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접시꽃(Alcea rosea)은 최대 2.4m까지 자라는 식물로, 큰 꽃을 피우며 잎은 심장 모양이다. 흰색, 분홍색, 노란색, 주황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가지며, 자가번식을 통해 번식한다. 녹병균에 취약하며, 한방에서 연고제, 하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만엽집과 겐지모노가타리 등 문학 작품에 등장하며, 영명 Hollyhock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욱아과 - 접시꽃속
접시꽃속은 유라시아 원산의 아욱과 속하는 한해살이,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과 별 모양 털이 덮인 잎을 가지며 관상용, 약용, 식용으로 활용된다. - 아욱아과 - 삼잎접시꽃속
삼잎접시꽃속은 과거 접시꽃속에 속했으나 현재는 독립된 속으로 분류되며, 삼잎접시꽃과 마시멜로를 포함하고 뿌리의 화학 성분과 꽃, 어린 잎이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된다. - 중국의 식물상 - 국화 (식물)
국화는 중국에서 약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2만 종에서 3만 종에 달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꽃의 형태와 색상이 다양하고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 실내 화분식물로 인기가 높고 경제적 가치가 높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훼 작물이다. - 중국의 식물상 -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6~8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꽃을 피우고 구맥이라고도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접시꽃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lcea rosea |
명명자 | L. |
이명 | Althaea rosea (L.) Cav. Alcea annua Winterl Alcea cretica (Weinm.) Greuter Alcea microchiton Alef. Althaea caribaea Sims Althaea chinensis Wall. Althaea coromandeliana Cav. Althaea cretica Weinm. Althaea flexuosa Sims Althaea meonantha Link Althaea mexicana Kunze Althaea microchiton (Alef.) Baker f. Althaea sinensis Cav. Malva florida Salisb. Malva hortensus K.F.Schimp. & Spenn. |
국명 | 타치아오이(立葵), 접시꽃 |
일본어 이름 | タチアオイ(立葵)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 |
강 | 진정쌍떡잎식물 |
아강 | 코어 진정쌍떡잎식물군 |
군 | 장미군 |
목 | 아욱목 |
과 | 아욱과 |
아과 | 아욱아과 |
속 | 접시꽃속 |
종 | 접시꽃 |
2. 특징
접시꽃은 원예용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량되었다. 키는 1~3m이며 줄기는 곧게 선다. 꽃은 6~8월에 곧게 뻗은 꽃줄기 아래쪽부터 위쪽으로 차례로 피어 올라간다. 장마철에 피기 시작하여 장마가 끝날 무렵 꽃이 지는 것을 비유하여 "ja(매우 아오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꽃은 홑겹과 겹겹이 피는 것이 있으며, 빨강, 분홍, 흰색, 보라색, 노란색 등 다채로운 색깔을 띤다. 꽃의 지름은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큰 것은 10cm 정도이다. 원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품종에 따라 한해살이풀이기도 하다.
꽃잎 밑부분은 점착성이 있어, 뽑은 꽃잎을 얼굴 등에 붙이고 닭 흉내를 내며 놀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홋카이도 일부에서는 '''코케코코 꽃''', '''코케코코오 꽃''', 아오모리현 일부에서는 "코케라코 꽃" 등으로 불린다.
