인 결함에서 시작된다.

전기적 절연 파괴는 가해진 전압 없이도 전자기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충분히 강렬한 전자기파가 물질 매체를 통과하면 파동의 전기장이 일시적인 전기적 절연 파괴를 일으킬 만큼 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작은 지점에 초점을 맞춘 레이저 빔은 초점 지점에서 공기의 전기적 절연 파괴 및 이온화를 일으킬 수 있다.

2. 2. 1. 부분 방전

전압이 충분히 낮으면 절연 파괴가 작은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는데, 이를 '''부분 방전'''이라고 한다. 날카로운 끝이 있는 도체에 인접한 가스에서는 코로나 방전 또는 브러시 방전과 같은 국부적인 절연 파괴 과정으로 인해 전류가 이온 형태로 도체에서 가스로 누설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균질한 고체 절연체에서는 한 영역이 절연 파괴되어 전도성이 된 후에는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전체 전압 차이가 절연체의 나머지 길이에 적용된다. 전압 강하는 더 짧은 길이에 걸쳐 발생하므로 나머지 재료에 더 높은 전기장이 생성되어 더 많은 재료가 절연 파괴된다. 따라서 절연 파괴 영역은 전압 구배(전기장) 방향으로 절연체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빠르게(나노초 이내) 확산되어 전압 차이를 가하는 두 접점 사이에 재료를 통과하는 연속적인 전도 경로가 생성되어 전류가 흐르면서 전기 아크가 시작된다.

2. 2. 2. 연쇄 반응

전기장이 충분히 강해지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소수의 자유 전자가 빠른 속도로 가속되어 기체 분자와 충돌하고, 이 과정에서 추가 전자를 떨어뜨리는 이온화 현상이 발생한다. 더 많은 분자가 이온화되면서 자유 전자와 이온이 추가로 생성되고, 이는 타운센드 방전이라고 불리는 연쇄 반응으로 이어진다.[1] 이처럼 대부분의 물질에서 절연 파괴는 이동 가능한 하전 입자가 추가 하전 입자를 방출하는 급속한 연쇄 반응을 통해 나타난다.

2. 3. 유전 강도와 절연 파괴 전압

전기 절연체 또는 유전체전기장이 가해져도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 물질이다. 모든 물질은 하전 입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절연체는 궤도 전자가 원자핵에 단단히 결합되어 이동하기 어렵다. 그러나 충분히 강한 전기장이 가해지면 특정 전계 강도에서 전하 운반자 수가 급증하여 절연체가 전도체가 되는데, 이를 ''절연 파괴''라고 한다.[1]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전기장 강도(미터당 볼트)는 절연 재료의 고유 특성이며, 이를 ''유전 강도''라고 한다. 주어진 절연 물체에서 절연 파괴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전압을 해당 물체의 ''절연 파괴 전압''이라고 한다. 절연 파괴 전압은 재료의 유전 강도 외에도 물체의 크기와 모양, 전압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두 개의 평평한 금속 전극 사이에 있는 평평한 절연 시트에서 전기장 E는 전압 V를 절연체의 두께 D로 나눈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절연 파괴 전압 V_\text{b}는 유전 강도 E_\text{ds}와 두 도체 사이의 절연 길이의 곱에 비례한다.

:V_\text{b} = D E_\text{ds}

도체의 모양은 절연 파괴 전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체 표면의 전기장은 돌출된 부분, 날카로운 점, 모서리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균질한 절연체에 잠긴 도체의 경우 절연 파괴는 주로 이러한 지점에서 시작된다.

3. 절연 파괴의 종류

절연 파괴 메커니즘은 고체, 액체, 기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절연 파괴는 전극 재료, 도체 재료의 날카로운 곡률(국소적으로 전계가 강화됨), 전극 사이의 간격 크기, 간격 내 재료의 밀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고체, 액체, 기체에서의 절연 파괴는 각각 다른 메커니즘을 가진다. 고체에서는 부분 방전이, 액체에서는 기포, 불순물, 과열 등이, 기체에서는 전압 구배에 의한 이온화 등이 주요 원인이다.

