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너두 프로젝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너두 프로젝트는 테드 넬슨이 1960년대에 구상한 "전 세계 전자 출판을 위한 디지털 저장소 계획"으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문서 간의 양방향 링크, 트랜스크루전(다른 문서의 내용을 참조하는 기능), 버전 관리 등을 특징으로 하며, 월드 와이드 웹보다 더 진보된 개념을 포함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여러 차례의 개발 시도가 있었으나, 기술적 어려움, 자금 부족, 내부 갈등 등으로 인해 상용화에 실패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전환되었으며, 현재에도 관련 기술 및 개념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 플랜 9 (운영체제)
    플랜 9는 벨 연구소에서 유닉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 운영체제로, 모든 리소스를 파일처럼 접근하여 시스템 관리 및 보안을 향상시키고자 했으며,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다.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 인디아 스택
    인디아 스택은 인도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방형 API 기반 플랫폼으로, 신원 인증, 결제, 데이터 교환 등의 핵심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여러 국가에서 도입을 추진 중이나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저작물 관리 시스템 - 셰어포인트
    셰어포인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웹 기반 협업 및 문서 관리 플랫폼으로, 기업 콘텐츠 관리, 인트라넷, 그룹 협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저작물 관리 시스템 - 파일메이커
    파일메이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FileMaker Pro를 통해 커스텀 앱을 제작하고 FileMaker Server로 LAN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및 백업하며, FileMaker Go 앱과 FileMaker WebDirect를 통해 모바일 및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활용하고 Claris Connect로 엔터프라이즈 앱과의 데이터 통합을 지원한다.
  • 1960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0년 설립 - 라디오 오키나와
    라디오 오키나와는 1960년 개국한 오키나와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주파수와 출력을 변경하며 방송망을 확장하여 현재는 오키나와 전역에 다수의 FM 중계국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 비중이 높고 radiko 프리미엄을 통해 오키나와 밖에서도 청취 가능하다.
제너두 프로젝트

2. 역사

넬슨은 "전 세계 전자 출판을 위한 디지털 저장소 계획"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1960년 하버드 대학교 학생 시절 이 아이디어를 구상했다고 한다.[4] 그는 문서 저장, 표시, 편집 기능을 갖춘 기계어 프로그램을 제안했는데, 이는 워드 프로세서와는 달리 문서의 다른 버전들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상호 비교"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었다.[4]

넬슨은 독자가 전자 문서에서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순차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하고자 했다.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 제출한 논문에서 그는 이 아이디어를 "지퍼 리스트"라고 불렀다. 지퍼 리스트는 복합 문서를 다른 문서 조각들로 형성하는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5][4] 1967년 하코트 브레이스에서 일하면서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의 시 "쿠빌라이 칸"을 기려 프로젝트 이름을 제너두로 지었다.[4]

당시 넬슨의 발표는 오늘날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많은 기능을 예견했지만, 그의 아이디어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구자들은 흥미를 느꼈지만, 넬슨은 아이디어를 구현할 기술적 지식이 부족했다.[3]

1974년 테드 넬슨은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와 1981년 『리터러리 머신즈』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는 넬슨의 컴퓨팅에 대한 생각들을 순서 없이 엮은 비순차적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이 책은 앞뒤로 인쇄된 두 권으로 구성되어 번갈아 읽도록 되어 있었다. 『컴퓨터 리브』는 넬슨을 화나게 했던 주제들을, 『드림 머신즈』는 컴퓨터가 예술을 돕는 잠재력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었다.

1972년 캘 대니얼스는 넬슨이 임대한 컴퓨터에서 제너두 소프트웨어의 첫 데모 버전을 완성했지만, 곧 자금이 바닥났다. 1974년 컴퓨터 네트워킹의 출현과 함께 넬슨은 제너두에 대한 생각을 다듬어 정보를 중앙 집중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만들고 "도큐버스"라고 불렀다.

1979년 여름, 넬슨은 로저 그레고리, 마크 S. 밀러, 스튜어트 그린과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스와스모어로 갔다. 그린이 임대한 집에서 그들은 제너두에 대해 논의했지만, 여름이 끝날 무렵 그룹은 각자의 길을 갔다. 밀러와 그레고리는 초한수 기반 주소 체계인 텀블러를 만들어 파일의 모든 부분을 참조할 수 있게 했다.

