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쟁기 사용법, 농업 기술, 대마 사용법을 인간에게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그는 불과 바람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황제의 아버지이자 고대 중국의 조상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신농은 농업과 의학의 신으로 숭상받으며, 특히 약초의 효능을 직접 시험하여 한의학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신농은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농업과 의약의 시조로 숭배받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의학의 남신 - 루드라
루드라는 베다 시대부터 숭배된 인도의 신으로, 리그베다에 초기 언급이 나타나며, '포효하는 자'로 해석되는 무시무시한 모습과 질병 치료 및 풍요를 가져다주는 자비로운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후대에 시바와 동일시되었으며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 삼황오제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삼황오제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신농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농 (神農) |
다른 이름 | 열산씨, 주양씨, 여산씨, 연산씨, 저기 |
이명 | 신성한 농부/남편 |
본명 | 강석년 (姜石年) |
로마자 표기 | Shennong |
중국어 간체 | 神农 |
중국어 병음 | Shénnóng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Shen²-nung² |
광둥어 예일 표기법 | Sàhn-nùhng |
객가어 발음 | Sṳ̀n-nùng |
민난어 발음 | Sîn-lông |
베트남어 발음 | Thần Nông |
일본어 | 神農 |
일본어 로마자 표기 | Shin'nō |
한국어 | 신농 |
한국어 한자 표기 | 神農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Sinnong |
유형 | 염제 |
숭배 | 도교, 중국 민속 신앙 |
재위 | |
재위 기간 | 기원전 2737년경 ~ 기원전 2698년경 |
전임자 | 태호 복희씨 |
후임자 | 황제 헌원씨 |
가계 | |
아버지 | 소전 |
어머니 | 여등 |
자녀 | 링크이 |
자녀 (2대 염제) | 괴 |
업적 | |
주요 업적 | 따비 제작 및 농업 기술 발전 |
관련 단체 | 신농씨 |
이미지 | |
![]() | |
![]() |
2. 신화와 전설
신농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중요한 인물로, 의료와 농업 지식을 고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린 존재로 전해진다. 그의 이름은 가장 오래된 본초 서적인 『신농본초경』에도 남아있다.
신농은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지며, 황제의 아버지 또는 친척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주(周)나라를 건국한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로 여겨지기도 했다.[2][3] 사마천은 황제 이전에 신농의 집단이 통치했다고 언급했으며, 사마진(司馬貞)은 신농의 성이 강(姜)이었다고 기록했다.
신농은 복희의 시대가 끝난 후 권력을 잡았고, 나무로 만든 농기구를 발명하여 사람들에게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 또한 정오 시장을 설립하여 물물교환을 장려했다.[7] 그는 자신의 몸을 실험하여 식물의 성질을 연구하다가 결국 죽었다고 전해진다. 인류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는 의약왕(藥王)으로서 숭배받으며 특별한 영예를 받았다.[4] 특히 민간 전통에 따르면 음력 4월 26일 그의 생일날에는 불꽃놀이와 향을 피우며 그를 기린다.
2. 1. 농업의 신
중국 신화에서 신농(神農)은 사람들에게 쟁기 사용법과 기본적인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대마(cannabis)의 사용법을 가르치고, 화전 농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다. 그는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진다.한국에서는 고구려시대 이후로 농신(農神)으로서 염제신농씨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선농단을 세워 매년 임금이 직접 밭을 간 후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중국은 물론 한국, 일본, 베트남, 대만 등에서 지금도 신농의 은덕을 기리며 제향하고 있다.