3. 1. 고체 절연 파괴

전력 케이블과 같은 고체 재료에서 절연 파괴는 일반적으로 균열이나 기포와 같은 결함으로 인한 장기간의 부분 방전 때문에 발생한다. 부분 방전은 국부적인 이온화 및 가열 현상을 일으켜 결함에 가장 가까운 절연체 및 금속을 열화시킨다. 결국 부분 방전은 전류를 전달하는 탄화 물질 채널을 통해 탄화된다.[1]

3. 2. 액체 절연 파괴

액체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가능한 메커니즘에는 기포, 작은 불순물, 그리고 전기적 과열이 있다. 액체에서의 절연 파괴 과정은 유체역학적 효과로 인해 복잡해지는데, 이는 전극 사이의 간극에 있는 비선형 전계 강도에 의해 유체에 추가적인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초전도 냉각제로 사용되는 액화 가스 - 예를 들어 4,200의 헬륨 또는 77,000의 질소 - 에서 기포는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유랭식 및 유입 절연 변압기에서 절연 파괴를 위한 전계 강도는 약 20kV/mm이다(건조 공기의 경우 3kV/mm에 비해). 정제된 오일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입자 오염 물질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3. 3. 기체 절연 파괴

기체 절연 파괴는 가스의 유전 강도를 초과할 때 가스 내에서 발생한다. 강한 전압 구배 영역은 근처 가스를 부분적으로 이온화시키고 전도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형광등과 같은 저압 방전에서 의도적으로 수행된다. 가스의 전기 절연 파괴를 유발하는 전압은 파센의 법칙에 의해 근사된다.

공기 중의 부분 방전은 뇌우 또는 고전압 장비 주변에서 "신선한 공기" 냄새인 오존을 유발한다. 공기는 일반적으로 훌륭한 절연체이지만, 충분히 높은 전압(약 3MV/m 또는 3kV/mm[3]전기장)에 의해 응력을 받으면 공기는 분해되기 시작하여 부분적으로 전도성이 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간극에서 공기 중의 절연 파괴 전압은 간극 길이와 압력의 함수이다. 전압이 충분히 높으면 공기의 완전한 전기적 절연 파괴는 전체 간극을 연결하는 전기 스파크 또는 전기 아크로 끝날 것이다.

스파크의 색상은 기체 매체를 구성하는 가스에 따라 달라진다. 정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작은 스파크는 거의 들리지 않지만, 더 큰 스파크는 종종 큰 찰칵 소리나 쾅 소리를 동반한다. 번개는 수 마일 길이일 수 있는 거대한 스파크의 예이며, 그로 인해 생성되는 천둥은 매우 먼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다.

4. 절연 파괴의 영향

전기 회로에서 절연 파괴는 일반적으로 원치 않는 현상이지만, 가스 방전 램프 튜브와 같이 가역적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외부 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충분히 빨리 제거되면 재료에 손상이 없고, 가해지는 전압을 낮추면 재료가 절연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번개정전기로 인한 불꽃은 공기의 절연 파괴의 자연적인 예이다. 절연 파괴는 고전압 변압기 또는 축전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고체 또는 액체 절연 재료의 고장과 자주 관련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단락 또는 퓨즈 파손으로 이어진다. 전기 절연 파괴는 또한 가공 전력선을 지지하는 절연체, 지하 전력 케이블 내부 또는 근처 나무 가지로 아크가 발생하는 선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유전체 절연 파괴는 집적 회로 및 기타 고체 전자 장치의 설계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장치의 절연층은 정상 작동 전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정전기와 같은 더 높은 전압은 이러한 층을 파괴하여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축전기의 유전 강도는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과 장치의 안전 작동 전압을 제한한다.[2]

4. 1. 전기 회로 및 장비 손상

실용적인 전기 회로에서 절연 파괴는 일반적으로 원치 않는 현상이며, 절연 재료의 고장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하여 장비에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전력 회로에서 저항이 갑자기 감소하면 재료를 통해 높은 전류가 흘러 전기 아크가 발생한다. 안전 장치가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지 않으면 갑작스러운 극한의 줄 가열로 인해 절연 재료나 회로의 다른 부품이 녹거나 폭발적으로 증발하여 장비가 손상되고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2] 차단기 및 전류 제한과 같은 회로의 외부 보호 장치는 높은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4. 2. 절연 파괴의 활용

형광등, 네온등, 제너 다이오드, 애벌런치 다이오드, 임팩트 다이오드, 수은 증기 정류기, 사이어트론, 이그나이트론, 크라이트론 튜브 및 점화 플러그와 같은 여러 전기 부품은 정상 작동 과정에서 절연 파괴 현상을 활용한다.[4]

퓨즈나 회로 차단기가 전력 회로의 스파크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지 못하면, 전류는 계속 흘러 매우 뜨거운 전기 아크(약 30000°C)를 형성할 수 있다. 아크의 색상은 주로 전도성 가스에 따라 달라지며, 일부는 아크 내의 뜨거운 플라즈마로 증발되어 혼합되기 전에는 고체였을 수도 있다. 아크 안팎의 자유 이온은 재결합하여 오존, 일산화 탄소, 아산화 질소와 같은 새로운 화학 화합물을 생성한다. 오존은 독특한 냄새로 인해 가장 쉽게 감지된다.[4]

스파크와 아크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가솔린 엔진의 점화 플러그, 금속의 전기 용접, 또는 전기로에서 금속을 녹이는 것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유용할 수 있다. 가스 방전 전에 가스는 원자의 에너지 준위에 따라 뚜렷한 색상으로 빛난다.

