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로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로''는 2001년에 출시된 생존 공포 비디오 게임으로, 버려진 일본 저택을 배경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하여 유령과 싸우며, 탐험과 퍼즐 해결을 통해 스토리를 진행한다. 1986년, 주인공 히나사키 미쿠는 실종된 오빠를 찾아 저택을 탐험하며, 저택의 어두운 과거와 관련된 비밀을 파헤친다. 게임은 다양한 엔딩을 제공하며, Xbox용 스페셜 에디션이 출시되기도 했다. 평가는 엇갈렸지만, 일본 공포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북미와 유럽에서 예상 외의 성공을 거두었다. 후속작이 출시되었고, 영화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는 2012년에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1980년대와 2025년을 배경으로 두 개의 연결된 스토리라인,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른 분기별 스토리, 그리고 멀티플레이어 모드와 좀비 모드를 제공하며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1986년을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그랜드 테프트 오토: 바이스 시티
    그랜드 테프트 오토: 바이스 시티는 2002년 락스타 노스에서 개발하고 락스타 게임즈에서 배급한 3인칭 시점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1986년 마이애미를 모티브로 한 바이스 시티를 배경으로 범죄자 토미 버세티를 조작하여 미션을 수행하고 오픈 월드를 탐험하며,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 테크모의 게임 - 데드 오어 얼라이브 4
    팀 닌자가 개발하고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에서 발매한 Xbox 360용 격투 게임 데드 오어 얼라이브 4는 바운스 콤보 시스템, 움직이는 스테이지 장애물, 온라인 모드 등의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시리즈 최초로 성인 등급을 받고 e스포츠 리그에 포함되기도 했다.
  • 테크모의 게임 - 령: 문신의 소리
    《령: 문신의 소리》는 테크모에서 개발한 서바이벌 호러 비디오 게임 《령 ZERO》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쿠로사와 레이, 히나사키 미쿠, 아마쿠라 케이 세 명의 캐릭터가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하여 유령과 싸우며 꿈 속의 저택과 현실 세계를 탐험하는 게임이다.
  • 대량 살인을 소재로 한 작품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13일의 금요일 시리즈는 제이슨 부어히스를 중심으로 크리스탈 레이크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살인극을 다룬 슬래셔 호러 영화로, 여러 미디어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비평적으로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대량 살인을 소재로 한 작품 - 호라이즌 제로 던
    《호라이즌 제로 던》은 31세기를 배경으로 로봇 생명체가 지배하는 멸망한 세계에서 사냥꾼 엘로이를 조종하여 기계 짐승과 전투를 벌이고 오픈 월드를 탐험하는 3인칭 액션 RPG이다.
제로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Fatal Frame
유럽 제목Project Zero
북미 PlayStation 2 커버 아트
북미 PlayStation 2 커버 아트
시리즈Fatal Frame
개발
개발사Tecmo
디렉터Makoto Shibata
프로듀서Keisuke Kikuchi
프로그래머Toshiyuki Takasaki
아티스트Hitoshi Hasegawa
작가Tsuyoshi Iuchi
작곡가Shigekiyo Okuda
Ayako Toyoda
출시
플랫폼PlayStation 2
Xbox
PlayStation 2일본: 2001년 12월 13일
북미: 2002년 2월 27일
유럽: 2002년 8월 30일
Xbox북미: 2002년 11월 27일
일본: 2003년 2월 6일
유럽: 2003년 5월 2일
기타
장르Survival horror
모드Single-player

2. 게임플레이

《'''제로(페이탈 프레임)'''》는 버려진 일본 저택을 배경으로 하는 생존 공포 비디오 게임으로, 주인공은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하여 유령과 싸운다. 게임은 프롤로그와 튜토리얼, 그리고 레벨 역할을 하는 4개의 챕터로 나뉜다. 플레이어는 게임의 대부분에서 히나사키 미쿠를 조작하며, 오프닝에서는 미쿠의 오빠 마후유가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한다.[46]