주(周)나라 이후, 일부 "고대 중국 역사가"와 종교인들은 신농이 주나라를 건국한 후대의 조상인 "신화 속 현명한 왕"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3]로 주나라 내에 존재했다고 생각했다.[2]
백가쟁명 시대에 신농은 신이라기보다는 문화 영웅으로 여겨졌지만, 당시에 존재했던 모든 식물을 먹어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낸 초자연적인 소화 시스템을 가진 존재였다.[4] 기원전 3세기, 중국 왕국들 간의 정치적 위기와 팽창주의, 전쟁 시대에 신농은 노동자와 농민을 중시하고 "신하, 법, 처벌 없이 다스린" 이상적인 선사 시대 통치자로서 새로운 신화를 얻었다.[4]
회남자(淮南子)(淮南子중국어)에 따르면, 신농 이전에는 사람들이 병들고, 궁핍하고, 굶주리고, 질병에 시달렸지만, 신농이 직접 연구한 농업을 가르침으로써 백 가지가 넘는 식물을 먹고 심지어 하루에 70가지의 독을 먹으면서 사람들을 구했다고 한다.[6]
신농은 주역(易經)(I Ching영어)에도 등장한다. 여기서 그는 복희(파옥시))의 시대가 끝난 후 권력을 잡았고, 굽은 나무 쟁기를 발명하고, 나무로 만든 갈퀴를 만들어 이 기술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정오 시장을 설립했다고 언급되어 있다.[7]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나무(木材)를 이용해 농기구(農具)를 만들고, 땅을 경작하여 오곡(五穀)의 씨앗을 뿌려 농업을 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전했다. 또한 약초(藥草)가 되는 식물의 효능을 알렸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 약초와 독초를 구별하고자 신농은 먼저 붉은 채찍(赭鞭)으로 많은 식물(百草)을 헤치고, 그것을 맛보아 약효와 독성의 유무를 검증했다. 신농의 몸은 머리와 사지(四肢)를 제외하고는 영롱하고 투명하여 내장이 밖에서도 분명하게 보였다고 한다. 만약 독이 있으면 내장이 검게 변하므로, 거기서 독이 영향을 미치는 부위를 알아냈다고 한다. 그 후, 너무 많은 독초를 복용한 나머지 몸에 독소가 쌓여 결국에는 양귀비(罌子)(ケシ)를 복용했을 때 죽었다고 한다.[13][14][15]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하편에는 “복희가 죽자 신농이 다스렸다. 신농은 나무를 가공하여 농기구를 만들고, 농기구의 이점을 백성에게 가르쳐 널리 알렸다."라고 적혀 있다.[17]
2. 2. 의학의 신
중국 신화에서 신농(神農)은 사람들에게 농업 기술과 대마(cannabis)의 사용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6] 그는 직접 백 가지가 넘는 식물을 먹고, 심지어 하루에 70가지의 독을 먹으면서 농업을 연구했다고 한다.[6]『회남자』에 따르면, 신농 이전에는 사람들이 병들고 굶주렸지만, 신농이 직접 연구한 농업을 가르침으로써 사람들을 구했다고 한다.[6]
신농은 다양한 약초의 약효를 시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신농본초경』은 신농이 발견하여 등급과 희귀도를 매긴 다양한 약초를 기록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중국 본초로 여겨진다.[11]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어서 자신에게 미치는 다양한 식물과 약초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차를 발견했는데, 그가 자신의 몸에 시험한 약 70가지 약초의 독성에 대한 해독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11]
신농은 한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중국 의학의 아버지로 존경받고 있다. 그는 침술 기법을 도입한 것으로도 여겨진다.[11]
신농은 자신의 몸을 실험하여 식물의 성질을 연구하다가 결국 죽었다고 전해진다.[13][14][15] 그는 인류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의약왕(藥王, Yàowáng)으로서 숭배받으며 특별한 영예를 받았다.[13][14][15]
신농은 농부, 쌀 상인, 전통 중국 의학 실무자들의 수호신이며, 그를 기념하는 많은 사찰과 장소들이 있다.
2. 3. 그 외의 전설
중국 신화에서 신농은 인간에게 쟁기 사용법과 기본적인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대마(cannabis)의 사용법을 가르친 것도 신농이라고 한다. 염제(炎帝) 신화나 화전 농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3] 신농은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다. 그는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진다.신농은 약, 불로장생, 금 제련의 비밀을 전수한 황제의 아버지로도 여겨진다.[3] 8세기 서기 역사가 사마진(司馬貞)의 기원전 2세기 사기(史記) 주석에 따르면, 신농은 황제의 친척이며 고대 중국인의 조상 또는 족장이라고 한다.
주(周)나라 이후, 일부 "고대 중국 역사가"와 종교인들은 신농이 주나라를 건국한 후대의 조상인 "신화 속 현명한 왕"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2] [3]로 주나라 내에 존재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견해의 대안으로, 백가쟁명 시대에 신농은 신이라기보다는 문화 영웅으로 여겨졌지만, 백가쟁명 시대에 존재했던 모든 식물을 먹어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낸 초자연적인 소화 시스템을 가진 존재였다.[4] 기원전 3세기, 중국 왕국들 간의 정치적 위기와 팽창주의, 전쟁 시대에 신농은 노동자와 농민을 중시하고 "신하, 법, 처벌 없이 다스린" 이상적인 선사 시대 통치자로서 새로운 신화를 얻었다.[4]
사마천은 황제(黃帝)에 앞선 통치자들이 신농(神農)의 집단(혹은 사회 집단)에 속했다고 언급했다.[5] 사기(史記)(史記중국어)에 서문을 덧붙인 사마진(司馬貞)은 그의 성이 강(姜)(姜중국어)이었다고 말하며 그의 후계자들을 열거했다. 더 오래되고 유명한 참고 문헌은 회남자(淮南子)(淮南子중국어)에 있다. 회남자는 신농 이전에는 사람들이 병들고, 궁핍하고, 굶주리고, 질병에 시달렸지만, 신농이 직접 연구한 농업을 가르침으로써 백 가지가 넘는 식물을 먹고 심지어 하루에 70가지의 독을 먹으면서 사람들을 구했다고 전한다.[6] 신농은 주역(易經)(I Ching영어)에도 등장한다. 여기서 그는 복희(파옥시(Paoxi))의 시대가 끝난 후 권력을 잡았고, 굽은 나무 쟁기를 발명하고, 나무로 만든 갈퀴를 만들어 이 기술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정오 시장을 설립했다고 언급되어 있다.[7] 또 다른 참고 문헌은 여씨춘추(呂氏春秋)(呂氏春秋중국어)로, 신농 집단의 등장과 관련된 폭력 사태와 그들의 권력이 17대에 걸쳐 지속되었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8]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神農本草經중국어)은 신농에게 귀속되는 농업과 약초에 관한 책이다. 연구에 따르면 이 책은 약 200년에서 250년 사이에 기록된 구전의 편찬물이다.