최대 2.4m까지 자라는 접시꽃은 일반적으로 지지대가 필요 없으며, 지름 약 12cm의 큰 꽃을 피운다. 잎은 크고 심장 모양이다. 꽃은 아메리카 대륙의 벌새와 나비를 유인한다.[8]
2. 1. 재배
접시꽃은 이년생, 일년생, 또는 수명이 짧은 다년생 식물로 다양하게 설명된다.[4][5][3] 자가번식을 통해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우기도 한다.[4]씨앗으로 쉽게 재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키는 약 2.44m에 이른다. 꽃은 흰색에서 진한 빨간색까지, 분홍색, 노란색, 주황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진한 빨간색 품종은 모래 토양을, 밝은 색상의 품종은 점토 토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씨앗에서 막 싹튼 어린 식물이나 오래된 식물은 민달팽이와 달팽이의 피해를 볼 수 있다. 잎은 녹병균의 공격을 받기 쉬우며, 살균제로 처리할 수 있다.[6] 상업 재배자들은 일부 근연종(''Alcea rugosa''와 ''Alcea ficifolia'')이 이 균에 내성이 있다고 보고했다.[7]
2. 2. 병충해
잎은 녹병, 잎마름병, 탄저병에 취약하다. 해충 문제로는 일본잎벌레와 응애류가 있다. 잎에 대한 피해는 심할 수 있지만 꽃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8]3. 용도
한방에서 접시꽃은 연고제 및 하제로 쓰이며, 염증을 가라앉히고 야뇨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잇몸 출혈이 있을 때 입안을 헹구는 용도로도 쓰인다.[9]
일본에는 예로부터 약용으로 전해졌다고 알려져 있다.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 홋카이도 일부 지역에서는 '''코케코코 꽃''', '''코케코코오 꽃''', 아오모리현 일부 지역에서는 "코케라코 꽃"으로 불리기도 한다.
꽃잎과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된다.
4. 문화
=== 한국 ===
한국에서는 접시꽃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지역에서 '코케코코 꽃', '코케코코오 꽃'으로 부르며, 아오모리현 일부에서는 '코케라코 꽃' 등으로 부른다.[1] 아이들은 꽃잎을 얼굴에 붙이고 닭 흉내를 내는 놀이를 한다.[1] 아이즈와카마쓰시와 시즈오카시는 접시꽃을 시의 꽃으로 지정하고 있다.[1] 만엽집과 겐지모노가타리 등 일본 고전 문학 작품에도 접시꽃을 소재로 한 시가 등장한다.[1]
=== 기타 ===
영명 hollyhock영어은 접시꽃속(*Alcea*)의 여러 종을 가리키는 말이며, 때로는 다른 속의 종을 지칭하기도 한다.[10] 속설에 따르면 holly는 holy영어와 통하며, 이 꽃이 십자군에 의해 시리아(기독교 성지)에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어, "성지의 꽃"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11]
4. 1. 한국
한국에서는 접시꽃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지역에서 접시꽃을 '코케코코 꽃', '코케코코오 꽃'으로 부르며, 아오모리현 일부에서는 '코케라코 꽃' 등으로 부른다.[1] 아이들은 꽃잎을 얼굴에 붙이고 닭 흉내를 내는 놀이를 한다.[1] 아이즈와카마쓰시와 시즈오카시는 접시꽃을 시의 꽃으로 지정하고 있다.[1] 만엽집과 겐지모노가타리 등 일본 고전 문학 작품에도 접시꽃을 소재로 한 시가 등장한다.[1]4. 2. 기타
영명 hollyhock영어은 접시꽃속(*Alcea*)의 여러 종을 가리키는 말이며, 때로는 다른 속의 종을 지칭하기도 한다.[10]속설에 따르면 holly는 holy영어와 통하며, 이 꽃이 십자군에 의해 시리아(기독교 성지)에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어, "성지의 꽃"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11]
5. 갤러리
- -|]]
- -|]]
- -|]]
참조
[1]
POWO
Alcea rosea L.
2024-07-13
[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12: 267–268. 2007
http://flora.huh.har[...]
Harvard University
2011-07-21
[3]
웹사이트
Plant of the Month - Hollyhocks
https://web.archive.[...]
New Mexico State University Master Gardener Newsletter
2011-07-21
[4]
웹사이트
Hollyhock
http://www.gardening[...]
Cornell University
2011-07-21
[5]
웹사이트
Annual - Hollyhock - Althaea rosea
http://urbanext.illi[...]
University of Illinois
2011-07-21
[6]
웹사이트
Hollyhock rust
https://web.archive.[...]
Cornell University
2009-07-15
[7]
웹사이트
Yard & Garden Line New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2005-06-15
[8]
웹사이트
Alcea rosea (single)
https://www.missouri[...]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2-02-27
[9]
서적
Traditional Folk Remedies
Century
1987
[10]
문서
フヨウ属とゼニアオイ属の説明
[11]
뉴스
雨空にすっくと立つ名花・タチアオイは癒しと希望の魔法薬!
http://www.tenki.jp/[...]
tenki.jp (日本気象協会)
2016-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