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 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비 왕씨는 고려 충선왕의 제3비로, 1289년 세자비로 책봉되었다. 원래 원나라에 공녀로 차출될 예정이었으나, 충선왕의 뜻에 따라 세자빈이 되었다. 충선왕 복위 후 동성혼 금지 조치와 왕실 혼인 가능 가문 선정에 영향을 미쳤다. 1345년에 사망하여 정비로 추증되었으며,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에서 박환희가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5년 사망 - 수춘옹주
수춘옹주는 충선왕의 외동딸로, 1308년 옹주로 봉해진 후 양천 허씨 허종과 혼인하여 정안부원부인에 봉해졌으며, 1345년 사망하였다. - 1345년 사망 - 연안군 (왕족)
연안군 왕고는 고려 후기의 왕족으로 충선왕의 총애를 받아 연안군에 봉해졌고, 심왕에 책봉되어 원나라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고려의 왕위를 여러 차례 노렸으나 실패했다. - 개성 왕씨 - 왕영은
왕영은은 1981년 방송 데뷔 후 다양한 TV,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 CF 모델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며, 현재 SBS 《좋은 아침》, 현대홈쇼핑 《왕영은의 톡 투게더》 등을 진행하고 있다. - 개성 왕씨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정비 왕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정비 왕씨 |
| 작위 | 비 |
| 시호 | 정비 (靜妃) |
| 배우자 | 충선왕 |
| 자녀 | 없음 |
| 왕조 | 고려 |
| 아버지 | 서원후 왕영 |
| 친척 | 신종(고조부), 양양공(증조부), 시안공(조부), 정신부주(고모) 등 |
| 출생일 | 미상 |
| 사망일 | 1345년 |
| 능묘 | 미상 |
| 국적 | 고려 |
| 왕실 정보 | |
| 칭호 | 왕세자비(정비) |
| 재위 시작 | 1289년 |
| 이전 | 정신왕후(왕세자비) |
| 이후 | 왕세자비 이씨 |
| 배우자 | 충선왕 |
| 혼인 | 1289년 |
| 사망 | 1325년 |
| 소속 가문 | 왕가(출생 및 혼인) |
| 종교 | 미상 |
| 가계 | |
| 아버지 | 서원후 왕영 |
| 어머니 | 변한국 순안비 황보씨 |
| 배우자 | 충선왕 |
2. 생애
정비 왕씨는 고려 충선왕의 제3비이다.
1287년(충렬왕 13년), 정비 왕씨는 원래 원나라에 바쳐질 공녀로 뽑혀 입조할 예정이었다. 당시 제국대장공주와 함께 온천에 가 있던 세자(훗날의 충선왕)는 안색이 좋지 않았다. 공주가 그 이유를 묻자, 충선왕은 "내가 서원후의 딸과 혼인하려 했는데, 지금 공녀로 선발되어 있는 까닭으로 기쁘지 아니합니다."라고 이야기하였다. 그리하여 공주는 사람을 시켜 왕씨의 공녀 선발을 중지시키고 집으로 되돌려보냈다.[3]
1289년(충렬왕 15년) 음력 2월 2일, 충선왕이 관례를 행하던 날 세자비로 책봉되었다.[4]
당시 원나라의 간섭 하에 있던 고려의 처지 때문에, 고모 정신부주가 충렬왕과 제일 먼저 혼인하고도 제국대장공주 때문에 제2비로 밀려났듯이, 정비 왕씨 역시 충선왕과 제일 먼저 혼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몽고 출신의 계국대장공주와 의비에 이어 제3비로 물러나야 했다. 당시 원 세조는 고려의 왕과 원나라 공주의 결혼을 관례로 정착시키려는 의도[5]에서 충선왕과 정비의 혼인을 근친혼이라며 비난했다.
1308년(충선왕 복위년), 충선왕은 자신의 복위교서에서 同姓|동성중국어끼리는 혼인할 수 없도록 하고,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15개의 가문을 선정하였다.[6]
靜妃|정비중국어 왕씨는 1345년(충목왕 원년)에 사망하였고, 사후 정비에 추증되었다.[7]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으며, 자녀는 없었다.