진공 자체는 슈윙거 한계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전기적 절연파괴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5. 절연 파괴와 관련된 현상

코로나 방전은 높은 전압을 가진 도체에서 전기적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지점에서 공기의 부분적인 절연 파괴를 일으킨다. 오존 발생기는 정수 과정에 3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 오존은 염소보다 강력한 독성 가스로, 여과된 물에 용해되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죽이고, 불쾌한 냄새와 맛을 제거한다. 과다 투여된 잔여 오존은 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기체 산소로 분해된다.[3][6]

5. 1. 코로나 방전

공기의 부분적인 절연 파괴는 전압이 높은 도체의 전기적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지점에서 코로나 방전으로 발생한다. 날카로운 점이나 작은 반지름을 가진 공 모양의 도체는 유전체 파괴를 일으키기 쉽다. 왜냐하면 점 주변의 전계 강도가 평평한 표면 주변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고전압 장치는 절연 파괴를 촉진하는 집중된 전계를 피하기 위해 둥근 곡선과 등급 링으로 설계된다.[3]

코로나는 때때로 고전압 전선 주변에 푸른 빛을 띠는 현상으로 보이며, 고전압 전력선에서 지글거리는 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또한, 코로나는 라디오 수신기에서 '잡음'이나 윙윙거리는 소리로 들릴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잡음을 발생시킨다. 코로나는 뇌우 시 교회 첨탑, 나무 꼭대기 또는 선박의 돛대와 같은 높은 지점에서 "세인트 엘모의 불"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코로나 방전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복사기(제록스)와 레이저 프린터 작동에 필수적이었다. 많은 최신 복사기와 레이저 프린터는 전도성 롤러로 감광 드럼을 충전하여 원치 않는 실내 오존 오염을 줄인다.

피뢰침은 코로나 방전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 피뢰침을 향하는 전도성 경로를 만들어 잠재적으로 손상될 수 있는 번개를 건물 및 기타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지게 한다.[6]

5. 2. 오존 생성

부분 방전은 뇌우 또는 고전압 장비 주변에서 "신선한 공기" 냄새인 오존을 유발한다.[3] 코로나 방전은 오존 발생기를 통해 정수 과정에 3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 오존은 염소보다 강력한 독성 가스로, 여과된 물에 용해되어 박테리아를 죽이고 바이러스를 파괴하며, 불쾌한 냄새와 맛을 제거한다. 과다 투여된 잔여 오존은 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기체 산소로 분해되는 장점이 있다.[6]

코로나 방전은 복사기(제록스)와 레이저 프린터 작동에 필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전도성 롤러로 감광 드럼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실내 오존 오염을 줄이고 있다.

6. 파괴 장치

고체 절연체 내의 절연 파괴는 외관과 특성을 영구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그림은 리히텐베르크 도형을 보여준다.


'''파괴 장치'''는 절연체에 전기적 과부하를 가하여 장치의 절연 파괴 강도를 넘어서도록 설계되어, 의도적으로 장치의 전기적 파괴를 일으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괴는 절연체의 일부가 절연 상태에서 고도로 전기 전도를 띄는 상태로 급격하게 전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환은 전기 스파크 또는 플라즈마 채널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며, 잠재적으로 절연 재료의 일부를 통과하는 전기 아크가 뒤따르기도 한다.

절연체가 고체인 경우, 방전 경로를 따라 영구적인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재료의 절연 파괴 강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 장치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절연 재료가 액체 또는 가스인 경우, 플라즈마 채널을 통한 전류가 외부에서 차단되면 절연체는 절연 특성을 완전히 회복할 수 있다.

상업용 스파크 갭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펄스 전력 시스템에서 고전압을 갑자기 전환하고, 통신 및 전력 시스템에 대한 전압 서지 보호를 제공하며, 내연 기관에서 점화 플러그를 통해 연료에 불을 붙이는 데 사용된다. 스파크 갭 송신기는 초기 무선 전신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High Voltage Engineering, 2nd Ed.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Ltd. 2013
[2] 논문 Recovery of Alumina Nanocapacitors after High Voltage Breakdown 2017
[3] 웹사이트 Dielectric Strength of Air http://hypertextbook[...]
[4] 웹사이트 Lab Note #106 Environmental Impact of Arc Suppression http://www.arcsuppre[...] Arc Suppression Technologies 2011-04
[5] 서적 An Introduction to High Voltag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6] 서적 Sears and Zemansky's University Physics https://archive.org/[...] Addison Wesley
[7] 웹사이트 絶縁破壊(ぜつえんはかい)とは https://kotobank.jp/[...] 2020-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