신농에 관한 신화의 일부 버전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몸을 실험하여 식물의 성질을 연구한 결과 결국 죽었다고 한다. 한 실험에서 그는 해독차를 마실 시간도 없이 장을 파열시키는 잡초의 노란 꽃을 먹었고, 인류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는 의약왕(藥王, Yàowáng)으로서 숭배받으며 특별한 영예를 받았다.[4] 신농의 여러 모습에 소나 쇠를 제물로 바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대신 돼지와 양이 허용된다. 특히 민간 전통에 따르면 음력 4월 26일 생일날 그의 동상이 나타날 때 불꽃놀이와 향을 피울 수 있다. 신농은 다양한 이름으로 농부, 쌀 상인, 전통 중국 의학 실무자들의 수호신이다. 그를 기념하는 많은 사찰과 다른 장소들이 있다.[4]
신농은 『회남자』에서 수백 가지의 약초를 맛보아 그 약효를 시험했다고 한다. 신농에게 가장 잘 알려진 저술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으로, 서한 말기에 편찬된 것으로 여겨진다. 신농이 실존했다면 수천 년 후의 일이다. 이 저서는 영지버섯과 마리화나와 같은 다양한 약초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농이 발견하여 등급과 희귀도를 매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가장 오래된 중국 본초로 여겨지며, 광물, 식물, 동물에서 유래한 365가지 약재를 포함하고 있다. 신농은 수백 가지의 약초(및 독초)의 성질을 직접 시험하여 확인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한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어서 자신에게 미치는 다양한 식물과 약초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는 차를 발견했는데, 그가 자신의 몸에 시험한 약 70가지 약초의 독성에 대한 해독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신농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2437년경에 불에 타는 차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차잎을 끓는 물이 담긴 가마솥에 넣어 처음으로 차를 맛보았다고 한다.[11] 신농은 중국 의학의 아버지로 존경받고 있다. 그는 또한 침술 기법을 도입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농은 복희와 황제와 함께 거문고(guqin)를 만드는 데 참여했다고 한다. 학술 연구에 따르면 유명한 송나라 장군 악비의 부계 가문은 신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12]
신농(神農)은 의료(醫療)와 농업(農耕) 지식을 고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린 존재로 전해지며, 그 이름은 가장 오래된 본초(本草)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서명에도 남아 있다.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나무(木材)를 이용해 농기구(農具)를 만들고, 땅을 경작하여 오곡(五穀)의 씨앗을 뿌려 농업을 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전했다. 또한 약초(藥草)가 되는 식물의 효능을 알렸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 약초와 독초를 구별하고자 신농은 먼저 붉은 채찍(赭鞭)으로 많은 식물(百草)을 헤치고, 그것을 맛보아 약효와 독성의 유무를 검증했다. 신농의 몸은 머리와 사지(四肢)를 제외하고는 영롱하고 투명하여 내장이 밖에서도 분명하게 보였다고 한다. 만약 독이 있으면 내장이 검게 변하므로, 거기서 독이 영향을 미치는 부위를 알아냈다고 한다. 그 후, 너무 많은 독초를 복용한 나머지 몸에 독소가 쌓여 결국에는 양귀비(ケシ)를 복용했을 때 죽었다고 한다.[13][14][15] 사천성(四川省)에 전해지는 민간 전승에서는 "단장초(斷腸草)"라는 풀을 맛본 것이 마지막이었고, 창자가 끊어져 죽었다고도 한다.[13]
『회남자(淮南子)』에는 “고대 사람들은 야생초, 물, 나무 열매, 조개류(ドブガイ・タニシ 등)를 마구 섭취했기 때문에, 때때로 병에 걸리거나 독에 중독되는 등 많은 고통을 겪었다. 이 때문에 신농은 백성에게 오곡을 재배하는 방법과 적절한 토지를 판단하는 방법(농업)을 가르쳤다. 모든 식물을 면밀히 조사하여 백성에게 식용과 독초의 차이, 음용수의 적부(의료)를 가르쳐 백성에게 지식을 널리 알렸다. 바로 이때 많은 식물을 먹었기 때문에 신농은 하루에 70번이나 중독되었다”라고 적혀 있다.[16]
본초학(本草學)의 시조라는 전설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본초학 관련 서적에는 "신농"이라는 이름을 포함한 서명의 책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그중 오래된 시대의 것들은 대부분 소실되어 남아 있는 것이 적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하편에는 “복희가 죽자 신농이 다스렸다. 신농은 나무를 가공하여 농기구를 만들고, 농기구의 이점을 백성에게 가르쳐 널리 알렸다. 이것은 ‘익(益)’이라는 괘(卦)를 참고한 것일 것이다. 또한 신농은 낮에 시장을 열고 백성을 불러 모았다. 시장에는 온갖 상품이 모여 사람들이 거래(交易)하고 돌아가면, 각자 원하는 것을 얻고 있었다. 이것은 ‘식합(噬嗑)’이라는 괘를 참고한 것일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17]
