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언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언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66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을 시작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571년 춘추관 기사관으로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1583년 이탕개의 난을 이순신, 신립 등과 함께 진압했다. 이후 함경도관찰사,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1589년 우의정에 올랐으나 정여립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고, 갑산에서 사망했다. 사후 문경의 소양사에 제향되었으며, 드라마 《징비록》과 《불멸의 이순신》에서 관련 인물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인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동인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527년 출생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1527년 출생 - 야규 무네요시
야규 무네요시는 신카게류 검술의 대가이자 야규 가문의 중흥조로, 무투도리라는 독자적인 무술을 개발하고 야규가헌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와의 인연으로 야규 가문이 재건되는 데 기여하며 일본 검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91년 사망 - 도요토미 히데나가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형으로, 뛰어난 행정 능력과 온화한 성품으로 히데요시의 천하통일에 공헌한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오다 노부나가 시대부터 형을 보좌하여 다수의 전투에 참여했고, 야마토 116만 석의 대다이묘이자 종이위 다이나곤까지 승진했으나, 통솔력과 정치적 능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591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9세
교황 인노첸시오 9세는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라는 본명으로, 니카스트로 주교, 베네치아 교황 대사, 추기경을 거쳐 1591년 짧게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펠리페 2세와 가톨릭 동맹을 지지했다.
정언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언신 |
한자 표기 | 鄭彦信 |
출생일 | 1527년 |
사망지 | 갑산(유배지) |
사망일 | 1591년 |
사망 원인 | 자연사 |
국적 | 조선 |
부 | 정진(鄭振) |
모 | 양천 허씨(陽川許氏) |
친척 | 형 정언지, 9촌 정여립 |
2. 생애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이 되고 1571년(선조 4)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 1583년 이탕개가 쳐들어오자 우찬성으로서 도순찰사를 겸하여 이순신, 신립, 김시민, 이억기 등 쟁쟁한 무관들을 막하(幕下)로 거느리고 적을 격퇴하였다.
이어 함경도관찰사로 나가 북변을 방비하고 병조판서에 승진, 1589년 우의정이 되어 정여립의 모반 후 그 잔당에 대한 옥사를 다스리는 위관(委官)에 임명되었으나 서인 정철의 사주를 받은 대간(臺諫)으로부터 정여립과 3종(從)간이므로 공정한 처리를 기대할 수 없다는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
그 후 계속 정여립의 일파로 모함을 받아 남해에 유배되었고, 사사(賜死)의 왕명까지 내렸으나 감형되었다. 갑산에 이배되어 그 곳에서 죽었고, 문경의 소양사(瀟陽祠)에 제향되었다.
2. 1. 관직 생활과 이탕개의 난 진압 (1566년 ~ 1583년)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이 되고 1571년(선조 4)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 1583년 이탕개가 쳐들어오자 우찬성으로서 도순찰사를 겸하여 이순신, 신립, 김시민, 이억기 등 쟁쟁한 무관들을 막하(幕下)로 거느리고 적을 격퇴하였다.2. 2. 함경도 관찰사와 병조판서 (1583년 ~ 1589년)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이 되고 1571년(선조 4)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 1583년 이탕개(尼湯介)가 쳐들어오자 우찬성으로서 도순찰사를 겸하여 이순신(李舜臣)·신립·김시민·이억기 등 쟁쟁한 무관들을 막하(幕下)로 거느리고 적을 격퇴하였다.이어 함경도관찰사로 나가 북변을 방비했다. 1589년 병조판서에 승진했다.
2. 3. 정여립 모반 사건과 유배 (1589년 ~ 사망)
1589년 우의정이 되어 정여립의 모반 후 그 잔당에 대한 옥사를 다스리는 위관(委官)에 임명되었으나 서인 정철의 사주를 받은 대간(臺諫)으로부터 정여립과 3종(從)간이므로 공정한 처리를 기대할 수 없다는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 그 후 계속 정여립의 일파로 모함을 받아 남해에 유배되었고, 사사(賜死)의 왕명까지 내렸으나 감형되었다. 갑산에 이배되어 그 곳에서 죽었고, 문경의 소양사(瀟陽祠)에 제향되었다.3. 사후
4. 관련 작품
4. 1. 드라마
2015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징비록에서 배우 박칠용이 정언신 역을 연기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방영된 KBS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이신재가 정언신 역을 맡았다.참조
[1]
백과사전
정언신 [鄭彦信]
두산백과
[2]
문서
선원록
[3]
문서
순평군의 외증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