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곡(嚳/喾)은 전설적인 황제의 후손으로, 소호의 계통을 이으며, 황제가 된 후 '제(帝)'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다양한 악기를 발명하고,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통치했다. 제곡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고, 그들의 아들들은 각각 제국을 상속하거나 중국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고구려 왕들은 제곡을 황제의 후손으로 여겼다. 죽서기년 기록에 따르면 제곡은 반란을 진압하고 즉위했으며, 유능한 통치자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황오제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삼황오제 - 신농
신농은 중국 신화에서 농업과 의학의 시조로 묘사되는 문화 영웅으로, 농업 기술과 약초 지식을 전파하고 한의학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동아시아에서 농업과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하나라
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왕조로 전해지며 우에 의해 건국되어 세습 왕조가 되었으나 걸의 폭정으로 상나라에 멸망당했고,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으로 재평가되지만 역사 기록의 신빙성 논란은 여전하다. - 실존 여부가 의심되는 인물 - 로물루스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 신화의 중심이자 전설적인 초대 왕으로, 쌍둥이 형제 레무스와 함께 로마 건설, 통치, 신화적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실존 여부가 의심되는 인물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곡 | |
---|---|
기본 정보 | |
![]() | |
통치 | |
이전 | 전욱 |
이후 | 제지 |
배우자 | |
배우자 | 강원 간적 상희 경도 |
자녀 | |
자녀 | 후직 설 제지 요 |
아버지 | |
아버지 | 교극 |
어머니 | |
어머니 | 구자 |
2. 생애
제곡은 전설적인 황제의 후손으로, 소호의 계통을 따른다. 아버지 교극(蟜極/蟜极|교극중국어)은 소호의 아들이며, 제곡은 황제의 증손자가 된다.[3][4][5][6][7] 유흠이 기원전 100년 이후에 추정한 바에 따르면, 기원전 2436년경부터 기원전 2366년경까지 통치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다른 기록도 존재한다.
제곡은 황제가 된 후, 이름 앞에 '제(帝)'라는 칭호를 붙였다. 봄과 여름에는 용을, 가을과 겨울에는 말을 타고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통치했다고 한다.[8]
제곡은 다양한 악기를 발명하고 노래를 작곡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여씨춘추에 따르면, 북, 종, 경, 관악기, 오카리나, 피리 등은 모두 제곡의 명령에 따라 그의 부하 유추이(有倕)가 발명했다. 제곡의 가사는 그의 조수 셴헤이(咸黑)가 작곡했으며, 악보 제목은 구초(九招), 육렬(六列), 육영(六英, 눈송이)이다. 추가적인 황제의 명령에 따라 봉황이 춤 반주를 제공했다.[8]
제곡이 다스린 제국의 영토가 어디까지였는지는 불분명하다. 훗날 이웃 왕국을 정복하고 중국 최초의 역사적 제국을 만든 진나라 왕도 '제(帝)'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예기에 따르면 제곡은 겨울을 다스렸으며, 물과 관련된 일을 맡았다고 한다. 그의 수행신은 현명(玄冥)이었다.[9]
2. 1. 출생과 가계
제곡은 전설적인 황제의 후손으로, 소호의 계통을 따른다. 아버지 교극(蟜極/蟜极|교극중국어)은 소호의 아들이며, 제곡은 황제의 증손자가 된다.[3][4][5][6][7] 유흠이 기원전 100년 이후에 추정한 바에 따르면, 기원전 2436년경부터 기원전 2366년경까지 통치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다른 기록도 존재한다.2. 2. 황제 즉위와 업적
제곡은 황제가 된 후, 이름 앞에 '제(帝)'라는 칭호를 붙였다. 봄과 여름에는 용을, 가을과 겨울에는 말을 타고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통치했다고 한다.[8]제곡은 다양한 악기를 발명하고 노래를 작곡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여씨춘추에 따르면, 북, 종, 경, 관악기, 오카리나, 피리 등은 모두 제곡의 명령에 따라 그의 부하 유추이(有倕)가 발명했다. 제곡의 가사는 그의 조수 셴헤이(咸黑)가 작곡했으며, 악보 제목은 구초(九招), 육렬(六列), 육영(六英, 눈송이)이다. 추가적인 황제의 명령에 따라 봉황이 춤 반주를 제공했다.[8]
제곡이 다스린 제국의 영토가 어디까지였는지는 불분명하다. 훗날 이웃 왕국을 정복하고 중국 최초의 역사적 제국을 만든 진나라 왕도 '제(帝)'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예기에 따르면 제곡은 겨울을 다스렸으며, 물과 관련된 일을 맡았다고 한다. 그의 수행신은 현명(玄冥)이었다.[9]
3. 부인과 후손
제곡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다. 가장 잘 알려진 부인은 강원, 간적, 창이, 칭두이다.[8][10] 이들은 각각 후직, 상나라의 해, 지, 요를 낳았다. 제곡은 점술가에게 아들들의 운명을 점치게 했고, 점술가는 모두 제국을 다스릴 것이라고 답했다.[1] 다른 자료에는 제곡의 부인이 태양을 삼키는 꿈을 꾸고 여덟 아들을 낳았다는 기록이 있지만, 그녀의 이름은 불확실하며 주투 출신이라고만 전해진다.[8] 사기에는 지의 어머니를 거자(娵訾氏|추자씨중국어), 요의 어머니를 진봉씨(陳鋒氏|진봉씨중국어)로 기록하고 있다.
