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는 19세기 영국의 수학자로, 행렬 이론과 불변식론 연구에 기여했다. 런던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으나, 유대교 신앙으로 인해 졸업장을 받지 못했다. 이후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나, 사건으로 인해 사임했다. 영국으로 돌아와 변호사로 활동하며 아서 케일리와 교류하며 수학 연구를 재개했고, 울리치 왕립 사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이후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교수를 거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1897년 사망했다. 그는 행렬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는 그의 업적을 기려 실베스터 메달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7년 사망 - 알퐁스 도데
알퐁스 도데는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프로방스 지방을 배경으로 한 《방앗간 편지》, 《아를의 여인》,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현실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문체로 고향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묘사했다. - 1897년 사망 -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는 리도 홀 개조와 유니온 현수교 설계, 몬트리올 법원, 퀘벡 시티 세관 등 다수의 주요 건축 및 토목 프로젝트를 수행한 캐나다의 건축가이자 토목 기술자이다. - 1814년 출생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1814년 출생 - 새뮤얼 콜트
새뮤얼 콜트는 1836년 회전식 권총 특허를 획득하고 콜트 패터슨 리볼버를 개발하여 실용적인 리볼버 시대를 열었으며, 호환 부품을 사용한 대량 생산 방식과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총기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가이다. - 수론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수론학자 - 다카기 데이지
다카기 데이지는 류타이론 확립에 기여하고 힐베르트의 문제 해결에도 공헌한 일본 수학자로, 계수체 이론 발전과 복소 대칭 행렬 연구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수학 교과서 저술 및 문화훈장 수훈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 암호 해독 참여는 논란이 된다.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제임스 조지프 |
출생일 | 1814년 9월 3일 |
출생지 | 영국, 런던 |
사망일 | 1897년 3월 15일 |
사망지 | 영국, 런던 |
안장지 | 볼스 폰드 로드 공동묘지 |
국적 | 영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수학 |
직장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버지니아 대학교 왕립 육군사관학교, 울리치 옥스퍼드 대학교 |
모교 | 세인트 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
학문 지도교수 | 존 하이머스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
박사 제자 | 윌리엄 피트 더피 조지 B. 할스테드 어빙 스트링햄 |
주목할 만한 제자 | 아이작 토드헌터 윌리엄 로버츠 맥다니엘 해리 필딩 리드 크리스틴 래드-프랭클린 |
알려진 업적 | '그래프'와 '판별식' 용어 창안 체비쇼프-실베스터 상수 쿼드러플라나 인버서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공식 실베스터 행렬식 정리 실베스터 행렬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실베스터 관성 법칙 실베스터 삼각형 문제 실베르 주화 실베스터 기준 실베스터 영역 |
수상 | |
수상 내역 | 왕립 메달 (1861년) 코플리 메달 (1880년) 드 모르간 메달 (1887년) |
2. 생애
런던에서 유대인 가정에 태어났다. 본명은 제임스 조지프(James Joseph|영어)였고, 아버지 에이브러햄 조지프(Abraham Joseph|영어)는 상인이었다.[1] 그의 형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실베스터'라는 성을 사용하기 시작하자, 제임스 조지프 역시 이 성을 따르게 되었다.
그는 아서 케일리와 함께 불변식론 및 행렬 이론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6] 또한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초대 수학 교수로 재직하던 중 1878년에 ''미국 수학 저널''을 창간하여 미국 수학계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1880년에는 왕립 학회로부터 최고 영예인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
실베스터는 영국과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수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그의 연구 논문들을 모은 저서로 《The Collected Mathematical Papers of J.J.Sylvester》(4권, 1904~12)가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14년 ~ 1841년)
런던에서 유대인 상인인 에이브러햄 조지프(Abraham Joseph|영어)의 아들로 1814년 9월 3일 태어났다.[1] 본명은 제임스 조지프(James Joseph|영어)였으나, 형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실베스터'라는 성을 사용하자 그도 나중에 이 성을 따랐다.14세 때 런던 대학교(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오거스터스 드모르간의 강의를 수강했으나, 동료 학생을 칼로 찌른 혐의로 기소되어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후 리버풀 로열 인스티튜션에 다녔다.