신농 시대에 물물교환 등의 거래를 하는 시장이나 가게가 처음 생겼다는 전설도 『잠부론(潛夫論)』에 있으며,[13] 『십팔사략(十八史略)』 등에서도 “사람들로 하여금 낮에 시장을 열게 하고 거래하고 물러가게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漢)나라 시대에 오행설(五行說)이 유행하면서 남쪽 방향을 나타내는 염제(炎帝)와 신농이 동일시되면서, 고대 중국의 황제(帝)로서 역사서 등에 기록되게 되었다.[22]
3. 역사적 관점
기원전 13세기 이전의 중국 역사에 대해서는 갑골문과 같은 নির্ভরযোগ্য 기록이 없어 고고학적 증거에 의존해야 한다.[9] 신농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하나라의 존재도 얼리터우 유적과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농은 개인과 씨족 모두 중국 문화사에서, 특히 신화와 대중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며, 역사 문헌에도 자주 등장한다. 신농(神農)은 의료와 농업 지식을 고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린 존재로 전해지며, 그 이름은 가장 오래된 본초학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서명에도 남아 있다.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나무를 이용해 농기구를 만들고, 땅을 경작하여 오곡의 씨앗을 뿌려 농업을 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전했다. 또한 약초의 효능을 알렸다고 한다. 이를 위해 붉은 채찍(赭鞭)으로 많은 식물을 헤치고 맛보아 약효와 독성을 검증했다. 신농은 머리와 사지를 제외하고는 몸이 투명하여 내장이 밖에서도 보였고, 독이 있으면 내장이 검게 변하여 독이 영향을 미치는 부위를 알아냈다고 한다. 그는 너무 많은 독초를 복용하여 몸에 독소가 쌓여 결국 양귀비를 복용했을 때 죽었다고 한다.[13][14][15] 사천성 민간 전승에는 "단장초(斷腸草)"라는 풀을 맛본 것이 마지막이었고, 창자가 끊어져 죽었다고도 한다.[13]
『회남자(淮南子)』에는 “고대 사람들은 야생초, 물, 나무 열매, 조개류(도부 조개·논우렁이 등)를 마구 섭취했기 때문에, 때때로 병에 걸리거나 독에 중독되는 등 많은 고통을 겪었다. 이 때문에 신농은 백성에게 오곡을 재배하는 방법과 적절한 토지를 판단하는 방법(농업)을 가르쳤다. 모든 식물을 면밀히 조사하여 백성에게 식용과 독초의 차이, 음용수의 적부(의료)를 가르쳐 백성에게 지식을 널리 알렸다. 바로 이때 많은 식물을 먹었기 때문에 신농은 하루에 70번이나 중독되었다”라고 적혀 있다.[16]
본초학의 시조라는 전설 때문에, "신농"이라는 이름을 포함한 본초학 서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오래된 것들은 대부분 소실되어 남아 있는 것이 적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하편에는 “복희(伏羲)가 죽자 신농이 다스렸다. 신농은 나무를 가공하여 농기구를 만들고, 농기구의 이점을 백성에게 가르쳐 널리 알렸다. 이것은 ‘익(益)’이라는 괘(卦)를 참고한 것일 것이다. 또한 신농은 낮에 시장을 열고 백성을 불러 모았다. 시장에는 온갖 상품이 모여 사람들이 거래하고 돌아가면, 각자 원하는 것을 얻고 있었다. 이것은 ‘식합(噬嗑)’이라는 괘를 참고한 것일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17]
신농 시대에 물물교환 등의 거래를 하는 시장이나 가게가 처음 생겼다는 전설도 『잠부론(潛夫論)』에 있으며,[13] 『십팔사략(十八史略)』 등에서도 “사람들로 하여금 낮에 시장을 열게 하고 거래하고 물러가게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漢) 시대에 오행설이 유행하면서 남쪽 방향을 나타내는 염제(炎帝)와 신농이 동일시되면서, 고대 중국의 황제(帝)로서 역사서 등에 기록되게 되었다.[22] 신농(神農)은 초대 염제(炎帝)라고도 불린다. 초대 염제는 고대 중국의 왕으로, 성은 강(姜)이다. 120세까지 살았고, 장사(長沙)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또는 진(陳)에 있던 도읍을 노(魯)로 옮기고 140년간 재위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0] 『제왕세기(帝王世紀)』에는 다섯 줄의 거문고를 발명했고, 또한 복희가 만든 팔괘를 두 겹으로 쌓아 더 연구하여 8x8의 육십사괘를 만들었다고 한다.[22] 신농의 후손들인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는 황제(黃帝)와의 충돌 후 합병·융합되었다. 이 후손들이 후대의 한족(漢族)으로 여겨진다. 