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노피디온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노피디온속은 분류학적으로나 계통발생학적으로 정확한 위치가 불분명한 뱀의 한 속이다. 다른 뱀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며, 머리 비늘에 감각 돌기가 많고, 큰 앞 이마 비늘을 가지며, 윗 턱에 가시 구개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리이음뼈 흔적, 왼쪽 폐, 갈고리뼈가 없다. 2004년 유전자 분석 결과, 제노피디온속은 모리셔스의 왕뱀사촌과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에 속하는 뱀들은 스킨크를 먹이로 삼으며, 난생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두 종, Xenophidion acanthognathus와 Xenophidion schaeferi가 이 속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노피디온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Xenophidion
명명자귄터 & 만트헤이, 1995
상위 분류군 권위자월라크 & 귄터, 1998
속 상위 분류군제노피디온과 (Xenophidiidae)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뱀목
아목뱀아목
하목참뱀하목
하위 종본문 참조
데이터베이스 링크
EMBL 속Xenophidion
파충류 데이터베이스Xenophidion

2. 형태학 및 분류학

제노피디온속 뱀은 다른 뱀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형태적 특징 때문에 전통적으로 분류학적 위치를 정하기 어려운 분류군으로 여겨져 왔다.[6][2] 이러한 형태적 특수성과 더불어 유전학적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계통발생학적 위치가 논의되고 있다.[3][6]

2. 1. 형태적 특징

제노피디온속 뱀은 다른 뱀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형태적 특징 때문에 분류학적으로나 계통발생학적으로 분류하기 까다롭다.[6][2] 머리 비늘에는 감각 기능을 하는 작은 돌기(유두)가 많이 있으며, 이마 앞쪽에는 큰 비늘(전두 비늘)이 있다.[6][2] 윗턱(상악골)에는 가시 모양의 구개 돌기가 있고, 볼리에리과 뱀처럼 관절 구조를 가진다는 점도 특징이다.[6][2] 또한, 다른 많은 뱀들과 달리 다리이음뼈(골반대)의 흔적이나 왼쪽 폐, 그리고 갈고리뼈(관상골)가 없다.[6][2]

2. 2. 분류학적 위치

제노피디온속 뱀은 다른 뱀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형태적 특징 때문에 분류학적으로 위치를 정하기 어려웠다.[2] 머리 비늘에 많은 감각 돌기(유두)가 있고, 앞 이마 비늘이 크며, 윗턱에는 가시 모양의 구개돌기가 있다. 또한 다리이음뼈 흔적, 왼쪽 폐, 갈고리 뼈(관상골)가 없다.[2][6]

그러나 2004년, 시토크롬 b 염기 서열 분석 결과 모리셔스왕뱀사촌과 뱀과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6] 왕뱀사촌과와 마찬가지로 제노피디온속 역시 관절이 있는 상악골을 가지고 있다.[2]

3. 생태

이 속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3. 1. 먹이

표본 해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소화된 스킨크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통해 스킨크를 먹이로 삼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4]

3. 2. 생식

표본 해부를 통해 난생 생식 방식이 밝혀졌지만, 수컷 표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4]

3. 3. 서식지

제노피디온속은 굴을 파고 사는 습성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4] 주요 서식지가 팜유 농업으로 인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을 수 있다.[4]

4. 하위 종

제노피디온속에는 현재 2종이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종 목록


  • 제노피디온 아칸토그나투스 (''Xenophidion acanthognathus'') Günther & Manthey, 1995
  • 제노피디온 쉐페리 (''Xenophidion schaeferi'') Günther & Manthey, 1995

5. 계통 분류

제노피디온속은 분류학적으로나 계통발생학적으로 위치를 정하기 어려운 뱀이다. 이는 다른 모든 뱀 종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형태학적 특징 때문이다. 머리 비늘에는 많은 감각 유두가 있고, 큰 전두 비늘이 있으며, 위턱에는 가시 모양의 구개 돌기가 있다. 또한 골반대 흔적, 왼쪽 폐 또는 관상골이 없다.[2]

초기 연구 중 2004년 사이토크롬 b 염기 서열 분석 결과에서는 ''제노피디온''이 모리셔스의 볼리에리과(Bolyeriidae)와 자매 관계를 이룬다는 것이 밝혀졌다.[3] ''볼리에리과''와 유사하게, 제노피디온속 뱀은 관절이 있는 상악골을 가지고 있다.[2]

최근에는 2013년과 2014년 피론(Pyron, R.A.), 2016년 정(Zheng, Yuchi)과 존(John J. Wiens) 등의 연구를 통해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7][8][9], 이들 연구는 제노피디온과의 계통학적 위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5. 1. 뱀아목 내 계통도

다음은 2013년과 2014년 피론(Pyron, R.A.), 2016년 정(Zheng, Yuchi)과 존(John J. Wiens)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7][8][9]

뱀아목(Serpentes) 내에서 제노피디온과(Xenophiidae)의 계통학적 위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뱀아목은 크게 원시적인 뱀 무리인 실뱀류(Scolecophidia)와 나머지 모든 뱀을 포함하는 진정뱀류(Alethinophidia)로 나뉜다. 제노피디온과는 진정뱀류에 속한다.

진정뱀류 내에서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미국실뱀과(Anomalepididae)가 가장 먼저 분기된다.
  • 나머지 진정뱀류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 파이프뱀과(Cylindrophiidae)와 난쟁이왕뱀과(Anomochilidae)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 제노피디온과(Xenophiidae)는 이 (파이프뱀과+난쟁이왕뱀과) 그룹과 자매군 관계를 이루는 더 큰 분기군에 포함된다. 이 큰 분기군에는 아시아파이프뱀과(Xenopeltidae), 가시꼬리뱀과(Uropeltidae), 멕시코비단뱀과(Loxocemidae), 비단뱀과(Pythonidae), 왕뱀사촌과(Bolyeriidae), 왕뱀과(Boidae), 살무사과(Viperidae), 코브라과(Elapidae), 뱀과(Colubridae) 등 현생 뱀의 대다수가 속한다.


아래는 뱀아목의 주요 과 분류를 나타낸 간략한 계통도이다.

(참고: 위 계통 분류는 여러 연구[7][8][9]를 종합하여 단순화한 것이다. 특히 원본 소스의 복잡한 분지군 표현과 제노피디온과의 중복 표기는 주요 분기점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세부적인 계통 관계는 연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조

[1] EMBL genus
[2] 학술지 Visceral anatomy of the Malaysian snake genus ''Xenophidion'', including a cladistic analysis and allocation to a new family
[3] 학술지 A molecular approach to discerning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enigmatic snake ''Xenophidion schaeferi'' among the Alethinophidia 2004
[4] 블로그 Xenophidion: The Snake with the Mystery Penis http://snakesarelong[...] 2016-09-28
[5] 웹인용 Xenophidion http://reptile-datab[...] The Reptile Database 2014-09-21
[6] 저널 A molecular approach to discerning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enigmatic snake ''Xenophidion schaeferi'' among the Alethinophidia
[7] 저널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http://www.biomedcen[...]
[8] 저널 A Taxonomic Revision of Boas (Serpentes: Boidae) http://home.gwu.edu/[...]
[9] 저널 Combining phylogenomic and supermatrix approaches, and a time-calibrated phylogeny for squamate reptiles (lizards and snakes) based on 52 genes and 4162 species http://www.reptil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