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석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석군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2대 왕 정종의 아들이다. 1444년 명선대부 정석정에 제수되었으며, 세조 재위 기간 중 고신을 빼앗기고 외방으로 유배되기도 했으나 복관되었다. 최종 관직은 정석도정에 이르렀고, 1872년 정석군으로 추봉되었다. 부인은 충원군부인 충주 권씨이며, 첩으로는 연경이 있다. 슬하에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9년 출생 -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알레산드로 스포르차는 콘도티에로 무치오 아텐돌로 스포르차의 사생아로 태어나 페사로와 파르마의 영주가 되었으며, 형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함께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피오르디몬테 전투에서 승리했고,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을 건설하고 로디 조약을 통해 파르마 영주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교황 비오 2세로부터 그라다라의 영주권을 얻어 말라테스타 가문의 침략을 막았다.
  • 1409년 출생 - 조반니 모체니고
    조반니 모체니고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명문가 출신 정치인이자 제70대 도제로서, 외교관, 행정관 등 다양한 공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고, 도제 재임 기간 동안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페라라 전쟁에서 승리했다.
  • 1464년 사망 -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추기경으로서 스콜라 철학 비판, 독창적 형이상학, 동서 교회 통합 노력, 그리고 "지적인 무지"와 "대립의 일치" 개념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의 사상적 전환에 기여하고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 1464년 사망 - 정통제
    정통제는 명나라의 제6대 황제이자 제8대 황제로, 선덕제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왕진의 발호와 토목의 변을 겪었으며, 포로 생활과 유폐 후 복위하여 천순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석군

2. 생애

부왕 정종이 양위한 후에 태어났다. 부왕 정종이 죽자 정종의 능침이 있는 경기도 개성에서 거주하였다. 1444년 7월 명선대부 정석정(明善大夫 貞石正)에 제수되었다.[1] 1457년(세조 3) 6월 모후 숙의 기씨의 상을 당하였고, 그해 12월 고신을 빼앗기고 외방으로 부처되었다.[1] 1458년 4월 다시 충청도 홍주(洪州)로 이배되었다가 1459년(세조 5년) 2월 복관되고, 다시 정석정이 되었다.[1]

정부인으로는 충원군부인 충주 권씨(忠原郡夫人 忠州權氏)와 첩부인으로는 비첩인 연경(蓮卿)이 있다.[1] 정부인 권씨가 낳은 세 딸과, 첩부인 연경이 낳은 장남 허천부수 유(虛川副守 愉), 차남 차성부수 연(車城副守 憐), 3남 마천부수 이(馬川副守 怡), 4남 횡천부수 겸(橫川副守 慊)이 있다.[1] 정석군은 도덕을 근원으로 수학하였으며 문장이 수절(秀絶)하고 재덕 또한 높아서, 묘당(廟堂)에서 여러 차례 불렀으나 매번 겸손히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1] 1460년에는 누이 상원옹주가 어렵게 사는데도 도와주지 않았다 하여 탄핵을 받았다.[2]

최종 관직은 정석도정에 이르렀으며, 1872년(고종 9년) 정석군 겸 영종정경(領宗正卿)에 추봉되었다.[1]

3. 가족 관계


손자 : 민확(閔擴)
손녀 : 김삼원(金三元)의 처
손녀 : 최효남(崔孝男)의 처
손녀 : 남양 홍씨 홍계지(洪繼祉)의 처

  • 측실 : 비첩 연경(蓮卿)
  • ** 장남(서자) : 허천부수(虛川副守) 이유(李愉, 1460 ~ ?)
  • ** 며느리 : 문화 류씨 - 류사충(柳思忠)의 딸

손자 : 왕천령(枉川令) 이견(李堅)
손자 : 황계령(黃溪令) 이수(李竪)
손녀 : 진주 강씨 강종경(姜從慶)의 처
손녀 : 가평 호씨 호윤평(胡允平)의 처

  • ** 차남(서자) : 차성부수(車城副守) 이연(李憐, 1464 ~ 1530)
  • ** 며느리 : 안동 권씨 - 권덕경(權德經)의 딸

손자 : 나성령(羅城令) 이지(李漬)
손녀 : 강화 전씨 충의위(忠義衛) 전필(田弼)의 처
손녀 : 안동 권씨 부장(部將) 권호(權湖)의 처
서손자 : 황덕감(廣德監) 이숙(李淑, 1493 ~ 1520)
서손자 : 양수감(梁樹監) 이제(李濟)
서손자 : 마전감(麻田監) 이청(李淸)
서손자 : 광천감(光川監) 이해(李海)
서손자 : 주성감(酒城監) 이홍(李洪, 1499 ~ ?)

