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랄랑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롬 랄랑드는 1732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천문학자이다. 법학을 공부하다 천문학에 입문하여 달의 시차를 측정하고 핼리 혜성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 천문학장과 파리 천문대 대장을 역임했으며, 1802년에는 랄랑드 상을 제정하여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기렸다. 1807년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은 항성 라랑드 21185와 달의 크레이터에 남아있다.
랄랑드는 1732년 부르캉브레스에서 태어났다.[7] 아버지 피에르는 지역 우체국장이었고, 집안은 비교적 부유했다.[7] 리옹에 있는 예수회 학교에서 수학한 후[7][8], 부모의 뜻에 따라 법률을 배우기 위해 파리로 갔다.[9] 그러나 숙소 근처에 조제프 니콜라 더릴의 천문대가 있었던 덕분에 천문학에 매료되어, 더릴과 피에르 샤를 르 모니에의 제자가 되었다.[10]
라랑드(Lalande)가 처음으로 이름을 알린 것은 1751년의 달 관측이었다. 이 계획은 달이 남중했을 때, 다른 장소에 있는 두 사람이 동시에 달을 관측하여, 그 시차를 바탕으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하려는 것이었다.[11] 라랑드는 베를린에서,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으로 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Louis de Lacaille)와 공동으로 달의 시차와 항성의 관측을 실시했다.[11]
2. 생애
법률 교육을 마칠 무렵, 르 모니에로부터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계획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받았다.[11] 이 관측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희망봉에서 수행한 관측과 함께 이루어졌다. 랄랑드는 이 관측에서 성과를 거두었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파리 아카데미) 천문 관측자의 직책을 얻었다.[12]
1732년 부르캉브레스에서 태어난 랄랑드는 파리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중 조제프 니콜라 더릴과의 만남을 계기로 천문학에 입문하였다.[7][9] 더릴과 피에르 샤를 르 모니에의 제자가 된 그는, 르 모니에의 추천으로 베를린에서 달의 시차를 관측하는 연구에 참여하였다.[11] 이 관측에서 성과를 거두어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파리 아카데미) 천문 관측자 직책을 얻었다.[12]
1759년에는 알렉시스 클레로를 도와 핼리 혜성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핼리 혜성에 대한 표를 수정하였다.[1] 1762년 더릴의 은퇴 이후, 랄랑드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천문학장으로 취임하여 46년간 재직하였다.[12][13] 그의 제자로는 장바티스트 조제프 들랑브르, 주세페 피아치, 피에르 메생 등이 있다. 1769년 금성 일면통과 관측으로 명성을 얻었다.
1795년 파리 천문대 대장이 되었고,[7] 같은 해부터 1800년까지 프랑스 경도국(Bureau des longitudes) 책임자를 역임했다.[15] 1802년에는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랄랑드 상을 제정하였다.[13]
1773년, 랄랑드는 "혜성과 지구의 충돌"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8] 이 논문은 1789년에 혜성이 지구에 매우 근접하여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9] 랄랑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확률을 64,000분의 1로 추산했지만, 이 논문은 프랑스 국내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14]
제롬 랄랑드는 1807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7][16] 1807년 4월, 파리에서 저녁 신문을 읽어주던 랄랑드는 "이제 됐다"라고 말하며 읽어주던 사람을 방에서 나가게 한 후, 그날 밤 2시에 사망했다.[7][1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제롬 랄랑드는 1732년 부르캉브레스에서 태어났다.[7] 아버지 피에르는 지역 우체국장이었고, 집안은 비교적 부유했다.[7] 리옹에 있는 예수회 학교에서 수학한 후[7][8], 부모의 뜻에 따라 법률을 배우기 위해 파리로 갔다.[9] 그러나 숙소 근처에 조제프 니콜라 더릴의 천문대가 있었던 덕분에 천문학에 매료되어, 더릴과 피에르 샤를 르 모니에의 제자가 되었다.[10]
법률 교육을 마칠 무렵, 르 모니에로부터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계획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받았다.[11] 이 관측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희망봉에서 수행한 관측과 함께 이루어졌다. 랄랑드는 이 관측에서 성과를 거두었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파리 아카데미) 천문 관측자의 직책을 얻었다.[12]
2. 2. 천문학자로서의 경력
1732년 부르캉브레스에서 태어난 랄랑드는 파리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중 조제프 니콜라 더릴과의 만남을 계기로 천문학에 입문하였다.[7][9] 더릴과 피에르 샤를 르 모니에의 제자가 된 그는, 르 모니에의 추천으로 베를린에서 달의 시차를 관측하는 연구에 참여하였다.[11] 이 관측에서 성과를 거두어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파리 아카데미) 천문 관측자 직책을 얻었다.[12]
1759년에는 알렉시스 클레로를 도와 핼리 혜성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핼리 혜성에 대한 표를 수정하였다. 1762년 더릴의 은퇴 이후, 랄랑드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천문학장으로 취임하여 46년간 재직하였다.[12][13] 그의 제자로는 장바티스트 조제프 들랑브르, 주세페 피아치, 피에르 메생 등이 있다. 1769년 금성 일면통과 관측으로 명성을 얻었다.