서진(西晋)대에 이르자 서주(西周) 이전에 한수(漢水) 유역에 거주했던 농경 부족인 력산씨(歷山氏)와 동일시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염제와 황제(黃帝)는 이복형제이며, 『국어(國語)』에는 염제는 소전씨(少典氏)가 취한 유조씨(有蟜氏)의 아들로, 모두 관중(關中)을 흐르는 강수(姜水)에서 태어난 염제가 강(姜) 성을, 희수(姬水)에서 태어난 황제가 희(姬) 성을 사용했다고 한다.[21] 또한 『제왕세기(帝王世紀)』에는 신농은 어머니가 화양(華陽)에 유람하던 중 용의 머리가 나타나 감응하여 임신하여 강수(姜水)에서 태어났고, 몸은 사람이지만 머리는 소의 모습이었다. 불의 덕(나무 다음이 불이라는 것, 남쪽에 위치하는 것, 여름을 다스리는 것)을 지녔으므로 염제(炎帝)라고도 부른다고 한다.[22]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정치인이자 중국 고대사에 깊은 조예가 있었던 오국정(吳國楨)(1903 - 1984년)은 그의 논문에서 염제의 “염(炎)”과 그가 전파했다고 믿어지는 화전농업(焼畑農業)의 불꽃과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23]
3. 1. 선사 시대의 통치자
중국 신화에서 신농은 인간에게 쟁기 사용법과 기본적인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염제(炎帝) 신화나 화전 농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신농은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다. 그는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진다.신농은 또한 약, 불로장생, 금 제련의 비밀을 전수한 황제(黃帝)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8세기 서기 역사가 사마진(司馬貞)의 기원전 2세기 사기(史記)(『사기』) 주석에 따르면, 신농은 황제의 친척이며 고대 중국인의 조상 또는 족장이라고 한다.
주(周)나라 이후, 일부 "고대 중국 역사가"와 종교인들은 신농이 주나라를 건국한 후대의 조상인 "신화 속 현명한 왕"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3]로 주나라 내에 존재했다고 생각했다.[2][3]
이러한 견해의 대안으로, 백가쟁명 시대에 신농은 신이라기보다는 문화 영웅으로 여겨졌지만, 백가쟁명 시대에 존재했던 모든 식물을 먹어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낸 초자연적인 소화 시스템을 가진 존재였다.[4] 기원전 3세기, 중국 왕국들 간의 정치적 위기와 팽창주의, 전쟁 시대에 신농은 노동자와 농민을 중시하고 "신하, 법, 처벌 없이 다스린" 이상적인 선사 시대 통치자로서 새로운 신화를 얻었다.[4]
3. 2. 씨족 집단
중국 신화에서 신농(神農)은 인간에게 쟁기 사용법과 기본적인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염제(炎帝) 신화나 화전 농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3] 신농은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다. 그는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치우와 마찬가지로 소 머리에 날카로운 뿔, 청동 이마, 철 두개골을 가졌다고 묘사되기도 한다.[3]신농은 약, 불로장생, 금 제련의 비밀을 전수한 황제(黃帝)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다.[1] 8세기 역사가 사마진(司馬貞)은 기원전 2세기 사기(史記)(『사기』) 주석에서 신농이 황제의 친척이며 고대 중국인의 조상 또는 족장이라고 언급했다.
주(周)나라 이후, 일부 "고대 중국 역사가"와 종교인들은 신농이 주나라를 건국한 후대의 조상인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3]로 주나라 내에 존재했다고 생각했다.[2]
백가쟁명 시대에 신농은 신이라기보다는 문화 영웅으로 여겨졌지만, 백가쟁명 시대에 존재했던 모든 식물을 먹어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낸 초자연적인 소화 시스템을 가진 존재였다.[4] 기원전 3세기, 중국 왕국들 간의 정치적 위기와 팽창주의, 전쟁 시대에 신농은 노동자와 농민을 중시하고 "신하, 법, 처벌 없이 다스린" 이상적인 선사 시대 통치자로서 새로운 신화를 얻었다.[4]
기원전 13세기 이전 중국 역사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는 고고학적 증거에서만 얻을 수 있다. 내구성 있는 매체에 기록된 중국의 최초의 기록 시스템인 갑골문이 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9] 따라서 신농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하나라의 구체적인 존재조차도 중국 고고학자들이 그 왕조를 청동기 시대 얼리터우 유적지와 연결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10]
그러나 신농은 개인과 씨족 모두 중국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며, 특히 신화와 대중문화와 관련이 깊다. 실제로 신농은 역사 문헌에 광범위하게 등장한다.