183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St John’s College|영어 )에 입학하여 수학을 공부했다.[2] 그의 튜터는 존 하이머스였다. 장기간의 질병으로 약 2년간 학업을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1837년에 치러진 케임브리지의 유명한 수학 시험인 트라이포스에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당시 졸업생들은 잉글랜드 교회의 39개 조항에 동의한다는 선언을 해야 했는데, 실베스터는 유대교 신자였기 때문에 이를 거부하여 학위를 받지 못했다. 같은 이유로 그는 펠로우십 경쟁이나 스미스 상 수상 자격도 얻지 못했다.[3]
1838년 실베스터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자연 철학 교수가 되었고, 1839년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41년에는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문학사(BA) 및 문학 석사(MA) 학위를 받았다.
2. 2. 미국에서의 활동 (1841년 ~ 1843년)
1841년 미국으로 건너가 버지니아 대학교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이는 미국 대학 최초의 유대인 교수 임용 사례였다.[4] 그러나 임용된 지 4개월 만에 교수직을 떠나게 되었다. 자신을 비판한 학생이 곤봉으로 때리자 실베스터가 검으로 반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학생은 충격으로 쓰러졌고 실베스터는 자신이 학생을 죽였다고 잘못 생각했다. 대학 당국이 해당 학생을 충분히 징계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실베스터는 결국 사임했다.[5]이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하버드 수학자 벤자민 페어스(찰스 샌더스 퍼스의 아버지)와 프린스턴 물리학자 조셉 헨리와 교류했다. 하지만 유대교 신자라는 이유로 컬럼비아 칼리지(현 컬럼비아 대학교)의 수학 교수 임용이 거부되자, 1843년 11월 영국으로 돌아갔다.
2. 3. 법조계 활동 및 수학 연구 (1844년 ~ 1855년)
1843년 11월 미국에서 영국으로 돌아왔다. 1844년 에퀴티 앤 로 생명 보험 협회(Equity and Law Life Assurance Society영어)에 보험 계리인으로 고용되어 성공적인 보험 모델을 개발하는 등 사실상 최고 경영자(CEO) 역할을 수행했다.[6] 이 직책은 법학 학위를 필요로 했기에, 그는 변호사 시험을 준비하며 법학 공부를 시작했다. 1846년 런던의 링컨스 인(Lincoln's Inn영어)에 들어가 변호사 자격을 얻었으며,[6] 이때 동료 수학자 아서 케일리를 만나게 되었다.[6] 이는 약 10년간의 공백기를 깨고 다시 전문 수학 연구에 몰두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베스터는 케일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불변식론과 행렬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6] 그러나 그는 1855년 울리치 왕립 육군사관학교의 수학 교수로 임명될 때까지 대학에서 수학 교수직을 얻지 못했다.[6]2. 4. 울리치 왕립 사관학교 교수 (1855년 ~ 1869년)
1855년, 실베스터는 울리치 왕립 육군 사관학교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6] 그는 1869년 55세의 의무 퇴직 연령에 도달하여 학교를 떠났다. 퇴직 후, 울리치 아카데미는 처음에 실베스터에게 전액 연금을 지급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에 실베스터는 자신의 상황을 ''더 타임스''의 독자 투고란에 직접 알렸고, 이는 장기간의 공개적인 논란으로 이어졌다. 결국 학교 측은 논란 끝에 입장을 바꿔 실베스터에게 정당한 연금을 지급했다.2. 5. 은퇴 후 시 창작 활동 (1869년 ~ 1877년)
1869년 울리치 왕립 육군 사관학교에서 정년 퇴직한 후, 실베스터는 시 창작에 몰두하는 생활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그는 시의 운율에 관한 법칙들을 체계화하고자 ''운율의 법칙''(The Laws of Verse영어)이라는 책을 저술하고 출판했다.[7]시는 실베스터의 평생에 걸친 열정 중 하나였으며, 그는 원본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그리스어로 된 작품들을 읽고 번역하는 것을 즐겼다. 그의 많은 수학 논문에는 고전 시의 인용구를 포함하기도 했다. 또한 이 기간인 1872년에는, 과거 유대교 신자라는 이유로 받지 못했던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문학사 및 문학 석사 학위를 마침내 수여받았다.[2]
2. 6.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교수 (1877년 ~ 1883년)
1876년[8] 실베스터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볼티모어, 메릴랜드에 새로 설립된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초대 수학 교수가 되었다. 당시 그의 연봉은 5000USD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실베스터는 이를 금으로 지급해달라고 요구했다. 협상 끝에 금으로 지급되지는 않았지만, 급여 조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9]1877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0] 1878년에는 ''미국 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영어)을 창간했다. 이는 당시 미국에서 ''Analyst'' (후에 ''수학 연보''가 됨)에 이어 두 번째로 창간된 수학 저널이었다.