1795년 파리 천문대 대장이 되었고,[7] 같은 해부터 1800년까지 프랑스 경도국(Bureau des longitudes) 책임자를 역임했다.[15] 1802년에는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랄랑드 상을 제정하였다.[13]
2. 3. 말년
제롬 랄랑드는 1807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7][16] 1807년 4월, 파리에서 저녁 신문을 읽어주던 랄랑드는 "이제 됐다"라고 말하며 읽어주던 사람을 방에서 나가게 한 후, 그날 밤 2시에 사망했다.[7][16]
3. 주요 업적
행성 운동 이론을 연구하여, 1759년 알렉시 클레로(Alexis Clairaut)를 도와 그 해의 할리 혜성의 귀환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그 결과를 행성 위치 예상표로 정리했다. 이 계산 결과는 당시 가장 정확한 것이었다.[17] 라랑드가 작성한 행성표는 18세기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11]
또한, 가족과 학생 등의 도움을 받아 장기간에 걸쳐 항성의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관측을 실시했다.[18] 그 수는 4만 7천 개에 달하며, 그 중에는 당시 미발견이었던 해왕성도 포함되어 있었다.[7]
1761년과 1769년에 발생한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에도 참여했다. 두 번의 태양면 통과에 맞춰 많은 천문학자들이 세계 각지에서 관측을 실시했지만, 라랑드는 1761년 태양면 통과 때는 배멀미를 피하기 위해 파리에서 관측을 실시했다.[19] 동시에 각지의 관측 결과를 집계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19] 1769년 태양면 통과 때도 관측을 위한 원정대를 각지에 파견하여,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했다.[11] 이때도 자신은 파리에서 관측했지만, 날씨 관계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었다.[20]
라랑드는 길이와 무게의 단위계를 프랑스 국내에서 통일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미터법을 제정하기 위해 실시된 자오선 호차 길이 측정 사업에도 영향력을 보였다.[21] 또한, 프랑스 천체력(Connoissance des Tems, 현재 표기는 Connaissance des Temps) 발간에도 참여했다.[18]
교육자로서도 뛰어나, 콜레주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에서의 강의에는 유럽 전역에서 200명의 학생들이 모였다.[22] 저서도 많고, 천문학의 보급자로서도 유명하다.[13][23]
라랑드의 이름은 항성 라랑드 21185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달의 크레이터에도 라랑드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3. 1. 달과 행성 연구
제롬 랄랑드는 1751년 달의 시차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 관측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와 공동으로 진행되었으며, 랄랑드는 베를린에서, 라카유는 희망봉에서 달의 시차와 항성을 관측하여 지구-달 거리를 측정하는데 기여했다.[11]
랄랑드는 행성 운동 이론을 연구하여 1759년 알렉시 클레로를 도와 할리 혜성의 귀환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그 결과를 행성 위치 예상표로 정리했다. 랄랑드가 작성한 행성표는 18세기 말까지 널리 사용될 정도로 정확했다.[17][11]
1761년과 1769년에 발생한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에도 참여했다. 1761년에는 배멀미를 피하기 위해 파리에서 관측을 실시하고, 각지의 관측 결과를 집계하여 지구-태양 거리를 계산했다.[19] 1769년에는 관측 원정대를 파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파리의 날씨 때문에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지 못했다.[11][20]
그는 또한, 가족과 학생 등의 도움을 받아 4만 7천 개에 달하는 항성의 위치를 기록했다.[18][7]
3. 2. 핼리 혜성 연구
제롬 랄랑드는 행성 운동 이론을 연구하여, 1759년 알렉시 클레로를 도와 할리 혜성의 귀환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그 결과를 행성 위치 예상표로 정리했다. 이 계산 결과는 당시 가장 정확한 것이었다.[17] 랄랑드가 작성한 행성표는 18세기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11]
3. 3. 항성 목록 편찬
제롬 랄랑드는 가족과 학생 등의 도움을 받아 장기간에 걸쳐 4만 7천 개 이상의 항성 위치를 기록하는 관측을 실시했다.[18] 이 중에는 당시 발견되지 않았던 해왕성도 포함되어 있었다.[7] 1795년 5월 8일과 10일에 관측된 해왕성의 위치 기록은 해왕성 궤도의 더 정확한 계산으로 이어졌다.