  • ** 3남(서자) : 마천부수(馬川副守) 이이(李怡, 1467 ~ 1530)
  • ** 며느리 : 횡성 조씨 조효례(趙孝禮)의 딸

손자 : 전성령(全城令) 이륜(李倫, 1490 ~ 1552)
손자 : 지산령(支山令) 이걸(李傑, 1500 ~ 1516)

  • ** (첩)며느리 : 노비 수영(季永)

서손자 : 덕산감(德山監) 이수(李脩)
서손자 : 영산감(瀛山監) 이신(李信)

  • ** (첩)며느리 : 노비 출신

서손자 : 광흥감(廣興監) 이준(李俊, 1509 ~ ?)

  • ** 4남(서자) : 횡천부수(橫川副守) 이겸(李慊, 1470 ~ 1534)
  • ** 며느리 : 한양 조씨 - 부사(府使) 조수무(趙秀武)의 처

손녀 : 안동 장씨 장사길(張思吉)의 아들 찰방(察訪) 장영(張嶸)의 처
손녀 : 전주 이씨(1490 ~ ?) - 원주 원씨 형감(判書) 원계채(元繼蔡)의 처
손녀 : 초계 변씨 변응몽(卞應夢)의 처

  • ** (첩)며느리 : 양민 출신

서손자 : 제양부령(濟陽副令) 이후(李候, 1490 ~ 1559)

  • ** (첩)며느리 : 지령(芝苓) - 양민 출신

서손자 : 다인도정(多仁都正) 이근(李僅, 1491 ~ 1560)
서손자 : 관산부령(管山副令) 이구(李俱, 1492 ~ ?)
서손자 : 강동부령(江東副令) 이비(李備, 1494 ~ 1561)
서손자 : 이리부령(富利副令) 이인(李仁, 1496 ~ ?)
서손자 : 신계군(新溪君) 이가(李佳, 1494 ~ 1568)

3. 1. 부모와 형제자매

정석군은 조선 제2대 정종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순평군, 금평군, 무림군이 있고, 누나로는 숙신옹주, 여동생으로는 상원옹주가 있다.

정부인은 충원군부인 충주 권씨로, 직장 권돈의 딸이다. 정부인과의 사이에서는 세 명의 딸을 두었는데, 각각 문화 류씨 류정, 여흥 민씨 민계정, 파평 윤씨 윤기와 혼인하였다.

측실 비첩 연경과의 사이에서는 서자 허천부수 이유, 차성부수 이연, 마천부수 이이, 횡천부수 이겸을 두었다. 각 서자들은 문화 류씨, 안동 권씨, 횡성 조씨, 한양 조씨와 혼인하였다.

3. 2. 배우자와 자녀

정석군은 정종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부인은 충원군부인 충주 권씨로, 직장 권돈의 딸이다. 측실로는 비첩 연경이 있었다.

정부인 권씨와의 사이에서는 세 명의 딸을 두었다. 장녀는 문화 류씨 류정의 처가 되었고, 차녀는 여흥 민씨 민계정의 처가 되었으며, 3녀는 파평 윤씨 윤기의 처가 되었다.

측실 연경과의 사이에서는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 장남 허천부수 이유는 문화 류씨 류사충의 딸과 혼인하였고, 차남 차성부수 이연은 안동 권씨 권덕경의 딸과 혼인하였다. 3남 마천부수 이이는 횡성 조씨 조효례의 딸과 혼인하였고, 4남 횡천부수 이겸은 한양 조씨 조수무의 딸과 혼인하였다.

3. 3. 손자와 서손자

3. 3. 1. 허천부수 이유의 자녀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3. 2. 차성부수 이연의 자녀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3. 3. 마천부수 이이의 자녀

요약(summary) 내용이 없습니다. 요약 내용을 추가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드리겠습니다.

3. 3. 4. 횡천부수 이겸의 자녀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source)만을 사용하여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참조

[1] 웹인용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정석군 http://people.aks.ac[...] 2012-01-29
[2] 서적 세조실록 1460-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