그룹은 거의 파산 직전까지 작업했지만, 1983년 넬슨은 해커 컨퍼런스에서 오토데스크 창립자 존 워커를 만났다. 이 회의는 스티븐 레비의 ''해커스''에 언급된 사람들을 위한 자리였으며, 그룹은 오토데스크의 재정 지원을 받아 제너두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990년 경제학자 로빈 핸슨에 따르면 최초의 기업 예측 시장이 제너두에서 사용되었다. 직원과 컨설턴트들은 상온 핵융합 논쟁에 베팅하는 데 사용했다.

오토데스크에서 그레고리가 이끄는 그룹은 C 언어로 소프트웨어 버전을 완성했지만, 원하는 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버전은 해커 컨퍼런스에서 성공적으로 시연되어 큰 관심을 받았다. 이후 제록스 PARC의 프로그래머 그룹은 스몰토크로 소프트웨어를 재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룹을 둘로 나누었고, 재작성 결정으로 오토데스크가 부과한 기한을 넘기게 되었다. 1992년 8월 오토데스크는 제너두 그룹을 분사했고, 제너두 운영 회사(Xanadu Operating Company)가 되었지만, 내부 갈등과 투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메멕(바네바 부시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에서 이름을 따옴)[6] 창립자 찰스 S. 스미스는 마크 S. 밀러, 딘 트라이블, 라비 판디아 등 제너두 프로그래머들을 고용하고 제너두 기술을 라이선스했지만, 메멕은 곧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임금을 받지 못한 프로그래머들은 컴퓨터를 가지고 떠났다(후에 임금은 지급됨). 이 무렵 팀 버너스리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하고 있었다. 웹이 큰 성장을 보이자 넬슨 팀은 방어적 자세를 취했지만 결국 패배했다. 1995년 ''와이어드'' 기사 "제너두의 저주"는 넬슨의 반박을 불렀지만, 웹이 제너두를 압도하면서 논쟁은 사라졌다.[7]

1998년 넬슨은 제너두 소스 코드를 프로젝트 우다낙스(Project Udanax)로 공개하여,[8] 사용된 기술과 알고리즘이 일부 소프트웨어 특허를 무효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9]

2007년 제너두 프로젝트는 XanaduSpace 1.0을 출시했다.[10]

2014년 "작동 가능한 결과물"인 오픈재너두(OpenXanadu)가 월드 와이드 웹에 공개되었다. 이는 "모든 부분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오픈이라고 불렸지만, 웹사이트에서는 "오픈 소스"가 아니라고 명시했다. 제작자들은 팀 버너스리가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훔쳤고, 월드 와이드 웹은 "임의적인 계획으로 만들어진 기괴한 구조이며, 끔찍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웹 보안은 "복잡한 미로"라고 말했다. 또한 하이퍼텍스트는 종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월드 와이드 웹은 죽은 링크 이상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1]

2016년 테드 넬슨은 베르너 헤어초크의 다큐멘터리 ''로 앤 비홀드, 커넥티드 월드의 환상''에서 인터뷰했다. 헤어초크는 "어떤 이들은 그를 정신 이상이라고 칭했지만, 당신은 임상적으로 유일하게 제정신인 사람으로 보인다"고 말했다.[12] 넬슨은 "아무도 전에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어요! 보통은 반대되는 말을 듣죠."라며 기뻐했다.

1945년 버네바 부시가 발표한 Memex 구상에 영향을 받아 1960년 시작된 세계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개발 프로젝트이다. 웹상의 공식 사이트에서는 종이 매체와의 발상 차이를 강조하며,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종이 매체를 모방하고 있다. 월드 와이드 웹은 링크가 일방향이고 끊어지기 쉬우며, 버전 및 콘텐츠 관리가 부족하다. WWW는 우리가 원래 구상했던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시시한 것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와이어드는 제너두 프로젝트를 "컴퓨터 업계 사상 최장의 베이퍼웨어 스토리"라고 조롱했다.

