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조묘는 일본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재일 한국인 사학자이다. 고베 대학 졸업 후 오사카 시립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초빙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과 일본 간의 근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쳤으며, 재일 한국인의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역사와 안동 권씨』 등이 있으며, 여러 저서의 공저 및 번역, 감수를 담당했다. 2010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타니 대학 교수 - 난조 분유
난조 분유는 1849년에 태어나 1927년에 사망한 일본의 불교학자이자 승려로, 유럽과 중국에서 불교 연구를 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후, 근대적인 불교 연구와 교육에 기여했다. - 오사카 시립 대학 동문 - 야마나카 신야
야마나카 신야는 iPS 세포 연구의 선구적인 공로로 201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의학자이자 생명과학자로, 쥐와 인간의 피부 세포에서 iPS 세포를 생성하여 재생 의학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 - 오사카 시립 대학 동문 - 하시모토 히데오
하시모토 히데오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감바 오사카에서 리그 우승과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했으며, 일본 국가대표로도 활약했고, 현재는 유소년 축구 지도자 및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 일본계 한국인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일본계 한국인 - 신중현
신중현은 1957년 데뷔하여 한국 최초 록 밴드 결성, 펄 시스터즈, 김추자 음반 프로듀싱 등 한국 록 음악의 기반을 다지고 '미인', '아름다운 강산' 등 히트곡 발표와 다양한 장르 도입으로 '한국 록의 대부'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록 음악가, 기타리스트,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이다.
정조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鄭早苗 (정조묘)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44년 5월 |
출생지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
사망일 | 2010년 2월 4일 |
사망지 | 오사카부 이바라키시 |
사망 원인 | 폐암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및 경력 | |
출신 학교 | 고베 대학 |
연구 분야 | 고대 한국사 한일 관계사 |
지도 교수 | 이노우에 히데오 |
학회 활동 | |
소속 학회 | 조선학회 조선사연구회 아시아사학회 불교사학회 일본서기연구회 한국·조선문화연구회 |
2. 생애
일본인 아버지와 재일 교포인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만 19세 때 대한민국 국적을 선택했다. 일본에서 재일교포가 겪는 어려움을 알고도 한국인으로 살고자 했다고 알려졌다.[5]
1969년 고베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5], 1973년 오사카시립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이노우에 히데오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969년 고베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2], 1973년 오사카시립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오사카 부 재일 외국인 유식자 회의 위원, 교토 여성 협회 이사, 도요나카 국제 교류 협회 이사, 아시아 태평양 인권 정보 센터 평의원, NPO 법인 재일 교포 고령자 지원 센터 센보람(サンボラム) 이사장, 사단법인 오사카 국제이해교육 연구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이노우에 히데오에게 사사했다.[3]
2000년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의 초빙 교수로 한국사 분야 교수들과 교류하며 연구의 토대를 다졌다.
한국과 일본 간의 근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재일교포 사학자로, 일본의 다양한 사회문제와 재일교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재일 한국인으로서 차별받으며 여러 고생을 해온 교포 사회의 살아있는 증인이었다.
65년간 차별과 싸우며 재일교포의 권리 향상과 한일 관계의 기반 구축에 기여한 그의 삶을 한국 정부와 사회, 많은 교포들이 잊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2010년 2월 4일 폐암으로 오사카부 이바라키시의 병원에서 사망했다.[4] 향년 65세. 슬하에 아들 구라시게 다이스케(藏重大輔), 딸 우희가 있다.
3. 학문적 업적 및 사회 활동
2000년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초빙 교수로 한국에 와서 한국사 분야 교수들과 교류하며 연구 토대를 다졌다.
2010년 2월 4일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슬하에 아들 구라시게 다이스케(藏重大輔)와 딸 우희를 두었다.
3. 1. 사회 운동
일본인 아버지와 재일 교포인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만 19세 때 국적을 선택해야 할 때 어머니의 나라를 선택해 대한민국 국적자로 살기로 결정했다. 생전에 일본에서 재일교포가 가지는 어려움을 알고도 일본에서 한국인으로 살고자 결정했다고 알려졌다.[5]
오사카 부 재일 외국인 유식자 회의 위원(大阪府在日外国人有識者会議委員), 교토 여성 협회 이사, 도요나카 국제 교류 협회 이사, 아시아 태평양 인권 정보 센터 평의원, NPO 법인 재일 교포 고령자 지원 센터 센보람(サンボラム) 이사장, 사단법인 오사카 국제이해교육 연구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한국과 일본 간의 근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재일교포 사학자로, 일본의 다양한 사회문제와 재일교포 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했다. 어릴 때부터 재일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으며 여러 고생을 해온 교포 사회의 살아있는 증인이었다.