염제 신농씨(神農氏)는 8대에 걸쳐 수도를 진(陳)에 두고 530년(『십팔사략(十八史略)』에서는 52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7대에 걸쳐 염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그 후에는 황제(黃帝)의 통치가 이어졌다고 한다.
『제왕세기』 | 『사기(史記)』삼황본기 | 『십팔사략(十八史略)』 | |
---|---|---|---|
1 | 신농(神農) | 신농(神農) | 신농(神農) |
2 | 제림규(帝臨魁) | 제림규(帝臨魁) | 제승(帝承) |
3 | 제승(帝承) | 제승(帝承) | 제림(帝臨) |
4 | 제명(帝明) | 제명(帝明) | 제칙(帝則) |
5 | 제직(帝直) | 제직(帝直) | 제백(帝百) |
6 | 제래(帝来) | 제애(帝嫠) | 제래(帝来) |
7 | 제애(帝哀) | 제애(帝哀) | 제양(帝襄) |
8 | 제유망(帝楡罔) | 제유망(帝楡罔) | 제유(帝楡) |
신화 전설에 등장하는 신들 중에도 염제 신농씨의 자손 혹은 후예라고 일컬어지는 존재가 많다.
- 축융(祝融)
- 후토(后土)
- 공공(共工)
- 요희(瑤姬)
- 정위(精衛)
- 치우(蚩尤)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정치인이자 중국 고대사에 깊은 조예가 있었던 오국정(吳國楨)(1903 - 1984년)은 그의 논문에서 염제의 “염(炎)”과 그가 전파했다고 믿어지는 화전농업(焼畑農業)의 불꽃과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23]
4. 염제 신농씨
중국 신화에서 신농(神農)은 인간에게 쟁기 사용법, 기본적인 농업 기술, 그리고 대마(cannabis)의 사용법을 가르쳤다.[3] 그는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으며,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진다. 치우와 마찬가지로 소 머리에 날카로운 뿔, 청동 이마, 철 두개골을 가졌다고 한다.[3]
주(周)나라 이후, 일부 "고대 중국 역사가"와 종교인들은 신농이 주나라를 건국한 후대의 조상인 "신화 속 현명한 왕" 후직(后稷)의 신격화된 형태[2] [3]로 주나라 내에 존재했다고 생각했다.
백가쟁명 시대에 신농은 신이라기보다는 문화 영웅으로 여겨졌지만,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내기 위해 모든 식물을 먹어본 초자연적인 소화 시스템을 가진 존재였다.[4] 기원전 3세기, 중국 왕국들 간의 정치적 위기와 팽창주의, 전쟁 시대에 신농은 노동자와 농민을 중시하고 "신하, 법, 처벌 없이 다스린" 이상적인 선사 시대 통치자로서 새로운 신화를 얻었다.[4]
회남자(淮南子)는 신농 이전에는 사람들이 병들고, 궁핍하고, 굶주리고, 질병에 시달렸지만, 신농이 직접 연구한 농업을 가르침으로써 백 가지가 넘는 식물을 먹고 심지어 하루에 70가지의 독을 먹으면서 사람들을 구했다고 전한다.[6] 신농은 《주역(易經)》에도 등장하는데, 파옥시의 시대가 끝난 후 권력을 잡았고, 굽은 나무 쟁기를 발명하고, 나무로 만든 갈퀴를 만들어 이 기술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정오 시장을 설립했다고 언급되어 있다.[7] 여씨춘추(呂氏春秋)는 신농 집단의 등장과 관련된 폭력 사태와 그들의 권력이 17대에 걸쳐 지속되었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8]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신농에게 귀속되는 농업과 약초에 관한 책이다. 연구에 따르면 이 책은 약 200년에서 250년 사이에 기록된 구전의 편찬물이다.
기원전 13세기 이전 중국 역사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는 고고학적 증거에서만 얻을 수 있다. 내구성 있는 매체에 기록된 중국의 최초의 기록 시스템인 갑골문이 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9] 따라서 신농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하나라의 구체적인 존재조차도 중국 고고학자들이 그 왕조를 청동기 시대 얼리터우 유적지와 연결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10]
그러나 신농은 중국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며, 특히 신화와 대중문화와 관련이 깊다. 실제로 신농은 역사 문헌에 광범위하게 등장한다.