저택 각 부분에는 레이아웃 지도가 있고, 각 레벨은 미리 렌더링된 배경 대신 실시간으로 렌더링된다. 탐험은 여러 방을 통해 캐릭터를 안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각 방은 캐릭터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반고정 카메라 시점을 가진다. 환경은 항상 어두우며, 손전등을 사용하여 탐험할 수 있다. 탐험 중에는 이야기의 요소를 확장하는 문서, 카세트 녹음, 체력 아이템 등을 찾을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퍼즐을 풀어야 진행할 수 있으며, 진행 상황은 저택의 저장 지점과 각 챕터가 끝날 때 저장된다.[46][45][43][6]

적대적인 유령은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서만 상대할 수 있으며, 전투 시스템 및 탐험과 퍼즐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전투 시스템

카메라 옵스큐라는 유령을 포획할 수 있는 골동품 카메라로, 적대적인 유령과의 전투에 사용된다. 유령은 캐릭터의 "육감"으로 감지되며, 접촉 시 체력을 소모시킨다.[46] 카메라 사용 시 1인칭 시점으로 전환되며, 왼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카메라 시점을, 오른쪽 스틱으로 캐릭터를 움직인다. 유령을 시야에 오래 담아둘수록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유령은 접근 중 시야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유령이 가까울수록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46]

적대적인 유령과의 전투. 주인공은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유령을 본다. 미쿠의 체력, 카메라 탄약, 유령 표시기가 보인다.


피해량은 포인트로 변환되어 카메라 업그레이드에 사용된다. 재장전 시간 단축, 샷당 피해량 증가, 유령 비틀거림 등의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포인트는 저택 내 무해한 유령을 촬영해서 얻을 수도 있다.[46][45][43][42] 필름은 카메라 탄약으로, 저택에서 찾거나 저장 지점에서 보충한다. 필름 등급에 따라 피해량이 다르며, 높은 등급은 희귀하다.[7]

2. 2. 탐험 및 퍼즐

페이탈 프레임/프로젝트 제로일본어는 버려진 일본 저택을 배경으로 하는 생존 공포 비디오 게임으로, 프롤로그와 튜토리얼 및 레벨 역할을 하는 4개의 챕터로 나뉜다. 플레이어는 게임의 대부분에서 히나사키 미쿠를 조작하며, 오프닝에서는 미쿠의 오빠 마후유가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한다. 저택의 각 부분에는 레이아웃 지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레벨은 미리 렌더링된 배경 대신 실시간으로 렌더링된다.[46] 탐색하는 동안 플레이어는 여러 방을 통해 캐릭터를 안내하며, 각 방은 캐릭터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반고정 카메라 시점을 가지고 있다. 환경은 변함없이 어두우며, 손전등을 사용하여 탐험이 가능하다. 탐험 중에는 이야기의 요소를 확장하는 문서와 카세트 녹음, 체력 아이템 및 기타 물건들을 저택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주인공이 진행하기 위해 퍼즐을 풀어야 한다. 진행 상황은 저택의 저장 지점과 각 챕터가 끝날 때 저장된다.[46][45][43][6]

3. 시놉시스

이야기는 1986년을 배경으로, 초자연적인 현상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히나사키 미쿠와 히나사키 마후유 남매를 중심으로 전개된다.[8] 오빠 마후유가 가정교사 타카미네 준세이와 조수를 찾기 위해 귀신이 들린 히무로 저택에서 실종되자, 미쿠는 오빠를 찾아 저택으로 향한다.[9] 저택을 탐험하면서 미쿠는 타카미네 일행이 저택의 유령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징후를 발견하고, 자신의 손목과 발목에 밧줄 자국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한다.[10]

3. 1. 히무로 저택의 비밀

히무로 저택에서는 과거 끔찍한 의식이 행해졌다. 이른바 "교살 의식"이라 불리는 이 의식에서는 선택된 무녀의 사지를 밧줄로 묶고 목을 졸라 찢어 죽였다. 희생자의 피로 물든 밧줄은 지옥문, 즉 "악의"라 불리는 어둠의 힘과 죽은 자들이 살아있는 세상으로 나오는 것을 막는 문의 봉인에 사용되었다.[10]