같은 해(1878년), 실베스터는 크리스틴 래드-프랭클린이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입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이전에 ''Educational Times''에서 래드의 논문을 본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11] 래드는 펠로우십 신청서에 "C. 래드"라고 서명했고, 대학 측은 그녀가 여성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펠로우십을 제안했다.[12] 이후 대학 이사회가 그녀의 성별을 알게 되자 제안을 철회하려 했지만, 실베스터는 래드를 자신의 학생으로 받아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입학이 성사되었다.[12] 래드는 3년 동안 펠로우십을 유지했지만, 대학 이사회는 여성 연구원의 선례를 남기는 것을 우려하여 그녀의 이름을 다른 펠로우 명단에 올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2] 또한 그녀의 재학에 대한 반발로 이사 중 한 명이 사임하기도 했다.[12]
실베스터는 1883년 영국으로 돌아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기하학 사빌 교수(Savilian Professor of Geometry영어)직을 맡게 되었다.
2. 7.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및 사망 (1883년 ~ 1897년)
1883년, 실베스터는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의 교수 생활을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새빌 기하학 석좌교수(Savilian Professor of Geometry영어)직을 맡았다. 그는 1892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으나, 이후 대학교 측에서 같은 직책에 부교수를 임명하였다. 옥스퍼드 재직 중 애빙던 학교의 운영 위원으로도 활동했다.[13]실베스터는 1897년 3월 15일 런던의 허트퍼드 스트리트 5번지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런던 킹스버리 로드에 위치한 볼스 폰드 로드 묘지에 안장되었다.[14]
3. 학문적 업적
실베스터는 행렬 이론, 이산 기하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 걸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행렬",[15][16]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그래프",[17] "판별식"[18] 등 기본적인 수학 용어를 다수 창안했으며, 오일러의 토션 함수 φ(''n'')에 대해 "토션(totient)"이라는 용어도 만들었다.[19] 이산 기하학 분야에서는 실베스터 문제와 과수원 문제에 대한 결과로 알려져 있고, 행렬 이론에서는 실베스터 행렬식 항등식[20][21]을 발견하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연구는 총 4권의 과학 저작물로 집대성되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880년 런던 왕립 학회로부터 최고 영예인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으며, 1901년 사후 옥스퍼드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 수학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실베스터 메달이 제정되었다. 또한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기숙사 일부(실베스터 하우스)와 여러 교수직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3. 1. 행렬 이론
아서 케일리와 함께 행렬 이론의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실베스터는 아서 케일리와 학문적 동반자로서 행렬에 관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토론하며 이론을 확립해 나갔다.실베스터는 1850년에 '행렬'(matrix)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는데,[15][16] 이는 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정립의 시작이었다. 이 단어는 해부학에서 자궁(子宮) 또는 모체(母體)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행렬식을 품고 있는 모체로서 행렬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베스터가 용어를 제시한 이후, 아서 케일리는 1858년 발표한 논문 '행렬론 연구'(Memoir on the Theory of Matrices영어)에서 행렬과 일차 변환에 대한 여러 초기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행렬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26]
또한 실베스터는 행렬 이론 분야에서 실베스터 행렬식 항등식을 발견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20] 이 항등식은 ''데스노-야코비 항등식''을 일반화한 것이다.[21]
3. 2. 불변식론
(작성할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불변식론'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3. 3. 기타
실베스터는 1850년에 "행렬"과[15][16] 네트워크의 의미로 "그래프"[17], "판별식"과 같은 수많은 수학 용어를 만들었다.[18] 그는 오일러의 토션 함수 φ(''n'')에 대해 "토션(totient)"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9] 이산 기하학 분야에서는 실베스터 문제와 과수원 문제에 대한 결과로 알려져 있다. 행렬 이론에서는 ''데스노-야코비 항등식''을 일반화한 실베스터 행렬식 항등식을 발견했다.[20][21] 그의 과학 저작물은 총 4권으로 출판되었다.1880년 런던 왕립 학회는 실베스터에게 과학적 업적에 대한 최고상인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으며, 1901년에는 그의 사후 옥스퍼드에서 수학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그를 기리는 실베스터 메달이 제정되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학부 기숙사 일부인 실베스터 하우스와 여러 교수직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수상 경력