2. 1. 초기 (1960년대)

1960년 테드 넬슨하버드 대학교 재학 시절, 문서를 저장, 표시, 편집하고 문서의 다른 버전들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기능을 갖춘 기계어 프로그램을 구상했다. 넬슨은 이 "상호 비교"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전자 문서에서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순차적인 글쓰기를 제안했다.[4]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 제출한 논문에서 넬슨은 이 아이디어를 "지퍼 리스트"라고 명명했다. 지퍼 리스트는 복합 문서를 다른 문서의 조각들로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전사 개념을 포함했다.[5][4] 1967년, 하코트 브레이스에서 일하면서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의 시 "쿠빌라이 칸"을 기리기 위해 그의 프로젝트 이름을 제너두라고 지었다.[4]

당시 넬슨의 아이디어는 오늘날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많은 기능을 예견했지만, 기술적 지식 부족으로 구현되지 못하고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3]

2. 2. 발전 (1970년대)

1974년 테드 넬슨은 자신의 저서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와 1981년 『리터러리 머신즈』를 통해 제너두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발표했다.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는 넬슨의 컴퓨팅에 대한 생각들을 특정 순서 없이 엮은 것으로, 순차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작성되었다.[1] 이 책은 앞뒤로 인쇄된 두 권의 책을 담고 있으며, 번갈아 가며 읽도록 구성되었다. 『컴퓨터 리브』는 넬슨을 화나게 했던 주제들에 대한 생각을, 『드림 머신즈』는 컴퓨터가 예술을 돕는 잠재력에 대한 그의 기대를 담고 있었다.[1]

1972년, 캘 대니얼스는 넬슨이 임대한 컴퓨터에서 자나두 소프트웨어의 첫 번째 데모 버전을 완성했지만, 넬슨은 곧 자금이 바닥났다.[2] 1974년, 컴퓨터 네트워킹의 출현과 함께, 넬슨은 자나두에 대한 생각을 정교하게 다듬어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었고, 이를 "도큐버스"라고 불렀다.[2]

1979년 여름, 넬슨은 로저 그레고리, 마크 S. 밀러, 스튜어트 그린 등 그의 추종자들과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스와스모어로 갔다.[3] 그린이 임대한 집에서 그들은 자나두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했지만, 여름이 끝날 무렵 그룹은 각자의 길을 갔다.[3] 밀러와 그레고리는 초한수를 기반으로 한 주소 체계를 만들었는데, 이를 텀블러라고 불렀으며, 파일의 모든 부분을 참조할 수 있게 했다.[3]

2. 3. 정체와 좌절 (1980년대)

1983년, 테드 넬슨은 해커 컨퍼런스에서 오토데스크 창립자인 존 워커를 만났다. 이 회의는 스티븐 레비의 저서 ''해커스''에 언급된 인물들을 위한 자리였으며, 넬슨 그룹은 오토데스크의 재정 지원을 받아 제너두 프로젝트를 재개했다.[7]

1990년, 경제학자 로빈 핸슨에 따르면 제너두에서 최초의 기업 예측 시장이 사용되었다. 당시 직원들과 컨설턴트들은 상온 핵융합 논쟁에 베팅하는 데 이를 활용했다.[7]

오토데스크에서 로저 그레고리가 이끄는 그룹은 C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완성했지만,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 버전은 해커 컨퍼런스에서 성공적으로 시연되어 큰 관심을 받았다. 이후 제록스 PARC에서 고용된 새로운 프로그래머 그룹은 스몰토크로 소프트웨어를 재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그룹은 두 파벌로 나뉘었고, 재작성 결정으로 오토데스크가 정한 기한을 맞추지 못했다. 1992년 8월, 오토데스크는 제너두 그룹을 분사하여 제너두 운영 회사(Xanadu Operating Company)를 설립했지만, 내부 갈등과 투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

바네바 부시가 제안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에서 이름을 따온 메멕[6]의 창립자 찰스 S. 스미스는 마크 S. 밀러, 딘 트라이블, 라비 판디아 등 제너두의 주요 프로그래머들을 고용하고 제너두 기술을 라이선스했다. 그러나 메멕은 곧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당시 임금을 받지 못한 프로그래머들은 컴퓨터를 가지고 회사를 떠났다 (이후 프로그래머들은 임금을 받았다).[7]

2. 4. 분사 및 경쟁 심화 (1990년대)

1992년 8월, 자나두 그룹은 오토데스크에서 해산되었고, Xanadu Operating Company를 설립했지만 내부 갈등과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배너버 부시가 제안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인 Memex의 이름을 딴 기업의 창업자 찰스 S. 스미스는 자나두 프로그래머의 대부분을 고용하고 자나두 기술을 라이선스했다. 그러나 Memex는 곧 경영 위기에 빠져 잠시 급여를 받지 못한 프로그래머들이 컴퓨터를 가지고 회사를 떠났다. (결국 급여는 지급되었다.) 이 무렵, 팀 버너스리월드 와이드 웹을 발전시켰다.