마지막 의식의 희생자는 히무로 키리에였다. 그녀는 의식 직전 저택의 방문객과 사랑에 빠졌고, 히무로 저택의 주인은 그녀가 의식을 망설일까 두려워 방문객을 살해하고 키리에에게는 그가 떠났다고 거짓말을 했다. 그러나 키리에는 방문객의 운명을 알게 되었고, 결국 의식은 실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악의가 새어나와 히무로 저택의 모든 사람을 죽였고, 저택은 원한과 악령으로 가득 차게 되었다.[10]

3. 2. 키리에와의 대면

미쿠는 마침내 지옥문의 방에 도착하여 히무로 키리에의 타락한 영혼과 대면한다. 성스러운 거울이라는 유물을 사용하여 그녀의 영혼을 진정시킨 후, 키리에는 밧줄 무녀로서 그녀의 역할을 받아들여 영원히 악의를 막는다.[1]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엔딩이 달라진다. "노멀 모드" 엔딩에서는 마후유가 키리에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키리에와 함께 남고 미쿠는 무너지는 저택에서 탈출한다. "하드 모드" 엔딩에서는 키리에가 마후유에게 누이와 함께 탈출하도록 설득한다. 두 엔딩 모두 저택에 갇힌 영혼들은 해방되지만, 미쿠는 육감을 잃는다.[12] Xbox 버전에만 있는 세 번째 엔딩에서는 키리에의 연인의 영혼이 그녀에게 돌아오고 미쿠와 마후유는 탈출한다.

3. 3. 다양한 엔딩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엔딩이 달라진다.

  • "노멀 모드" 엔딩: 히나사키 마후유는 히무로 키리에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키리에와 함께 남고, 히나사키 미쿠는 무너지는 저택에서 탈출한다.
  • "하드 모드" 엔딩: 키리에가 마후유에게 누이와 함께 탈출하도록 설득한다. 두 엔딩 모두 저택에 갇힌 영혼들은 해방되지만, 미쿠는 육감을 잃는다.[12]
  • Xbox 버전에만 있는 세 번째 엔딩: 키리에의 연인의 영혼이 그녀에게 돌아오고 미쿠와 마후유는 탈출한다.

4. 개발

Fatal Frame영어의 개발은 "프로젝트 제로"라는 코드명으로 플레이스테이션 2 하드웨어가 테크모에 처음 소개되었을 때 시작되었다.[13] 개발진에는 ''디셉션'' 시리즈의 여러 개발자가 포함되었다.[15] 이들은 ''사일런트 힐'' 시리즈에서 폴리곤 캐릭터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 영감을 받아, 화면 밖의 것을 보는 듯한 느낌을 연출하고자 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가능한 한 무서운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었다.[13]

게임의 배경은 고전적인 일본 저택으로, 이는 시바타가 ''디셉션'' 시리즈를 위해 구상했던 초기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으나, 게임 플레이의 제약으로 인해 보류되었다.[18] 분위기 조성을 위해 개발팀은 고예산 및 저예산 일본 공포 영화와 전쟁 영화를 참고했다.[19] 각본은 이우치 츠요시가 담당했다.[20] 스토리는 게임 개발에서 가장 먼저 완성된 부분이었다.[1] 당초 현대 배경으로 설정될 예정이었으나, 휴대폰과 같은 현대 기술을 배제하여 고립감을 조성하기 위해 1980년대로 변경되었다.[21]

이야기의 핵심 요소인 의식은 개발팀에게 생소한 분야였다. 시바타는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만화 ''요괴 헌터''에서 유사한 영적 모티프를 차용했다.[1] 초기에는 유령을 빛으로 물리치는 방식이 고려되었으나, 최종적으로 공격적인 힘을 가진 카메라 옵스큐라가 도입되었다. 키쿠치는 처음에 이 아이디어에 반대했지만, 개발 과정에서 게임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카메라 디자인은 독일 군용 카메라를 기반으로 했다.[1]

4. 1. 영감 및 컨셉

게임의 컨셉은 테크모의 디셉션: 어둠으로의 초대 작업을 마친 직후, 미래의 감독 시바타 마코토에게서 비롯되었다. 이 컨셉은 시바타 자신의 꿈과 초자연적인 현상이라고 느꼈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13]