패전 직후 일본 사회에서 차별과 싸우며 65년간 버텨온 그의 삶이 있었기에 재일교포의 권리 향상, 한일 관계의 기반 구축도 가능했음을 한국 정부와 사회, 많은 교포들이 잊지 않길 바라고 있다.
4. 저서
정조묘는 단독 저서, 공저, 공편 저서, 번역, 감수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단독 저서'''[1]
- 『한국의 역사와 안동 권씨』(신간사, 2005년)
'''공저'''[1]
- (이노우에 히데오), 『한국· 조선을 알기 위한 55장』 (아카시 쇼텐, 1992년)
- (이노우에 쇼이치, 고경일), 『함께 살아가는 사회 - 재일 한국인의 인권을 생각한다』 (오사카 국제이해교육연구센터, 2006년)
- (이성시, 강덕상, 강재언, 박일, 다카하시 테츠야, 미즈노 나오키, 니시노 루미코, 다와라 요시후미), "마음이 있는 일본인들에게 - 중학교 '역사 교과서' 채택에 즈음하여, 지금 알고 싶은 것 - 함께 생각합시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문교국 [http://www.mindan.org/front/newsDetail.php?category=0&newsid=5038]
'''공편 저서'''[1]
- 강덕상|간토쿠조일본어, 中山清隆|나카야마 기요타카일본어, 金両基|김양기일본어 감수, 『도해 한국의 역사』, 河出書房新社|가와데 서방 신사일본어, 1989년 / 신장 개정 2판 [부엉이 책], 2002년.
- 滝口直子|다키구치 나오코일본어, 『「자기」의 흔들림과 변이 ― 「일그러진 관계」에서 묻다』, アカデミア出版会|아카데미아 출판회일본어, 2004.9.[2]
'''번역'''[1]
- 한국독서신문한국어 편 『한국사의 재검토』(학생사, 1974년)
- 金貞培일본어 『한국 민족 문화의 기원한국어』 (学生社일본어, 1978년) (후지구치 겐지, 토고, 무스에 준이치 공저)[2]
- 김철사한국어 “한국 고대사 연구한국어”(학생사, 1981년)(이케가와 히데카츠일본어, 카메이 테루이치로일본어 공역)[3]
- 국사 편찬 위원회한국어 『한국-그 사람들의 역사한국어』 ( 제국 서원일본어 〈전역 세계의 역사 교과서 시리즈일본어〉, 1983년) (이노우에 히데오일본어 공역)[4]
- 김부식, 봉선 편찬 『 삼국사기 』(평범사일본어 〈동양문고 492일본어〉, 〈4 열전한국어 제1-10〉 1988년/와이드판, 2006년) (이노우에 히데오일본어 공역 주석)[5]
- 김정배 《한국 민족 문화의 기원한국어》(학생사일본어, 1978년) (후지구치 겐지, 토고, 무스에 준이치 공역)
- 김철준 《한국 고대사 연구한국어》(학생사일본어, 1981년) (이케가와 히데카츠, 카메이 테루이치로 공역)
'''감수'''[1]
- 山本冬彦|야마모토 후유히코일본어, 徐貞佑|서정우한국어 / KMJ 연구센터 편, 『신보다 좋은 이웃으로서-재일한국·조선인의 인권을 생각한다』 (KMJ연구센터, 1993년)
- 井上正一|이노우에 마사이치일본어, 金敦子|김 아츠코일본어 편, 『확실히 알 수 있다―재일 한국·조선인 문제 입문』(KMJ 연구 센터, 1997년/증보판, 오사카 국제 이해 교육 연구 센터, 1998년)
- (야마모토 후유히코, 서정우/KMJ 연구센터 편) 『새로운 보다 나은 이웃으로서 - 재일 한국·조선인의 인권을 생각한다』(KMJ 연구센터, 1993년)
- 井上正一|이노우에 쇼이치일본어, 김돈자 편, 『분명 서로 이해할 수 있어 - 재일 한국·조선인 문제 입문』(KMJ 연구센터, 1997년/증보판, 오사카 국제이해교육연구센터, 1998년)
4. 1. 단독 저서
- 『한국의 역사와 안동 권씨』(신간사, 2005년)
4. 2. 공저