2. 5. 오픈 소스 전환 (1990년대 후반 ~ 현재)

1998년, 넬슨은 자나두의 소스 코드를 프로젝트 우다낙스(Project Udanax)로 공개했다.[8] 이는 사용된 기술과 알고리즘이 일부 소프트웨어 특허를 무효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기 때문이다.[9]

2007년, 제너두 프로젝트는 XanaduSpace 1.0을 출시했다.[10]

2014년에는 "작동 가능한 결과물"로 묘사된 버전인 오픈재너두(OpenXanadu)가 월드 와이드 웹에 공개되었다. 이는 "모든 부분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오픈이라고 불렸지만, 2014년 6월 기준으로 웹사이트에서는 아직 "오픈 소스"가 아니라고 명시했다. 웹사이트에서 제작자들은 팀 버너스리가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훔쳤으며, 월드 와이드 웹은 "다양한 사람들의 임의적인 계획으로 만들어진 기괴한 구조이며, 끔찍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웹 보안은 "복잡한 미로"라고 말했다. 또한, 하이퍼텍스트는 종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월드 와이드 웹은 다른 죽은 페이지로의 죽은 링크 이상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1]

2016년에는 테드 넬슨이 베르너 헤어초크의 다큐멘터리인 ''로 앤 비홀드, 커넥티드 월드의 환상''에서 인터뷰를 했다. 헤어초크는 "어떤 이들은 그가 매달리는 모습 때문에 정신 이상이라고 칭했지만, 우리에게 당신은 임상적으로 유일하게 제정신인 사람으로 보인다"고 말했다.[12] 넬슨은 이 칭찬에 기뻐하며, "아무도 전에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어요! 보통은 반대되는 말을 듣죠."라고 말했다.

3. 주요 개념 및 기술

테드 넬슨은 1960년 하버드 대학교 학생 시절, "전 세계 전자 출판을 위한 디지털 저장소 계획"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4] 그는 문서를 저장, 표시하고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어 프로그램을 구상했는데, 이는 워드 프로세서와는 달리 문서의 다른 버전들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상호 비교" 기능을 포함할 예정이었다.[4]

넬슨은 독자가 전자 문서에서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순차적 글쓰기를 용이하게 하고자 했다.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 제출한 논문에서 그는 이 아이디어를 "지퍼 리스트"라고 불렀다. 지퍼 리스트는 복합 문서를 다른 문서의 조각들로 형성하는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5][4] 1967년, 하코트 브레이스에서 일하면서 그는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의 시 "쿠빌라이 칸"을 기리기 위해 그의 프로젝트 이름을 제너두라고 지었다.[4]

ACM에서 넬슨의 발표는 오늘날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많은 기능을 예견했지만, 당시 그의 아이디어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구자들은 그의 아이디어에 흥미를 느꼈지만, 넬슨은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기술적 지식이 부족했다.[3]

테드 넬슨은 1974년 저서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와 1981년 『리터러리 머신즈』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는 넬슨의 컴퓨팅에 대한 생각들을 특정 순서 없이 엮은 책으로, 다른 주제들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앞뒤로 인쇄된 두 권의 책을 담고 있으며, 번갈아 가며 읽도록 구성되었다. 『컴퓨터 리브』는 넬슨을 화나게 했던 주제들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으며, 『드림 머신즈』는 컴퓨터가 예술을 돕는 잠재력에 대한 그의 기대를 논하고 있다.

1972년, 캘 대니얼스는 넬슨이 임대한 컴퓨터에서 자나두(Xanadu) 소프트웨어의 첫 번째 데모 버전을 완성했지만, 넬슨은 곧 자금이 바닥났다. 1974년, 컴퓨터 네트워킹의 출현과 함께, 넬슨은 자나두에 대한 생각을 정교하게 다듬어,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었고, 이를 "도큐버스"라고 불렀다.

1979년, 넬슨은 로저 그레고리, 마크 S. 밀러, 스튜어트 그린과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스와스모어로 갔다. 그들은 자나두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했지만, 얼마 후 그룹은 해체되었다. 밀러와 그레고리는 초한수를 기반으로 한 주소 체계인 텀블러를 만들었는데, 이는 파일의 모든 부분을 참조할 수 있게 했다.