4. 2. 디자인 및 기술

미래의 감독 시바타 마코토는 ''테크모의 디셉션: 어둠으로의 초대'' 작업을 마친 직후 게임의 컨셉을 떠올렸다. 이 컨셉은 시바타가 자신의 꿈과 초자연적인 현상이라고 느꼈던 것들과의 만남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13] 개발은 "프로젝트 제로"라는 코드명으로 플레이스테이션 2 하드웨어가 테크모에 처음 소개되었을 때 시작되었다.[13]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CGI 감독인 하세가와 히토시에 따르면, 게임의 주요 색상은 흑백으로, 흰색은 희망을, 검은색은 공포를 나타낸다. 초기 개발 과정에서 조명과 음영 조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주요 색상과 원하는 효과를 가장 명확하게 게임 내에서 표현하는 것은 저택 내부의 어둠을 뚫는 미쿠의 횃불이었다.[1][14] 흑백 외에도 미쿠의 의상을 통해 표현되는 세 번째 주요 색상은 빨간색으로, 생명을 나타냈다.[15]

음악은 토요다 아야코와 사운드 디렉터 오쿠다 시게키요를 포함한 팀에 의해 작곡되었다.[16][17] 초기 결정 중 하나는 분위기를 강화하기 위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프로젝트의 특성상 오쿠다는 왼쪽과 오른쪽에서 투사되는 사운드를 사용하여 3차원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여러 미들웨어 및 상용 사운드 도구를 테스트한 후, 팀은 Arnis Sound Technologies를 선택했다.[17]

4. 3. 삭제된 장면

게임에서 너무 자극적이라고 여겨지는 장면들은 삭제되었다. 히무로 가문의 수장이 자결하는 회상 장면과 키리에가 목 졸림 의식 중에 찢기는 장면이 그 예시이다. 성스러운 거울이 깨지는 방식 또한 의식이 몸을 다섯 조각으로 찢는 방식을 의도적으로 언급했다.[22]

5. 출시

일본어는 2001년 7월에 "''Project Zero''"라는 가칭으로 처음 발표되었으며,[23] 2001년 12월 13일에 일본에서 처음 출시되었다.[25] 이후 북미(2002년 2월 27일)[28][29]와 유럽 지역에서도 출시되었으며, Xbox용 확장판과 PS3용 PSN 버전(2013년 4월 9일, 북미)으로도 출시되었다.[3][32][1][33]

5. 1. 일본 및 해외 출시

이 게임은 2001년 7월 "''Project Zero''"라는 가칭으로 겨울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처음 발표되었다.[23] 이 게임의 일본어 제목은 게임 내 적들의 본질을 "무(無)의 존재"로 묘사한 것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결전의 순간에 누군가의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도 담고 있다. 또한 "제로"와 "유령"으로 번갈아 읽을 수도 있다.[1][24] 원래 12월 7일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테크모는 이후 출시일을 12월 13일로 변경했다.[25] 홍보 캠페인의 일환으로, 일본 미디어 매장인 츠타야를 통해 추첨으로 당첨자에게 헤드폰을 제공하고 대여 가능한 체험판을 배포하는 등 두 가지 특별 증정품이 제작 및 판매되었다.[26] 이 외에도, 마후유의 시점에서 쓰여진 소설이 ASCII Media Works에서 출판되었다.[27]

2002년 1월에는 북미 지역 출시가 확정되었으며, 출시일은 3월 8일로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2월 27일에 출시되었다.[28][29] 유럽에서는 프랑스에 기반을 둔 출판 회사인 와나두가 배급을 맡아 일본 출시 때부터 이 게임에 주목했으며, 유럽 지역에서의 번역과 홍보를 담당했다.[30] 이 게임은 서구 시장에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마케팅되었으나, 이는 실제 사실은 아니었다. 다만 이야기의 요소들은 실제 유령이 출몰하는 장소와 일본의 지역 전설을 기반으로 했는데, 예를 들어 수많은 살인이 일어났다는 소문이 있는 유령의 저택과 연인과 강제로 헤어진 여자가 목을 매달았다는 전설 속의 나무가 언급되었다.[31]