- (이노우에 히데오), 『한국· 조선을 알기 위한 55장』 (아카시 쇼텐, 1992년)
- (이노우에 쇼이치, 고경일), 『함께 살아가는 사회 - 재일 한국인의 인권을 생각한다』 (오사카 국제이해교육연구센터, 2006년)
- (이성시, 강덕상, 강재언, 박일, 다카하시 테츠야, 미즈노 나오키, 니시노 루미코, 다와라 요시후미), "마음이 있는 일본인들에게 - 중학교 '역사 교과서' 채택에 즈음하여, 지금 알고 싶은 것 - 함께 생각합시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문교국 [http://www.mindan.org/front/newsDetail.php?category=0&newsid=5038]
4. 3. 공편 저서
- 강덕상|간토쿠조일본어, 中山清隆|나카야마 기요타카일본어, 金両基|김양기일본어 감수, 『도해 한국의 역사』, 河出書房新社|가와데 서방 신사일본어, 1989년 / 신장 개정 2판 [부엉이 책], 2002년.[1]
- 滝口直子|다키구치 나오코일본어, 『「자기」의 흔들림과 변이 ― 「일그러진 관계」에서 묻다』, アカデミア出版会|아카데미아 출판회일본어, 2004.9.[2]
4. 4. 번역
한국독서신문한국어 편 『한국사의 재검토』(학생사, 1974년)[1]金貞培일본어 『한국 민족 문화의 기원한국어』 (学生社일본어, 1978년) (후지구치 겐지, 토고, 무스에 준이치 공저)[2]
김철사한국어 “한국 고대사 연구한국어”(학생사, 1981년)(이케가와 히데카츠일본어, 카메이 테루이치로일본어 공역)[3]
국사 편찬 위원회한국어 『한국-그 사람들의 역사한국어』 ( 제국 서원일본어 〈전역 세계의 역사 교과서 시리즈일본어〉, 1983년) (이노우에 히데오일본어 공역)[4]
김부식, 봉선 편찬 『 삼국사기 』(평범사일본어 〈동양문고 492일본어〉, 〈4 열전한국어 제1-10〉 1988년/와이드판, 2006년) (이노우에 히데오일본어 공역 주석)[5]
김정배 《한국 민족 문화의 기원한국어》(학생사일본어, 1978년) (후지구치 겐지, 토고, 무스에 준이치 공역)
김철준 《한국 고대사 연구한국어》(학생사일본어, 1981년) (이케가와 히데카츠, 카메이 테루이치로 공역)
4. 5. 감수
- 山本冬彦|야마모토 후유히코일본어, 徐貞佑|서정우한국어 / KMJ 연구센터 편, 『신보다 좋은 이웃으로서-재일한국·조선인의 인권을 생각한다』 (KMJ연구센터, 1993년)
- 井上正一|이노우에 마사이치일본어, 金敦子|김 아츠코일본어 편, 『확실히 알 수 있다―재일 한국·조선인 문제 입문』(KMJ 연구 센터, 1997년/증보판, 오사카 국제 이해 교육 연구 센터, 1998년)
- (야마모토 후유히코, 서정우/KMJ 연구센터 편) 『새로운 보다 나은 이웃으로서 - 재일 한국·조선인의 인권을 생각한다』(KMJ 연구센터, 1993년)
- 井上正一|이노우에 쇼이치일본어, 김돈자 편, 『분명 서로 이해할 수 있어 - 재일 한국·조선인 문제 입문』(KMJ 연구센터, 1997년/증보판, 오사카 국제이해교육연구센터, 1998년)
참조
[1]
서적
現代物故者事典2009~2011
日外アソシエーツ
2012
[2]
웹사이트
鄭 早苗 {{!}} 研究者情報 {{!}} J-GLOBAL 科学技術総合リンクセンター
https://jglobal.jst.[...]
2019-01-30
[3]
서적
고대조선
강담사학술문고
2004
[4]
웹사이트
訃報 鄭早苗氏(大谷大学教授)
https://www.mindan.o[...]
2010-02-10
[5]
웹인용
鄭 早苗 {{!}} 研究者情報 {{!}} J-GLOBAL 科学技術総合リンクセンター
https://jglobal.jst.[...]
201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