버네바 부시의 Memex 구상에 영향을 받은[3] 제너두 프로젝트는 하이퍼텍스트 개발을 목표로 했다. 잡지 와이어드는 제너두 프로젝트를 "컴퓨터 업계 사상 최장의 베이퍼웨어 스토리"라고 조롱했다.

3. 1. 하이퍼텍스트

넬슨은 1960년 하버드 대학교 학생 시절부터 문서를 저장, 표시, 편집하고 문서의 다른 버전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기능을 갖춘 기계어 프로그램을 구상했으며, 이 기능을 "상호 비교"라고 불렀다.[4]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 제출한 논문에서 넬슨은 독자가 전자 문서에서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순차적 글쓰기를 제안하며, 이 아이디어를 "지퍼 리스트"라고 명명했다. 지퍼 리스트는 복합 문서를 다른 문서의 조각들로 구성하는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5][4] 1967년, 하코트 브레이스에서 일하면서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의 시 "쿠빌라이 칸"을 기리기 위해 프로젝트 이름을 제너두로 지었다.[4]

버네바 부시의 Memex 구상에 영향을 받은[3] 제너두 프로젝트는 하이퍼텍스트 개발을 목표로 했다. 웹상의 공식 사이트는 종이 매체와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종이 매체를 모방하고 있다. (종이 매체의 모방인) 월드 와이드 웹은 링크가 일방향이고 끊어지기 쉬우며, 버전 및 콘텐츠 관리가 부족하다. 이처럼 WWW는 우리가 원래 구상했던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시시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제너두 프로젝트 대신 월드 와이드 웹이 보급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제너두는 문서 간 양방향 링크를 지원하고, P2P 형태로 배포되어 링크가 끊어질 염려가 없으며, 버전 관리를 처리하는 등 웹보다 야심 찬 계획이었다. 반면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지정한 "앵커"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고, 링크가 끊어질 수 있으며, 버전 관리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너두는 구현이 어렵고 인간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 반면, 웹은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개인이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3. 2. 트랜스크루전 (Transclusion)

버네바 부시가 1945년에 발표한 Memex라는 구상에 영향을 받아 1960년에 시작된 세계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개발 프로젝트인 제너두는 웹상의 공식 사이트에서 종이 매체와의 발상 차이를 강조한다. 제너두 프로젝트 측은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종이 매체를 모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종이 매체의 모방인) 월드 와이드 웹은 링크가 일방향이고 끊어지기 쉬우며, 버전 및 콘텐츠 관리가 부족하다. 이처럼 WWW는 우리가 원래 구상했던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시시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라고 주장한다.[1]

트랜스크루전은 문서의 모든 곳 사이에서 양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지만,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앵커"로 지정한 곳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너두에서는 링크가 끊어질 일이 없는데, 문서는 P2P 형태로 배포되기 때문에 404 에러를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너두는 문서의 버전 관리를 처리하지만, 웹은 그렇지 않다.[1]

3. 3. 양방향 링크

테드 넬슨은 독자가 전자 문서에서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순차적이지 않은 글쓰기를 구상했고,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 제출한 논문에서 "지퍼 리스트"라는 개념을 제시했다.[5][4] 지퍼 리스트는 복합 문서를 다른 문서의 조각들로 구성하는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5][4]

제너두 프로젝트는 월드 와이드 웹(WWW)과 달리 양방향 링크를 지원하여 문서 내 모든 부분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했다. 반면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지정한 "앵커"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제너두에서는 P2P 형태로 문서를 배포하여 링크가 끊어질 염려가 없었으며, 문서의 버전 관리도 지원했다.

하지만 제너두는 구현이 어렵고 사용자 간의 협력이 필요했던 반면, 웹은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개인이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보급되었다.

3. 4. 텀블러 (Tumbler)

로저 그레고리와 마크 밀러가 만든 텀블러는 제너두 프로젝트에서 내용, 링크, 범위 또는 링크 집합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이다.[14][15] 게리 울프는 ''와이어드''에서 텀블러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 주소가 독자에게 올바른 기기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문서의 저자, 버전, 정확한 바이트(byte) 범위, 그리고 해당 바이트와 관련된 링크까지도 표시한다고 언급했다.[14]

텀블러는 초한수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14] 이 주소 체계를 통해 파일의 모든 부분을 참조할 수 있게 되었다.