Xbox용 확장판인 ''페이탈 프레임 스페셜 에디션''은 2002년 북미, 2003년 일본과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일본판은 일본어 제목 대신 게임의 미국 제목을 사용했다. 테크모는 일본과 북미에서 이식판을 배급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유럽에서 배급했다.[3][32][1] 이 이식판은 그래픽 업그레이드, 새로운 유령과의 전투, 카메라 인터페이스 재설계, 미쿠의 보너스 의상, 새로운 "페이탈" 난이도 모드를 특징으로 했으며, 이 난이도로 게임을 완료하면 아트 갤러리가 해제되었다.[1] 이 게임은 2013년 4월 9일 북미 지역 PlayStation 3용 PlayStation Network에서 PlayStation 2 클래식으로 다시 출시되었다.[33]

5. 2. Xbox 버전

Xbox용 확장판 ''페이탈 프레임 스페셜 에디션''은 2002년 북미, 2003년 일본과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일본판은 일본어 제목 대신 게임의 미국 제목을 사용했다. 테크모는 일본과 북미에서 이식판을 배급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유럽에서 배급했다.[3][32][1] 이 이식판은 그래픽 업그레이드, 새로운 유령과의 전투, 카메라 인터페이스 재설계, 미쿠의 보너스 의상, 새로운 "페이탈" 난이도 모드를 특징으로 했다. "페이탈" 난이도로 게임을 완료하면 아트 갤러리가 해제되었다.[1]

6. 평가

일본어 (제로)는 일본에서 첫 주에 22,000개가 판매되어 시리즈 중 가장 낮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했다. 일본 내 총 판매량은 42,000개로, 당시까지 시리즈 중 가장 저조한 판매 실적이었다.[48] 유럽에서는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출시 후 12,000개가 판매되었다.[39] 개발자인 키쿠치와 시바타는 인터뷰에서 북미와 유럽에서의 예상치 못한 성공을 언급하며, 이러한 성공이 링과 같은 일본 공포 영화의 인기에 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했다.[1]

6. 1. 게임 리뷰

''제로''는 여러 게임 매체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이 74/100점[62], Xbox 버전이 77/100점[63]을 기록했다.

패미통은 사운드와 시각적 디자인을 결합하고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하여 긴장감을 조성한 점을 칭찬했다.[1] IGN의 데이비드 스미스는 컨트롤의 어려움을 지적하면서도 전반적인 분위기와 게임 플레이를 칭찬하며 "공포 팬들은 여유롭게 이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냉소적인 사람들도 이 장르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할 만한 무언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46] 1UP.com의 크리스 베이커 역시 분위기를 칭찬하고 게임 플레이를 즐겼으며, 특히 게임 후반부의 난이도 상승을 언급했다.[36] GameSpy의 레이나 리는 Xbox 버전을 리뷰하면서 "Xbox에서 정말 무서운 유일한 게임"이라고 평했다.[45] Eurogamer의 롭 파헤이는 게임에 깊은 인상을 받아 "매력적이고 중독적"이라고 칭찬했으며, ''링''과의 여러 유사점을 언급했다.[38]

반면, ''GamePro''는 ''사일런트 힐''과 같은 게임과 비교했을 때 잘 버티지 못한다고 말했다.[40] Game Revolution의 크리스 후닥은 특히 게임의 분위기를 칭찬했지만, 카메라 옵스큐라로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유령이 타겟 구역 안에 있어야 한다는 점과 당시 다른 공포 게임과 유사한 몇 가지 익숙한 요소들을 지적했다.[42] GameSpot의 미구엘 로페즈는 일부 텍스처와 입자 효과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즐겼으며, ''바이오하자드''와 ''사일런트 힐'' 시리즈의 팬들이 이 게임을 즐길 것이라고 말했다.[43]