『제왕세기(帝王世紀)』에는 신농이 다섯 줄의 거문고를 발명했고, 복희(伏羲)가 만든 팔괘(八卦)를 두 겹으로 쌓아 연구하여 8x8의 육십사괘(六十四卦)를 만들었다고 한다.[22] 신농의 후손들인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는 황제(黃帝)와의 충돌 후 합병·융합되었으며, 이 후손들이 후대의 한족(漢族)으로 여겨진다. 서진(西晋)대에 이르자 서주(西周) 이전에 한수(漢水) 유역에 거주했던 농경 부족인 력산씨(歷山氏)와 동일시되었다.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정치인이자 중국 고대사에 조예가 깊었던 오국정(吳國楨)(1903 - 1984년)은 그의 논문에서 염제의 “염(炎)”과 그가 전파했다고 믿어지는 화전농업(焼畑農業)의 불꽃과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23]
4. 1. 염제(炎帝)
중국 신화에서 신농(神農)은 인간에게 쟁기 사용법과 기본적인 농업 기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염제(炎帝) 신화나 화전 농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신농은 불과 바람의 신이기도 했다.[3] 그는 때때로 치우(蚩尤)의 조상이거나 그의 신하 중 한 명이었다고도 전해진다.신농은 또한 약, 불로장생, 금 제련의 비밀을 전수한 황제의 아버지로 여겨지기도 한다.[3] 기원전 2세기 사기(史記) 주석에서 8세기 역사가 사마진(司馬貞)은 신농이 황제의 친척이며 고대 중국인의 조상 또는 족장이라고 언급했다.
신농(神農)은 초대 염제(炎帝)라고도 불린다. 초대 염제(炎帝)는 고대 중국의 왕으로, 성은 강(姜)이다. 120세까지 살았고, 장사(長沙)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또는 진(陳)에 있던 도읍을 노(魯)로 옮기고 140년간 재위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0]
전설에 따르면 염제(炎帝)와 황제(黃帝)는 이복형제이며, 『국어(國語)』에는 염제는 소전씨(少典氏)가 취한 유조씨(有蟜氏)의 아들로, 모두 관중(關中)을 흐르는 강수(姜水)에서 태어난 염제가 강(姜) 성을, 희수(姬水)에서 태어난 황제가 희(姬) 성을 사용했다고 한다.[21] 또한 『제왕세기(帝王世紀)』에는 신농은 어머니가 화양(華陽)에 유람하던 중 용의 머리가 나타나 감응하여 임신하여 강수(姜水)에서 태어났고, 몸은 사람이지만 머리는 소의 모습이었다. 불의 덕을 지녔으므로 염제(炎帝)라고도 부른다고 한다.[22]
4. 2. 신농의 후손
사마천(사마천)은 황제에 앞선 통치자들이 신농(神農)의 집단(혹은 사회 집단)에 속했다고 언급했다.[5] 사마진은 《사기》(史記중국어)에 서문을 덧붙이면서 신농의 성이 강(姜)(姜중국어)이었다고 말하며 그의 후계자들을 열거했다.[6] 염제 신농씨(神農氏)는 진(陳)에 수도를 두고 8대에 걸쳐 530년(『십팔사략(十八史略)』에서는 52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7대에 걸쳐 염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그 후에는 황제(黃帝)의 통치가 이어졌다고 한다.『제왕세기』 | 『사기(史記)』삼황본기 | 『십팔사략(十八史略)』 | |
---|---|---|---|
1 | 신농(神農) | 신농(神農) | 신농(神農) |
2 | 제림규(帝臨魁) | 제림규(帝臨魁) | 제승(帝承) |
3 | 제승(帝承) | 제승(帝承) | 제림(帝臨) |
4 | 제명(帝明) | 제명(帝明) | 제칙(帝則) |
5 | 제직(帝直) | 제직(帝直) | 제백(帝百) |
6 | 제래(帝来) | 제애(帝嫠) | 제래(帝来) |
7 | 제애(帝哀) | 제애(帝哀) | 제양(帝襄) |
8 | 제유망(帝楡罔) | 제유망(帝楡罔) | 제유(帝楡) |
신화 전설에 등장하는 신들 중에도 염제 신농씨의 자손 혹은 후예라고 일컬어지는 존재가 많다.
- 축융(祝融)
- 후토(后土)
- 공공(共工)
- 요희(瑤姬)
- 정위(精衛)
- 치우(蚩尤)
5. 관련 문화
신농은 『회남자』에서 수백 가지의 약초를 맛보아 그 약효를 시험했다고 전해진다. 신농의 저술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서한 말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이다. 이 책은 영지버섯, 마리화나 등 다양한 약초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농이 발견하여 등급과 희귀도를 매긴 것으로 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중국 본초로 여겨지는 이 책은 광물, 식물, 동물에서 유래한 365가지 약재를 포함하고 있다.[11] 신농은 수백 가지의 약초(및 독초)의 성질을 직접 시험하여 확인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한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어서 자신에게 미치는 다양한 식물과 약초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는 차를 발견했는데, 그가 자신의 몸에 시험한 약 70가지 약초의 독성에 대한 해독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신농은 기원전 2437년경에 불에 타는 차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차잎을 끓는 물이 담긴 가마솥에 넣어 처음으로 차를 맛보았다고 전해지며, 중국 의학의 아버지로 존경받고 있다. 그는 침술 기법을 도입한 것으로도 여겨진다.