3. 5. 버전 관리

월드 와이드 웹(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앵커"로 지정한 곳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지만, 제너두는 문서의 모든 곳 사이에서 양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웹은 버전 관리를 처리하지 않지만, 제너두는 문서의 버전 관리를 처리한다. 제너두에서는 문서는 P2P 형태로 배포되기 때문에 404 에러를 표시할 필요가 없어 링크가 끊어질 일이 없다.

4. 월드 와이드 웹(WWW)과의 비교

월드 와이드 웹(WWW)은 제너두 프로젝트가 추구했던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단순화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제너두 프로젝트는 웹보다 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기술적 구현의 어려움과 사용자 참여 방식의 차이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지정한 위치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는 반면, 제너두는 문서 내 모든 부분 사이에 양방향 링크를 지원하여 정보의 연결성을 높였다.[7] 제너두는 문서가 P2P 형태로 배포되어 링크가 끊어질 염려가 없었고, 문서의 버전 관리 기능도 제공했다.[7]

그러나 제너두는 구현이 복잡하고 사용자의 협력이 필요한 반면, 웹은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개인이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차이가 웹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와이어드지는 제너두 프로젝트를 "컴퓨터 업계 사상 최장의 베이퍼웨어 스토리"라고 평가하기도 했다.[7]

4. 1. 링크 방식

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앵커"로 지정한 곳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지만, 제너두의 트랜스크루전은 문서의 모든 곳 사이에서 양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7] 제너두에서는 링크가 P2P 형태로 배포되기 때문에 끊어질 일이 없어 404 에러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7]

4. 2. 콘텐츠 관리

제너두 프로젝트가 아닌 월드 와이드 웹이 보급된 것은 언뜻 이해하기 어렵다. 제너두 계획은 웹보다 야심적이었기 때문이다. 제너두의 트랜스크루전은 문서의 모든 곳 사이에서 양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지만,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앵커"로 지정한 곳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제너두에서는 링크가 끊어질 일이 없어, 문서를 P2P 형태로 배포하기 때문에 404 에러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7] 게다가 제너두는 문서의 버전 관리를 처리하지만, 웹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제너두는 구현이 어렵고 인간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 반면, 웹은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며, 개인 개인이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보급의 차이를 만들었다.

4. 3. 버전 관리

제너두 프로젝트는 문서의 버전 관리를 처리하지만, 월드 와이드 웹(WWW)은 그렇지 않다.[7] 제너두는 체계적인 버전 관리가 가능했지만, 웹에서는 버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4. 4. 분산 구조

월드 와이드 웹은 문서 전체 또는 작성자가 "앵커"로 지정한 곳에만 단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지만, 제너두의 트랜스크루전은 문서의 모든 곳 사이에서 양방향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7] 제너두에서는 문서가 P2P 형태로 배포되기 때문에 링크가 끊어질 일이 없어 404 에러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7]

4. 5. 철학적 차이

월드 와이드 웹(WWW)은 정보를 단순히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제너두 프로젝트는 정보의 자유로운 연결과 재사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철학적 차이를 보인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정보 공유와 접근성의 측면에서 WWW의 개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제너두 프로젝트는 모든 문서 간의 양방향 링크를 통해 정보의 연결성을 극대화하고, 버전 관리 및 저작권 보호 기능을 통해 정보의 무결성과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했다. 반면 WWW는 단방향 링크를 기반으로 하여 구현이 쉽고, 개인의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

5. 비판 및 한계

와이어드지는 제너두 프로젝트를 "컴퓨터 업계 사상 최장의 베이퍼웨어 스토리"라고 조롱했다.[7] 이는 제너두 프로젝트가 상용화되지 못한 채 오랜 기간 동안 개발만 지속된 점을 비판한 것이다.

제너두 프로젝트가 월드 와이드 웹에 비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 기술적 복잡성: 제너두는 문서의 모든 부분에 양방향 링크를 연결하고, 버전 관리를 처리하는 등 웹보다 훨씬 야심 찬 기능을 추구했다. 이는 구현의 어려움을 초래했고, 결과적으로 상용화에 실패하는 원인이 되었다. 반면, 웹은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구현하기 쉬웠고, 개인의 독립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
  • 인간 협조의 필요성: 제너두는 중앙 집중식 정보 관리 시스템인 "도큐버스"를 통해 모든 정보를 관리하고, 텀블러라는 초한수 기반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파일의 모든 부분을 참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사용자 간의 긴밀한 협조를 필요로 했으며, 개인의 자유로운 참여를 중시하는 웹의 개방성과는 대조적이었다.
  • 경제적, 사회적 요인: 1980년대 오토데스크의 재정 지원을 받아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내부 갈등과 투자 부족으로 인해 1992년 제너두 운영 회사(Xanadu Operating Company)가 분사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7] 또한, 팀 버너스리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제너두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 중 하나로 지나치게 복잡한 시스템과 사용자 친화성 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기술 개발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6. 영향 및 유산