Xbox 포트는 오리지널 릴리스보다 향상된 텍스처와 확장된 기능이 언급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레이나 리는 오리지널 버전을 아직 시도하지 않은 플레이어에게 추천했다.[45] IGN의 아론 볼딩은 그래픽 업그레이드를 언급하면서, 오리지널 버전의 플레이어들은 새로운 난이도 모드를 제외하고는 다시 매력을 느낄 만한 점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47] Eurogamer의 크리스탄 리드는 추가된 기능과 그래픽 업그레이드를 긍정적으로 언급하며 Xbox에서 최고의 게임 중 하나라고 칭찬했다.[39] ''GamePro''는 다른 공포 게임과 비교했을 때 단점을 지적했지만, 업그레이드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Xbox에서 해당 장르의 게임이 드물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포 광신자들에게 훌륭한 선택"이라고 평했다.[41] GameSpot의 리카르도 토레스는 그래픽 업그레이드에 대해서는 덜 열정적이었지만, 향상된 음질을 칭찬하고 이 장르에서 건실한 게임이라고 평했다.[44]

주요 매체별 ''제로'' 평가
매체플랫폼점수
메타크리틱플레이스테이션 274/100[62]
메타크리틱Xbox77/100[63]
1UP.com플레이스테이션 2B+[64]
Allgame플레이스테이션 2[65]
Eurogamer플레이스테이션 29/10[66]
EurogamerXbox8/10[67]
패미통플레이스테이션 232/40[68]
GamePro플레이스테이션 23.5/5[69]
GameProXbox3/5[70]
Game Revolution플레이스테이션 2/XboxB+[71]
GameSpot플레이스테이션 27.1/10[72]
GameSpotXbox7.7/10[73]
GameSpyXbox[74]
IGN플레이스테이션 27.9/10[75]
IGNXbox7.7/10[76]


6. 2. 판매량

일본어 (제로)는 일본에서 첫 주에 22,000개가 판매되어 시리즈 중 가장 낮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했다. 일본 내 총 판매량은 42,000개로, 당시까지 시리즈 중 가장 저조한 판매 실적이었다.[48] 유럽에서는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출시 후 12,000개가 판매되었다.[39] 개발자인 키쿠치와 시바타는 인터뷰에서 북미와 유럽에서의 예상치 못한 성공을 언급하며, 이러한 성공이 링과 같은 일본 공포 영화의 인기에 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했다.[1]

7. 유산

'제로'는 게임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쳐, 여러 후속작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2003년에는 헐리우드 영화 각색이 발표되었으나 오랫동안 중단되었다가 2014년에 다시 제작이 발표되었다. 같은 해 일본 영화 각색판도 개봉되었다.[60][61]

7. 1. 후속작

2003년 북미와 일본에서, 2004년 유럽에서 ''제로 2: 붉은 나비''(Fatal Frame II: Crimson Butterfly)가 출시되었다.[49][50][51][52] 2005년에는 일본과 북미에서, 2006년에는 유럽에서 ''제로 3: 저주받은 령''(Fatal Frame III: The Tormented)가 출시되었다.[53][54][55] ''붉은 나비''는 ''제로''와 평행하게 진행되며, ''저주받은 령''은 그로부터 2년 뒤를 배경으로 한다.[56] 오리지널 게임 출시 이후 게임 플레이는 대체로 변함없이 유지되었으며, 이는 시리즈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부분이 되었다.[57]

7. 2. 영화화

2003년에 헐리우드 영화 각색이 발표되었다. 게임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며 일본을 배경으로 할 예정이었고, 로버트 피볼렌트와 마크 R. 브링커가 작가로, 존 로저스가 프로듀서로 참여할 예정이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각본을 다듬기 위해 투입되었다.[58][59] 2014년에 영화 제작이 다시 발표되었으며, 사무엘 하다이다가 제작을 맡고, ''제로: 흑수밀서''(Fatal Frame: Maiden of Black Water)의 완성 및 출시 후에 제작을 시작할 예정이었다.[60] 2014년 9월에는 일본 영화 각색판이 개봉되었다.[61]