이 네 아들은 각각 제곡의 제국을 상속하거나 중국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 창이의 아들 지가 가장 먼저 왕국을 다스렸고, 이후 요가 뒤를 이었다.[11] 간적이 검은 새의 알을 삼켜 낳은 해는 상나라 이전 상 왕조 통치 가문의 시조가 되었고, 강원이 상제의 발자국을 밟아 낳은 후직은 주나라 이전 주 왕조 혈통의 시조가 되었다.
3. 1. 고구려와의 관계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족은 황제의 손자인 고양(한자: 高陽한국어)과 역시 황제의 손자인 고신(한자: 高辛한국어)의 후손이라고 여겨, 자신들의 성을 '고(高)'라고 칭했다.[12][13][14][15][16][17]4. 죽서기년 기록
죽서기년의 기록에 따르면, 황제 전욱이 세상을 떠났을 때 신농의 후손인 숙기(術器)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황제의 후손이자 고신씨의 후예인 신의 군주 제곡이 이를 진압하고 즉위하였다. 제곡은 "이빨이 두 줄로 나 있었고, 현인의 지혜를 가졌다"고 하며, "눈먼 사람들에게 북을 치게 하고, 종과 경석을 치게 하자 봉황새가 날개를 치며 뛰어놀았다"고 한다.[1]
또한 죽서기년에는 제곡이 재위 16년에 장군 중(重)을 보내 유괴(有鄶)를 멸망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재위 45년에는 탕의 군주(그의 아들인 요)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63년에 제곡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맏아들 지가 왕위를 계승하여 9년간 통치하다가 폐위되고 요가 그를 대신했다.[1]
참조
[1]
harvp
Wu
[2]
문서
"Seeking the Obscure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史記索隱 - Shiji Suoyin)"
https://ctext.org/li[...]
[3]
harvp
Wu
[4]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5]
서적
Confucian ethics of the axial age: a reconstruction under the aspect of the breakthrough toward postconventional thinking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4-01
[6]
서적
Great Chinese emperors: tales of wise and benevolent rule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012-04-01
[7]
문서
Caption of the Han dynasty mural rubbing shown above
[8]
harvp
Yang
[9]
서적
Delphi Collected Works of Confucius -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of Confucianism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08-29
[10]
harvp
Wu
[11]
서적
Great Chinese emperors: tales of wise and benevolent rule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012-04-01
[12]
서적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13]
서적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14]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15]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16]
서적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Journal of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Vol.5 Society for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2014
[17]
문서
Samguk Sagi volume 28
[18]
문서
Bamboo Annals in English using 今本竹書紀年
https://books.google[...]
[19]
문서
"山海經海經新釋卷九 山海經第十四 大荒東經1"
[20]
문서
藝文類聚 卷四十三 樂部三
[21]
문서
御定淵鑑類函 卷一百八十三 禮儀部三十
[22]
문서
天問疏證
[23]
문서
虞舜大典(近現代文獻卷)
[24]
문서
中国史 第1 (神々の誕生) (グリーンベルト・シリーズ)
https://dl.ndl.go.jp[...]
[25]
문서
史記
[26]
문서
百済本記
[27]
뉴스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東アジア文化交渉学会
2014
[28]
뉴스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9]
뉴스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30]
뉴스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韓国人文古典研究所
[31]
뉴스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s://terms.naver.[...]
韓国人文古典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