3. 4. 기타 업적
1751년 달 관측 계획에서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와 공동으로 달의 시차 및 항성 관측을 실시하여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하는데 기여했다.[11] 1759년에는 알렉시 클레로를 도와 할리 혜성의 귀환 시기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행성 위치 예상표를 작성하여 18세기 동안 널리 사용되게 했다.[17][11] 장기간에 걸쳐 4만 7천 개 이상의 항성 위치를 기록했으며, 여기에는 미발견 상태였던 해왕성도 포함되어 있었다.[18][7]
1761년과 1769년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에 참여하여 각지의 관측 결과를 집계하고 지구-태양 간 거리를 계산했다.[19][11] 1761년에는 배멀미를 피하기 위해 파리에서 관측을 진행했다.[19]1769년에는 원정대를 파견하여 자료를 수집했지만, 자신은 파리에서 관측했으나, 날씨 때문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20]
미터법 제정을 위한 자오선 호차 길이 측정 사업에 영향력을 행사했고,[21] 프랑스 천체력(Connaissance des Temps) 발간에도 참여했다.[18] 콜레주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 강의에는 유럽 전역에서 200명의 학생들이 모일 정도로 교육자로서도 뛰어났으며, 천문학 보급에도 기여했다.[22][13][23] 그의 이름은 항성 라랑드 21185와 달의 크레이터에 남아 있다.
4. 평가 및 영향
제롬 랄랑드는 근면성을 바탕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학자로 평가받는다. 교수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천문학 대중화에 공헌하였으며, 1802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랄랑드 상이 제정되어 매년 천문학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었다.[6] 그의 저서로는 ''Traité d'astronomie'' (1764년, 1771년~1781년, 1792년), ''Voyage d'un françois en Italie'' (1769년), ''Astronomie des dames'' (1785년), ''Abrégé de navigation'' (1793년), ''Histoire céleste française'' (1801년) 등이 있다.
1765년 랄랑드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781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이며, 달의 랄랑드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부르크앙브레스에 있는 한 고등학교는 랄랑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 고등학교는 프랑스에서 유일하게 레지스탕스 훈장을 수여받았다.
예수회 학교 출신이지만 무신론자로 알려져 있으며, 『무신론자록』의 편집을 맡았다.[35] 프리메이슨 조직인 "구자매 로지"의 중심 인물이기도 했다.[36][37] 프랑스 혁명 이후 테러 시대 정권의 호감을 얻었지만, 왕당파를 돕기도 하는 등 복잡한 면모를 보였다.[38] 최고 존재의 축제 개회식에서 라랑드는 애국심뿐만 아니라 박애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39] 나폴레옹 시대에는 무신론적 저술로 인해 비판받기도 했다.[40]
라랑드는 벌레를 즐겨 먹었으며, 거미는 헤이즐넛 맛, 애벌레는 복숭아 맛이 난다고 말했다. 친구의 아내는 라랑드를 위해 애벌레 라구를 만들어 놓고 방문을 기다렸다.[41]
그는 재능 있는 여성의 지위 향상에 힘썼으며,[42] 아름다운 여성에게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22] 하지만 친구의 딸과의 결혼은 거절했고,[18] 자신이 구혼한 14세 소녀에게도 거절당해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22]
각계의 저명인사들과 교류하며 명성을 추구했던 그의 태도는 종종 비판받았고,[37] 연구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1] 스승인 르모니에와는 달의 시차 측정 문제로 대립하여 갈라섰지만,[11] 제자들의 반론은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했다.[43]
고양이자리를 설정했지만, 19세기 중엽의 미국 등 일부에서만 지지되었을 뿐,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44] 그가 설정한 사냥개자리, 머리털자리(메시에 머리털자리), 사분의자리도 같은 운명을 겪었으나, 사분의자리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44]
5. 주요 저서
제롬 랄랑드는 다양한 천문학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Traité d'astronomie''''' (천문학 논고) (1764년 초판, 1771년-1781년 2판, 1792년 3판): 2권에서 4권으로 증보 개정되었다.[25][26][27] ''Astronomie'' (천문학)이라고도 불린다.[24]
- '''''Astronomia of Sterrekunde''''' (천문학, 1773년): ''Traité d'astronomie''의 네덜란드어 번역본으로, 스트라베(Arnoldus Bastiaan Strabbe)가 번역했다.[28][29][30] 에도 시대 일본 천문학자들이 서양 천문학을 배우는 데 중요하게 사용한 『라랑드 역서』로 알려져 있다.[31]
- '''''Histoire céleste française''''' (프랑스 천체 목록, 1801년): 47,390개 이상의 별의 위치를 기록한 항성 목록이다.