참조

[1] 웹사이트 零 〜zero〜 (PS2) https://web.archive.[...] Famitsu 2015-10-17
[2] 웹사이트 Tecmo :: 100% Games http://www.tecmogame[...] 2023-03-20
[3] 웹사이트 Eurogamer - Project Zero http://www.eurogamer[...] 2015-10-17
[4] 웹사이트 Tecmo :: 100% Games http://tecmogames.co[...] 2023-03-21
[5] 웹사이트 Fatal Frame Xbox紹介ページ http://www.tecmo.co.[...] Tecmo 2015-10-17
[6] 서적 Project Zero PlayStation 2 Instruction Manual (UK) Wanadoo
[7] 서적 Project Zero PlayStation 2 Instruction Manual (UK) Wanadoo
[8] 게임 Fatal Frame / Project Zero Tecmo / Wanadoo 2002-03-04
[9] 웹사이트 零〜zero〜登場人物紹介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6
[10] 서적 零(zero) 零~紅い蝶~恐怖ファンブック怨霊の刻 Jitsugyo no Nihon Sha 2004-06-17
[11] 서적 零 刺青ノ聾 公式完全攻略本 導魂之書 Enterbrain 2005-10
[12] 서적 零(zero) 零~紅い蝶~恐怖ファンブック怨霊の刻 Jitsugyo no Nihon Sha 2004-06-17
[13] 웹사이트 Fatal Frame: Behind the Lens of the PS2 Horror Classic http://blog.us.plays[...] PlayStation Blog 2013-05-01
[14] 웹사이트 長谷川仁 - 白と黒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7
[15] 웹사이트 菊地啓介 インタビュー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4
[16] 서적 Project Zero PlayStation 2 Instruction Manual (UK) Wanadoo
[17] 웹사이트 奥田重清 - 音響演出について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7
[18] 서적 零(zero) 零~紅い蝶~恐怖ファンブック怨霊の刻 Jitsugyo no Nihon Sha 2004-06-17
[19] 웹사이트 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零が生まれた理由』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1
[20] 웹사이트 シリーズ生誕から10年。ゲームポットとテクモのキーマンに聞く,「モンスターファームオンライン」の目指すものとは? https://web.archive.[...] 2007-08-22
[21] 서적 零‐zero‐パーフェクトガイド SoftBank Creative 2001-01
[22] 서적 零(zero) 零~紅い蝶~恐怖ファンブック怨霊の刻 Jitsugyo no Nihon Sha 2004-06-17
[23] 웹사이트 カメラで霊を倒すホラーアクションアドベンチャーテクモPS2「Project 0(仮)」 http://game.watch.im[...] Game Watch Impress 2015-10-28
[24] 웹사이트 菊地啓介 - 『究極のタイトル「零~zero~」』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4
[25] 웹사이트 テクモ、ホラーアドベンチャー「零~zero~」最新画像公開発売日を12月13日に変更 http://game.watch.im[...] Game Watch Impress 2015-10-28
[26] 웹사이트 テクモ「零〜zero〜」体験版をレンタル発売時にはプレゼント企画も http://game.watch.im[...] Game Watch Impress 2015-10-28
[27] 웹사이트 『零〜zero〜』書籍情報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7
[28] 웹사이트 Tecmo confirms Fatal Frame release date http://www.gamespot.[...] 2002-01-18
[29] 웹사이트 Tecmo :: 100% Games http://tecmogames.co[...] 2023-03-21
[30] 웹사이트 世界の『零〜zero〜』 『零〜zero〜』アンソロジー http://www.tecmo.co.[...] Zero Japanese Website 2015-10-28
[31] 웹사이트 Finding Fatal Frame http://uk.ign.com/ar[...] 2002-10-23
[32] 웹사이트 GameSpy - Fatal Frame (Xbox) http://xbox.gamespy.[...] GameSpy 2015-09-13
[33] 웹사이트 Smile! Fatal Frame Is Now A PS2 Classic http://www.siliconer[...] Siliconera 2013-04-09
[34] 웹사이트 Fatal Frame for PlayStation 2 reviews on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1-06-13
[35] 웹사이트 Fatal Frame for Xbox reviews on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1-06-13
[36] 웹사이트 Fatal Frame Review for PS2 http://www.1up.com/r[...] 2002
[37] 웹사이트 Fatal Frame - Review http://www.allgame.c[...] AllGame 2016-04-19
[38] 웹사이트 Project Zero Review for PS2 http://www.eurogamer[...] 2002-09-10