신농은 복희, 황제와 함께 거문고(guqin)를 만드는 데 참여했다고 한다. 학술 연구에 따르면 송나라 장군 악비의 부계 가문은 신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12]
5. 1. 신농에 대한 제사
한국에서는 고구려 시대 이후로 농신(農神)으로서의 염제신농씨에 대한 제사를 지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선농단을 세워 매년 임금이 직접 밭을 간 후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중국은 물론 한국, 일본, 베트남, 대만 등에서도 신농의 은덕을 기리며 제향하고 있다.신농에게 소나 쇠를 제물로 바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대신 돼지와 양이 허용된다. 특히 민간 전통에 따르면 음력 4월 26일 그의 생일날 그의 동상이 나타날 때 불꽃놀이와 향을 피울 수 있다.
의약의 시조라는 점에서 한약업자나 의료 종사자 등에게 널리 신앙되고 있다.
5. 2. 일본에서의 신앙
신농은 의약의 시조라는 점에서 한약업자나 의료 종사자 등에게 널리 신앙되고 있다.- 도쿄도 분쿄구 유시마의 유시마 성당 내 신농묘에 봉안되어 매년 11월 23일에 "신농제"가 거행된다.
- 오사카부 사카이시 에비스노마치의 약조신사는 사카이텐진 스가와라 신사의 섭사(摂社)로 소히코나노미코토와 함께 봉안되어 매년 11월 23일에 "약조제"가 거행된다.
- 오사카시 주오구의 소히코나신사에는 소히코나노미코토와 함께 봉안되어 매년 11월 22일・23일에 "신농제"가 거행된다.
또한, 일본에서 신농은 "신농황제"라는 명칭으로, 고구시·데키야 업계에서는 수호신으로 숭배되고 있다. 이는 신농 시대에 물물교환 등의 교역을 하는 시장이 처음 시작되었다는 것과, 신농의 자손이라고 하는 융통왕이 일본 최초의 노점상이라는 전설 등이 그 이유로 여겨져 왔다.[24] 의식에서는 제단 중앙에 걸개 그림이 봉안될 뿐만 아니라, 폭도의 "임협도"에 상당하는 도덕을 "신농도"라고 칭하고 있다.
6. 대중문화
신농은 『회남자』에서 수백 가지의 약초를 맛보아 그 약효를 시험했다고 알려져 있다. 신농의 저술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인데, 이는 서한 말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농이 실존 인물이라면 수천 년 후의 일이다. 이 책에는 영지버섯과 마리화나 등 다양한 약초가 기록되어 있으며, 신농이 발견하여 등급과 희귀도를 매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농본초경』은 가장 오래된 중국 본초로 여겨지며, 광물, 식물, 동물에서 유래한 365가지 약재를 포함하고 있다. 신농은 수백 가지의 약초(및 독초)의 성질을 직접 시험하여 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한의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전설에 따르면 신농은 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식물과 약초가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차를 발견했는데, 자신이 시험한 약 70가지 약초의 독성에 대한 해독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1] 신농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2437년경에 불에 타는 차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차잎을 끓는 물이 담긴 가마솥에 넣어 처음으로 차를 맛보았다고 전해진다. 신농은 중국 의학의 아버지로 존경받고 있으며, 침술 기법을 도입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신농은 복희, 황제와 함께 거문고(guqin)를 만드는 데 참여했다고 한다. 학술 연구에 따르면 유명한 송나라 장군 악비의 부계 가문이 신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12]
7. 갤러리
참조
[1]
서적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https://www.worldcat[...]
Hackett Publishing Company
[2]
서적
Ancient China: Chinese Civilization from the Origins to the Tang Dynasty
Barnes & Noble
[3]
웹사이트
Keynotes 2
https://pages.uorego[...]
University of Oregon
2023-07-18
[4]
서적
A Short History of Myth
Canongate Books
[5]
논문
Shiji
[6]
논문
Huainanzi, xiuwu xun
[7]
논문
I Ching, xici, II, chapter 2
[8]
논문
lisulan, 4, yongmin
[9]
백과사전
Shang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Rethinking Erlitou: legend, history and Chinese archaeology
https://figshare.com[...]
2007-00-00
[11]
서적
365 Days of Nature and Discovery
Harry N. Adams
[12]
PhD Thesis
Yueh Fei and the founding of the Southern Sung
University of Iowa
[13]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青土社
[14]
서적
台湾の宗教 -農村を中心とする宗教研究-
養賢堂
[15]
간행물
中国から到来した神農氏(連載4)
http://www.honzou.jp[...]
本草薬膳学院
2010-06-30
[16]
문서
淮南子・脩務訓
[17]
문서
周易・繋辞伝下
[18]
서적
Yan Di Wen Hua 炎帝文化
[19]
웹사이트
Yan Emperor
[20]
서적
新版 漢方の歴史――中国・日本の伝統医学――
大修館書店
[21]
웹사이트
國語
http://ctext.org/tex[...]
[22]
웹사이트
帝王世紀
http://ctext.org/dic[...]
[23]
서적
The Chinese Heritage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24]
서적
神農の由来 附・香具師虎之巻
神農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