- '''''Bibliographie astronomique''''' (천문학 서지, 1803년): 1781년부터 1802년까지의 천문학 역사와 관련 서적 목록을 담고 있다.
- '''''Astronomie des dames''''' (여성을 위한 천문학, 1785년): 여성을 위한 천문학 입문서이다.[34]
- '''''Abrégé de navigation''''' (항해 개요, 1793년)
- [http://catalog.hathitrust.org/Record/009712316 '''''Voyage d'un françois en Italie''''' (프랑스인의 이탈리아 여행, 1769년)]: 1765년~1766년 이탈리아 여행 기록이다.
랄랑드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15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고, ''Connoissance de temps''(1759–1774, 1794–1807)를 편집했으며, 장 에티엔 몽튀클라의 ''Histoire des mathématiques''(1802) 2판의 마지막 두 권을 집필했다. 1783년에는 ''Éphémérides des mouvemens célestes pour le méridien de Paris, huit années, de 1785 à 1792''을 통해 플램스티드의 항성 목록 신판을 출판했다.
6. 기타
예수회 학교 출신이었지만 무신론자로 알려져 있으며, 무신론자들의 이름을 모은 『무신론자록』의 편집을 맡았다.[35] 또한 프리메이슨 조직인 "구자매 로지"의 중심 인물이기도 했다.[36][37] 무신론자로서의 태도는 프랑스 혁명 이후 테러 시대의 정권 측으로부터 호감을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혁명 당시 왕당파인 뒤퐁 드 뇌무르를 숨겨주거나, 유죄 판결을 받은 성직자들을 천문학자로 가장하여 도와주기도 했다. 그 성직자들에게는 "당신들은 실제로 천문학자가 아닌가. 천국을 위해 사는 사람들보다 이 직함에 더 적합한 사람은 없다"라고 말하며 감쌌다.[38] 최고 존재의 축제 개회식에서 라랑드는 우리에게는 애국심뿐만 아니라 박애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39] 하지만 라랑드의 무신론자로서의 활동은 그 후 정권 측에서도 소외되었다. 나폴레옹이 권력을 잡고 대관식 준비가 시작될 무렵 라랑드는 『무신론자록』 개정판을 출판하여 "종교는 너무 많은 전쟁광들을 만들어냈으므로, 종교에도 끝이 오는 날을 우리는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라고 적었다.[40] 이러한 행동은 나폴레옹의 분노를 사, 당시 아카데미 종신 서기였던 제자인 드랑브르는 그 대응에 쫓겼다.[40]
라랑드는 벌레를 좋아해서 자주 먹었다. 그리고 거미는 헤이즐넛 맛이 나고 애벌레는 복숭아 맛이 난다고 말했다. 라랑드가 매주 방문하던 친구의 집에서는 친구의 아내가 라랑드를 위해 미리 정원에서 애벌레를 모아 애벌레 라구를 만들어 놓고 라랑드의 방문을 기다렸다.[41]
라랑드는 특히 재능 있는 여성을 좋아했다.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 여성의 지위 향상에도 힘썼다.[42] 또한 아름다운 여성에게는 "당신은 나를 행복하게 할 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나를 불행하게 할 힘은 없다"라고 칭찬했다.[22] 하지만 친구의 딸과의 결혼 이야기가 나왔을 때는 "그의 가족과의 친선 관계를 깨고 싶지 않다"라고 생각하여 이 이야기를 거절했고,[18] 또한, 반대로 자신이 구혼한 14세 소녀에게 거절당했고,[22] 결국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22]
각계의 저명인사들과 폭넓게 교류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명성을 추구했다.[14] 그 태도는 종종 비판을 받았고,[37] 연구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1] 실제로 스승인 르모니에와는 달의 시차 측정 시 지표의 편평도 문제에 대해 의견이 대립하여 결국 두 사람은 갈라섰다.[11] 반면 메샹이나 드랑브르 등 제자로부터 반론을 받았을 경우에는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했다.[43]