[39] 웹사이트 Project Zero Review for Xbox http://www.eurogamer[...] 2003-05-02
[40] 간행물 Review: Fatal Frame for PlayStation 2 http://www.gamepro.c[...] 2002
[41] 간행물 Review: Fatal Frame for Xbox http://www.gamepro.c[...] 2002
[42] 웹사이트 Fatal Frame Review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02-04-01
[43] 웹사이트 Fatal Frame Review http://www.gamespot.[...] 2002-03-08
[44] 웹사이트 Fatal Frame Special Edition Review http://www.gamespot.[...] 2002-11-04
[45] 웹사이트 Review - Fatal Frame http://xbox.gamespy.[...] GameSpy 2002-10-31
[46] 웹사이트 Fatal Frame Review (PS2) http://www.ign.com/a[...] 2002-03-05
[47] 웹사이트 Fatal Frame Review (Xbox) http://uk.ign.com/ar[...] 2002-10-29
[48] 웹사이트 Image: Japanese Fatal Frame sales comparison http://nintendoevery[...] Nintendo Everything 2014-10-01
[49] 웹사이트 E3 2003: Fatal Frame 2 Official http://www.ign.com/a[...] 2003-05-14
[50]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5-10-17
[51] 웹사이트 E3 2003: Fatal Frame II Official http://www.ign.com/a[...] 2003-05-14
[52] 웹사이트 Eurogamer - Project Zero 2: Crimson Butterfly http://www.eurogamer[...] 2015-10-17
[53]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5-10-17
[54] 웹사이트 Fatal Frame III To Stores http://uk.ign.com/ar[...] 2005-11-08
[55] 웹사이트 Eurogamer - Project Zero 3: The Tormented http://www.eurogamer[...] 2015-10-17
[56] 웹사이트 Fatal Frame III: The Tormented Interview http://ps2.gamespy.c[...] GameSpy 2005-08-22
[57] 웹사이트 Scary Nintendo Memories - Fatal Frame http://www.nintendow[...] Nintendo World Report 2012-11-03
[58] 웹사이트 Game-to-Film Frenzy http://www.ign.com/a[...] 2003-04-23
[59] 웹사이트 Fatal Frame movie update http://www.gamespot.[...] 2003-10-01
[60] 뉴스 Fatal Frame Horror Game's Hollywood Film Also Still in the Works http://www.animenews[...] 2014-04-23
[61] 웹사이트 The Fatal Frame Movie is an Atmospheric Masterpiece https://kotaku.com/t[...] 2014-10-14
[62] 웹인용 Fatal Frame for PlayStation 2 reviews on Metacritic http://www.metacriti[...] 2011-06-13
[63] 웹인용 Fatal Frame for Xbox reviews on Metacritic http://www.metacriti[...] 2011-06-13
[64] 웹인용 Fatal Frame Review for PS2 http://www.1up.com/r[...] 2002
[65] 웹인용 Fatal Frame - Review http://www.allgame.c[...] AllGame 2016-04-19
[66] 웹인용 Project Zero Review for PS2 http://www.eurogamer[...] 2002-09-10
[67] 웹인용 Project Zero Review for Xbox http://www.eurogamer[...] 2003-05-02
[68] 웹인용 http://www.famitsu.c[...] Famitsu 2015-10-17
[69] 잡지 인용 Review: Fatal Frame for PlayStation 2 http://www.gamepro.c[...] 2002
[70] 잡지 인용 Review: Fatal Frame for Xbox http://www.gamepro.c[...] 2002
[71] 웹인용 Fatal Frame Review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02-04-01
[72] 웹인용 Fatal Frame Review http://www.gamespot.[...] 2002-03-08
[73] 웹인용 Fatal Frame Special Edition Review http://www.gamespot.[...] 2002-11-04
[74] 웹인용 Review - Fatal Frame http://xbox.gamespy.[...] GameSpy 2002-10-31
[75] 웹인용 Fatal Frame Review (PS2) http://www.ign.com/a[...] 2002-03-05
[76] 웹인용 Fatal Frame Review (Xbox) http://uk.ign.com/ar[...] 2002-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