테드 넬슨의 제너두 프로젝트는 비록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지만, 하이퍼텍스트 개념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65년 컴퓨팅 기계 협회(ACM)에서 발표된 넬슨의 아이디어는 오늘날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많은 기능을 예견했지만, 당시 기술적 한계로 인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3]

넬슨은 1974년 저서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와 1981년 《리터러리 머신즈》를 통해 자신의 하이퍼텍스트 비전을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특히 《컴퓨터 리브/드림 머신즈》는 순차적이지 않은 글쓰기 방식을 채택하여 독자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을 직접 보여주었다.

1980년대 오토데스크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제너두 소프트웨어 버전은 해커 컨퍼런스에서 성공적으로 시연되기도 했다.[7] 그러나 내부 갈등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상용화에는 실패했다.

월드 와이드 웹의 등장 이후, 제너두 프로젝트는 경쟁에서 뒤처졌지만, 1998년 소스 코드가 공개되면서(프로젝트 우다낙스) 소프트웨어 특허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했다.[8][9] 2014년에는 오픈재너두(OpenXanadu)라는 버전이 공개되기도 했다.[11]

제너두 프로젝트는 팀 버너스리의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하이퍼텍스트라는 개념을 선구적으로 제시하고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제너두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양방향 링크, 전사(transclusion) 등의 개념은 분산 웹,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 등 미래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제너두 프로젝트가 한국의 정보 기술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하이퍼텍스트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7.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버네바 부시가 1945년에 발표한 Memex라는 구상에 영향을 받아 1960년에 시작된 세계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개발 프로젝트인 제너두 프로젝트와 관련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http://xanadu.com/cosmicbook/ 코스믹 북]
  • [http://xanadu.com/zigzag/ 지그재그]
  • [http://xanadu.com/permapub/ 퍼마펍 및 퍼마스토어]
  • [http://www.nongnu.org/gzz/ GZZ] : 지그재그를 구현한 자유 소프트웨어
  • [http://hypertext.sf.net/token_word token_word] : 제이슨 로러가 제작한, 제너두의 대부분의 주요 기능을 구현한 소프트웨어

참조

[1] Youtube "Director's Cut: Ted Nelson on Hypertext, Douglas Englebart, Xanadu and More" https://www.youtube.[...] IEEE Spectrum 2018-02-14
[2] 웹사이트 Project homepage http://xanadu.com/
[3] 간행물 The Curse of Xanadu https://www.wired.co[...] 1995-06
[4] 서적 Intertwingled: The Work and Influence of Ted Nelson https://archive.org/[...] Springer 2015-06-14
[5] 서적 Complex information processing 1965
[6] 웹사이트 As We May Think https://web.archive.[...] The Atlantic 1945-07
[7] 서적 Good Faith Collaboration: The Culture of Wikipedia https://archive.org/[...] MIT Press
[8] 웹사이트 Udanax Green http://udanax.xanadu[...]
[9] 웹사이트 Udanax Gold http://udanax.xanadu[...]
[10] 웹사이트 XanaduSpace http://xanarama.net Xanarama.net 2011-07-03
[11] 문서 Xanadu web page http://xanadu.com
[12] 기타 Lo and Behold, Reveries of the Connected World Magnolia Pictures 2016
[13] 웹사이트 What requirements do Xanadu systems aim to meet? http://xanadu.com.au[...] 2002-04-12
[14] 간행물 The Curse of Xanadu https://www.wired.co[...] 2015-12-25
[15] 학술지 Xanalogical Structure. Needed Now More than Ever: Parallel Documents, Deep Links to Content, Deep Versioning, and Deep Re-Use http://www.cs.brown.[...] 1999-12
[16] 뉴스 開発に54年間もかかったソフトウェア「Xanadu」がついにリリース、その秘めたる野望とは? https://gigazine.net[...] GIGAZINE 2014-06-10
[17] 웹사이트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xanadu.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