5. 유산
실베스터는 행렬[15][16], 네트워크의 의미로 그래프[17], 판별식[18] 등 수많은 수학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오일러의 토션 함수 φ(''n'')에 대해 "토션(totient)"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9] 이산 기하학에서는 실베스터 문제와 과수원 문제에 대한 결과로 기억되며, 행렬 이론에서는 ''데스노-야코비 항등식''[21]을 일반화한 실베스터 행렬식 항등식[20]을 발견했다. 그의 수집된 과학 저작물은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880년 런던 왕립 학회는 실베스터에게 과학적 업적에 대한 최고상인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1901년에는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사후 옥스퍼드에서 수학 연구를 장려하고자 실베스터 메달을 제정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학부 기숙사 중 하나인 실베스터 하우스와 여러 교수직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저서
- ''운율의 법칙, 또는 운율의 원리, 미터법 번역 예시: 엑서터에서 열린 영국 협회 수학 및 물리 섹션의 취임 대통령 연설 주석 재인쇄본''. Longmans, Green and Co. (1870). ISBN 978-1-177-91141-2.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의 수집된 수학 논문'' (Volume I). 편집: 헨리 프레더릭 베이커. AMS Chelsea Publishing (1973, 초판 1904). ISBN 978-0-8218-3654-5.[22]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의 수집된 수학 논문'' (Volume II). 편집: 헨리 프레더릭 베이커. AMS Chelsea Publishing (1973, 초판 1908). ISBN 978-0-8218-4719-0.[22]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의 수집된 수학 논문'' (Volume III). 편집: 헨리 프레더릭 베이커. AMS Chelsea Publishing (1973, 초판 1904). ISBN 978-0-8218-4720-6.[23]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의 수집된 수학 논문'' (Volume IV). 편집: 헨리 프레더릭 베이커. AMS Chelsea Publishing (1973, 초판 1904). ISBN 978-0-8218-4238-6.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8-10-15
[2]
acad
[3]
서적
Men of Mathematics
Simon Schuster
[4]
간행물
America's First Jewish Professor: James Joseph Sylvester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1984
[5]
웹사이트
Biography of Sylvester
https://mathshistory[...]
2021-10-06
[6]
서적
James Joseph Sylvester. Jewish Mathematician in a Victorian world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Laws of Verse, or, Principles of Versification Exemplified in Metrical Translations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
[8]
간행물
Preliminary Outline of Instructions for the Session Beginning October 3, 1876
1876-09
[9]
서적
Pioneer: A History of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1874–1889
Cornell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10
[11]
서적
Women in Psychology: A Bio-bibliographic Sourcebook
Greenwood Press
[12]
웹사이트
Christine Ladd-Franklin
http://www.agnesscot[...]
Agnes Scott College
2012-11-06
[13]
웹사이트
School Notes
https://www.abingdon[...]
The Abingdonian
[14]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8-10-15
[15]
웹사이트
Matrices and determinants
http://www-history.m[...]
[16]
간행물
Additions to the articles in the September Number of this Journal "On a new Class of Theorem" and "On Pascal's Theorem"
1850-11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간행물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inor determinants of linearly equivalent quadratic functions
[21]
기타
[22]
간행물
Review: Sylvester's ''Mathematical Papers'', vols. I & II, ed. by H. F. Baker
https://www.ams.org/[...]
[23]
간행물
Review: Sylvester's ''Mathematical Papers'', vol. III, ed. by H. F. Baker
https://www.ams.org/[...]
[24]
웹사이트
수학사랑
http://www.mathlove.[...]
[25]
웹사이트
수학사랑
http://www.mathlove.[...]
[26]
서적
고등기하와 벡터, 성지출판 ( 일차변환과 행렬) 수학이야기-행렬과 행렬식37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