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목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목왕은 고려의 제29대 왕으로, 충혜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의 덕녕공주이다. 8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덕녕공주가 수렴청정하며 전 왕조의 폐단을 시정하고 개혁 정치를 펼쳤다. 기근 시 빈민 구제, 《편년강목》 증수, 실록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재위 4년 만에 1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몽골어 이름은 바트마 도르지이며, 한자로는 팔사마타아지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37년 출생 - 신의왕후
    신의왕후는 안변 한씨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 사망하여 왕비로 책봉되지는 못했으나 사후 왕후로 추존되어 왕태후로 격상되는 등 칭호에 대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1337년 출생 - 정몽주
    정몽주는 고려 말 성리학을 보급하고 이성계와 함께 왜구 및 여진족을 토벌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조선 건국을 반대하다 이방원에게 암살당한 고려의 문신이다.
  • 1348년 사망 - 하나조노 천황
    하나조노 천황은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제95대 천황으로, 후시미 상황과 고후시미 상황의 인세이 아래에서 재위했으며, 양통질립 협정 체결 후 퇴위하여 불교에 헌신하고 와카와 학문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1348년 사망 - 잔 드 부르고뉴 공녀
    부르고뉴 공작 로베르 2세의 딸이자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의 왕비인 잔 드 부르고뉴 공녀는 백년 전쟁 중 섭정으로서 프랑스를 통치하며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고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다리 기형으로 부정적인 평판을 얻기도 했다.
  • 14세기 한국의 군주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4세기 한국의 군주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충목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고려)왕흔
이름 (원)파드마도르지 (Batma Dorji, 八思麻朶兒只)
출생일1337년 5월 15일
사망일1348년 12월 25일
묘호없음
명릉
왕위
왕위 계승제29대 고려 국왕
재위 기간1344년 – 1348년
즉위1344년
선임충혜왕
후임충정왕
선양왕심왕
재위 기간1345년 – 1348년
즉위1345년
선임왕고
후임충정왕
가족 관계
아버지충혜왕
어머니덕녕공주
배우자미혼
존호
시호 (고려)현효대왕 (顯孝大王)
시호 (원)충목왕 (忠穆王)

2. 생애

충혜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덕녕공주였다. 1344년(충혜왕 5) 충혜왕이 죽자, 8세에 왕위를 계승하였다.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므로 어머니인 덕녕공주가 대신 정사를 맡아보며 전조(前朝)의 폐정을 시정하였다. 권세가들에게 빼앗겼던 땅을 본래의 주인에게 돌려주었으며, 녹과전(祿科田)의 폐단을 시정하였다. 기근이 들었을 때 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빈민을 구제하였다. 또한, 충선왕의 명으로 민지(閔漬)가 찬진(撰進)한 《편년강목》을 증수시키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 등의 실록을 편찬하였다. 1348년 10월 병이 들었고 병세가 악화되자 그해 12월에 김영돈(金永旽)의 집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승하했다.[1]

충목왕은 몽골어 이름으로 '''바트마 도르지'''라고도 불렸으며,[1] 한자로는 '팔사마타아지'(八思麻朶兒只)로 표기된다. 1343년 충혜왕이 폐위된 후, 황제 토곤 테무르에게 어머니와 아버지 중 누구의 방식을 따르겠느냐는 질문을 받았고, 이에 어머니의 방식을 따르겠다고 대답하여 황제로부터 옳고 그름을 아는 아이라고 칭찬받으며 왕으로 임명되었다.[2] 재위 기간 동안 고려 정부는 선임자가 끼친 피해를 되돌리기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했으며, 백성에게 해를 끼친 여러 정부 기관을 폐지했다.[2] 그는 재위 4년 만에 1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2. 1. 즉위 전

충혜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덕녕공주였다. 몽골어 이름은 '''바트마 도르지'''이며,[1] 한자로는 '팔사마타아지'(八思麻朶兒只)로 표기된다.

1344년 충혜왕이 폐위된 후, 황제 토곤 테무르를 알현했다. 그는 어머니와 아버지 중 누구의 방식을 따르겠느냐는 질문을 받았고, 충목왕은 어머니의 방식을 따르겠다고 대답했다. 황제는 이것이 옳고 그름을 아는 아이라고 말하며 그를 왕으로 삼았다.[2]

2. 2. 즉위 후 개혁 정치

충혜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덕녕공주였다. 1344년(충혜왕 5) 충혜왕이 죽자, 8세에 왕위를 계승하였다.[1]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므로 어머니인 덕녕공주가 대신 정사를 맡아보며 전조(前朝)의 폐정을 시정하였다. 권세가들에게 빼앗겼던 땅을 본래의 주인에게 돌려주었으며, 녹과전(祿科田)의 폐단을 시정하였다. 기근이 들었을 때 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빈민을 구제하였다. 또한, 충선왕의 명으로 민지(閔漬)가 찬진(撰進)한 《편년강목》을 증수시키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 등의 실록을 편찬하였다.[2]

황제 토곤 테무르는 충목왕에게 어머니와 아버지 중 누구의 방식을 따르겠느냐는 질문을 하였고, 충목왕은 어머니의 방식을 따르겠다고 대답했다. 황제는 이것이 옳고 그름을 아는 아이라고 말하며 그를 왕으로 삼았다. 충목왕의 재위 기간 동안 고려 정부는 선임자가 끼친 피해를 되돌리기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했으며, 백성에게 해를 끼친 여러 정부 기관을 폐지했다.[2]

2. 3. 문화 사업

충혜왕의 아들이자 원나라 덕녕공주의 아들인 충목왕은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어머니인 덕녕공주가 섭정을 하였다. 덕녕공주는 충선왕의 명으로 민지(閔漬)가 찬진(撰進)한 《편년강목》을 증수하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 등의 실록을 편찬하였다.

2. 4. 최후

1348년 10월 병이 들었고 병세가 악화되자 그해 12월에 김영돈(金永旽)의 집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승하했다.[1] 충목왕은 재위 4년 만에 1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3. 흑사병 창궐의 시작

1348년유럽에서는 흑사병이 창궐하였다.[6]

4. 가족 관계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조부왕만1294년 7월 30일 ~ 1339년 5월 3일고려 제27대 국왕
조모남양 홍씨? ~ ?충숙왕의 왕비
외조부초팔? ~ ?


4. 1. 부모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왕정1315년 2월 22일 ~ 1344년 1월 30일왕만공원왕후의 아들
어머니보르지긴 이렌첸판? ~ 1375년초팔의 딸


4. 2. 조부모

5. 충목왕이 등장하는 작품

6. 저서

편년강목 증수

참조

[1] 서적 事大與保國 ── 元明之際的中韓關係 https://books.google[...] 香港教育圖書公司
[2]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4-02-04
[3] 웹사이트 원나라에 의해 왕이 되었다가 쫓겨난 어린 왕 http://contents.hist[...] 2024-02-04
[4] 문서 チベット語
[5] 서적 事大與保國 ── 元明之際的中韓關係 https://books.google[...] 香港教育圖書公司
[6] 웹인용 27권 농업과 농민, 천하대본의 길 > 제2장 고려시대 농업 기술 및 농민 생활, 국가 주도 권농 정책 > 1. 고려시대 기후와 재해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