고양이를 매우 좋아해서 고양이자리를 설정했지만, 보데를 비롯한 19세기 중엽의 미국 등 일부에서 지지되었을 뿐, 그 외에는 무시되었다.[44] 그가 설정한 다른 별자리——사냥개자리、머리털자리(메시에 머리털자리), 사분의자리도 같은 운명을 겪었다.[44] 다만 사분의자리는 유성우의 이름(사분의자리 유성우)으로 남아 있다.[44]
6. 1. 일화
라랑드는 예수회 학교 출신이었지만 무신론자로 알려져 있으며, 무신론자들의 이름을 모은 『무신론자록』의 편집을 맡았다.[35] 프리메이슨 조직인 "구자매 로지"의 중심 인물이기도 했다.[36][37]벌레를 즐겨 먹었으며, 거미는 헤이즐넛 맛, 애벌레는 복숭아 맛이 난다고 평가했다.[41]
재능 있는 여성을 좋아하고 그들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42] 그는 아름다운 여성에게 "당신은 나를 행복하게 할 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나를 불행하게 할 힘은 없다"라고 칭찬했다.[22]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22]
고양이를 매우 좋아하여 고양이자리를 제안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4] 그가 설정한 사분의자리는 유성우의 이름(사분의자리 유성우)으로 남아 있다.[44]
각계의 저명인사들과 폭넓게 교류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명성을 추구했으며,[14] 그 태도는 종종 비판을 받았다.[37]
6. 2. 논란
제롬 랄랑드는 자신의 명성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태도로 인해 종종 비판을 받았다.[14][37] 연구 내용에 있어서도 많은 논쟁을 야기했는데,[11] 특히 스승인 피에르 샤를 르모니에와는 달의 시차 측정 시 지구의 편평도 문제에 대해 의견이 대립하여 결국 결별했다.[11]참조
[1]
서적
When Computers Were Hum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Dictionnaire universel de la Franc-maçonnerie
Larousse
[3]
서적
Une loge maçonnique d'avant 1789: la R. L. Les neuf sœurs
Baillière
[4]
웹사이트
Joseph-Jérôme Lefrançais de Lalande
http://www-history.m[...]
2019-01-21
[5]
웹사이트
Amélie Harlay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3-04-20
[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7-28
[7]
서적
세계과학자사전3
[8]
서적
과학사기술사사전
[9]
서적
オールダー(2006)
[10]
서적
デバルバ(2005)
[11]
서적
세계과학자사전3
[12]
서적
양학사사전
[13]
서적
상원(1977)
[14]
서적
オールダー(2006)
[15]
서적
デバルバ(2005)
[16]
서적
オールダー(2006)
[17]
서적
일본대백과전서23
[18]
서적
デバルバ(2005)
[19]
서적
ウルフ(2012)
[20]
서적
ウルフ(2012)
[21]
서적
オールダー(2006)
[22]
서적
オールダー(2006)
[23]
서적
과학사기술사사전
[24]
서적
デバルバ(2005)
[25]
서적
야마다(2005)
[26]
서적
요코즈카(2005)
[27]
서적
요코즈카(2005)
[28]
서적
상원(1977)
[29]
서적
요코즈카(2005)
[30]
서적
상원(1977)
[31]
서적
상원(1977)
[32]
서적
요코즈카(2005)
[33]
서적
デバルバ(2005)
[34]
서적
デバルバ(2005)
[35]
서적
オールダー(2006)
[36]
서적
科学史技術史事典
[37]
서적
オールダー(2006)
[38]
서적
オールダー(2006)
[39]
서적
オールダー(2006)
[40]
서적
オールダー(2006)
[41]
서적
オールダー(2006)
[42]
서적
オールダー(2006)
[43]
서적
オールダー(2006)
[44]
서적
山田(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