2. 1. 가계
증조부는 양양공 왕서이며, 조부는 시안공 왕인이며, 부친은 서원후 왕영이고, 외조부는 미상이다.충렬왕의 제2비인 정신부주(정화궁주)는 고모이며, 훗날 심양왕에 오른 왕고는 5촌 조카이다.[1]
또 시아버지이면서 고모부이기도 한 충렬왕은 10촌 종형제, 남편 충선왕은 그녀의 11촌 조카뻘이 된다.[2]
| 관계 | 이름 |
|---|---|
| 아버지 | 서원후 한국영헌공 왕영(1230–1291) |
| 할아버지 | 시안공 왕인(1195–1275) |
| 할머니 | 박씨(1196–?) |
| 고모 | 개성 왕씨 정신부주(1236 – 1316년 5월 4일) |
| 어머니 | 변한국 순안비 황보씨(1232–?) |
| 외할아버지 | 황보씨(1206–?) |
| 형 | 익양후 왕분(1263–?) |
| 형수 | 진한국 장경비 밀양 박씨(1265–?) |
| 형 | 서흥후 왕전(1270–1307) |
| 배우자 | 고려 충선왕 왕원(1275년 10월 20일 – 1325년 6월 23일) — 자녀 없음. |
2. 2. 공녀 차출과 세자비 책봉
1287년(충렬왕 13년)에 정비 왕씨는 원래 원나라에 바쳐질 공녀로 뽑혀 입조할 예정이었다.당시 제국대장공주와 함께 온천에 가 있던 세자(훗날의 충선왕)는 안색이 좋지 않았다. 공주가 그 이유를 묻자, 충선왕은 "내가 서원후의 딸과 혼인하려 했는데, 지금 공녀로 선발되어 있는 까닭으로 기쁘지 아니합니다."라고 이야기하였다. 그리하여 공주는 사람을 시켜 왕씨의 공녀 선발을 중지시키고 집으로 되돌려보냈다.[3]
1289년(충렬왕 15년) 음력 2월 2일 충선왕이 관례를 행하던 날 세자비로 책봉되었다.[4]
당시 원나라의 간섭 하에 있던 고려의 처지 때문에, 고모 정신부주가 충렬왕과 제일 먼저 혼인하고도 제국대장공주 때문에 제2비로 밀려났듯이, 정비 왕씨 역시 충선왕과 제일 먼저 혼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몽고 출신의 계국대장공주와 의비에 이어 제3비로 물러나야 했다. 또 당시 원 세조는 고려의 왕과 원나라 공주의 결혼을 관례로 정착시키려는 의도[5]에서 충선왕과 정비의 혼인을 근친혼이라며 비난했다.
2. 3. 충선왕의 동성혼 금지 조치
1308년(충선왕 복위년) 충선왕은 자신의 복위교서에서 同姓|동성중국어끼리는 혼인할 수 없도록 하고,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15개의 가문을 선정하였다.[6]2. 4. 사망과 후손
靜妃|정비중국어 왕씨는 1345년(충목왕 원년)에 사망하였고, 사후 정비에 추증되었다[7].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으며, 자녀는 없었다.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 아버지 | 서원후 왕영(한국영헌공) | 1230년~1291년 | |
| 할아버지 | 시안공 왕인 | 1195년~1275년 | |
| 할머니 | 박씨(朴氏) | 1196년~? | |
| 고모 | 개성 왕씨 정신부주 | 1236년~1316년 | |
| 어머니 | 변한국 순안비 황보씨 | 1232년~? | |
| 외할아버지 | 황보씨 | 1206년~? | |
| 형 | 익양후 왕분 | 1263년~? | |
| 형수 | 진한국 장경비 밀양 박씨 | 1265년~? | |
| 형 | 서흥후 왕전 | 1270년~1307년 | |
| 시아버지 | 충렬왕 | 1236년~1308년 | 재위: 1274년~1298년, 1298년~1308년 |
| 시어머니 | 제국대장공주 | 1259년~1297년 | |
| 남편 | 충선왕 | 1275년~1325년 | 재위: 1298년, 1308년~1313년, 자녀 없음 |
4. 대중문화 속 정비 왕씨
定妃 王氏중국어를 연기한 배우
참조
[1]
문서
정비의 가계
[2]
문서
고려 왕실 계보
[3]
서적
고려사 열전 권2 - 충렬왕 후비 제국대장공주
고려사
[4]
서적
고려사 열전 권30 - 충렬왕 15년 2월
고려사
[5]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정비〉항목
http://people.aks.ac[...]
2012-06-11
[7]
서적
고려사 열전 권2 - 충선왕 후비 정비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